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이동근 한국수학교육학회 2019 수학교육 Vol.58 No.4

        This study is a follow-up to Lee(2019). Lee(2019) investigated the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 teachers, when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 teachers in the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curriculum. Following Lee(2019)'s study, this study looked at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high school math teachers in their curriculum.At the time when the curriculum was changed from time to time, the authority for restructuring curriculum was strengthened. In addition, the role of teachers as 'curriculum restructuring practitioners' became important.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the structural problem that teachers empathize with the necessity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and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willingness to practice the curriculum. Therefore, the researcher examined high school teachers who are sensitive to the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the highly hierarchical mathematics subjects. A total of six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three groups of t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observe how teachers as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tioners had thought about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I could observe what difficulties teachers’ experienced. This suggests that teachers have two ideas for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realistic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ideal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addition, the teachers found that there are 'sides of incongruity in the school system' and 'difficulties in the management of teachers'. 교육과정이 수시 개정 체제로 변화되면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권한이 강화되었다. 더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자로서의 교사 역할 또한 중요해졌다. 그런데 선행연구들에서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교육과정 실천 의지에 대하여는 부정적’이라는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위계성이 강한 수학 과목의 특성과 고등학교 교사들이 평가에 민감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고등학교 수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자로서 겪게 되는 어려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에 면담 대상자로 참여한 교사 10명을 교직 경력을 10년 단위로 하여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각 집단을 대상으로 각각 2차시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자로서의 교사들이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여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는지 관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음악교사 양성 기관의 국악교육과정 변화

        변미혜(Byun, Mi-Hy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8 No.38

        음악교사는 일반적으로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를 통해 배출되며, 일반 음악대학에서는 교직 이수를 하거나 교육대학원을 졸업하여 교사가 되기도 한다. 즉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는 음악교사 배출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학과의 주요한 역할은 중·고등학교의 음악교육의 질을 책임지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음악교사들을 배출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음악교사에게 필요한 교육적 역량 및 자질은 국가교육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국가교육과정은 시대적·사회적 변화와 요구 등 다양한 변인에 의해 개정됨에 따라 교사 양성 기관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사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국악교육과정을 통해 교사 양성기관에 요구되는 음악교사의 자질과 역량을 살펴본 결과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은 개정된 국가교육과정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데 소극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음악교사의 자질과 요건에 대한 시대적·교육적 요구의 변화에 따라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도 변화될 것을 기대하였지만, 여전히 국악과 양악 과목이 불균형적으로 편성·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다수의 양악 관련 과목들이 개설된 가운데 국악 관련 과목들이 몇 개 추가된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현재의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으로는 우리의 음악문화를 자신 있게 지도할 수 있는 자질과 역량을 지닌 음악 교사를 양성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본다. 중등음악교사는 변화하는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따른 음악교사의 자격기준을 함양함으로써 학교 음악교육의 발전에 이바지 하는 역할과 의무를 다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은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에 있다. 앞으로 바람직한 음악교사 교사를 양성하기위해서는 교과교육학 및 교과내용학의 영역별 균형 있는 과목 개설이 요구된다. 또한 교과의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총 이수학점과 기본이수학점의 충분한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사 양성 대학의 국악 교수진의 확보가 시급하며 이를 뒷받침을 할 수 있는 교육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음악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수용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국가교육과정을 선도하고, 미래의 한국음악교육의 비전을 제시해 나갈 수 있도록 그 역할을 다 해야 할 것이다. Music teachers are usually educated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Also, they can be trained by completing a course in teacher education of music college, or finish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us, sinc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occupies a large part of producing music teachers, its curriculum aims to educate competent music teachers to responsibly accomplish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Moreover, the educational capacity and qualification which are demanded of music teachers are related wi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ed by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causes the reorganization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This study identified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educated by teachers’ training courses through examining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ich is charge of training teachers. From the result,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curriculum had been passive to absorb the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Especially,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has been changed by the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was still disproportionately organized in the courses of Korean music and western music. The courses of the department were occupied with most of western music courses and just added by some of Korean music courses. Through this curriculum, it may be impossible that the music teachers which can instruct Korean music and culture can be trained. The curriculum of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contribute to educate music teachers to obtain the requirement and qualification by period?social change. For this reason, the curriculum to be well-trained music teachers should be balanced on both music courses and music education courses. Furthermore, it should be required to enough fulfill the total course credits and compulsory credits in order to be fully qualified the expertise of music subject. Lastly, readily provided this curriculum in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it will be required with the education policy to obtain enough the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music. Conclusively,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accept the change of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as well as lead the music curriculum and present the future vis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 KCI등재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논의를 통한 차기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일고: 교사교육과정 정책을 중심으로

