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 No.2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하여 능동적․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중심의 교육과정을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은 1995년 교육개혁이 진행되면서 현행교육과정에서 노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논의에도 불구하고 열린 교육과 마찬가지로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은 채, 아직도 우리의 교육현장은 실험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검토,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한 자료의 축적이 시급한 상태이다. 이 연구는 먼저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둘째,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이 왜 필요한지를 검토한다. 셋째,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을 시행하기 위한 조건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마지막을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총론적 관점에서 탐색해 보고자 한다.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은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요청이기도 하며, 우리의 교육이 안고 있었던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목적과 내용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이론과 시행과정에 대한 절차 및 구성요소 등이 구체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the same goal as that of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which is to foste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enabling them to choose curricula and courses by themselves. Therefor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coping with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occurring since the adoption of educational reform in 1995.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such a curriculum although it has already become a popular approach in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xt. Whe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s applied at the classroom level without any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such an approach, the school becomes an experimental lab, and the students become guinea pigs. Therefore, it is necessity to gather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and actively debate its appropriateness in the educational context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it uses and to find a rational for accepting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 order to bring about educational reform in Korea. Next,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necessary to apply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the limitation and potential range of this approach will be investigated in general.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s an alternative solution that our current era seeks. However, in order to make adequate use of this approach we need first to investigate how well this approach works in practical situation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 주제 현황 분석

        양윤정(Yang, Yoo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in based on cross-curricular them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are several themes including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curriculums and execution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on each school curriculums. Correspondence between the learning contents and cross-curricular themes which explains the high concentration rates of each cross-curricular themes on reflecting the cross-curricular themes in each school curriculum. As the subject, there are most high hour rates of moral course but reflected several cross-curricular themes of korean course. The cross-curricular themes of the special course including safety education courses of the school curriculum is assigned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specially the self-regulated activity course. Therefore this article ends with on implication deductions for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s the analysis of the study. 본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 적용에 앞서 범교과 학습 주제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인천 소재 초등학교 10개교의 6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교육부 고시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 주제 외 에도 그 외 학습 주제가 다수 적용되고 있으며, 학교에 따라 학습 주제의 재구성이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별로 범교과 학습 주제를 반영한 사항으로는 교과에 따라 개별 범교과 학습 주제의 편중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해당 교과 학습 내용과 범교과 학습 주제 간 대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도덕 교과에 가장 많은 시수를 반영하였으나 주제별로는 국어 교과에서 다양한 범교과 학습 주제를 반영하였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별로 안전교 육 외 각 학교에서 학교특색 또는 중점사업으로 선정한 범교과 학습 주제 관련 시수를 다수 반영하였으며, 특히 자율활동 영역에 집중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에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

        이주영(Yi, Juyeong),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에서의 학습자 인식의 중요성을 철학적 관점과 발달심리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철학적 관점에서 아동 발달에 대한 인식은 현대 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그리 아동중심적이지 않았으며 시대에 따라 아동관이 달라져 왔다. 발달심리적 관점에서는 아동기 발달기제와 발달과업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교육적 의미에서의 발달의 개념을 살펴본 결과, 발달은 질서정연하게 일어나고 상당기간 동안 유지되는 변화들에만 적용되는 개념으로, 성장, 성숙, 학습의 세 과정이 상호작용할 때 이루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 발달의 원리인 성장 가능성, 개인차, 최적기, 연속성, 맥락성, 통합성을 학습자의 관점에서 고찰한 결과,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는 학습자 개별 삶의 성장, 계속적 성장의 수단, 학습에 적절한 시기적 접근, 지속적인 자기주도적 학습력, 통합적 발달의 기초, 통합적 존재로서의 학습자이다. 이는 학습자의 삶과 앎에 중점을 둔 결과로, 발달이 갖는 생물학적 심리학적 의미를 뛰어넘어 학습자중심의 교육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meaning that development implies i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this end||| first of all the learner 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 have been investigated by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If awareness of child development was viewed by philosophical perspective it was not very child - centered. But if awareness of child development was viewed by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childhood development mechanisms and of the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task was confirmed. Nex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 of development in terms of educational meaning development as a concept that applies only to changes that is maintained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takes place in an orderly manner and is formed when the three processes - growth maturity learning- interact. Depending on the results of exploring growth potential of human development individual differences optimum stage continuity contextuality developmental integrity that is principle of human development through learner Educational meaning that development implies i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learners is learner as a growth of learners individual life means of continuous growth the appropriate timing approach to learning continuou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undation of integrated development| integral being. This educational meaning that development implies provides educational direction beyond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meaning by focusing on learner s life and knowledge.

