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

        강홍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산수교육’을 통하여 학술지의 구성, 게재된 초등수학 관련 논문의 개요를 파악하여 정통적 초등수학교육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 초등과학교육 교재연구 및 내용 지도법 관련 교재 편찬 논의

        전영석,박형민,나지연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9 No.-

        초등과학교육 관련 강좌는 초등학교 예비교사가 과학수업 전문성을 갖추는 첫 시작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 교육대학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초등과학교육 관련 강좌는 수업 내용, 수업방식이 서로 달라, 내실 있고 일관된 교원 양성 체제를 이루기 어렵고, 이로 인해 예비교사들의 학습 부담이 매우 과중한 실정이다. 2020년 동계 학술대회에서 초등 과학교육 관련 강좌가 가진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같이 하는 초등과학교육학회 회원들이 모여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그 논의의 주된 내용 중 한 가지는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관련하여 개발된 교재는 몇 종 있으나, 구체적인 초등과학교육 지도방법과 관련된 교재는 찾기 어렵고, 현실적으로 그에 대한 자료가 축적되고 공유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초등과학교육학회에서는 ‘초등과학교육 교재연구 및 내용지도법’ 관련 과목의 교재를 학회 차원에서 개발하기로 하였다. 그 첫걸음으로 교과서의 단원별, 차시별 교수법과 관련된 강의 사례를 수집하고 논의하여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사전에 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교재에 담겨야 할 내용에 대한 의견을 수합하였고, 본 워크숍을 통해 구체적인 집필 방향과 일정에 관해 관심 있는 회원들과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어 문화와 한국 문화의 관계 설정

        최영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0 No.-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화교육은 한국어 능력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게 해야하며, 한국 문화의 전반에 내재하는 공통성을 기반으로 한 문화적 이해까지 다룰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에 출발점을 두고 분석적 교육단계에서는 다양한 한국어 자료를 사용하고, 한국어 문화의 통합적 교육 단계에서는 한국어 문화 여러 요소 및 수준이 복합된 한국어 자료를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우리가 한국어 사용 방식 또는 한국어 문화에 담긴 내적 체계와 공통성을 발견할수 있는 한국 문화적 요소를 찾아 연계하여 교육한다면, 한국어교육을 지향하면서도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concepts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Korean language culture has intimate relations with korean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have dealt with the uniqueness of korean education,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language materials and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The conceptual spectrum of culture are followings. conceptual spectrum and elements of culture elements spectrum of concept concepts (A)basis of thinking (B) symbol system style of living (C) procuct categories way of thinking religion ⇩ ⇦ ⇨ worship, funeral art ⇧⇩ ⇦ ⇨ painting, novel society ⇧⇩ ⇦ ⇨ family, economy system ⇧ ⇦ ⇨ education, law prope rties visibility internal explicit abstraction abstract concrete approach percipient analytic We should consider the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in korean education. Korean culture education should be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culture, not the teaching of korean culture itself. There seems to be three typ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culture. ① Teaching korean through korean education materials ② Teaching language culture through korean education materials ③ Teaching culture with various korean education materials The teaching of language culture seems to be desirable in a particular sequence - from ① to ③(① → ② → ③)- in korean education. Korean education for non-native speakers in multicultural situation should not be taught as “social” culture itself but as “language” culture. Advanced communication skills with the well-ordered language culture education will be helpful for non-native speakers to adapt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 주제발표 : 초등도덕교육 I·II 운영사례와 제언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연구동향 분석

        신원섭,박형민,김남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9 No.-

        이 연구는 1970년에 설립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의 50년 역사를 정리하고 반추함으로써 학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의 학술지인 ‘초등과학교육’ 1권(1983년)부터 39권 2호(2021년 2월호)까지 1,018개의 논문을 메타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과학교육 1권(1983)부터 6권(1987년)은 초등과학교육 총서 1집(輯)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7권부터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메타 분석은 1) 연구자 수(단독, 2인, 3인, 4인 이상), 2)연구 종류(순수, 학위, 연구지원, 기타), 3)1저자 정보(학생, 교사, 교수, 교육기관, 기타), 4)교신저자 지역(교신저자 표기 없을 경우 1저자 기준), 5)연구대상(학생, 예비교사, 교사, 교사+학생, 예비교사+교사, 교과서, 교육과정, 기타), 6) 연구 분야(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학문간 융합, 과학교육 전반, 영역 융합, 기타), 7) 연구방법(조사, 실험, 개발, 문헌, 기타), 자료 분석방법(양적기술, 양적통계, 질적, 혼합, 기타), 8) 효과 검증(지식, 탐구, 태도, 지식+탐구, 지식+태도, 탐구+태도, 지식+탐구+태도, 창의성, 창의성+α, 기타)으로 총 8개의 기준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술지의 제목표기, 저자표기, 교신저자, 요약, 편집 등의 논문 체제의 변화도 함께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과학교육의 연도별 연구동향을 분석을 바탕으로 본 학술지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육 미래 비전에 비추어본 초등교원 양성 교육 개편 방향