        정윤리 ( Yulli Jeong ),임재일 ( Jae-ill L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을 강조하고 차기 국가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그간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을 분석하고, 교사가 교육과정 개발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교사교육과정’ 정책을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관한 담론들로 설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진단·분석하고,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가 담보된 ‘교사교육과정’ 정책이 차기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포함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구체적으로 차기 국가교육과정은 첫째, 교사의 행위주체성(teacher agency)이 담긴 문서가 되어야 하고 둘째, 교육과정 교육내용, 즉 성취기준에 관한 자율권을 보장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교사교육과정’을 넘어 ‘학생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 자율화 논의의 범위가 확장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autonomy of teachers’ curricula by examining the discussion of the curriculum autonomy policy and to suggest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To this end, we analyze the curriculum autonomy policy and explain the teachers’ curriculum policy in which teachers actively participate in curriculum development with discourses on teachers’ curriculum expertise and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n this basis, we diagnose and analyz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rgue that the ‘teachers’ curriculum’ policy that guarantees teachers’ curriculum autonomy should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Specifically,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a formatted as a document containing the teacher agency and should guarantee teacher autonomy over educational content (i.e., achievement standards). Finally, we suggest that the scope of the discussion on curriculum autonomy should be expanded to ’students’ curriculum’ beyond ’teachers’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연구

        김판수,이영주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수학과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실현하는 초등학교 교사 4인의 교육과정 재구성의경험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교육과정 재구성의방법을 알아보고, 전문성을 가진 교사 양성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 대상은현직 교사 중 수학과 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이 풍부한 교사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총 3차로 이루어졌으며, 4인의 사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대로의 수업은 ‘흥미 저하’와 ‘성취 기준 미달’로 귀결되어 교육과정 재구성의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게 된 계기는 각자 달랐으나 교육과정재구성을 시도하게 된 원동력은 수학 교과의 내용 지식과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이 높았기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지속시키는 요인은 학생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교사 연구 활동이었다.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중심이 되어 교사 연구회를 운영하고 이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성장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방법은 각기 달랐다. 각 교사가 지향하는 목표는 같으나 그 방식이나 접근에 대한 기본 철학에서는 차이를 나타내 보였고, 그것이 교과서를 재구성하는 방식을 결정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교육과정 재구성의 어려움 조사에서 교사요인으로 시간 부족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확신 등이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 간의 개인 편차와 개인적 특성과 같은 학생요인도 중요한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이 요인은 기존 연구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과정 문해력을 위한 연수와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의 공유와 보급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of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ntinuously realize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und out how to develop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reorganize the curriculum through mathematics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sought implications for fostering professional teacher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as teachers who understood mathematics and curriculum well among incumbent teachers and had extensive experience in reorganizing mathematics and curriculum.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a total of three rounds, an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of four people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based class resulted in a 'decrease in interest' and 'under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necessity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as recognized. However, although the reasons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were different,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attempt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seems to be the high knowledge of the content of the math subject and the literacy in the mathematics and curriculum. Second, the factors that sustain the curriculum restructuring were positive feedback from students and teacher research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with expertise are the main ones who run teacher research groups and grow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hem. Third, the method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as different. Each teacher's goal was the sam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basic philosophy of the method and approach, and it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determining how to reconstruct textbooks. Fourth, in the survey of difficulties in reorganizing the curriculum, lack of time and confidence in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ere confirmed as teacher factors. In addition, student factors such as individual deviation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mong students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difficulties, which were not found in previous studies. Fifth, in order to revitalize the curriculum restructuring, overall support is need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raining for curriculum literacy and sharing and dissemination of cases of curriculum restructuring are required.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내용 및 교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최혜윤,권윤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urriculum contents and subject matter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Methods 8 teachers from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Busan, and Gyeongnam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person, or online interviews individually in January 2023. The data collected to underwent a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the “Inclusive Analytic Procedures Based on the Pragmatic Eclecticism,” which involved processes such as “iterative reading/management of qualitative data, writing analytic memo, 1st/2nd/ 3rd coding, representation of results.” However, in practice, each stage overlapped with others, and the analysis process occurred in a cyclical and iterative manner,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all stages. Results First, the teachers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curriculum, such as recognizing the five content areas of the Nuri curriculum as developmental/life/educational content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as changed/not chang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ion.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also recognized by reflect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such as play, teacher autonomy, and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the teachers showed a low level of acceptance towards the term “subject matter,” but they did not consider the contents of subject matters as unnecessary. The contents of subject matters were already being covered indirectly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ird, the teachers were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s. They faced various challenge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curriculum. Conclusions Therefore, various supports are needed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the distinctiveness of the curriculum and to develop a curriculum pedago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ir own educational beliefs and the interests and developmental levels of young children, while co-crea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with them. There is also a need to create novel meanings for subject matt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is different with other school levels, in order to overcome resistance to terminology and to enable teachers to borrow the contents of subject matters as pedagogical knowledge that they can recognize and use. Finally,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at teachers do not simply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curriculum as a text, and to be more concerned with and supportive of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who are the agent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 KCI등재

