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한 도시공원의 비시장가치 추정

        조우영,배두현,안소은,Hong Sok(Brian) Kim 한국지역학회 2010 지역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and estimate the non-market value of urban park using meta-regression analysis. Meta-analysis is a statistical method and useful tool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from independently related studies. This study used 46 estimates from 20 valuation studies on urban park and found that the type of park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respondents' WTP. The parks in the neigborhood tend to have lower value whereas waterfront park appears to have highest value. The number of studies using most widely used non-market valuation methods, CVM and Conjoint Analysis,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rom their survey and payment vehicle for WTP. The empirical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eta-analysis is a great potential as a tool to synthesize the research results from valuation studies an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policy makers. In order to overcome some of the shortcomings of meta-regression analysis and improv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t is important to collect and produce data base on valuation studies and sufficient support to improve its qu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도시공원의 비시장가치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공원의 비시장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며, 메타회귀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메타회귀분석은 기존에 축적되어 있는 연구로부터의 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변수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으로 밝히는 기법이다. 문헌검색을 통해 도시공원의 비시장가치를 추정한 20편의 연구에서 46개의 가치 추정치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특정한 공원의 유형이 시민들의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근린공원의 경우 여타 공원에 비하여 낮은 가치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하천의 수변공원의 가치는 높게 나타났다. 대표적인 비시장가치 평가 기법인 조건부 가치측정법과 컨조인트 분석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설문조사 부수와 지불의사를 묻는 도구도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을 통해 메타회귀분석은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분석의 틀로써 충분한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메타회귀분석이 분명한 한계를 갖고 있는 만큼, 메타회귀분석의 정책에 대한 유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관련연구의 DB 구축, 개별연구의질 향상을 위한 노력 등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오즈비를 이용한 메타분석에 관한 연구

        강민수,안홍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1

        Meta-analysis is a statistical method that summarizes outcomes of previous studies. This leads us to gain more reliable results. Because of this advantage, it has been widely used in a variety of fields. In this writing, we focus on odds ratios among lots of statistics used in meta-analysis. Adjusted odds ratios are generally presented as outcomes because they give more precise treatment effects. Accordingly, it is reasonable to offer adjusted odds ratios as the results in meta-analysis.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and limits in meta-analysis using adjusted odds ratios.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to summarize the adjusted odds ratios in meta-analysis. As the result, we are able to report the results of meta-analysis as adjusted odds ratios. 메타분석(meta-analysis)은 개별 논문의 연구결과를 통계적으로 통합하여 일반적이고 종합적인 결론을 얻고자 시행하는 분석 방법이다. 메타분석은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메타분석의 대상이 되는 통계량은 평균, 상관계수, 오즈비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오즈비(odds ratio: OR)를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하기 위해 개별 논문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adjusted 오즈비가 연구결과로써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djusted 오즈비는 연구자의 관심변수와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사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logistic regression model)에 의해 추출되는 통계량이다. 따라서 adjusted 오즈비를 통해서 보다 더 정확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는 adjusted 오즈비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합리적임을 말해 준다. 하지만 adjusted 오즈비를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과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justed 오즈비를 이용한 메타분석 방법에 대해 모색하여 보고 이를 실증 예에 적용하도록 한다. 그 결과 adjusted 오즈비로써 메타분석 결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적 메타분석: 단일변량 및 다중변량 메타회귀분석

