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곽진숙(Jin-Sook Kwa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공학과 경영학을 사례로 하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을 분석하고 그 발전 과제를 논의한 연구다. 연구문제는 평가인증제의 도입 배경,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 결과 및 효과, 발전 과제로 범주화하였다. 우선 도입 배경을 ‘교육에의 관심 촉구’, ‘professional school에 걸맞는 견고한 커리큘럼으로의 재편’, ‘self-regulation을 통한 교육의 질 관리와 구조조정’, ‘교육에 관한 systematic approach’로 나눠보았다.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과정은 공통적으로 ‘해외 인증기준의 벤치마킹과 한국형 인증기준의 수립’으로 요약되었다. 인증제의 결과 및 효과로는 ‘교육장면에서의 긴장감 요구’와 ‘지속적 수업 개선 유도’, ‘교수들 간의 의사소통 활성화 및 공동체 의식 증대’, ‘교육공동체로서의 협동 체제 구축’, ‘전문가로 단련시키고 훈련한다는 면에서 학생들에게도 의미 있음’을 들었다. 또한 특히 경영학에서는 교수 충원 유도를 통한 교육여건의 개선을 가져왔다. 향후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의 발전 과제로는 먼저 대학 차원에서 ‘인증받은 대학교육 시스템이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이 작동하고 움직여 나갈 수 있도록 활성화시키는 것’, ‘교육에 관한 관심과 평가 필요’, 다음으로 인증원 차원에서 ‘각각 평가자와 피평가자인 인증원 운영주체와 해당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이분화 방지’, ‘인증기준 작성시 stage를 고려하고, 각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의견수렴 절차를 적절하게 밟는 것’, 마지막으로 대학을 넘어선 사회적 차원에서 ‘산업계와 대학의 지속적 networking과 공생’으로 분류해 보았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introduction and steering of Education Accreditation, concentrated on the case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nd discuss a few tasks for its improvement. The subjects of our research are categorized a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Accreditation,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results and effects, and tasks for improvement.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re classified as ‘stimulating the interest in education’, ‘reorganization into a solid curriculum well-matched with professional school’,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self-regulation’, ‘systematic approach to education’. The procedure of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can be summarized commonly as the bench-marking of the foreign accreditation criteria. The results and effects are listed as ‘formation of the tension in the educational fields’, ‘requirement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lectures’, ‘active communication of professors and community spirit’, ‘cooperation system as educational community’, ‘training of the students as specialists’. In particular,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enabled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condition by inducing supplement of professors. As for the tasks for further improvement, the following list is suggested. For the universities, ‘activation of the already accredited university education system’ and ‘interest and evaluation of education’, for the Association of Accreditation, ‘prevention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the accredit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stages in framing the accreditation criteria by collecting opinions of education subjects of each discipline’, finally for the society level, ‘continuous networking and coexistence of the industrial society and the university’.