        누리과정 실천과정에서 드러나는 유아교사들의 도전과 딜레마

        허정민,이진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자 13명의 유아교사들을 면담하였다. 유아교사들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당위성을 따르며 누리과정을 유아교육과정으로 동일시하며 반드시 실천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누리과정 지원금과 누리과정 CD는 유아교사들에게 반가운 존재이기도 하였지만, 과잉서비스의 함정에 빠지게 만들기도 하였다. 반면 유아교사들은 너무 빽빽하게 짜여져 있는 누리과정이 숙제같이 느껴진다고 이야기하며 기차시간표처럼 운영해야 하는 상황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또한, 형식적으로 작성되고 있는 교육계획안 작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유아의 흥미로 시작되는 교육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유아교사들은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대강화되고, 그들의 새로운 도전과 시도들을 지원할 수 있는 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대화의 장에 참여하기를 희망하였다. 유아교사들이 전문성과 책임감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thirteen early childhood teachers running the Nuri curriculum to listen to their stories.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Nuri curriculum as a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identified it as equally important to early childhood curriculum believing that it must be implemented. In this process, the Nuri curriculum subsidy and Nuri curriculum CD have been put into place as another control mechanism to make early childhood teachers follow the Nurri curriculum. However, early childhood teachers told us that following the Nuri curriculum which is too tightly planned feels like doing homework, and expressed difficulties in completing it like running a train schedule. Furthermore, they raised the issue of educational plans being prepared perfunctorily and claimed that various changes are required to design a curriculum that considers the children’s interest from the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rgued that the current state-level curriculum should be more flexible and a culture that supports teachers’ new attempts and challenges should be created for them to run a curriculum for children. They also hoped engage in various forums and debates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 need for a range of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un the curriculum with professionalism and accountability has been raised.

      • KCI등재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 협력 체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관련변인에 따른 요구