      • KCI등재

        다문화 배경 초등학생을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 활성화 방안 연구

        안경아(An, Kyounga),박덕유(Park, Deo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의 위상과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 ‘학습 도구 한국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어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교재를 분석하기 위해 「표준한국어」 교재의 위상과 내용을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교재와 초등학교 공통교육과정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표준한국어」 교재를 실제 사용하는 교수관련자인 한국어학급 한국어 강사와 이중언어 강사, 통합학급 교사, 한국어학급 담당교사에게 설문 및 인터뷰를 진행하고 한국어학급 운영계획서를 통해 현장에서 운영실태를 살펴보았다. 결과 교과 진입을 수월하게 하고 학교적응활동을 위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교재는 학습시기가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학습이후로 늦고 지도내용이 공통교육과정과 연계되지 않으며, 선택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어 활용 빈도가 낮고, 통합교사와 한국어강사와의 교육활동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의 지도 시기를 한국어 학급 초기부터 시작하고,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의사소통」 교재와의 연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초등학교 공통교육과정과의 내용 연계를 통해 학습 공백을 최소화하고 학습 누락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학습 도구」 한국어를 담당할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가 강화되고, 한국어 강사와 통합학급 교사와의 연계와 소통을 원활히 하여 학습의 극대화를 도모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learning tool Korean’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status of its use in school settings, and problems, and to seek ways to revitalize the ‘learning tool Korean’.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textbook developed based on the Korean curriculum, the status and content of the 「Standard Korean」 textbook was reviewed through references, and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Compared and analyzed textbooks and elementary school common curriculum textbooks. In addition, we interviewed Korean language instructors, bilingual instructors,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and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classes who actually use 「Standard Korean」 textbooks to examine the operation situation in the field. Results The textbook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ase of entry into the subject and school adaptation activities is an optional activity because the learning period is delayed after learning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and the instructional content is not connected with the common curriculum. The point was that it was composed, and there was no connection between the integrated teacher and the Korean language instructor. Conclus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struction period of 「Standard Korean Learning Tool」 is systematically done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class, in connection with the textbook of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and through content linkage with the commo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minimize the learning gap. Learning should be avoided.

      • KCI등재

        온라인 동료튜터링 운영사례를 통한 대학교양으로서의 비교과 교육과정 탐색연구

        추성경,윤혜경,변소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Objectives As online lectures become more comm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ction plan that can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peer tutoring by linking online peer tutoring with a extra curriculum to revitalize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was subjected for 116 students in the courses of <Posthuman Understanding> and <Convergence thinking and practice>, which open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D University, a four-year private university in Busan, the 16th session of online peer tutoring was conducted. Using non-face-to-face learning support system(Microsoft Teams), the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he recorded video, activity reports of tutors and tutees, and the output from the peer tutoring operation proces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by exploring the implementation plan of the extra curriculum through online peer tutoring operation case, It is confirmed as followed; first, providing guidelines for the extra curriculum, second, establishing a learning community for the extra curriculum, third, establishing an online feedback system for the extra curriculum, and lastly, establishing a mileage system for the extra curriculum. Conclusions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mprove and diversify the learning effect of liberal arts education by adopting a method of linking liberal arts and extra curriculum through an online peer tutoring course. 목적 온라인 강의가 일반화됨에 따라 대학 교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온라인 동료튜터링과 비교과 교육과정을 연계함으로써 동료튜터링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행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부산 소재 4년제 사립대학인 D대학교에서 2020학년도 2학기에 개설된 <포스트휴먼의이해>와 <융복합적사고와실천> 교과목 수강생 116명을 대상으로 16차시 온라인 동료튜터링을 진행하였다. 비대면 화상학습지원시스템(Microsoft Teams)을 활용한녹화된 영상물을 비롯하여 튜터와 튜티의 활동보고서와 동료튜터링 운영과정에서의 산출물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온라인 동료튜터링 운영사례를 통한 비교과 교육과정 실행방안 탐색으로 첫째,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 둘째,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공동체 구축 셋째, 비교과 교육과정 온라인 피드백 시스템 구축 넷째, 비교과 교육과정 마일리지 제도구축 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온라인 동료튜터링 과정을 통해 교양과목과 비교과 교육과정을 연계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교양교육의 학습효과 향상과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사회과에서 안전교육의 실제적인 접목을 위한 지역학습 교재 개발

