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관계 탐색과 비판적 관점에서의 논의: 미래교육 특성과 교육과정학적 맥락에서

        임재일(Jae-ill Lim)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4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서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관계 탐색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비판적 관점에서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지속가능발전목표의 개념 및 역사적 맥락을 고찰하였고, 그 의의와 한계를 탐색함으로써 양자 간의 관계를 상호보완적 관계로 공진화해 왔음을 환기시켰다. 그리고 미래교육 특성과 교육과정학적 맥락에서 두 담론이 가지는 한계를 집중 조명하여 현장수용성(On-site acceptance)이 필요함을 비판적으로 역설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담론이 학교 현장에 정상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 담론을 사용할 학교 현장의 주체들에게 행위주체성과 권한 위임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this end, the concept and historical context of ESD and SDGs were examined, and by exploring their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as been co-evolved into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addition, it critically emphasized the need for ‘On-site acceptance’ by focusing on the limitations of the two discourses in the context of Future education and Curriculum. Finally, it was emphasized that in order for the two discourses to settle normally in the school field, the subjects of the school field who will use sustainable discourse need to be agency and empowerment.

      • KCI등재

        학교자율과정 적용 양상에 따른 교육과정 정책 방향 논의 : 경기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임재일 ( Lim Jae-ill ),박은영 ( Park Eun-young ),박주훈 ( Park Joo-hoon ),김택헌 ( Kim Taek-h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에서 고시한 2021 경기도교육과정의 학교자율과정 정책이 지난 1년 동안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교육과정의 위상을 갖는 2021 경기도교육과정 관련 정책 문헌을 분석하고, 학교자율과정의 네 가지 특성을 도출하여 존엄주의, 민주적 학교자치, 공동체성, 행위주체성 등으로 구성된 분석 틀에 기초하여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자율과정의 구현원리는 공동체성>존엄주의>행위주체성>민주적 학교자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장면에서는 첫째, ‘학생의 삶을 반영하는 철학’과 ‘지속가능한 학생의 배움과 성장의 교육과정’이 존엄주의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둘째, ‘교사들 간의 학습조직’이 공동체성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셋째, 행위주체성 관련 교육장면은 고루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민주적 학교자치 관련 교육장면은 전반적으로 실현 정도가 현저히 낮은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자율과정 정책은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도전 과제라는 측면에서 첫째, 민주적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는 ‘교육과정 자치’에 대한 정책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둘째, 학교자율과정에서 나타난 ‘행위주체성(agency)’의 개념을 공고히해야 하며, 셋째, 교사 중심의 공동체성을 넘어 모든 교육주체가 함께 행위주체성을 발휘하는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초점을 두고 학교자율과정의 공동체성(co-agency)은 ‘모두의 교육과정 개발’이 펼쳐져야 한다는 후속 연구를 주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how the school autonomy course policy was applied over the past year in the 2021 Gyeonggi-do curriculum announced by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and discussed future curriculum policy direc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2021 Gyeonggi-do curriculum policy literature with the status of the reg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and and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with an analysis framework consisting of Dignocracy, Democratic school autonomy, Co-agency, and Ag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inciples of implementing the School autonomy course appeared in the order of Co-agency > Dignocracy > Agency > Democratic school autonomy. In the educational scene, first, “philosophy reflecting student life” and “sustainable student learning and growth curriculum” were high in the area of Dignocracy. Second, “learning organizations among teachers” were high in the area of “Co-agency.” Third, the educational scenes related to “Agency” were evenly similar. Finally, the overall degree of realization of the educational scene related to “Democratic school autonomy” was significantly low. Based on the results, in terms of the fact that School autonomy course policy is half a success and half a challenge, first, it raised the need for policy research on ‘Curriculum autonomy’, which democratically participates in curriculum develop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solidify the concept of ‘Agency’ that appeared in the School autonomy course. And third, it is to focus on ‘Curriculum governance’ in which all educational subjects exercise agency together, beyond teacher-centered community, to create a community of autonomous school processes. The co-agency ordered a follow-up study in which ‘everyone’s curriculum development’ unfolded.