        유지은,윤진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helping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for localizing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preparing localized curriculums that meet the needs of particular regions. Under this objective, it examined requests presented by kindergarten teachers regarding this prospective cooperative mechanism, in accordance with their related variables. Employ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8 teachers at national,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Jeollabuk-do (North Jeolla Province). A questionnaire, prepared by using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bibliographies as a guid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For data analysis, an x²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achers' requests regarding when to launch cooperation for localizing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relation to variables such as their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age, completion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localization, and their type of institution. Secon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achers' requests regarding how to organize those involved in this cooperation process, depending on their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age, and their type of institution. But,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relation to the teachers' completion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localization. Thir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achers' requests regarding the roles of those involved in the cooperation process for cooperation for localizing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However,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ir academic background, age, completion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localization, and their type of institution. Fourth,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achers' requests regarding cooperative measures necessary for localizing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However,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age, completion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localization, and their type of institutions. Finall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achers' requests regarding cooperation methods for cooperation for localizing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depending on their age, and completion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localization. Bu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ir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and their type of institu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ic materials in promoting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issue of curriculum localization as well as in preparing and operating kindergarten curriculums appropriate for particular regions. 본 연구에서는 지역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중요성에 기초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자 유치원 교사의 요구 사항을 그들의 관련변인에 따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북 지역에 소재한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 교사 248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적절하게 질문지를 제작하였고, 자료분석은 x2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시기에 대한 요구는 유치원 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 교육과정의 지역화 연수 여부, 설립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구성원의 주체에 대한 요구는 유치원 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 설립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교육과정의 지역화 연수 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구성원의 역할에 대한 요구는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 연령, 교육과정의 지역화 연수 여부, 설립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내용에 대한 요구는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 연령, 교육과정의 지역화 연수 여부, 설립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 방법에 대한 요구는 유치원 교사의 연령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연수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 경력, 설립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 협력 체계에 대한 바른 이해를 도모할 수 있으며, 각 지역에 적합한 유치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로컬에서 교사가 개발하는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이윤서 ( Lee¸ Yun Seo ),정광순 ( Jeong¸ Kwang So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교실에서 실행한 교육과정 사례를 기반으로 교사가 개발하는 교육과정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K교사는 H초등학교 ‘꽃나루 교육과정’에 대한 의사결정에 참여하여 자신의 교실교육과정인 ‘꽃잎마을 교육과정’의 일부를 개발하였고, 나머지는 실행하면서 완성했다. K교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교사가 개발하는 교육과정이 교육과정으로서 가지는 의미를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교사가 개발하는 교육과정은 국가교육과정에 후속하여 개발하는 로컬교육과정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둘째, 로컬(학생)의 요구와 주어지는 교육과정(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성취기준) 내용을 연계·종합하여 교육 내용을 선정·조직한다는 점에서 교사가 수행한 활동을 교육과정 개발행위로 볼 수 있다. 셋째, 교사가 개발한 교육과정은 ‘유닛’이나 ‘프로그램’ 형태라는 점에서 ‘프로그램형 교육과정’이라고도 한다. 넷째,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교사는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전뿐만 아니라 실행 중에도 개발을 지속하며, 교육과정실행을 마친 후에야 개발을 완료한다. 이 점은 교사가 개발하는 로컬교육과정이 지니는 특성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curriculum developed by teachers based on a cas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assroom curriculum implementation. K teacher partly developed her classroom curriculum, ‘Petal Village Curriculum’, while participating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H elementary school’s ‘Flower Port Curriculum.’ She completed the rest of her curriculum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in her class. Based on the case of K teacher, the meaning of curriculum development by teachers is discussed. First, The curriculum developed by teachers could be seen as one of local curriculum developed following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activities performed by teachers can be regarded as curriculum development activities in that they select and organize contents by linking and synthesizing local(student) demands and the contents of the given curriculum(the standards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curriculum developed by teachers is a ‘programmatic curriculum’ because of its form as a unit. Fourth, teachers who develop curriculum locally continue to develop their curriculum before and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y finally complete their curriculum only after its implementation in class. Thi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local curriculum development by teachers.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융합형 과학 교과서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윤회정,윤원정,우애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3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실제로 수업을 진행하게 될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그 실행 및 개편된 과학 교과서에 대한 120명의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인 융합 교육과 창의·인성 교육에 대해 50% 이상의 교사들이 이해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융합 교육과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많은 교사들이 공감하고 있었으며 특히, 창의·인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73.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09개정 교육과정에 맞도록 개편된 융합형 과학 교과서의 구성 및 내용이 교육과정의 목표인 ‘과학 개념의 통합적 이해 강조’, ‘창의·인성 교육의 강조’와 부합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은 각각 52.5%와 78.4%로 높게 나타났다. 단원 구성과 관련하여 80.0%의 교사들이 융합형 과학 교과서가 특정 영역에 편중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인식은 교사들의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p<.05). 또한, 교사들은 교과서에서 다루는 지식의 양이 방대하고 심화된 내용이 많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만한 다양한 주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수업에 필요한 자료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는 점은 좋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융합형 과학 교과서로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교사들의 전공이 아닌 내용을 지도해야 한다는데 가장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따라 과학 과목의 원활한 지도를 위해서는 수업 자료의 배포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평가 자료의 배포와 교육청 연수도 필요로 하고 있었다.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eachers' demand for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One hundred twenty high school teachers from Seoul, Incheon, and the Gyeonggi area were surveyed,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the new science textbook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acher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a fused curriculum' and an 'education of creativity, character, and virtue', which were emphasiz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More than 50% of the teachers were also aware of the content of the 'fused curriculum' and the 'education of creativity, character, and virtue'. Second, 52.5% and 78.4% of the teachers believed that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revised science textbook were discrepant from a 'fused curriculum' and an 'education of creativity, character, and virtue', respectively. Eighty percent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new revised science textbook was biased in certain areas of sci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major (p<.05): generally, teachers showed a negative opinion on the amount and deepness of knowledge in the textbook, but they liked the variety of the content. Third, 93.3%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teach with the new science textbook. They worried about teaching unfamiliar areas which were outside their own major. It is essential, therefore, to distribute prepared teaching and evaluation material to teacher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new curriculum.

