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lara Howard(허길래)가 한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 연구

        김윤자,이성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유치원을 보급, 확대하고 질적 향상에 공헌한 Clara Howard(한국명: 허길래)가 한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Howard의 생애(1895-1995)와 유아교육사상과 실천에 따른 업적을 조명하여 한국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Howard의 유아교육 사상, Howard의 유아교육 실천, Howard가 한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Howard의 유아교육 사상은 경건하고 보수적인 기독교 신앙을 고수하는 가문의 영향으로 기독교적 봉사정신을 기반으로 하게 된다. 또한 앤드류 여자대학(Andrew Female College), 스카릿 성경대학(Scarritt Bible and Training School), 피바디 사범대학(Peabody Collage for Teachers)의 수학과정을 통해 학생선교자원운동, 경건주의 신학사상, 복음주의 신학사상을,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Columbia Collage in the City of New York)에서 진보주의 교육과 아동중심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둘째, Howard는 미국 남 감리회 해외 선교부 파송 선교사로서 1923년 9월에 내한하여 1965년 선교사 임기를 마치고 미국으로 귀국하기까지 40여년을 기독교 선교정신에 입각하여 아동중심 유치원 교육을 전개하였다. 첫 부임지인 송도(현: 개성) 호수돈 여학교 부설 4개 유치원 책임자를 시작으로 1930년까지 개성을 중심으로 유치원 운영관리 및 후진을 양성하고, 1930년부터 한국 감리교단 전국 유치원 책임자로서 만주를 포함한 102곳 유치원을 설립, 장학하였다. 해방 후 남한 전역에 걸쳐 유치원을 설립하고 부모교육을 실행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계에 부모교육의 전문화에 기여하였다. 1948년 국제어린이교육협회(A.C.E.I) 한국 지부, 기독교 가정생활운동(새가정 운동)을 전개하여 교사교육 및 어머니 교육의 질적 확대와 국제적 교류에 기여하였다. 1955년, 대전보육초급대학을 설립하여 전국적으로 예비교사를 양성하여 발달에 적합한 유아 교육을 보급, 실행하였다. 셋째, Howard는 현직 교사를 재교육하고 대학에서 교사를 양성하여 한국 유아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부모교육을 강조하여 유치원 교육과 가정교육과의 연계를 통해 유치원 교육의 효과가 확대를 도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Howard는 기독교 선교정신과 진보주의 교육관을 접목하여 한국 유치원의 보급과 확대 및 교사교육과 부모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함으로서 한국 유아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근간을 설정하여 유아교육의 전문화, 유아교육의 실제, 교사교육의 활성화, 부모교육의 저변확대에 공헌하였다는 것을 고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아동중심 교육의 도입과 실천에 기여한 한국 유아교육 초기선교사의 사적을 이해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는 앞으로 한국유아교육의 방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인식 비교

        이상옥 ( Lee Sang Ok ),민교 ( Min Qiao ),여은정 ( Yeo Eunje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 역량 인식 수준과 인식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세계시민교육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유아교사 197명과 중국 유아교사 163명 총 360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18일부터 2월 5일까지 3주간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인식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모두 세계시민 역량에서 지식 및 이해, 태도 및 실천, 기술 순으로 인식하였고 유아세계시민교육 역량에서 한국의 유아교사는 유아 세계시민교육 실천, 유아세계시민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순으로, 중국의 유아교사는 유아세계시민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유아세계시민교육 실천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다음 세계시민 역량 인식을 비교하면 세계시민 역량에서 지식 및 이해에서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들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세계시민교육 역량에서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들이 유아세계시민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유아세계시민교육 실천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교사교육과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재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구성할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perception level and differe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purports to indicate meaningful the direction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To this end, a total of 306 participants including 197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63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rveyed for three weeks from January 18 to February 5, 2021.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both Korea and China acknowledged the factors in the order of knowledge, understanding attitude, and practical skills among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I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Korean teachers attached importance to the factors in the order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actice, the curriculum structure and operation seque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le Chinese teachers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practice seque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children. Next, comparing the perception of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Korea showed lower global citizenship competency than China 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in term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for children. In addition the survey exhibited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for children, and the implement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Thu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structure the teaching curriculum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and teacher re-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시사점