        김봉석(Kim Bong-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안전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사회과의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사회과에서 안전교육은 이론만이 아닌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먼저 범교과 학습 위주의 분산적인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학습과의 접목 가능성을 탐색하여 필요성과 정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지역학습의 지속성, 활용성을 위해 지역화 교과서에 안전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방안이 현실적인 대안임을 밝혔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포커스그룹 인터뷰, 지역의 사례 조사, 1차 개발 교재의 전문가 검증, 최종 교재 개발안 도출의 과정을 거쳤다. 개발 교재의 소재는 대구의 도시철도 3호선 모노레일이며, 교재로서의 적합성, 전형성, 확장성, 지역성, 흥미도 면에서 적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지역에서 안전문제를 학습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교재 개발, 둘째, 사회과와 안전교육의 구체적인 접목을 위한 방안으로서 지역화 교과서를 통한 지역학습, 셋째, 사회과와 안전교육의 연결을 위한 지역의 사례 발굴, 넷째, 사회과와 범교과 학습 주제를 연결하는 교재 개발 전략 제시, 다섯째, 사회과의 학문적 외연을 확대시키는 실마리 제시 여섯째,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역학습과 안전교육의 접목 방안 제시이다. 특히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안전교육을 실제적으로 접목하는 방안으로서 지역학습을 제안하면서 실제적으로 지역화 교과서에 포함시킬 수 있는 교재를 구체적으로 개발하여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향후 본 연구가 사회과와 안전교육의 접목, 지역학습의 소재 발굴과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지역화 교과서 개발에 실제적으로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lack of interest in social studies and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actionable measures, not just theory,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distributed education focused on cross-curricular learning, the necessity and legitimacy were secured by exploring the need for regional learning and grafting.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method of constructing safety education contents in localized textbooks for the continuity and utilization of local learning is a realistic alternative. The material of the developed textbook was Daegu Line 3 urban rail monorail, and was suitable in terms of suitability, typicality, expandability, regionality, and interest as a textboo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irst,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rough concrete examples for learning safety issues in the region, second, the regional learning through localization textbooks as a way to concretely integrate social studies and safety education, and third, the link between social studies and safety education. Finding local cases for education, Fourth, Proposing a textbook development strategy that connects social studies and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ifth, Proposing clues to expand the academic outreach of social studies Sixth, Practical ways to combine local learning and safety educ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Jess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make a practical contribution to the grafting of social studies and safety education, research on the material discovery and development process of regional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localized textbooks.

      • KCI등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국내 자기주도 학습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국제교육개발협력 개선 방향 고찰