      •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영어담당교사의 교직경험 및 인지적ㆍ정의적 요인이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형태에 미치는 영향

        박성익(Park Seong Ik),최소정(Choi So-Jeong),이선희(Lee Sun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지도교사의 교직경험 및 인지적·정의적 요인에 따라 영어과 수준별교육과정 실행형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해 보고, 초등학교 영어지도교사의 교직경험 및 인지적·정의적 요인과 영어과 수준별교육과정 실행형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려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국공립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영어지도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영어과 수준별교육과정에 대한 인지적·정의적 요인 검사와 교육과정 실행형태 검사를 실시하였다. 영어과 수준별교육과정 실행형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교사의 교직겸험인 영어지도 경력과 영어연수 이수시간에 따라 영어과 수준별교육과정 실행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이수시간의 증가함에 따라 실행수준 점수는 점차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인지적 요인 중에서 교육과정 목표이해는 수준별 집단편성(r=.616)과 수준별 학습지도(r=686)와 높은 상관이 있고, 교육과정 적절성은 수준별 집단편성(r=.650)과 수준별 학습지도(r=.731)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정의적 요인 중에서 수준별교육과정 관심도는 '수준별 집단 편성' 실행형태와 정적 상관이 있고(r=.455, p<.01), 교사의 효능감은 수준별 집단편성(r=.540), 수준별 학습지도(r=.681), 수준별 학습평가(r=.828)등 모든 수준별교육과정 실행형태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수준별교육과정을 잘 이해할수록, 높은 관심과 효능감을 가질수록 수준별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glish teachers' career and their cognitive-affective factors on implementing the differentiated English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The other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English teachers' career, their cognitive-affective factors, and the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English curriculum. Considered were teachers' career such as teaching experiences and period of in-service English teaching training. Also considered were teachers' cognitive factors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goals, necessity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appropriateness of learning content, and effectiveness of supplemental and enrichment learning as well as affective factors such as concerns, proficiency, professional identity, and satisfaction on teaching the differentiated English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mplementing the differentiated English curriculum according to teachers' professional career? Second, How are English teachers' career and cognitive-affective factors related to implementing the differentiated English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lementing the differentiated English curriculum according to the English teachers' career and cognitive-affective factors. Second, teachers'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mplementing the differentiated English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drawn as follows: Since higher proficiency level of English teachers is necessary in order to teach students english effectively, in-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effective differentiated English curriculum implementation should be provided to Englis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Further, in-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considering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gnitive-affectiv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