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 No.2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하여 능동적․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중심의 교육과정을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은 1995년 교육개혁이 진행되면서 현행교육과정에서 노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논의에도 불구하고 열린 교육과 마찬가지로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은 채, 아직도 우리의 교육현장은 실험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검토,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한 자료의 축적이 시급한 상태이다. 이 연구는 먼저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둘째,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이 왜 필요한지를 검토한다. 셋째,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을 시행하기 위한 조건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마지막을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총론적 관점에서 탐색해 보고자 한다.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은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요청이기도 하며, 우리의 교육이 안고 있었던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목적과 내용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이론과 시행과정에 대한 절차 및 구성요소 등이 구체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the same goal as that of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which is to foste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enabling them to choose curricula and courses by themselves. Therefor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coping with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occurring since the adoption of educational reform in 1995.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such a curriculum although it has already become a popular approach in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xt. Whe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s applied at the classroom level without any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such an approach, the school becomes an experimental lab, and the students become guinea pigs. Therefore, it is necessity to gather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and actively debate its appropriateness in the educational context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it uses and to find a rational for accepting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 order to bring about educational reform in Korea. Next,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necessary to apply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the limitation and potential range of this approach will be investigated in general.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s an alternative solution that our current era seeks. However, in order to make adequate use of this approach we need first to investigate how well this approach works in practical situations.
대학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학습자중심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권성연(Kwon Soung youn),신소영(Shin So Young),김지심(KIM Ji 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하여 지향해야 할 ‘학습자중심교육’의 특성과 원리를 도출하고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교수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전임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중심교육의 특성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결과, 학습 자중심교육의 5가지 영역 27개 항목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요도 인 식에 비해(M=4.09, SD=.38) 실행도는 낮게 나타났다(M=3.62, SD=.49). 또한, IPA분 석을 통해 향후 집중적으로 실행 노력을 기울여 개선해야 하는 항목으로 학습관 및 학습목표 영역의 특성들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면담을 통해 대학 교수들이 인식하 는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개념, 필요성, 실행 상의 어려움, 설문 결과에 대한 원인, 학습자중심교육에 기초하여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규명하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ributes and principle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n analyzed the professors perceptions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this, the survey and interview with faculties from 3 universiti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very items were significant, the scores of performance were lower than those of importance. By IPA result, ‘concentrate here items which should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were derived in areas of learning philosophy and objectiv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concepts, needs, difficulties of implementing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reasons of survey results, and strategies of improving the teaching were suggested by an interview.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은숙(Lee, Eun-Suk),김봉세(Kim, Bong-S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5, 6학년 지적장애학생 30명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15명의 지적장애학생은 연구자가 구안한 수학 교과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을 주 2회 씩 총 16회기에 걸쳐 적용 하였다. 다른 지적장애학생 15명은 동일한 기간에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적용하고, 진로인식을 실시하여 사전과 사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며,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하여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수학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이해와 진로태도 영역에서 진로인식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은 수학적 문제 상황에서 학생들이 자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여러 가지 직업세계를 깊이 있게 탐구 할 수 있도록 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on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earch problem to achieve the objective was set up as follows : what ar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ctivity e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on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er selected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30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who attend special classes of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buk-do as subjects of the research. Among the students, first rsearcher chose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and applied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made by the researcher twice a week, over 16 sets in total, and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program to the other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during the same period. Also, the researcher calculated a pre and post average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test through career awareness test, and verified the difference of effects through analysis of ANCOVA.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by indicating th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conducted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activity,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was effective in benefitting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erms of self understanding and career attitude. Since the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in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helps students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ituation to critically understand themselves and explore various careers deeply, the career education activity has prov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기능 수행 동사 탐색: Tyler의 7가지 학습경험 유형을 중심으로