        이순자,김병건,박유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actical implications (a) to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 quality by analyzing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program)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S) and (b) to improve the teacher education/preparation for practice in inclusive settings. Te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and eight in the US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across each country were analyzed in terms of ways to obtain licensure, courses and credits required for graduate/certificate, practicum/internship, and courses for special education. Results showed that (a) both countries provid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endorsed higher education institutes, i. e., 3(2)-year colleges or 4-year universities, and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in curriculum across high education institutes in South Korea; and (b) there were differences in courses and credits required for graduate/certificate, practicum/internship hours, and required courses of inclusive education across the two countries. Finally, a need of establishing a supervising committee or institute to evaluate and manag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ways to develop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curriculum (e.g., increasing practicum/internship hours, reorganizing curriculum for teacher expertise to promote teacher quality for inclusive sett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대학의 유아교육교사 양성학과의 교육과정(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함 으로써 통합교육 현장에 적합한 역량을 갖춘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 우리나라 유아교육교사 양성과정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 해 4년제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한국 10개 대학, 미국 8개 대학을 선정하여 교육과정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과 미국에서는 공통적으로 유아교육교사 자격증은 교육부에서 인 준된 3(2)년제 및 4년제 혹은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주어지고 있으나, 유치원교사 자격증 취 득을 위한 교과목의 선정 및 취득 학점에 대한 기준, 질관리 등의 세부사항을 관리하고 감독 하는 형태는 달랐으며, 한국의 경우 교육과정 편제 내용에 대학 간 큰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교과목 개설 현황 분석 결과, 한국대학은 미국대학에 비해 개설된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의 수와 이수학점 비율, 현장교육실습 시수가 현저히 낮아 두 나라간 차 이가 두드려졌다. 결론에서 한국의 유아교육 교사 양성 발전 방안으로 대학의 교사양성 프로 그램을 전반적으로 관리․감독하고 평가하는 중앙심의회기구 설치,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 육 관련 내용을 포함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재고와 그에 근거한 교사교육과정 편성, 현장교육실습을 강화한 이론과 실제가 연계된 교육과정 편성 등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워싱턴 지역을 중심으로

        성영실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재외 한국학교의 유아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 교사교육 및 지원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재미 한국학교 워싱턴지역 협의회에 소속된 한국학교의 유아반 교사 89명이다. 자료 수집 및 절차는 유아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구글 설문지를 작성하여 2020년 8월 15일 워싱턴지역 협의회 가을학기 교사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사 89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어려움은 유아측면에서는 주의집중 42명(47.2%), 동기유발과 흥미유지 15명(16.9%), 유아의 한국어 능력 차이 8명(9.0%), 교사측면에서는 수업자료 및 교재교구 제작 11명(12.4%), 의사소통 5명(5.6%), 교사의 영어능력 3명(3.4%), 부모 측면에서는 부모협조 2명(2.2%)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요구는 크게 교사교육과 교사지원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온라인 수업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23명(26.0%), 유아교육과 발달에 대한 이해 교육 20명(22.5%), 교수학습방법 8명(9.0%), 정체성 및 인성교육 5명(5.6%)이 교사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교수학습 및 수업자료 14명(15.7%),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10명(11.2%), 부모 협조 2명(2.2%)이 교사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이 느끼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요구 내용을 반영한 바람직한 교사 교육과 지원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 언어교육 관련 연구 동향: 2000-2012년 한국과 미국 학술지 중심으로