      • KCI등재

        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 탐색 -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

        임재일(Lim, Jae-ill),복건수(Bok, Keon-soo)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한 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하여 마을교육공동체가 어떠한 주요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혁신교육 정책은 어떠한 전개 양상과 특성을 가지며 진화하였는가?’ 둘째, ‘혁신교육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특성은 무엇이며, 그 특성은 혁신교육 3.0의 맥락에서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시・도교육청에서는 혁신교육을 혁신학교-혁신교육지구-마을교육공동체로 연계・확장하고 있었고, 1.0, 2.0, 3.0 등과 같은 구분을 통해 진화된 변곡점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혁신교육 특성으로는 ‘운동성’, ‘지역성’, ‘확장성’, ‘공동체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마을교육공동체는 학생들의 온전한 성장을 위해 온 마을의 협력이 필요하고, 교육주체 간 연계와 참여를 통해 운영되는 교육거버넌스를 구동 모델로 개념을 정리하였다. 마을교육공동체의 특성으로는 ‘학생 중심’, ‘지역 교육력’, ‘단수가 아닌 복수주체’, ‘교육생태계’ 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혁신교육 3.0에 기반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은 ‘학생 주도성’, ‘지역 행위주체성’, ‘생태전환교육’ 등을 논의하였고, 코로나19 및 기후위기 등 재난의 일상화를 대비하고 불확실한 미래교육을 조응할 수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특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trends focusing on the innovation education 3.0.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First, ‘In what development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policies have evolved? Second, ‘What ar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and how can the characteristics be defined within the context of the innovation education 3.0?’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majo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ere linking and expanding the innovation education to the innovation school,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and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Moreover, the offices presented inflection points of evolution classifications such as 1.0, 2.0, and 3.0.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movement’, ‘locality’, ‘expansiveness’, and ‘community’ were explored. In additio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requires cooperation from the entire village for the full growth of the students, and the concept of educational governance is summarized as a driving model, operated by participation and connection between educational subjects. As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tudent-centered , ‘local educational capacity’, ‘multiple subjects, not singular , and ‘education ecosystem were derived. In light of the research result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3.0 were ‘student agency’, ‘local agency , and ‘ecology transformation education , and discussed it to prepare for the accepting disaster in daily life such as Covid-19 pandemic and fit with uncertain future education.

      • KCI등재

        이미지 분할 모델을 이용한 Mask R-CNN 모델 정확도 향상 기법

        김연태(Yeon-Tae Kim),임재규(Jae-Kyu Lim),김명일(Myeong-Ill Kim),이문섭(Moon-Sup Le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1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of computer images of road surfaces. In the past, to analyze the road surface image, the size was reduced and then processed. In this process, as a result of road surface analys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image was degraded and the micro-crack on the road surface disappear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is paper, image segmentation and image cropping-merging models were combined in the preprocessing stag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eliminate the loss of resolution, and the micro-crack pattern was created through data scale conversion and adjustment of the number of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crack patterns. Effectively detected.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with the previous image scale reduction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was improved when analyzed through the proposed method.

      • KCI등재

        학습자 주도성 발현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논의

        백영신(Baek Young Shin),임재일(Lim Jae Ill)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및 코로나19 등 급변하는 미래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학습자 주도성을 중요한 역량으로 주목하고, 이에 따른 개념과 시대적 가치가 무엇인지 탐색하여 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학습자 주도성이란 학습자가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회 안에서 가치지향적인 의사결정자로서 갖춰야 하는 역량이며, 교사는 학습자의 상황맥락적 환경을 고려하여 학생의 배움과 성장을 지원하는 또 하나의 핵심 주체임을 시사하였다. 이에 대한 교사의 역할은 첫째, 학습자와 참된 상호작용을 통해 신뢰로운 관계를 맺는 신뢰자(relier), 둘째, 학습의욕을 자극하고 목표 달성에 필요한 정보와 자원을 지원하는 학습행동 촉진자(facilitator), 셋째,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그 결과에 맞춤형 피드백을 줄 수 있는 객관적인 거울(objectified mirror), 넷째, 학습자가 문제해결 과정에서 느끼는 정서적 역량 관리를 지원하는 마음 근육 트레이너(mind trainer), 마지막으로 학습 전 과정의 방향이 사회에 기여하고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람으로 만드는 조력자(helper who makes good influence)를 논의하였다. In order to prepare for a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this study focused on student agency as an important competency, and aimed to discuss the role of teachers by exploring the concepts and values of the times.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 agency is a competency that learners must have as value-oriented decision makers in a society with various relationships, and teachers are another key entity that supports students learning and growth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 s contextual environment. The teacher s role in this is first, a truster who builds a reliable relationship with learners through true interaction, second, a facilitator of learning behavior that stimulates the desire to learn and supports the information and resources needed to achieve the goal, third, an objective mirror, and a mental trainer.

