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아 언어교육 관련 연구 동향: 2000-2012년 한국과 미국 학술지 중심으로
김혜원,김대욱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rends in research early language and literacy education using a total of 7 Korean and American journal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our Korean journals were included: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Review,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Journal of Future Childhood Education. Three American journals were included: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and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 analyzed a total of 327 journal articles (Korea: 192; US: 135) published from 2000 to 2012, in terms of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Results showed that, in relation to the research topics, ‘development of early language and literacy’ was most frequently used. In relation to the research methods, ‘correlational research’ was most frequently used. In relation to the research subjects, ‘3-5 year-old children’ mostly participated in research. 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if Korean and American journals were distributed differently across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Specifically, related to ‘teaching method,’ ‘environment,’ ‘correlational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3-5 year-old children,’ ‘3-5 year-olds and adults’ and ‘adults,’ the tes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I discuss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of language and literacy in early childhood.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발행된 유아교육 관련 한국과 미국의 주요 학회지를 중심으로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 분야에서 가장 대표적인 학술지 7개 즉 '유아교육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열린유아교육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을 선정하여 총 327편 (한국 192편, 미국 135편)을 분석하였다.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대상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동향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x2 검증(Chi-Square test)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언어교육의 연구 주제는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방법과 관련해서는 ‘상관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대상과 관련해서는 '유아(3-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국가별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교수방법’과 ‘언어환경’, ‘상관연구’와 ‘실험연구’, ‘유아 대상’, ‘유아와 성인 대상’, ‘성인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와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Clara Howard(허길래)가 한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 연구
김윤자,이성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유치원을 보급, 확대하고 질적 향상에 공헌한 Clara Howard(한국명: 허길래)가 한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Howard의 생애(1895-1995)와 유아교육사상과 실천에 따른 업적을 조명하여 한국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Howard의 유아교육 사상, Howard의 유아교육 실천, Howard가 한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Howard의 유아교육 사상은 경건하고 보수적인 기독교 신앙을 고수하는 가문의 영향으로 기독교적 봉사정신을 기반으로 하게 된다. 또한 앤드류 여자대학(Andrew Female College), 스카릿 성경대학(Scarritt Bible and Training School), 피바디 사범대학(Peabody Collage for Teachers)의 수학과정을 통해 학생선교자원운동, 경건주의 신학사상, 복음주의 신학사상을,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Columbia Collage in the City of New York)에서 진보주의 교육과 아동중심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둘째, Howard는 미국 남 감리회 해외 선교부 파송 선교사로서 1923년 9월에 내한하여 1965년 선교사 임기를 마치고 미국으로 귀국하기까지 40여년을 기독교 선교정신에 입각하여 아동중심 유치원 교육을 전개하였다. 첫 부임지인 송도(현: 개성) 호수돈 여학교 부설 4개 유치원 책임자를 시작으로 1930년까지 개성을 중심으로 유치원 운영관리 및 후진을 양성하고, 1930년부터 한국 감리교단 전국 유치원 책임자로서 만주를 포함한 102곳 유치원을 설립, 장학하였다. 해방 후 남한 전역에 걸쳐 유치원을 설립하고 부모교육을 실행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계에 부모교육의 전문화에 기여하였다. 1948년 국제어린이교육협회(A.C.E.I) 한국 지부, 기독교 가정생활운동(새가정 운동)을 전개하여 교사교육 및 어머니 교육의 질적 확대와 국제적 교류에 기여하였다. 1955년, 대전보육초급대학을 설립하여 전국적으로 예비교사를 양성하여 발달에 적합한 유아 교육을 보급, 실행하였다. 셋째, Howard는 현직 교사를 재교육하고 대학에서 교사를 양성하여 한국 유아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부모교육을 강조하여 유치원 교육과 가정교육과의 연계를 통해 유치원 교육의 효과가 확대를 도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Howard는 기독교 선교정신과 진보주의 교육관을 접목하여 한국 유치원의 보급과 확대 및 교사교육과 부모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함으로서 한국 유아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근간을 설정하여 유아교육의 전문화, 유아교육의 실제, 교사교육의 활성화, 부모교육의 저변확대에 공헌하였다는 것을 고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아동중심 교육의 도입과 실천에 기여한 한국 유아교육 초기선교사의 사적을 이해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는 앞으로 한국유아교육의 방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워싱턴 지역을 중심으로
성영실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재외 한국학교의 유아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 교사교육 및 지원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재미 한국학교 워싱턴지역 협의회에 소속된 한국학교의 유아반 교사 89명이다. 자료 수집 및 절차는 유아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구글 설문지를 작성하여 2020년 8월 15일 워싱턴지역 협의회 가을학기 교사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사 89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어려움은 유아측면에서는 주의집중 42명(47.2%), 동기유발과 흥미유지 15명(16.9%), 유아의 한국어 능력 차이 8명(9.0%), 교사측면에서는 수업자료 및 교재교구 제작 11명(12.4%), 의사소통 5명(5.6%), 교사의 영어능력 3명(3.4%), 부모 측면에서는 부모협조 2명(2.2%)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요구는 크게 교사교육과 교사지원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온라인 수업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23명(26.0%), 유아교육과 발달에 대한 이해 교육 20명(22.5%), 교수학습방법 8명(9.0%), 정체성 및 인성교육 5명(5.6%)이 교사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교수학습 및 수업자료 14명(15.7%),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10명(11.2%), 부모 협조 2명(2.2%)이 교사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이 느끼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요구 내용을 반영한 바람직한 교사 교육과 지원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시사점