      • KCI등재

        생성형 AI 시대,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의 향방

        성태제(Tae-Je Seong),시기자(Kija Si),최윤정(Youn-Jeng Choi) 한국교육평가학회 2024 교육평가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생성형 AI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과 기술의 접점에서 교육평가 패러다임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미래 교육평가의 향방을 조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생성형 AI 시대에 대응한 교육과정, 교수⋅ 학습, 교육평가 패러다임의 변화 동향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성형 AI가 보편화 됨에 따라 교사의 역할은 지식 전달자보다는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촉진하는 안내자, 상담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AI와의 협업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교사의 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인의 적성과 흥미, 진로⋅직업과 관련된 개인화 교육 과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모든 구성원이 교육과정 설계의 주체가 되는 다중심성 교육과정 생성ㆍ공유 체제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AI 디지털 교과서 및 AI 디지털 교과 서와 연계한 AI 맞춤형 교수학습 플랫폼 구축 등 디지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에듀테크 기반 교수⋅ 학습 방법의 교육적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교육 현장과의 소통 및 지속적 연구와 지원 이 필요하다. 넷째, 디지털 기술의 혁신적 발전으로 학습분석의 적용 범위가 확장되고 개인 맞춤형 평 가의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개별 학생의 전인적 성장 지원을 위한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 등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한 실제적 맥락에 기반한 수행평가와 게임이 재조명되고 있어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AI 기반 평가 체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생성형 AI 등장에 따른 교육평가의 패러다임 변화와 교수학습 및 학생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살펴 봄으로써, 교육 현장에 평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trends and future challenges in response to the era of generative AI for education,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paradigm shift in educational assessment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as generative AI becomes more prevalent, the role of teachers is poised to shift from being mere knowledge transmitters to becoming guides and counselors, actively fostering the holistic development of students.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teacher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is anticipated to witness a substantial rise. Second, as the demand for personalized education-based on individual aptitude, interests, career paths, and vocational relevance grow,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and shared system for creating and sharing a multi-perspective curriculum that involve all stakeholders in the school curriculum. Third, the digitiz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such as AI digital textbooks and AI-integrated personalized teaching platforms, is accelerating. Therefore, ongoing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continuous research, and support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technology-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urth,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there has been a renewed focus on ability-referenced assessments, growth-referenced assessments, and performance assessments and games based on real-world contexts. This requires research into AI-based assessment system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paradigm shift in educational assessment and its influence on instructional methods and student evaluations in the era of generative AI,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new perspectives and insights into assess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대학평가인증제 평가기준의 타당성 검토

        곽진숙(Jin-Sook Kwa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공학교육인증제와 경영교육인증제를 중심으로 그 평가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한 연구다. 타당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되지만, 특별히 교육프로그램 평가의 메타평가 기준 중 교육본위성 준거에 따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교육주체의 교육지향성, 교육방법의 적절성, 교육환경의 충실성, 교육성과의 본질성이 그 하위준거다. 인증실무경험자인 각 5개 공과대학, 경영대학 소속교수 10인, 5인과의 인터뷰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두 인증제는 교육주체가 현재의 교육에 만족하지 않고 개선하도록 권장하지만 시스템 구축에 더 초점이 있어 만족도를 확인하거나 향상시키게 하는 면은 자극을 제공하는 정도다. 교육방법의 적절성은 교수-학생의 역동적 상호작용, 학습과정에 관한 충실한 모니터링의 면에서 긍정적이지만, 학생수준에 맞는 교육방법과 매체 활용, 개인별 속도, 스타일에 따른 학습경험 제공에 관해서는 부정적이다. 단계적, 순차적 학습경험의 배열은 공학 분야에서는 이수체계의 강조로 높은 관심을 보이나, 경영학에서는 주된 관심사가 아니다. 교육환경의 충실성은 확인하기는 하나 향후 현황보다 개선방향에 관한 관심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교육성과의 본질성은 학생 자신의 교육성과를 평가하거나 교수의 교육전문성 신장을 확인하게 하지만, 교육활동에 관한 긍정적 태도 확인은 취약해 교육평가 분야에서 이 기준에 관련한 구체적인 평가방법 등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s of two programs: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mong the various meta-evaluation criteria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s for the education programs, we chose here the education-centered criteria. This includes the education-directivity, properness of the education method, perfec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bstantial product of the education, as its sub-criteria. The basic research materials consist of the interview data for 10 professors from the 5 colleges of engineering and 5 professors from the 5 colleges of business who have experience in the working group for the accreditation. It was observed that both of the programs promote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But more emphasis are laid on the construc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comparatively, the enhancement of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of the education were taken care of on the level of providing certain stimulation. On the properness of the education method: they have positive aspects on the interaction of the professors and student, monitoring on the education procedure, while also they have negative aspects on the education method proper to the students' level, usage of medium, progress for each individual, provid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 with appropriate style. On the arrangement of the phased educational experience: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has much interest in the completion of the courses, while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doesn'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cholarly area. On the perfec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y are checking the present situation, but it is required to advance into the improvement. On the substantial product of the education: They are running the self-evaluating programs for students and they are checking the education-expertise of the professors. But we found certain weak points on the checking the professors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later studies on the education accreditation, it is required to provide concrete accreditation methods for the standards on this aspect.