        황자옥(Ja Ok Hwang),이채영(Chae Young Lee),김영민(Young M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교육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그에 따른 교육개발협력에서의 개선방향을 고찰해 볼 필요성을 파악하고 그 기초작업으로서 시대적⋅교육적 흐름을 종합하여 교육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련 연구들이 어떠한 주제를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주제들은 서로 어떤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주제어 빈도수 및 연구주제의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국제교육개발협력에서 자기주도학습방법의 연구 및 적용 방법을 제고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RISS의 ‘주제어 상세검색’에서 ‘자기주도’, ‘학습’, ‘교육’의 세 가지 키워드로 검색된 KCI 등재 혹은 KCI 등재후보 논문 중 최근 10년간의 국내학술논문 160편의 640개(160편*4개)의 주요 주제어를 네트워크 텍스트 방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이에 따라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관련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주요 주제어인 ‘대학교육’은 빈도수 뿐만이 아니라 중앙성 분석에서도 높게 나타나 ‘자기주도학습’ 노드를 제외하고 영향력이 가장 큰 주제어로 나타났다. 셋째, 다양한 교과분야 관련 주제어가 도출되어 자기주도학습 관련연구가 다양한 교과에서 적용 및 연구되어 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온라인교육’은 빈도수가 높지만 중심성에서는 낮은 지표를 보여줌으로써 다양한 주제와의 통합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주제어들의 군집성은 ‘대학교육’, ‘만족도’, ‘문제해결능력’, ‘영어교육’, ‘사이버교육’ 중심의 5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중 ‘대학교육’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두 그룹간의 연결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결론 첫째, 국제사회에서의 자기주도학습 적용사례인 Sugata Mitra의 SOLE이 주로 초등교육에 적용되었던 것을 고려할 때, 국내연구에서 주로 초점을 둔 연구범위인 대학교육에서 초등교육과 중등교육, 평생교육에까지 확대시킨다면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연구결과와 SOLE의 적용을 종합하여 볼 때, 다양하고 통합적인 주제에서의 자기주도학습 적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SOLE에서 학습자를 지지하고 정서적으로 지원하는 ‘구름할머니’가 중요한 것을 볼 때, 교육개발협력에서도 기존 강의식 및 교사중심, 획일적 교수법의 교사연수 방법에 현대적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자기주도학습 및 SOLE에서 기본요건인 ‘광대역 인터넷 통신망(Broadband)’은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부족하지만, 동아프리카 나라들에서 휴대폰 보급 및 활용이 급속도로 증가하는 상황임을 고려하여 휴대폰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환경을 구상해 볼 것을 제언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search and application method for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which emerged as a new paradigm, considering the trend and demand of education. Therefore, related studies were collected, and the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of the topics and the correlation of research subjects. Methods Utilizing keyword ‘Self-directed’, ‘learning’, and ‘education’ with ‘detailed keyword search’, 160 KCI and KCI candidate journals published for last 10years are selected from RISS. A total of 640 keywords(4 from each article) from the selected 160 articles are analyzed utilizing Network Text Analysis. Results The main results derived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Self-directed learning’ has continued albeit in small numbers. Second, the most appearing keyword was ‘College education’ both in frequency and centrality analysis. Third, the research has been applied and studied in various subjects. Forth, the cluster of subjects consists of five groups, and the connection between “college education” and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Conclusions Considering that the case of the SOLE of Sugata Mitra, an applic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nducting various studies in the expanded scope is meaningful. Since many studies have been mainly applied to university education setting in Korea, expanding the scope of studies to elementary education, secondary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is able to deduce meaningful results. Second, it seems that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applied in various integrated themes. Third,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teacher training i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need to be changed based on the philosophy of self-directed learning. Forth, it is suggested to devise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using mobile phones, considering the lack of “Broadband” and the dramatic growth in the supply and use of mobile phones in East African countries.

      • KCI등재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환경교육 교수·학습 방안

        구은경(Ku, Eun-Kyung),이상원(Lee, Sang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환경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 사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기반학습용 교수·학습 구현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5∼6학년(군) 사회·도덕·과학·실과 교과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환경교육 내용영역과 시사점을 추출한 다음, 초등환경교육을 위한 사례기반학습용 교수·학습 구현 전략을 수립하였다. 연구 결과, 5∼6학년(군) 사회·도 덕·과학·실과 교과서에는 각 교과의 특성에 적합한 환경교육의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러 한 교과별 환경교육 내용 분석을 근거로 하여 사례 개발 및 선정, 사례 분석, 사례 분석 활동지 고안, 사례기반학습의 절차 설계, 사례기반학습 교수·학습 과 정안 개발 순으로 사례기반학습용 교수·학습 구현 전략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사례 기반학습용 교수·학습 구현 전략에 따라 환경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지도할 수 있는 사례기반학습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실 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환경교육 수업 자료와 방안은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학습을 이끌어 내어 환경에 대한 학습자 관심이나 동기를 유발하고, 나아가 다양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여 환경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sought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to implement an environmental education effectively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For this, it analyzed environment education related with contents for the 5th and 6th grade social study, ethics, science and practical arts textbook of 2009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to extract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ose, a teaching-learning implementation strategy based on case-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stablished and then, suggested that the teaching-learning implementation methods can be used in curriculum time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losely, or create experiential activity time by integrating between subject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to be effective in class. The conclusion gained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 textbooks of social, moral, scientific, and practical arts of 5th and 6th grade were reflected in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ppropriately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each subject, the study has established a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strategy for case-based learning by case development/selection, case analysis, design of the case-based analysis activity sheet, design of the case based on learning proces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based on cases. Third,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implementation strategy for case-based learning, the study developed a ca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can be guided in curriculum closely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i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implementation methods are likely to be helpful for attaining environmental education goals by attracting learner-centered active learning, inducing learner s interest and motivation to the environment, and for having further interest in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