        김혜원,김대욱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rends in research early language and literacy education using a total of 7 Korean and American journal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our Korean journals were included: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Review,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Journal of Future Childhood Education. Three American journals were included: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and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 analyzed a total of 327 journal articles (Korea: 192; US: 135) published from 2000 to 2012, in terms of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Results showed that, in relation to the research topics, ‘development of early language and literacy’ was most frequently used. In relation to the research methods, ‘correlational research’ was most frequently used. In relation to the research subjects, ‘3-5 year-old children’ mostly participated in research. 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if Korean and American journals were distributed differently across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Specifically, related to ‘teaching method,’ ‘environment,’ ‘correlational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3-5 year-old children,’ ‘3-5 year-olds and adults’ and ‘adults,’ the tes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I discuss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of language and literacy in early childhood.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발행된 유아교육 관련 한국과 미국의 주요 학회지를 중심으로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 분야에서 가장 대표적인 학술지 7개 즉 '유아교육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열린유아교육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을 선정하여 총 327편 (한국 192편, 미국 135편)을 분석하였다.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대상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동향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x2 검증(Chi-Square test)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언어교육의 연구 주제는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방법과 관련해서는 ‘상관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대상과 관련해서는 '유아(3-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국가별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교수방법’과 ‘언어환경’, ‘상관연구’와 ‘실험연구’, ‘유아 대상’, ‘유아와 성인 대상’, ‘성인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와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유아 신체활동 교육의 목적으로서 한국형 피지컬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의 개념과 구성요소 탐색

        박성혜,이희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4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as identified by deriving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Korean version of Physical Literacy (PL)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Korea. A panel of 20 experts, including 14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6 experts in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was formed to conduct a Delphi survey three times.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2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Delphi survey.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the concept of PL was found to be a desirable tendency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while understanding the value and meaning of physical activity throughout life as it is uniquely implemented for each child. The PL components were identified as “motivation,” “confidence,” “physical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nd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PL was confirmed as follow: “to promote holistic development and healthy and safe lifestyle by promoting physical competency and social development through enjoyable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The concept, components, and purpose of physical activ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dentified in this study emphasize that physical activ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provide enjoyable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that will allow the children to develop motivation, confidence, physical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n the basis of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국내 유아 신체활동 교육 맥락에 맞는 한국형 피지컬 리터러시(PL: Physical literacy)의 개념과 구성요소 도출을 통해 유아 신체활동 교육의 목적을 파악하였다. 유아교육전문가 14명과 유아체육 전문가 6명으로 구성된 총 20명의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3차례에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델파이 조사에 참여했던 유아교육 전문가 3명과 유아체육 전문가 2명 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면담을 수행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PL 개념은 유아마다독특하게 구현되는 것으로 일생에 걸쳐 신체활동의 가치와 의미를 이해하며 신체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바람직한 성향으로 나타났으며, PL의 구성요소는 “동기”, “자신감”, “신체역량”, “사회적 유능감”, “지식과 이해력”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PL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토대로 도출된 유아 신체활동 교육의 목적은 “즐거운 신체활동 경험을 통해 신체적 역량과 사회성 함양을 촉진하여 전인적 발달과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습관을 형성하는 데 있다.”로확인되었다. PL의 개념, 구성요소, 유아 신체활동 교육 목적에 대한 결과를 종합할 때, 유아신체활동 교육은 유아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들이 동기, 자신감, 신체역량, 사회적 유능감, 지식과 이해력을 기를 수 있도록 즐거운 신체활동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연구

        변소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도구는 영유아인성교육과 인성교육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목적에 맞게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사역할, 평가방법 측면에서 유아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질문지는 교사의 배경정보와 영유아인성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5가지 측면의 총 9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신뢰도 .99이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남 소재의 유아교육기관 50곳에 근무하는 현직 교사 660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전체적으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사역할, 평가방법에 대해서 중요도를 실행도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유아기의 인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영아기보다 중요도와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유아교육현장에 적합한 영유아인성교육의 활성화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전통미술교육에 대한 운영실태와 유아 교사의 인식분석