      • KCI등재

        Bovill & Bulley 학생 참여 교육과정 모델 방식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논의

        윤지성(Ji-seong Yoon),임재일(Jae-ill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학생 참여 교육과정1)을 주목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모델을 제시하는 교육과정 자료나 연구물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 중 Bovill과 Bulley의 학생 참여 교육과정 모델 방식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국내외 학생 참여 교육과정 연구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학생 참여 교육과정 정책을 고찰하였으며, Bovill & Bulley 학생 참여 교육과정 모델과 모델 개발의 배경이 된 일련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Bovill & Bulley 모델이 갖는 특징과 의의,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Bovill & Bulley 모델은 Arnstein(1969)의 시민 참여 사다리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태생적으로 분권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른 연구물들에 비하여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단계 및 예시를 제시하고 있으며, 앞선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학생 참여를 위한 맥락을 고려하는 자율성과 기관의 지원 및 지지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논의는 학생 참여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실행을 위한 교육청 차원의 학교 교육과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 학생 참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 새로운 교육과정을 위한 충분한 시간과 물리적 여건이 제도적⋅정책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시사하는 바가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lack of curriculum materials or study that focus on the student engagement curriculum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provide a model for its im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Bovill & Bulley's model of student participation curriculum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ethods we review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 engagement curriculum studies and the student engagement curriculum policy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analyzed the Bovill & Bulley’s student participation curriculum model and the series of studies that led to its development to analyze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Bovill & Bulley model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Results We found that the Bovill & Bulley’s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Arnstein's (1969)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is inherently focused on decentralization. It also provides more specific and detailed steps and examples than other studies, and previous research has confirmed the need for contextualized autonomy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endorsement for student participation. Conclusions This implies implication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highlighting the need for curriculum-level support for school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 necessity to ensure teacher autonomy in the operation of student participatory curriculum, and the institutional and policy-based assurance of sufficient time and physical conditions for new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논의를 통한 차기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일고: 교사교육과정 정책을 중심으로

        정윤리 ( Yulli Jeong ),임재일 ( Jae-ill L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을 강조하고 차기 국가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그간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을 분석하고, 교사가 교육과정 개발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교사교육과정’ 정책을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관한 담론들로 설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진단·분석하고,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가 담보된 ‘교사교육과정’ 정책이 차기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포함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구체적으로 차기 국가교육과정은 첫째, 교사의 행위주체성(teacher agency)이 담긴 문서가 되어야 하고 둘째, 교육과정 교육내용, 즉 성취기준에 관한 자율권을 보장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교사교육과정’을 넘어 ‘학생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 자율화 논의의 범위가 확장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autonomy of teachers’ curricula by examining the discussion of the curriculum autonomy policy and to suggest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To this end, we analyze the curriculum autonomy policy and explain the teachers’ curriculum policy in which teachers actively participate in curriculum development with discourses on teachers’ curriculum expertise and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n this basis, we diagnose and analyz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rgue that the ‘teachers’ curriculum’ policy that guarantees teachers’ curriculum autonomy should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Specifically,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a formatted as a document containing the teacher agency and should guarantee teacher autonomy over educational content (i.e., achievement standards). Finally, we suggest that the scope of the discussion on curriculum autonomy should be expanded to ’students’ curriculum’ beyond ’teachers’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이영희 ( Lee Young Hee ),윤지현 ( Yoon Jihyun ),홍섭근 ( Hong Sub-keun ),임재일 ( Lim Jae Ill ),백병부 ( Baek Byoung-b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수행된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을 대상으로 미래교육의 목표 및 방향에 대한 주요내용을 메타분석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은 지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국책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수행된 총 11개의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이며, 보고서 내용을 중심으로 미래교육의 비전 및 목표, 미래교육의 인재상, 미래교육의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그리고 교육정책 및 전략의 총 5가지 영역에서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교육연구에서는 주로 교육 현안에 대한 해결 및 새로운 사회구조와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단기적이고 다소 제한적인 측면의 교육비전 및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미래교육의 인재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과 같은 역량을 갖춘 인재뿐 아니라 인성, 감성, 소통과 공감 능력을 지닌 전인적 인재상을 추구하고 있었다. 셋째, 인구구조 변화와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응하기 위한 개별화 및 학습자 맞춤형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과 평가, 그리고 첨단 과학기술기반의 교육환경 구축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미래교육의 주요 정책은 교육에 대한 현안 해결을 통하여 공교육에 대한 신뢰 회복 목적의 정책들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시대에 필요한 사회인의 양성이라는 교육의 기능적 역할뿐 아니라 교육이 우리 사회문화의 가치를 세우는 철학적 바탕이 된다는 역할을 상기하여, 교육의 본질과 기본 이념에 충실한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미래교육 비전 및 방향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reports regarding to the future education, which were conducted by the maj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for the past several years with meta-analysis approach. The 11 reports analyzed were published from 2013 to 2018 by the maj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and the contents of the repor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five domains such as the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the talented students, the curriculum,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ssessment in future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are focusing on the current educational issues and problems rather than the perspectives of long terms goals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of education. Second, the talented students are supposed to have not only the capabilities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ut also the upright character, human emotion, sy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preparing for the future society. Third, the policies and strategies in future education were emphasized on the differentiated and customized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as well as the technology-based educational system. Fourth, the focus of educational policy in future education was to recover the trust for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by solving the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 To conclude, the important roles of education are not only to foster the citizen who leads to the future but also to establish the value system of our society so the inclusive and long-term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should be launched based on the fundamental ideology and essence of education.