      • KCI등재

        공무원 교육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안 및 평가도구 개발 - 서울시공무원교육원에서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선미(Jin sun mi),정은정(Jung eun j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5 교육평가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적이고 수행향상에 밀접한 평가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평가시기, 평가수준, 평가영역 및 평가방법 차원에서 평가를 고찰하여 공무원교육의 평가방안을 모색하고, 평가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평가의 목적에 따라 평가시기는 학습 전, 중, 후로 나누어 보았다. 평가영역은 수행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식, 스킬, 태도/가치로 구분하였다. 평가방법은 평가가 이루어지는 형태별로 시험, 행동, 보고서형태로 분류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공무원교육결과를 평가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제해결능력향상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평가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토대로 평가시기에 따른 평가도구(진단평가도구, 형성평가도구), 평가수준에 따른 평가도구(현업적용도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평가에서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실제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study was about suggesting the evaluation plan that is closely related to realistic performance improvement. The evaluation tool considering the training evaluation and seeking evaluation method of public official was developed when it is evaluated for evaluation term, evaluation level, evaluation fit and evaluation method. The evaluation term is divided as before, middle and after training depending on the object of the evaluation. The evaluation domain is divided as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value that directly influence on performance. The evaluation method is divided as test, performance, report depending on the evaluation. The evaluation plan for training public service is suggested overall as well as the plan of the evaluation that can be practically useful through the course of improving problem solving capability is established. The evaluation tools(diagnostic evaluation tool, formative evaluation tool) and evaluation level for actual work-site application evaluation were developed. This attempt is significant meaningful in that evaluation tool with diverse factors can be useful for appling the course of the training.

      • KCI등재

        산업계 관점의 대학교육에 대한 평가

        김혜숙(Hye-Sook Kim),곽진숙(Jin-Sook Kwak),이재열(Jae-Yeol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금속철강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계 관점에서 대학 교육과정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산업계 전문가, 기업 부서장, 졸업생 등이 대학의 교육과정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에 근거하여 일치도를 분석하고, 졸업생이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직무 수행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기업 부서장이 대학 교육과정의 성과인 각 대학의 졸업생의 역량을 직접 평가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산업계에서는 각 대학에 요구하는 교육과정은 교양 26.38%, 전공 41.33%가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생의 교과목 중요도 평가 결과, 교양에서는 외국어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교과에 대해서 별로 유용하지 않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서장들은 졸업생의 직무 역량에 대해서 전문 직무역량(3.32)을 일반 직무역량(3.41)보다 낮게 평가 하였다. 특히, 부서장과 졸업생 주관식 응답에 대한 분석 결과, 각 주체가 대학 교육과정에 대해 요구하는 역량에 있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역량 중심의 대학 교육에 대한 평가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사례를 통해 대학교육에 관한 평가주체의 다양성과 그 평가결과의 차이를 인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고, 향후 대학평가 분야가 탐구해 나갈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on the perspective of industry using a case of steel and metal engineering education. With analysis of the degree of the agreement based on the requirements of the industry, the paper covers the evaluation of the graduates on the applicability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of the chiefs in each company on the ability of the graduates which is the result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We could conclude firstly that the curriculum suggested by the industry actually matched the university curriculum by 26.38% and 41.33% for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respectively. The graduates did not highly rated that the university curriculum are important in doing their vocational duties except the foreign languages among the liberal arts. Secondly, the chiefs rated the professional competency (3.32) less than the general competency (3.41) for the graduates of each company. In particular, it turned out that the graduates and the chiefs have different degree on the requirements for vocational performance. This may suggest further detailed discussion on how to evaluate the university education centered at the competence. In this study, we pointed out the necessity on the evaluation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the evaluators and the evaluation results, and suggested several issues for the further study in the field of the university evaluation.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 2주기 평가 모형 분석과 과제