        서인해,공계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for the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ren Centers through meta-analysis. The research subject was 39 evaluation papers on self-esteem program in Community Children Center searched in June 2018.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analysis were 9 variables in the areas of survey assessment, program composition and program development activiti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meta-anova, univariate meta-regression and mutivaratiate meta-regression analysis using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at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is .942. Analysis of meta-anova for heterogeneity of effect size showed high effect size in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11 to 20 sessions, 50 to 60 minutes per session, 10 participants or less, high degree of program theory and program development process. Univariate and multivatate meta-regression analysis of the causality of effect size heterogeneity showed that the number of program goal, number of participant, level of program theory and program development activ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ewer program participants, the fewer program goals, the higher the program theory and program development process, the greater the effect.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is the most important variate for the incremental change in the predictive model analysis. The academic meanings of the study results was discussed,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practices and explanatory meta-analysis was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하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특징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8년 6월 현재까지 검색된 39편의 지역아동센터의 자아존중감 관련 프로그램 평가논문이며, 분석에 포함된 변수는 조사평가, 프로그램 구성 및 프로그램 개발 활동 영역의 9개 변수이다. 통계분석은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을 사용하여 메타아노바와 설명적 메타분석으로서 단일변량 및 다중변량 메타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아동센터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는 .942로 나타났다. 효과크기의 이질성에 대한 메타아노바 분석 결과, 총 회기 11~20회, 1회기 당 50분~60분, 프로그램 참여자 10인 이하, 자아존중감 단일목표, 프로그램 개발 활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이론 및 프로그램 개발과정 정도가 높은 경우에 효과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효과크기 이질성의 인과성에 대한 단일변량 및 다중변량 메타회귀분석 결과, 프로그램 목표 수, 프로그램 참여자 수, 프로그램 이론, 프로그램 개발과정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프로그램 목표가 자아존중감 단일목표일수록, 프로그램 참여자 수가 적을수록,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이론과 프로그램 개발과정 정도가 높을수록 효과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효과크기의 예측모형에서는 4개 변수 중에서 프로그램 개발과정 정도가 모형변화량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메타분석 연구결과의 내용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와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및 설명적 메타분석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 환경·경제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

        안소은,김현노,김충기,서양원,배현주,곽소윤,윤태경,김진옥,이홍림,조윤랑,박윤선,지선우,박주영,신정우,강완모,신영철,이창훈,문난경,전호철,정다운,하종식,강형식,이승준 한국환경연구원 2017 사업보고서 Vol.2017 No.-