      • KCI등재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김미진 ( Mi Jin Kim ),이재창 ( Hoo Jo Hong ),임재일 ( Jae Chang Lee ),홍후조 ( Jae Ill L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2013년 1학년 2학기에 전국 42개의 연구학교들이 자유학기제를 시범 적용을 한 후 제출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그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통과정에서 필수교과의 시수를 전체 시수의 64.4%로 대폭 감축하였고 자율과정의 시수를 증배하였다. 특히 창의적 체험활동에 해당하는 시수를 대폭 증배하여 자율과정을 운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운영 모형을 중점 활동별 운영 모형과 교육과정 연계에 따른 운영 모형들 중 어떤 것을 채택하였는지, 그리고 핵심 특성인 자율과정을 학교별로 어떻게 구성하였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점 활동별 운영 모형은 예술·체육 중점 모형이 가장 많았고, 자율과정은 예술·체육 활동의 시간 비중이 가장 컸으며, 진로탐색 활동, 동아리활동, 학생 선택프로그램 순으로 적었다. 교육과정 연계에 따른 운영 모형은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만으로 운영한 학교는 42.9%, 방과후학교와 연계하여 운영한 학교는 47.6%, 토요 프로그램과 연계한 학교는 2.4%, 방과후학교와 토요 프로그램 모두와 연계한 학교가 7.1%로 나타났다. 대다수 학교들이 예술 체육 수업을 확대 강화하는 선에 그치고 있으나,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교육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자유학기제 실시에 있어 학생의 선택권 확대,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재구성, 공통과정과 자율과정의 연계, 준고교(junior high school)가 아니라 본래의 중학교(middle school)로서 정체성 회복 등을 논하였다. Reports after the execution of a Free Learning Semester(FLS) in 42 pilot school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a. The results showed that time devoted to basic subjects from common courses decreased and that time for optional courses had increased. In this paper, the optional course from each school was examined to determine which activities the schools stressed and if the schools had tried to connect between their FLS and after school or Saturday programs. Time spent on common courses was reduced to 64.4%, and that spent on optional courses was weighed in favor of arts/sports, career exploration, club activities, and the optional program, in that order. In addition, 42.9% of schools operated the FLS only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47.6% of schools operated it linked with an after school program; 2.4% of schools operated it connected with a Saturday program; and 7.1% of schools operated it connected with both. Our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needs should be assessed and their choices should be expanded when the curriculum is developed; second,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encouraged and carried out; third, connections within and without the FLS should be considered; last, the educational identity of middle schools should be settled by executing a FLS in an appropriat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