        대학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학습자중심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권성연(Kwon Soung youn),신소영(Shin So Young),김지심(KIM Ji 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하여 지향해야 할 ‘학습자중심교육’의 특성과 원리를 도출하고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교수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전임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중심교육의 특성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결과, 학습 자중심교육의 5가지 영역 27개 항목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요도 인 식에 비해(M=4.09, SD=.38) 실행도는 낮게 나타났다(M=3.62, SD=.49). 또한, IPA분 석을 통해 향후 집중적으로 실행 노력을 기울여 개선해야 하는 항목으로 학습관 및 학습목표 영역의 특성들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면담을 통해 대학 교수들이 인식하 는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개념, 필요성, 실행 상의 어려움, 설문 결과에 대한 원인, 학습자중심교육에 기초하여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규명하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ributes and principle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n analyzed the professors perceptions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this, the survey and interview with faculties from 3 universiti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very items were significant, the scores of performance were lower than those of importance. By IPA result, ‘concentrate here items which should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were derived in areas of learning philosophy and objectiv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concepts, needs, difficulties of implementing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reasons of survey results, and strategies of improving the teaching were suggested by an interview.

      • KCI등재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어휘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대학영어 교과연계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이선정(Sunj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영어 교과연계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그 효과와 학습자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 연구가 부족했던 교과-비교과 학점연계 운영사례 제시를 통하여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아울러 학생들의 어휘학습전략 함양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역량과 어휘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은 효과적인 어휘학습전략으로 검증된 세 가지 전략—형태분석, 분산반복학습, 테스팅—을 조합하여 학습효과를 최대화하고, 대학의 비대면 교육 상황을 고려하여 다음의 내용들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1)LMS를 활용한 형태분석기반 어휘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고, (2)Zoom 모니터링 환경에서 구글폼(Google Forms)을 활용한 온라인 어휘퀴즈를 1일 간격 3회 반복으로 제공하였다. 또한 어휘 동영상 강의수강 및 구글 온라인 어휘퀴즈 점수를 대학영어 과제점수에 포함하여, 교과-비교과 학점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성실한 참여를 유도하였다. 사전-사후 어휘테스트와 사후 설문에 참여한 39명의 학생들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대학영어 교과연계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의 어휘습득에 유의하고 높은 효과크기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자들의 어휘학습전략 훈련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역량과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학습자들은 본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에서 진행된 LMS 동영상 강의의 교육내용, 교수방법, 시간과 분량, Zoom과 구글링크를 이용한 평가방식, 교과-비교과 학점연계방식에 만족하였고, 이러한 비교과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길 희망하였다. 결론 본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은, 교과-비교과 학점연계를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 활성화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체계적인 어휘학습에 중점을 둔 비교과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운영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타 대학의 유사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n online extracurricular English vocabulary program for improving EFL college students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vocabulary acquisition. Methods To maximize students performance, three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morphological analysis, spaced repetition, and testing—were incorporated in this program. Delivered in non-face-to-face educational setting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is program consisted of the following components: (1) online vocabulary lectures on morphological analysis via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2) three online vocabulary quizzes—one multiple choice, one short answer, one fill in the blank—administered over a 3-day period with 1-day intervals via Google Forms with Zoom monitoring. Students quiz scores contributed toward the overall grade of their college English course. This strengthened the links between the regular and extracurricular courses, and it was hoped this would encourage student participation. The data from 39 participants who completed pre- and post-tests of vocabulary and post-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 the online extracurricular English vocabulary program on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and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Participants report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vocabulary lectures and quizzes. They also hoped that the program would continue because it helped them build vocabulary through providing effective strategies and increased their motivation and confidence.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o provide a model of an extracurricular program for systematic vocabulary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resources for those conducting similar extracurricular programs in future educational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