조용,정지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5 No.9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기능 수행 동사를 Tyler의 7가지 학습경험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교과 수업 설계에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13개 필수 교과(국어, 도덕, 영어, 사회, 역사, 수학, 과학, 기술, 가정, 정보, 음악, 미술, 체육) 각론 문서를 중심으로 교과별 성취기준과 기능 수행 동사를 탐색하였다. 또한, 기능 수행 동사와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기능 수행 동사가 교육목표 설정과 학습 평가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기능 수행 동사가 교육과정 설계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는 데 미치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결과 첫째, 기능 습득 경험은 총 31개 동사로,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학습경험 유형이다. 둘째, 사고능력 계발 경험과 기능 습득 경험은 각각 6개의 교과에서 가장 많은 기능 수행 동사를 포함하고 있다. 셋째, 지식과 이해 함양경험은 13개 동사, 감상력 함양 경험은 14개 동사로,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이는 학습경험 유형이다. 넷째, 흥미 계발 경험은 4개의 교과에서 해당하는 기능 수행 동사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첫째, 기능 수행 동사가 특정 교과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목표를 정서적 경험보다는 분석적 사고와 실질적인 수행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설정하고 있다. 셋째, 계열 교과별 기능 수행 동사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패턴이 있다. 넷째, 기능 수행 동사는 교육과정 내에서 학습 목표 설정, 교수⋅학습 과정 설계, 평가 기준 마련 등 다양한 교육적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cur riculum based on Tyler’s seven types of learning experiences, and to explore educational strategies for effectively applying them in subject instruction. Methods To this e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of each subject were exam ined based on the subject-specific documents of the 13 required subjects (Korean, Ethics, English, Social Studies, History, Mathematics, Science, Technology, Home Economics, Information,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oles these verbs play in sett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eval uating learning outcomes. Furthermore, the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for improving curriculum design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Results Firstly, the functional acquisition experience is the most frequent learning experience type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with a total of 31 verbs. Secondly,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thinking ability and the experience of acquiring function contain the most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in 6 subjects each. Thirdly, the experience of foster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contains 13 verbs, and the experience of fos tering appreciation contains 14 verbs, which are the least frequent learning experience types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Fourthly,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interest does not contain any corresponding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in 4 subjects. Conclusions Firstly,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can be commonly used in various subjects, not limited to specific subjects. Secondly,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cuses on developing analytical thinking and practical performance skills rather than emotional experiences as learning goals. Thirdly, there is a common pattern of use in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by subject. Fourthly,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play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such as setting learning goals,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nd establishing evaluation criteria within the curriculum.
무라이 미노루(村井実)의 교육관에서 해석한 학습자 중심의 학교무용교육의 가치
김보연(Kim, B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학교무용교육을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으로 구상하는 것이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이란 언제나 「선함(善さ)」을 구(求)하며 살고 있는 인간이 보다 나은 「선함(善さ)」의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정의한 무라이 미노루(村井実)의 이론을 채용하였다. 무용은 감정과 생각 등 자신의 내면을 몸을 통해 외부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표현의 근원 즉, 무라이(村井)가 말하는 내면의 「선함(善さ)의 구조」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무라이(村井)에 의하면 인간의 내면에는 본래 4가지의 요구(상호성, 효용성, 無모순성, 美(조화)에 대한 요구)가 갖추어져 있으며 그것들이 모두 만족되었을 경우 인간은 「선하다(善い)」라고 판단한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무라이(村井)의 이론을 보면, 무라이(村井)가 말하는 「보다 선하게(善く) 살기 위한」가장 이상적인 학습 조건이 학습자 중심 교과 교육이 된다. 그렇다면 학습자 중심의 학교무용교육에 있어서 4가지의 요구가 어떻게 만족되는가. 본 논문에서는 ‘탈춤’ 수업의 분석을 통해 이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표현은 「선함(善さ)」의 4가지 요구가 모두 만족되어 나타난 자신만의 움직임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학교무용교육은 학습자의 모든 표현에 대한 가치존중이 기본 전제이다. 그러므로 학습자 내면의 「선함(善さ)의 구조」를 기초로 한 무라이(村井)의 교육 이론을 도입함으로써 학교무용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교과교육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The research aims to consider what is the value of designing school dance education as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 a theoretical perspective. To this end, the education theory of Minoru MURAI was adopted to the paper; education helps humans who always seek for “Goodness”, which enables them to make an even better judgement of “Goodness”. Dance expresses one s inner self such as emotions and thoughts, through the body. Therefore, in order to educate i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ource of the expression, specifically where Murai states it as the inner “structure of Goodness”. According to Murai, there are four basic demands humans possess inside; interconnection, utility, non-contradictoriness, and harmony. If they are all satisfied, humans are judged to be “Good”. Looking at Murai’s theory in the perspective of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 most ideal learning condition which Murai calls as a condition “to live better”, becomes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If so, how are the four basic demands satisfied in the curriculum of learner-centered school dance education? This paper examines this issue through an analysis of mask dance(Talchum) class. As a result, expressions of the learners were interpreted as their own unique movement which resulted from the satisfaction of all four demands of “Goodness”. In addition, respecting the value of all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learner is the basis of school dance education. Therefore, school dance education has a sufficient value as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by introducing Murai’s education theory based on the “structure of goodness”.