        권순달(Soon-Dal, Kw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2

        교원양성기관들은 2010년 시행 예정인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교원양성기관 중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대학원이 2주기 평가 결과와 함께 향후 도입될 3주기 평가에 관심이 높다. 그 이유는 특히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를 통해 교원양성 기능을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2주기 평가를 분석하고, 향후 시행될 교원양성기관 평가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주기 교육대학원 평가를 일반적인 평가 설계에 따라 평가 방향, 평가 영역(준거), 평가 방법 및 절차, 평가 결과 및 활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틀을 가지고 30문항으로 된 설문지를 제작하여 전국 134개 교육대학원에 배부하였으며, 이 중 52개 교육대학원에서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대학원의 평가 방향 즉 평가 목적은 교육대학원 질 향상과 책무성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원칙에서 피 평가기관의 업무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평가 내용에서는 교육여건보다 교육과정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평가 영역과 항목에서 대해서는 정량적 평가 지표보다 정성적 평가 지표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평가 기준을 지나치게 높게 설정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 영역에서 시설보다 교육의 내용과 과정 중심으로 평가 지표를 개발할 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가 방법 및 절차에서 평가 주기는 4년 또는 5년을 선호하고 있으며, 평가단은 상시 전문 인력의 구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평가 결과 및 활용에서도 새로 도입하려는 ‘인정’보다 현재의 4단계를 선호하고 있으며, ‘인정’을 받을 경우 혜택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model for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e have experienced th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wo times for 10 years. Through reviewing the second cycle of the evaluation o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as analyzed critics and the issues. By making an analysis, 30-item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elivered to the 134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n was collected 90 questionnaires. The conclusions based up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 goals and principles of the evaluation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s and accountability. Second,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are very important as evidences in program evaluation. Third, methods and procedures of evaluation are made a revision according as characteristic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urth, outputs of evaluation are opened. And if evaluation standards are satisfied, feedback must be provided powerfully. It is appeared that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want to make profound study for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on and indicators in order to improve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 KCI등재

        교육 프로그램 메타평가 기준 개발

        김성훈(Sung-Hoon Kim),김신영(Shinyoung Kim),서민원(Minwon Seo),양길석(Gilseok Y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질을 제고하는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교육의 질을 보장할 수 있기 위한 메타평가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평가는 평가대상을 조형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교육 프로그램 평가가 타당하고 장기적으로는 교육을 교육답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실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대학평가와 외국의 메타평가기준을 검토하고,교육의 본위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교육평가활동의 특성을 살펴보았다.이 연구에서 제안한 메타평가 기준은 목적부합성,실천적합성,정보정확성,보고충실성,교육본위성 등 5개 평가 준거와 각 준거별 3-4개의 하위준거로 구성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meta-evaluation standards for the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with an aim to enhance the quality of a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which in sequel may secure quality of education. Given that evalua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and shape the process of educational program, we intended to develop meta-evaluation standards to enhance the validity of program evaluation and to promot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long run. For the study, we examined various types of domestic and overseas higher education evaluation standards and reports to draw the standard swhich suited our context, and reviewed the literatures on the fundamental values of education to postulate the meta-evaluation standards which may make such values be taken into account at a program evaluation. The meta-evaluation standards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 of 5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goal-correspondence’, ‘practicality’, ‘accuracy’, ‘report-fidelity’ and ‘education-orientedness’,and each of which has 3-4 subordinate criteria.