        인간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환경정책·개발사업으로 인한 영향과 그 범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작업과, 확인된 영향의 정량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서 정량화는 환경영향의 물리적 크기 또는 정도의 측정을 의미하며, 관련 서비스·편익의 화폐화는 합리적 수준에서 가치추정이 가능한 범위에 한정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정책·개발사업-물리적 환경영향-환경서비스·편익-환경가치 변화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고려할 때, 물리적 환경영향의 분석과 환경편익·비용을 고려한 경제성분석은 큰 틀에서 동시에 맞물려 수행되어야 정책·사업 평가의 완성도를 높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환경서비스·편익의 ‘화폐화 가치’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국내 환경가치 선행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환경서비스 항목의 단위가치(원단위) 정보를 온라인 DB화하는 사업을 수행한 바 있다(안소은 외, 2011). 본 연구는 KEI 환경가치 DB(EVIS: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1) 사업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되었다. 현재 운영 중인 환경가치 DB(EVIS)가 위에서 언급한 경로분석(정책·사업-물리적 환경영향-환경서비스·편익-환경가치)의 마지막 단계인 환경가치 정보의 체계화에 국한되어 있었다면, 본 연구는 환경가치 DB(EVIS)의 단위가치로부터 출발하여 항목별 단위가치를 보완 및 직접 추정하고, 단위가치를 물리적 환경영향에 대한 정보와 연계하여 경로분석에 근거한 환경·경제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 및 의사결정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세부목표로는 1) 웹기반 환경가치 DB(EVIS) 개선 및 단위가치 분석, 2) 오염원별 단위피해비용, 생태계서비스 단위가치 생성을 위한 직접연구, 3)부문별 물리적 환경영향 정량화 및 관련정보 체계화, 4) 경로분석 사례연구에 근거한 부문별 분석 템플릿 설계, 5) 환경가치 DB(EVIS)와 경로분석 템플릿을 연계한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방대한 연구범위로 인하여 계속사업으로 기획되었으며, 3년 단위로 연구범위를 설정하고, 부문별 연차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한다. 1단계(2016~2018) 사업의 주요 목표는 환경영향 정량화와 단위가치 연계를 위한 시스템 기반 구축이다. 이를 위해 부문별 통합분석 사례연구를 진행하며, 경로분석과 가치추정의 연계 가능성을 타진한다. 2단계(2019~2021)는 환경·경제 통합분석 사례연구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스템 개선과 관련 정보의 축적을 도모한다. 3단계(2022~2024)는 통합분석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정책평가의 활용도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2017년도는 1단계 사업(2016~2018)의 2차 연도에 해당하며, 연구내용은 크게 총괄, 생태계 평가 및 가치추정, 건강영향 평가 및 가치추정, 국민환경의식조사 4부문으로 구분된다. 먼저 총괄부문의 주요 목표는 환경가치 DB(EVIS) 개선 작업이다. 이는 기존의 환경자산/서비스 분류체계로부터 수용체(건강, 생태계, 유·무형자산) 중심의 분류체계로의 수정, 수정된 분류체계를 적용한 단위가치 요약 및 비교분석, 메타회귀분석을 통한 수질부문의 단위가치 추정을 포함한다. 생태계부문은 수량(water yield) 공급 서비스를 대상으로 통합분석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수량은 생태계 유형별로, 단위가치는 용도별(농업, 공업, 생활용수)로 추정하고,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권역별, 용도별 수랑공급 서비스의 가치변화를 도출한다. 건강부문은 3부문으로 구분하는데, 즉 대기오염(PM2.5)-건강영향(천식)-단위가치(COI), 화학물질(수은·납)-건강영향(IQ점수, DALY)-단위가치, 소음-건강영향(심혈관계 질환)으로 세분화하여 진행한다. 건강부문의 가치변화는 특정 정책의 유무 또는 규제의 달성 여부 등을 중심으로 도출한다. 본 연구는 2권의 보고서로 구성된다. 1권은 총괄부문의 주요 결과, 즉 환경가치 DB(EVIS) 및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2권은 생태계부문과 건강부문의 경로분석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그림 참조). 보고서 1권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은 ‘영향경로분석법’과 ‘효용기반 환경가치추정’을 중심으로 설계한 경로분석 템플릿이 환경·경제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의 출발점임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부문별 사례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능한 부문의 개념적·방법론적 템플릿을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생태계부문의 기후조절(탄소흡수·저장기능), 물(담수) 공급, 수질정화를 대상으로 템플릿을 제시하였고, 건강부문의 경우 미세먼지(PM2.5, PM10)와 수은에 대한 건강영향 경로분석 템플릿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3장은 환경가치 DB(EVIS)의 주요 개선 내용을 정리한다. 2011년도에 오픈한 환경가치 DB(EVIS)는 국내 환경가치 선행연구의 주요 내용을 정리한 메타정보 DB이며, 비용편익분석, 규제영향분석, 환경영향평가 등의 정책분석 지원을 목표로 구축되었다. 기존의 환경가치 DB(EVIS) 분류체계는 크게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으로 구분된다. 생활환경분야는 환경영향평가와의 연계를 고려하여 매체(대기, 물, 토양 등)별로, 자연환경은 개별 생태계와 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를 병행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매체 중심의 분류체계를 수용체 중심으로 개편함으로써 최근 환경정책 기조 변화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편안은 경로분석 및 효용기반 통합분석 틀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세부항목을 구성하였다. 수용체 중심의 분류체계(안)는 크게 생태계, 건강, 유·무형자산으로 구분된다. 생태계부문의 분류체계(안)는 생태계 유형과 생태계서비스·편익의 2가지 분류기준을 병행하도록 구성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존 분류체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나, 세부항목은 MA(2005), TEEB(2013), IPBES(2017)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국내 선행연구에서 다룬 가치추정 대상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재정의, 재배치하였다. 건강부문의 경우 환경보건지표 항목을 참고하여 분류하였고, 유·무형자산의 경우 원료·물질, 시설·인프라 등의 유형자산과 문화유산과 같은 무형자산을 포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수용체별 분류와 별도로 정책 및 규제평가 관련 연구를 독립적인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DB 내 선행연구 정보를 재정리하였으며, 유형별 보유 선행연구 수와 가치추정치 수를 제시하여 어떤 부문의 연구가 활발하고, 어떤 부문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한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부문별, 세부항목별로 동일한 측정단위를 묶고 유사한 측정단위를 합리적인 수준에서 전환함으로써 다수의 이질적인 가치추정치를 표준화하여 유형별 단위가치 요약통계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환경가치 DB(EVIS) 정보를 활용한 메타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환경가치 DB(EVIS)에 수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2010년 이후 진행된 선행연구를 추가하고 수질부문 메타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수질개선 수준에 따른 유역별 지불의사액(WTP)을 추정하였다. 