총론과 각론 연계성 제고를 위한 교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탐색
윤지영(Jiyoung Yoon),온정덕(Jungduk Oh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6
목적 총론과 각론의 연계성을 확보하면서 역량 계발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을 지원하기 위해 교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을 제안한다. 방법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교수·학습과 평가 지침을 분석하여 교사의 교수·학습 활동 설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점을 도출하고, 이에 비추어 온타리오주 교과 교육과정(언어, 수학, 사회·지리·역사, 과학·기술) 문서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설계를 돕는 교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분석·정리하였다.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교과 내·교과 간 연계, 삶과의 연계, 탐구 방법에 대한 학습, 학생의 능동적 참여,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를 강조하고 있었으며, 온타리오주의 교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기대, 스트랜드, 개념과 빅아이디어, 과정, 학생의 성취 평가, 선택적 교사 지원’을 통해 교과 내·교과 간 연계 지원, 실세계 맥락으로 학습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방식 제공, 절차적 지식과 사고 과정 안내, 학습 내용과 관련한 핵심 질문 제시, 학생의 학습 성찰을 지원하고 있었다. 결론 ‘개념과 빅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학습해야 할 필수 학습 기대를 제시하여 교과 내 연계 지원, 교과 교육과정의 스트랜드를 통해 교과 간 연계 및 실생활 맥락 적용 체제 마련, 교과 고유의 사고 과정을 교과 교육과정의 스트랜드로 설정 및 필수 학습 기대에 제시, 핵심 질문을 통해 학생의 능동적 학습 참여 지원,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를 위한 성취 차트 제공’으로 총론과 각론의 연계성을 제고하고 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을 지원하는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마련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교육과정 개발에서 ‘과정·기능 범주의 내용 요소 체계화, 교과 학습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학생의 수행 제시, 교과의 특성에 따른 교과 내 지식·교과 간 지식의 연계를 보여주는 교육과정 구성 방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organization of subject curriculum to support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and practice for competency development, while ensuring coherence between general guidelines and subject curriculum. Methods Analyzing the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guideline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ramework, we derived the key poi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light of this, documents on the Canada Ontario curriculum (Language, Mathematics, SSHG, Science and Technology) were analyzed. Based on this, we analyzed and summarized the organization of subject curriculum to help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Result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ramework emphasized ‘connection within and between subjects, connection with life, learning about inquiry methods,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assessment as learning’. The subject curriculum of Ontario provides support for connection within and across subjects, application of learning content in real-world contexts, guidance on procedural knowledge and thinking processes, posing essential questions related to learning content, and supporting students' reflection on learning through curriculum expectations, strands, concepts and big ideas, processes,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student achievement, and optional teacher support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enhance coherence between general guidelines and subject curriculum and support teachers’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urriculum document framework. In the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curriculum design that systematizes content elements within the categories of process and skills, presents performance standards, and demonstrates the connection of knowledge within and across subjec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교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연계성에 관한 분석
조은영(Eun-Young Cho),박상우(Sang-Woo Park),조호제(Ho-Je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이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을 제시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교수⋅학습과 평가에 대한 방향을 전제하고 있고 총론이 학교교육활동에 있어서 헌법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때,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교수⋅학습’, ‘평가’ 등에 제시된 각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방향은 모든 교과 교육의 교수⋅학습과 평가의 방향과 밀접한 연계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초등학교 국어, 수학 교과 교육과정의 평가 기준에 제한하여 연계성을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을 가지고 먼저 총론에 제시된 평가 기준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국어, 수학 교과 평가 기준을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평가기준을 연계성의 준거에 의해 분석하여 그 실태를 살펴보았다. 결과 그 결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방향은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목표-교육내용-교수⋅학습-평가의 일관성, 평가결과 활용으로 수업 개선, 서술형 평가, 논술형 평가 등은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총론과 연계성을 강화하는 평가기준의 재구성을 통한 적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평가기준 제시에서 동일한 의미의 평가 방법을 다른 용어로 제시하는 경우가 있었다. 결론 따라서 교육과정 개발자간의 끊임없는 논의와 대화를 통해 해석상을 차이가 없도록 교육과정은 전체적인 통일성을 갖추어 종합적으로 완결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교과 교육과정 기준 가운데 학생의 학업성취기준은 교육의 성과를 관리하는 목표로 기능할 수 있고, 따라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은 보다 분명하고 명확하게 제시하여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inuity between the current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 and the subject-area curriculum.