        김경아,김명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and recognition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by early childhood teachers. 181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and/or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multivariat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by the program SPSS 19.0. The results show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effect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전통미술교육에 대한 운영실태와 유아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여 전통미술교육의 바람직한 운영을 할 수 있도록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전통미술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구성한 후 서울, 경기 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81명을 대상으로 배부 및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이용하여 빈도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전통미술교육에 대한 운영실태의 경우 제한적으로 실행되고 있었으며 유아 교사는 중요성은 공감하나 가르치는 것을 어려워하고 있는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전통미술교육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한 교사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3∼5세 유아사회교육 내용의 비교ㆍ분석 및 유아사회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운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3∼5세 유아사회교육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공통적인 유아사회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3∼5세 유아사회교육 내용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첫째, 우리나라와 미국 8개 주, 영국, 캐나다 온타리오의 정부 수준의 유아교육과정에 제시된 사회교육내용을 비교·분석한 결과, 2영역(사회·정서 발달, 사회과학 지식), 8범주 22내용의 공통적인 유아사회교육 내용이 추출되었다. 사회․정서 발달 영역은 자아개념, 정서이해 및 조절, 성인․또래 관계의 3개 범주 9개 내용, 사회과학지식 영역은 가족 및 지역사회, 시민의식, 지리와 환경, 경제, 역사의 5개 범주 11개 내용이 추출되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 249명에게 추출된 3∼5세 유아사회교육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사회·정서 발달 영역의 중요도는 평균 4.72~4,91(5점 만점)으로 모든 내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사회과학 지식의 경우, 내용별 중요도의 평균은 3.94~4.78(5점 만점)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사회교육 내용의 연령별 필요성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사회․정서 발달 영역의 모든 내용은 3, 4, 5세에게 필요하나, 사회과학 지식 영역의 내용은 4-5세에게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social education contents for 3- 5-year-old children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eschool teachers about social education contents. A researcher analyzed the social education contents of the Korea Nuri curriculum and other countries’ early learning standards for 3- to 5-year olds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content analysis by professionals, and surveyed the perception of 249 preschool teachers about importance of the social education contents for 3- to 5-year-old children. First, this study extracted common social education contents (2 domains, 8 categories, 22 contents) for 3- to 5-year-old children. The social-emotional domain consisted of self concept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social studies domain consisted of family and community, civics, geography and environment, economics, and history. Second, the perception of preschool teachers about importance of contents in social-emotional domain was 4.72-4.91 on a five-point Likertis scale. The perception of preschool teachers about importance of contents in social-studies domain was 3.94-4.78 on a five-point scale. The preschool teachers thought that the contents of social-emotional domain was necessary for 3-, 4-, and 5-year-old children, and they thought that contents of social studies domain was necessary for 4- and 5-year-old children.

      • KCI등재

        생태유아교사교육의 프로그램 모형 연구

        권미량(Kweon Mee Ry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사교육의 현황과 요구에 근거하여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교사 면담을 통한 조사와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생태유아 교사교육의 현황을 고찰하고, 현행 생태유아교사교육의 문제점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조직원리에 근거한 구성준거를 설정하고, 초안을 구성하여,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타당도를 살폈다.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은 생태유아교사 2급, 생태유아교사 1급, 생태유아교사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모형으로 직급별 교육목표는 생태유아교사로서의 개인적 자질과 전문적 소양을 돌보는 지속적 과정으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교과목 및 교육내용은 생명학의 이해, 생태적 삶, 생태유아교육학의 기초체계, 아동 본성의 이해, 생태유아교육기관 운영, 생태유아교육과정 실천과 운영,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실제의 7가지 영역을 직급별로 심화ㆍ확장시켜나가도록 구성되었다. 교육방법 및 운영은 다양성을 인정하는 운영의 틀을 가지고, 체험과 삶을 중시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odel of teacher education that can produce well qualified teachers i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1) to study of the situation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2) to analyze of both the problems and demands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3) finally, to establish of the model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irst,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eacher education, and through collecting data, the problems and needs of contemporary teacher education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studied. Seco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and the contents of the model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set, through an experts' advisory committee and the research of propriety. The model of teacher education is established as selected from various teacher education systems. This includes courses to produce experts in teaching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basic data. So, continu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