2018년도는 지난 2년간의 연구내용을 종합·평가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2단계 사업계획을 정비한다는 차원에서 중요하며, 환경가치 DB(EVIS)를 재오픈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018년 연구도 총 4부문, 즉 총괄, 생태계 평가 및 가치추정, 건강영향 평가 및 가치추정, 국민환경의식조사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총괄은 환경가치 DB(EVIS)의 부문별 단위가치 요약과 메타회귀분석 확대·적용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동시에 환경가치 정보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기능적 측면을 개선한다. 또한 부문별 개념적·방법론적 템플릿을 중심으로 진행한 통합분석 틀을 실질적인 정책평가에 활용 가능한 계산식 템플릿으로 전환하고 시범적용할 계획이다. Comprehensive evaluation of human impacts on the environment asks for identifying impacts of an environmental policy or development project and quantifying an extent and magnitude of the impacts identified. Considering a complex pathway of impacts from environmental policy/development project through physical impacts and environmental goods/services to economic costs/benefits, these linkages should be integrated and analyzed in an inclusive framework. The integrated approach could enhance assessment of environmental policy or development project and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rational decision-making.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has conducted the research on economic valuation of environmental services/benefits; for example, meta-information, mainly the unit values of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from the environmental valuation studies in Korea were compiled into on-line DB, which called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in 2011. This project is launched to extend EVIS and aims to construct an integrated analytical framework by linking the unit values of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in EVIS to the extent and magnitude of physical impacts associated with based on the impact pathway analysi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project are 1) to improve the EVIS and analyze environmental unit values contained in DB; 2) to estimate unit damage costs by pollutant sources and the values of ecosystem services through primary research; 3) to quantify and examine physical impacts on ecosystem services and human health caused from the various environmental disturbances; 4) to design templates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impact pathway analysis for ecosystem services and human health; and 5) to construct an integrated analytical framework coupling the EVIS and the impact pathway analysis templates. This research project is planned for three phases covering ten years. Phase I (2016-2018) is supposed to design an integrated analytical framework for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and valuation of environmental services/values, accompanied with the case studies linking impact pathway analyses and value estimation. Phase II (2019-2021) is planned to improve the integrated analytical framework and accumulate relevant information based on the outcomes of case studies using the experiences from integrated analyses. Finally, Phase III (2022-2024) aims to make the integrated analytical framework operational for policy assessment. The 2017 study, at the second year of the first phase (2016-2018), has four research topics as follows: improvement of EVIS and estimation of unit values, ecosystem assessment and valuation,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valuation, and public survey on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The DB part improved and updated the EVI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al values was revised to adopt receptor-oriented calssification (e.g., health, ecosystems, and in/tangible assets), and unit values of reclassified environmental values were summarized, and analyzed using meta-regression. The ecosystem part investigated water provision service for each ecosystem type and water use (agricultural, industrial, and domestic) and estimated a change of water provision services by land use change. A health part assessed health impacts of air pollution, chemical exposure and noise, accompanied with a change of value by presence/absence of specific policy or regulatory compliance. This project consists of two reports and one separate volume of appendix; volume I contains main outcomes from EVIS and summarize unit values of environmental services/benefits, and volume II presents the case studies based on the impact pathway analysis of ecosystem and human health. The separate volume of appendix reports the results from the 2017 public survey on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 KCI등재