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standards put an emphasis o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and presupposes the direction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i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Considering that standards plays the same role like the constitution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closely connec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direction of each curriculum presented in ‘emphasis of curriculum composition’,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with all the subject-area curriculum’s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inuity betwee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evaluation criterion of the elementary school’s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subjects. So, the evaluation criterion presented in the standards was first analyzed, and then the evaluation criterion for Korean and mathematics subjects were reviewed. Lastly, based on these reviews, the evaluation criter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continuity and actual situation was examined.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evaluation method⋅precautions and the evaluation direction. In particular, educational goal-education content-teaching⋅learning-evaluation consistency, and the use of evaluation results showed insufficient connection with curriculum improvement, descriptive evaluation, and essay evalu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it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evaluation standards that strengthen the connection with the standard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lso, in the case of presenting the evaluation criterion, there were cases where the evaluation method with the same meaning was presented in different terms. Conclusions So, it is necessary to have overall unity and comprehensive completeness 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through constant discussion and conversation between curriculum developers. Among the curriculum standard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tandards can function as goals for managing educational outcomes. Therefore, the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in the curriculum should be presented more clearly so that it can play a role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 No.2
이 연구는 우리 나라 학교현장에서 학습자중심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시도이다.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던 많은 교육이론들이 성공하지 못한 이유가 교수방법에 대한 총체적 접근이 아니라, 외형적인 기능만을 모방하려 했다는 문제의식이 이 연구를 착수하게 된 동기이다. 어떤 교수방법이든지 그 속에는 방법의 특성을 이루며, 다른 것과 구별되어지는 변인이 있을 것이고, 그 변인들은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며 구현된다. 그렇다면, 학습자중심교육의 교수방법에는 어떤 변인의 특성이 있으며, 그리고, 어떤 교수전략을 수립해야 효율적이고 적합한 수업이 전개될 수 있는지가 밝혀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째, 교수방법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교수변인을 규명한다. 둘째, 학습자중심 교수를 위한 변인별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위의 내용을 토대로 학습자중심의 교수전략을 모색한다.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교수방법의 유형이 결정되는 주요 변인으로 교사, 학습자, 교과목, 환경을 선정하고, 이를 준거로 학습자 중심교육의 특성과 교수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즉, 학습자중심교육의 성공적인 도입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교사의 교육관이 변해야 한다. 둘째, 교사에게 학습자중심교육을 위한 최적의 방법을 결정할 수 있는 자율권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중심의 교육을 위해서는 환경의 변화가 요청된다. 넷째, 학습자중심교육의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structional principle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following instructional approaches are suggested by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nee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ccupation. Pre-teachers who are willing to be a teacher have chances to make observations of experienced teachers\ teaching at practice schools. At this time, the important thing is what they have to observe. It is necessary to visit some schools for example, Eun Hyun elementary school which is willing to open their classrooms and shows various video tapes about all kinds of classroom teaching techniques by current teachers of the school at workshops. Second, educational researchers need to understand the urgent research areas. Their researches should be focused in teaching methodologies to improve instructional methods. They have also to concern some answers of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al context. Third, there should be a lot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professional educators and non-professional one. As a example, principles of schools need to give feedbacks to their classroom teachers through teacher evaluations regularly. Forth,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 methods especially for Korean students is necessary and teachers should find the effective teaching styles for their students through \ experimental teaching\ experiences. Fifth, each classroom teachers need to develop their own identifiable teaching methods such as rug meeting, individual study, group study, project study, NIE activity, corner study, etc. These activities or methods have to increase students\ creativity and somehow related with open education.