        박남기 ( Nam Gi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3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원 양성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주어진 미래로서가 아니라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부응하면서 우리가 바라는 미래, 즉 블루오션을 만들어가기 위해 미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은 무엇인지, 이러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필요한 초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어떠할지를 예측해보고, 이러한 인재상과 요구를 바탕으로 미래 초등교육의 목표를 추출해본다. 이어 제시된 초등교육 목표를 달성하며 필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미래 초등교사가 해야 할 역할은 무엇인지, 마지막으로 그러한 교사를 길러내기 위해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은 어떠한 방향으로 바뀌어야 할지를 분석·제시한다. 이 논문이 밝힌 미래 초등교육의 목표는, 개개인의 잠재력을 발굴·육성하는 개별화된 맞춤형 초등교육,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 열린 세계관과 유연한 적응력을 갖춘 가슴 따스한 에코 지구인 육성, 행복한 삶의 공간으로서의 초등교육 등이다. 미래 초등교사의 역할은 맞춤형 교육자·안내자·조력자, 진로지도자, 네트워크 활용 전문가, 학부모 교육 주도자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to reorganize the present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 This research takes into account projections of future elementary schools based on social demands and how to meet its needs. In addition, roles of teachers will be examined and redirect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are provided by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goals of futur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re individualized-child center approach as in seeking ways to maximize a child`s potential, educating students to become self-directed and creative, raising students` eco-global consciousness, receptive and adaptable to new ideas and most important concern for global citizen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schools should become a thriving and welcoming place. The roles of teachers will be enhanced to become experts in implementing individualized-child center education, career guidance and motivator, specialists in social networking and leader of parental education.

      • KCI등재

        독일'초등학교교육학(Grundschulpadagogik)'의 학문적 성격 :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에 주는 시사 Die Bedeutungen und Aufgaben der ' Grundschulpadagogik ' in Korea

        정혜영 한국초등교육학회 2001 초등교육연구 Vol.14 No.3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그 대상인 초등학교를 명확하게 드러내어 '초등학교 교육학'으로 규정 지음으로써 확보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고찰하고, 그것이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은 교육개혁의 맥락 속에서 '학교교육학'의 부분영역으로 성립되었으며. '기초단계 교육학'과 '초등학교 교수학'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학문적 독자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초등학교교육학'의 연구영역들로서 초등학교이론, 초등학교 수업이론, 초등학교 특수적인 교육내용, 교사에 관련된 이론 등이 제시되었으며, 연구방법으로서 비교연구방법, 역사연구방법, 정신과학적-해석학적 연구방법, 경험적 연구방법, 행위적 연구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이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 및 초등교사 양성교육 실제에 주는 의미와 과제가 시사되었다. Seit einigen Jahren wird die Diskussion u¨ber die Eigensta¨ndlichkeit der Grundschulerziehung vielfach entwickelt. Fu¨r die Feststellung der Eigensta¨ndlichkeit der Grundschulerziehung wird zuna¨chst eine theoretische Grundlage fu¨r die Grundschule gefordert, dafu¨r ist es notwendig, eine wissenschaftliche Disziplin u¨ber die Grundschule zu feststellen. In Deutschland wird schon die Theorie der Grundschule als ein selbststa¨ndliches Forschungsgebiet mit dem Namen der 'Grundschulpa¨dagogik' festgestellt. Das Ziel dieser Arbeit ist es, den wissenschaftlichen Charakter der 'Grundschulpa¨dagogik' von Deutschland zu betrachten and die Bedeutungen and Aufgaben der Grundschulpa¨dagogik in Korea zu vorstellen. Diese Arbeit besteht aus den vier Kapiteln, in denen die Entstehungskontext und erziehungswissenschaftlicher Standort der 'Grundschulpa¨dagogik', die wissenschaftliche Eigensta¨ndigkeit der 'Grundschulpa¨dagogik', die Gegenstandsbereiche und die Forschungsmethoden mit den deutschsprachlichen Fachliteraturen untersucht werden. Zum Schluβ habe ich die Bedeutungen and Aufgaben der Grundschulpa¨dagogik in Korea mit der Theorie der 'Grundschulpa¨dagogik' von Deutschland vorgestellt.