        직무만족에 의해 중개되는 성격의 5요인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메타분석을 활용한 회귀분석

        김예실,이순묵,신강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의 5요인이 직무만족에 의해 중개되어 조직시민행동에 가지는 효과에 대해 메타분석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연구가 시작된 시점부터 2013년 6월까지 총 153개의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메타분석에 포함하였다. Hunter와 Schmidt(2004)의 방식을 따라 무선효과모형(random-effects model)으로 분석하였으며, Borenstein Hedges, Higgins, & Rothstein(2005)의 방식으로 혼합효과모형(mixed-effect model)으로 분석한 결과를 하위범주 해석에 참고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대인지향, 조직지향, 변화지향의 조직시민행동은 성실성과 호감성과의 관계에서 모집단 진상관 평균값이 연구들에서 일반화되었고, 신경증과 외향성, 그리고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의 관계에서는 일부 조직시민행동 범주에서만 연구들에 걸쳐 일반화 되었다. 평정자 차이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방법효과로 인해 자기평정에서 효과크기가 크게 나왔다. 메타분석을 활용한 회귀분석으로 직무만족의 중개효과를 보았을 때 성격의 5요인 모두 직무만족에 의해 중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과학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메타분석

        노민정(Rho Minjeong),유진은(Yoo Jin Eu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6 교육평가연구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프로그램이 과학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 결과들을 메타분석하여 STEAM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선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 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STEAM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과학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34편의 국내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선별하였다. 민감도 분석으로 이상치를 제거한 후, 무선효과 모형을 채택하여 33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효과크기 0.557이 산출되었으며, STEAM 프로그램이 과학과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과크기 간 이질성의 원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학교급, 처치 횟수, 실험집단 크기, 감성적 체험 수준, 주요 활동 특징의 다섯 가지 조절변수를 투입하여 메타-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요 활동 특징 중 스마트기기/미디어 활용 변수와 실험집단 크기 변수의 회귀계수가 각각 -0.279와 -0.009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STEAM 프로그램의 설계와 내용 및 활동 구성시 참고할만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효과크기의 독립성 가정을 고려하여 통합된 효과크기를 이용하였고, contour-enhanced 깔대기 그림을 도입하여 메타분석에서 발생하는 출판편향 문제를 심도 있게 해석하였으며, 기존의 STEAM 관련 메타분석 연구 에서 발견하지 못한 유효한 조절변수를 찾아냈다는 데에 연구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EAM programs’ effect on science affective domains through a meta-analysis. A total of 53 effect sizes were obtained from 34 articles, theses, and dissertations, the subjects of which wer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a random-effects model was 0.557, after sensitivity analyses and outlier deletion. Particularly, a contour-enhanced funnel plot was utilized in order to further understand asymmetry in funnel plots and investigate possible publication bias. Effect sizes from the same study were also aggregated for meta-regression. Five moderators were included in a mixed-effects model to account for heterogeneity in the true effects. The meta-regression yielded coefficients of two moderator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software usage (-0.279) and group size (-0.009). Previous meta-analyses on STEAM failed to identify significant moderators. The results shed light on designs and executions of future STEAM programs.

      • KCI등재

        2010년~2021년 국내 메타버스와 가상세계를 활용한 교육 연구 동향 분석: LDA 기반 토픽 모델링과 시계열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임종현,홍진표,박정민,안미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2