역량기반 전공교육을 위한 교과-비교과 연계 플립러닝 학습효과 분석
김우태,장은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이 연구는 K대학 경찰행정학과 학생의 전공능력 강화를 위해 교과-비교과 연계 플립러닝의 학습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경찰행정학과 전공 교과목 ‘과학수사’ 수업에서 플립러닝을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하면서 교내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과학수사’ 전공 교과목에서 실제 범죄 사건에 대한 과학수사 동영상을 활용한 플립러닝을 13주차에 걸쳐 진행하였고,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K지방경찰청 과학수사관을 초청하여 교내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주관한 전공특강을 실시하였고, 학습공동체 또는 튜터링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였다. 참여 학생들의 전공능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범죄수사 시리즈물(과학수사 동영상)을 활용한 플립러닝에 대한 강의평가 및 특강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학습경험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플립러닝 및 교과 연계 비교과 수업을 적용한 ‘과학수사’에 대한 강의평가는 4.65로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을 적용하지않은 전년도 수업보다 향상되어 학습경험에 대한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플립러닝의 학습효과를 분석한 결과, 4개의 중심의미인 수업 태도, 소통 능력, 수업 성과, 개선 사항이 도출되었다. 끝으로 전공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경찰공무원 입직동기 부여 및 범죄수사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전공능력인 범죄수사 관련 전문지식 활용 능력, 자기주도적학습 능력, 융⋅복합 능력,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K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과학수사’ 학습효과 분석을 진행한 이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방법인 플립러닝을 비교과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제한된 수업 시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개별적인 심화학습이 가능하게 하여 전공 교과 수업의 경계를 허무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구은경(Ku, Eun-Kyung),이상원(Lee, Sang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환경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 사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기반학습용 교수·학습 구현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5∼6학년(군) 사회·도덕·과학·실과 교과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환경교육 내용영역과 시사점을 추출한 다음, 초등환경교육을 위한 사례기반학습용 교수·학습 구현 전략을 수립하였다. 연구 결과, 5∼6학년(군) 사회·도 덕·과학·실과 교과서에는 각 교과의 특성에 적합한 환경교육의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러 한 교과별 환경교육 내용 분석을 근거로 하여 사례 개발 및 선정, 사례 분석, 사례 분석 활동지 고안, 사례기반학습의 절차 설계, 사례기반학습 교수·학습 과 정안 개발 순으로 사례기반학습용 교수·학습 구현 전략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사례 기반학습용 교수·학습 구현 전략에 따라 환경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지도할 수 있는 사례기반학습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실 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환경교육 수업 자료와 방안은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학습을 이끌어 내어 환경에 대한 학습자 관심이나 동기를 유발하고, 나아가 다양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여 환경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sought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to implement an environmental education effectively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For this, it analyzed environment education related with contents for the 5th and 6th grade social study, ethics, science and practical arts textbook of 2009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to extract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ose, a teaching-learning implementation strategy based on case-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stablished and then, suggested that the teaching-learning implementation methods can be used in curriculum time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losely, or create experiential activity time by integrating between subject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to be effective in class. The conclusion gained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 textbooks of social, moral, scientific, and practical arts of 5th and 6th grade were reflected in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ppropriately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each subject, the study has established a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strategy for case-based learning by case development/selection, case analysis, design of the case-based analysis activity sheet, design of the case based on learning proces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based on cases. Third,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implementation strategy for case-based learning, the study developed a ca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can be guided in curriculum closely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i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implementation methods are likely to be helpful for attaining environmental education goals by attracting learner-centered active learning, inducing learner s interest and motivation to the environment, and for having further interest in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