      • KCI등재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 분석 연구 -대구와 밴쿠버 지역을 중심으로-

        조영남 ( Young Nam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7 초등교육연구 Vol.20 No.3

        세계 각국은 정보화 사회를 선도하기 위한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정보화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들 모두 ICT 활용교육을 잘 인지하고 있으나, 캐나다 교사들의 인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CT 활용교육에 대한 연수에서는 연수 경험은 한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수 회수는 반대로 나타났다. 양국 교사들 모두 ICT 활용교육 시 가장 필요한 매체로 인터넷을 선택하였으며, 주로 교과지도에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의 교사들은 ICT 활용 수업의 장단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해 서로 유사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한국의 교사들은 유용성과 실제적인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반면, 캐나다의 교사들은 윤리성과 인간적인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양국 모두 대부분의 가정에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으며, 인터넷 접속 시 한국 학생들은 게임을 가장 많이 하는 반면, 캐나다 학생들은 숙제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학생들 모두 신세대의 하위문화인 채팅어와 이모티콘을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국 학생들 모두 ICT 활용교육 시 가장 필요한 매체로 인터넷을 선택하였다. 양국의 초등학생들은 ICT 활용 수업의 장, 단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서로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의 초등학생들은 실제적인 측면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반면, 캐나다의 초등학생들은 정보화 마인드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ractice of ICT using education in Korea and Canada. ICT using education means to teach how to collect, analyze, and use information needed by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ffectivel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Canada, they almo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CT using education but Canadian teachers recognize higher than Korean teachers. Korean teachers have more experience in in-service education but Canadian teachers` frequency of in-service education are higher than Korean teachers. They choose the internet as the most useful media in ICT using education. They mainly use ICT to teaching They have similar point of view on the advantage, disadvantage, and improvement method of ICT using education. But Korean teachers have more concern in practical aspects but Canadian teachers have more concern in ethical aspects.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Canada, they almost have computer connected internet at home. For Korean students, the main reason for using internet is to play game, but for Canadian students, doing homework is the main reason for using internet. They use various chatting languages and emoticon as a sub-culture of new generation. Similar to teachers, they also choose the internet as the most useful media in ICT using education. They have similar point of view on the advantage, disadvantage, and improvement method of ICT using education. But Korean students have more concern in practical aspects but Canadian students have more concern in informational mind aspect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ICT 활용교육'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성 및 개선방안 연구 : 초등교사 인식중심으로

        이미자,송지은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1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최근까지 5, 6 학년 대상으로 컴퓨터 소양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금까지의 컴퓨터 소양교육 중심에서 벗어나 교수 학습 과정에 컴퓨터 활용교육을 더욱 강조한다. 이러한 교육방침에 따라 7차 교육과정은 2001년부터 초등학교 모든 국민기본공통과목 교수 학습 과정에 10% 이상 'ICT활용교육'을 필수화하였다. 따라서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은 이러한 초등교육과정 변화와 이에 따른 초등학교 현장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충실히 반영한 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ICT활용교육 필수화에 따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실제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 중심으로 ICT활용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또한 이러한 초등 ICT활용교육 변화와 교육대학교 교육과점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지역에서 무선표집된 초등교사 316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으로 각 문항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초등교사들이 ICT활용교육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ICT활용교육 방법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였고 이에 따른 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 함양이 중요한 과제로 지적되었다. 또한 ICT활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현장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교육대학교 ICT 관련교육은 ICT소양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교수 학습과정에서의 ICT활용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초등학교 ICT활용교육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ICT활용교육에 대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무엇보다 다양한 ICT활용 교수 학습방법에 관한 교육내용을 강화 또는 이러한 과목을 신설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Until recently,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had been implemented as computer literacy education for 5th - 6th children. According to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computer education is extended from computer literacy education to computer application education in classroom.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mposes that it is mandatory for teachers to imple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at least 10% of instructional process for all of the fundamental curriculum sub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o make change the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students to have appropriate ability adapting the computer education policy change in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been implementing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to evaluate the relevancy of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for ICT application education, and to provide curriculum improvement strategies for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316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34 different schools located in Seoul, Gwangju, and Kyunggi province. The participants have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fter graduating from one of the 11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for the study. This study used SAS program to analyze the data. The frequency of each questionnaire items was analyzed and the variance among subjects groups was analyzed using for x^2 for a few selective survey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hink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elementary education in 21st century information age. However, they have lack of ability to implement ICT Application Education in classroom instructional process. Second,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relevancy between elementary school ICT application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is relatively low.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emphasizes mainly ICT literacy education, but rarely ICT application education yet. Third, most teachers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in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