        Using LDA-based Topic Modeling and Time-Series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research trends in domestic virtual environments (Metaverse, Virtual Worlds, and VR) and presented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abstracts of 418 domestic academic papers (340 academic papers and 78-degree pap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Metaverse and Virtual Environment field between 2010 and 2021. LDA-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extracted six topics: ‘Social Change and Educational Use in Cultural and Language Educ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Treatment,’ ‘Disabled Students Intervention/Vocational Education,’ ‘Higher Education Practice Simulation,’ ‘Safety Education Training,’ and ‘School Class Application.’ The Time-Series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LDA Topic Modeling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all top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ppeared to be hot topics. As a result of the study,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mpirical research examining the essential aspects of the learning process for educational use of the virtual environment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learning process in a game-based Metaverse environment such as Roblox and Minecraft, where learners can freely create and change objec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primary data in research and related fields on education using virtual environments, including metavers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LDA 기반 토픽 모델링과 시계열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메타버스와 가상세계를 중심으로 국내 가상환경 활용 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교육공학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데이터로 2010년 ~ 2021년 동안의 메타버스 및 가상세계를 활용한 교육 관련 국내 학술 논문 418편(학술지 논문 340편, 학위논문 78편)의 초록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LDA 기반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사회적 변화 및 문화․언어교육 활용’, ‘재활훈련치료’, ‘장애학생 중재/직업교육’, ‘고등교육실습 시뮬레이션’, ‘안전교육훈련’, ‘학교 수업 적용’으로 6개의 토픽을 추출하였다. LDA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를 근거로 시계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토픽별 추세를 파악하였다. 모든 토픽이 Hot 토픽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변화 및 문화․언어교육 활용’ 토픽이 가장 큰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안전교육훈련’, ‘학교 수업 적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가상환경 활용 교육 연구가 2017년부터 상당한 증가의 경향을 보이다가 2021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향후 연구는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는 가상환경 활용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교수․학습 방법, 학습 과정의 본질적인 면을 살펴보는 실증적 연구 등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유롭게 객체를 생성․변경할 수 있는 로블록스나 마인크래프트와 같은 게임 기반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학습활동에 대한 연구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메타버스를 비롯한 가상환경 활용 교육에 대한 연구 및 관련 분야에 기초자료로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국내 경제이해력 함양 교수-학습방법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박상은 ( Sangeun Park ),서봉언 ( Bongeon Seo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8 경제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초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경제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경제이해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경제교육 연구와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18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와 학위논문 가운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누리미디어, 한국학술정보, 학술교육원, 교보문고 스콜라의 데이터서비스에서 경제이해력, 경제이해도, 경제사고력, 경제지식, 경제인지, 경제개념, 경제 학업성취도 등을 키워드로 하여 자료를 검색하였고 검색된 자료 중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한 실험연구와 평가도구를 사용한 논문을 기준으로 총 42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들 논문에서 추출한 총 42개의 효과크기 값은 메타분석 전문 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무선효과를 이용한 전체효과크기 값은 0.567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이해력 함양 교수학습방법을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경제이해력이 약 21.5%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급별 분석 및 학년에 따른 메타회귀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연구과제와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conomic literacy using a meta-analysi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in economic education. We searched several databases including Riss, DBpia, Kiss, E-article, and Kyobo Scholar, using wide range of keyword such as economic literacy, economic recognition, economic concept, achievement from the beginning of 1990. 42 studies that included both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nalyz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0. Overall effect size was large(g=0.567). Random effects meta-analysis showed that economic literacy of treatment group was improved about 21.5%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lso, meta-ANOVA and meta-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effect siz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ing strategy were discussed.

      • KCI등재

        소득불평등의 경제성장에 대한 영향력

        박경돈(朴倞墩)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2

        전 세계적으로 소득불평등이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소득불평등이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문헌으로부터 도출된 125개의 통계분석결과를 이용한 체계적 분석(systematic review)을 수행하여 소득불평등이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력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선행논문의 메타분석을 위한 조건검토에서 출판편이는 없었지만, 기존 연구결과의 이질성이 높아 이에 대한 원인을 찾고자 했다. 메타회귀분석 방법론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분석에 따르면 선진국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소득불균형이 방치될 경우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영향력의 정도가 국가군별로 상이하고 분석결과 또한 동질적이지 못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득 불평등이 국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확히 산출하고자 하였다. OECD 회원국가를 대상으로 19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횡단적 분석과 종단적 분석을 병행한 결과 소득불평등도로 측정된 지니계수가 1% 상승할 때마다 1인당 GDP를 최소 0.3 ~ 0.9% 정도 감소시키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억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문동규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의 보육교사 이직의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직의도를 억제하는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조사시기와 조사지역에 따른 변화추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분석을 위해 효과크기 변환이 가능한 논문33편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와 관련된 억제변인군의 효과크기는 조직외면적, 직무,조직내면적변인군 순으로 나타났고, 세변인군 모두 중간효과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외면적변인군의 하위변인은 근로시간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변인군의 하위변인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이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내면적변인군의 하위변인은 대인관계와 원장과의 관계의 관계가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조사년도에 따른 이직의도 억제와 관련된 변인의 메타회귀분석 결과 모든 연구개념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인들에 대한 상관분석결과, 복지후생은 수도권외지역보다 수도권지역일 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