이순자,김병건,박유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actical implications (a) to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 quality by analyzing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program)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S) and (b) to improve the teacher education/preparation for practice in inclusive settings. Te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and eight in the US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across each country were analyzed in terms of ways to obtain licensure, courses and credits required for graduate/certificate, practicum/internship, and courses for special education. Results showed that (a) both countries provid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endorsed higher education institutes, i. e., 3(2)-year colleges or 4-year universities, and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in curriculum across high education institutes in South Korea; and (b) there were differences in courses and credits required for graduate/certificate, practicum/internship hours, and required courses of inclusive education across the two countries. Finally, a need of establishing a supervising committee or institute to evaluate and manag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ways to develop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curriculum (e.g., increasing practicum/internship hours, reorganizing curriculum for teacher expertise to promote teacher quality for inclusive sett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대학의 유아교육교사 양성학과의 교육과정(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함 으로써 통합교육 현장에 적합한 역량을 갖춘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 우리나라 유아교육교사 양성과정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 해 4년제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한국 10개 대학, 미국 8개 대학을 선정하여 교육과정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과 미국에서는 공통적으로 유아교육교사 자격증은 교육부에서 인 준된 3(2)년제 및 4년제 혹은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주어지고 있으나, 유치원교사 자격증 취 득을 위한 교과목의 선정 및 취득 학점에 대한 기준, 질관리 등의 세부사항을 관리하고 감독 하는 형태는 달랐으며, 한국의 경우 교육과정 편제 내용에 대학 간 큰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교과목 개설 현황 분석 결과, 한국대학은 미국대학에 비해 개설된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의 수와 이수학점 비율, 현장교육실습 시수가 현저히 낮아 두 나라간 차 이가 두드려졌다. 결론에서 한국의 유아교육 교사 양성 발전 방안으로 대학의 교사양성 프로 그램을 전반적으로 관리․감독하고 평가하는 중앙심의회기구 설치,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 육 관련 내용을 포함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재고와 그에 근거한 교사교육과정 편성, 현장교육실습을 강화한 이론과 실제가 연계된 교육과정 편성 등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이혜진,김정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유아디지털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11월부터 2024년 2월까지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유아디지털교육에 대한 실행경험은 자발적이거나 비자발적 계기로 시작되며 유아교육기관의 디지털교육환경을 탐색하고 반영하며 유아디지털교육을 시작하였다. 유아교사는 유아디지털교육을 실행과정에서 유아디지털교육의 가치를 발견하고 유아디지털교육을 위한 지원과 고민을 극복하며 교사로서 전문성이 향상되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는 유아디지털교육을 위해 제도적 측면에서 국가 수준의 유아디지털교육을 위한 가이드라인, 건강한 디지털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한 유아디지털교육,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통한 유아디지털 교육, 다가가기 쉽고 유익한 유아디지털 교사 연수를 요구하였으며, 사회적 측면에서는 유아교사 간의 협력과 소통, 부모와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소통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사가 유아디지털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and needs regarding early childhood digital education. To this e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over November 2023-February 202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yield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teachers’ experiences implementing early childhood digital education began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They explored and adapted the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initiated digital education practices. While implementing the practices, the teachers recognized the value of early childhood digital education, overcame the challenges in providing such education, and enhanced their professional expertise as educators. Second, they expressed specific needs to support early childhood digital education. At the institutional level, they called for national guidelines for early childhood digital education, programs that foster a healthy digital citizenship for childre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accessible and practical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digital education. At the societal level, the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tnering with parents and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into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digi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갈등 고찰 - 장애유아통합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