      • KCI등재

        교육성과를 포함한 책무성 중심 학교평가 모형 개발 및 적용

        김주후(Juhu Kim),김주아(Jooah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성과를 포함한 학교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 적용 결과를 검토함으로써 학교평가를 통한 학교교육의 책무성 증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성과를 포함한 학교평가모형은 기존 학교평가 모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외국사례 분석, 현장 의견 수렴과정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학교교육의 수준과 질을 체계적으로 진단해 줄 수 있는 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해 구안되었다. 이 평가모형은 자체평가와 방문평가 결과를 결합하되 각 학교가 산출해 낸 교육 성취를 연계하는 모형으로 평가준비/계획, 평가실시/자료수집, 판단/의사결정, 분석/결과활용 등 4단계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새롭게 제안된 학교평가 모형은 경상북도 실업계고 학교평가에 적용되었으며, 그 적용 결과를 평가기획 및 실시, 실업계 학교교육 성과 정의, 성과지표의 결정, 결과보고 및 후속조치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평가모형 적용결과를 바탕으로 책무성 중심 학교평가 모형 개발에 주는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rections enhanc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 by developing a school evaluation model including educational outcomes, and applying the model to actual school evaluation. The school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critical review of preexisting evaluation models, review of foreign examples, and consensus seeking process from the field. This model 따 4 stages: preparation/planning, conducting/data collection, judgment/decision-making, and analysis/utilization of results. Self-evaluation and site-visiting along with analysis of school outcomes were employed. Through this process, a systematic evaluation model diagnosing quality and status of schools was developed. After applying this model to school evaluation of Kyungsang-bookto province, process and results of the evaluation was analyzed in terms of definement of school outcomes, selection of outcome indexes, process of evaluation execution, and results report with follow-up activities. Based upon the results of school evaluation,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accountability-based school evaluation model and suggestions for future task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PISA 2009(PRA와 DRA) 연계를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읽기 성취 특성 분석

        옥현진,송미영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와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연계를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이 읽기 영역에서 보이는 성취 특성을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읽기교육개선과 읽기교육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PISA의 경우에는 인쇄매체 읽기 평가(PRA)와 디지털 읽기 평가(DRA)의 결과를 둘 다 활용하여 NAEA와의 관련성을 살핌으로써 매체 변화에 따른 국어과 읽기 교육과정의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점검해 보았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NAEA와 PISA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이 보인 성취수준에 따라 두 개의 동질집단과 두 개의 이질집단을 구성하여 교육맥락변인과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각 평가 간에 대립적으로 작용하는 교육맥락변인들이 두드러지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결과는 서로 다른 평가 간의 연계를 통해 교육맥락변인이 읽기교육에 작용하는 방식을 보다 더 분명하게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읽기 자료의 다양성 지수와 같이 평가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작용하는 교육맥락변인도 있는 만큼 이러한 변인이 합의하는 바를 읽기교육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이와 유사한 성격을 보이는 교육맥락변인들을 추가적으로 찾아낼 필요도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educational implication for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research by linking the results of National Assessment for Educational Achievement(NAEA) and OECD PISA and the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achievements. Especially including two different reading assessments of PISA, Print Reading Assessment(PRA) and Digital Reading Assessment(DRA),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NAEA, PISA PRA and PISA DRA.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ackgrounds and students' achievement by composing two groups (two homeogenous groups and two heterogenous groups)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achievement and comparing them each other. Even though remarkable variables were not found from this analysis, it could confirm that most of the important educational variables in reading education influence students' reading achievements similarly.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nalysis.

      • KCI등재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 타당화

        김석우,이대용,이승배,서문효진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1차년도 개발된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에 대한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에 개발된 평가지표들의 타당화를 위하여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의 대상은 통합창원시에 근무하는 중학교 교사 200명이었고, 본 조사는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에 근무하는 중학교 교사 227명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평가지표에 대한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이 수행되었다. 예비조사에서 수행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차년도에 개발된 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평가지표들 중 '학부모와 지역인사 등과의 긴밀한 협조 체제 유지'와 '교육성과 점검 및 공유' 등 2개가 삭제되었다. 이러한 요인구조를 가지고 본 조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행한 결과, 최종적으로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들은 4개의 평가준거에 29개의 평가지표들로 구성되었다. 둘째, 개발된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신뢰도 계수 중 알파계수를 확인한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교육과정 평가지표는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by applied CIPP evaluation mode. This study carried out factor analysis to validate them. A pilot and main survey were preformed on middle teachers in Gyeongsang Nam-do and Busan Metropolitan city for their validation. Following are as results: First of all,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done to examine construct validity of theoretically constructed evaluation indicators of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uring the pilot survey, two indicators were deleted and left with 4 criterions and 27 indicators. Anothe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uring the main survey confirmed 4criterions and 27 indicators for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Second, for examining relia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of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alpha coefficient shows a high level of relia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of teaching compe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