곽현주,한남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3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upportive program for pre-child educators by analyzing conflicts and the needs of pre-childhood educators to solve conflicts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ograms. For this study, I interviewed twice, analyzed drawings of pre-childhood educators representing the special need children and reflective journals of 70 pre-childhood educators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es. The results showed pre-childhood educators had positive attitudes but were afraid of educat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en they become childhood educators. Successful actual training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e-childhood educators, but unsuccessful actual training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pre-child educators. They felt anxiety from conflicts originating from which they didn’t have enough knowledge and skills to teach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felt burdened with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well as ordinary children. They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 they worried about not giving enough love for ordinary children. The pre-childhood educators needed more subjects to obtain knowledge about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wanted to have more practice to acquire skills to educate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classes using video which show teach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y thought it was important to have self-confidences to develop good attitudes though they didn’t have special needs related with attitudes. 본 연구는 장애유아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가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갈등과 갈등해결을 위해 예비유아교사가 원하는 요구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마련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아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70여명의 유아교육과 예비유아교사가 작성한 반성적 저널과 장애유아 표상그림을 분석하고, 2회의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대체적으로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으나 실제로 자신이 교사가 되어 장애유아를 지도하게 될 것에는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비유아교사가 장애유아통합교육 지식과 관련하여 갖고 있는 갈등은 장애유아를 지도하기에 충분한 지식을 갖지 못한 것에 대한 불안으로 분석되었고, 기술과 관련된 갈등은 장애유아를 실제로 지도해보지 못한 것에서 오는 불안감, 일반유아와 장애유아를 한 반에서 지도해야 하는데서 오는 부담으로 분석되었다. 태도와 관련된 갈등으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를 동일하게 사랑해주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존재하였으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갖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지식․기술과 관련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유아통합교육과 관련된 더 많은 교과목 구성, 장애유아를 지도해 볼 수 있는 실습 기회제공, 장애유아를 지도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 활용수업을 요구하였다. 태도와 관련된 예비유아교사의 특별한 요구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예비교사 스스로 노력하여 자신감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교사 양성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낙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iculum standards for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at the baccalaureate level and to provide challenges for the curriculum in preparing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early child educators.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current research studies and reports about what constitutes critical knowledge base of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and what are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Th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needs to provide knowledge and skills in constructing social and political view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understanding children's families and communities , understanding children's cultural diversity, building partnerships with other professionals, and improving reflective thinking.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suggests that Korea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need to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tion research curriculum, develop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field experiences and student teaching, and uphold professional ethical standard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practices, in order for preservice teachers to have knowledge bases and competence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본 연구는 전미유아교육협회를 비롯한 최근 연구와 보고서에서 제시한 지식기반 사회에서 4년제 예비유아교사 양성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교사양성교육과정의 평가기준을 분석하여 정리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 교사양성 교육과정이 고려해야할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유아교사가 갖추어야할 지식기반 및 자질을 중심으로 제시한 양성교육과정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최근 제시된 우리나라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의 현황 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의 평가기준으로 사회문화적 관점의 반영, 유아의 가족과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 다른 전문가와의 협력관계 형성, 반성적사고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이를 유아교사교육과정의 평가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준에서 우리나라 유아교사교육과정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보완해야할 미래지향적 방향으로 범 사회학적 시각에 기초한 다문화교육과 실행연구자로서의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제안하였고 그와 더불어 현장 실습의 실질적이며 체계적인 개선과 반성적 사고능력의 증진을 통한 교직윤리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에 관한 연구
박은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according to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107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who belong to universities and colleges.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by researchers based on ‘the NAEYC (2004)’s code of ethical conduct: supple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method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according to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were highly apparent in order of ‘children and families’,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adult learners’, ‘colleagues’, and ‘universities and training agencies’. Also, the practic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erception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in all areas. Second,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such as care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children and families’,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adult learners’, ‘universities and training agencies’, positions and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s related to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and ‘colleagues’, and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In conclusion,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on professional eth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should be provided systematically to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과 그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따라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와 전문대학의 유아교육 및 관련학과 교수(강사) 107명이며, 연구도구는 ‘NAEYC 윤리강령의 유아교사교육자들을 위한 추가조항’을 연구자가 번역 후 우리나라의 맥락에 맞게 의역하여 구성한 설문지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윤리 하위영역별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의 차이는 유아와 가족, 실습기관, 지역사회와 유아교육현장, 학생, 동료, 대학과 연수기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교직윤리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천수준이 인식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따른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기관 현장경력은 ‘학생, 실습기관, 대학과 연수기관, 유아와 가족, 지역사회와 현장’, 직위는 ‘실습기관’, 교직윤리 학습경험은 ‘동료, 지역사회와 현장’에 대한 인식 및 실천수준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교직윤리교육이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김현진,신은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3
본 연구는 교육경력과 학력에 따른 현직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과 현장실습 유무와 학교에 따른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을 알아보고,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 간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에 근무하는 현직 유아교사 380명과, 서울⋅경기지역 3년제,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 재학생 중 유아과학교육을 수강한 368명의 예비 유아교사이다. 연구결과 현직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교육경력과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경력과 학력이 높은 교사집단일수록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이 높았다.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현장실습 유무와 학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이 경험한 집단보다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이 높았고,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집단이 3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집단보다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이 높았다.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예비 유아교사가 현직 유아교사 보다 높았다. 5개 하위영역별 차이는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을 제외한 4개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학습자에 대한 지식,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은 예비유아교사가 높았으나, 교사전문성에 대한 지식은 현직유아교사가 높았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garding the teacher' degree and their number of year of teaching, to examin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garding teaching practice, and to compare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ith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eaningful statistic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 level teacher' group of the teacher' degree and their number of year of teaching to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econdly, meaningful statistic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teaching practice to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inally, meaningful statistic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o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특수유아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백경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which bo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on the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 in inclusion. The study adopted the method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ranscribing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iculti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mainly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cluding lack of education method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eachers education without real needs, lack of appreciation for the inclusion, lack of support for teachers.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mainly on the environment for the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ing lack of information about general young children and classrooms, the uncooperative relation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unhappy feelings about the class interrupted by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eacher education without real needs. After all,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ignora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gnora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us, they suffer difficulties where these two fields a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research suggests that forming reciprocally cooperative relations is crucial to the success of the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본 연구는 특수유아 통합교육의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부딪치는 어려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는 주로 특수유아와 관련된 것으로 특수유아의 교육방법 부족, 그리고 현장감 없는 교사교육, 통합교육에 대한 낮은 의식 수준, 교사지원의 부족 등으로 구분되어지고, 유아특수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는 주로 일반유아교육 환경에 대한 것으로 일반유아와 일반교실의 정보 부족, 유아교사와의 비협력적인 관계, 그리고 특수유아의 수업방해로 인한 미안함, 현장감 없는 교사교육 등으로 구분되었다. 결국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은 두 영역 간에 서로 상치되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이는 상호 협력적인 관계 형성이 특수유아의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