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arison of Three, Motion-Resistant MR Sequences on Hepatobiliary Phase for Gadoxetic Acid (Gd-EOB-DTPA)- Enhanced MR Imaging of the Liver

        김두리,이정섭,최국명,김승형,고명주,송병철,이무숙,이경렬,고수연,김봉수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17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21 No.2

        Purpose: To compare three, motion-resistant, T1-weighted MR sequences on the hepatobiliary phase for gadoxetic acid-enhanced MR imaging of the liver.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79 patients underwent gadoxetic acid-enhanced, 3T liver MR imaging. Fifty-nine were examined using a standard protocol, and 20 were examined using a motion-resistant protocol. During the hepatocyte-specific phase, three MR sequences were acquired: 1) gradient recalled echo (GRE) with controlled aliasing in parallel imaging results in higher acceleration (CAIPIRINHA); 2) radial GRE with the interleaved angle-bisection scheme (ILAB); and 3) radial GRE with golden-angle scheme (GA). Two readers independently assessed images with motion artifacts, streaking artifacts, liver-edge sharpness, hepatic vessel clarity, lesion conspicuity, and overall image quality, using a 5-point scale. The images were assessed by measurement of liver signal-to-noise ratio (SNR), and tumor-toliver contrast-to-noise ratio (CNR).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repeated posthoc, paired t-tests with Bonferroni correction and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with Bonferroni correction. Results: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cooperative patients, the results for CAIPIRINHA had significantly higher ratings for streak artifacts, liver-edge sharpness, hepatic vessel clarity, and overall image quality as compared to, radial GRE, (P < 0.016). In the imaging of uncooperative patients, higher scores were recorded for ILAB and GA with respect to all of the qualitative assessments, except for streak artifact, compared with CAIPIRINHA (P < 0.016).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ILAB and GA. For quantitative analysis in uncooperative patients, the mean liver SNR and lesion-to-liver CNR with radial GR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AIPIRINHA (P < 0.016). Conclusion: In uncooperative patients, the use of the radial GRE sequence can improve the image quality compared to GRE imaging with CAIPIRINHA, despite the data acquisition methods used. The GRE imaging with CAIPIRINHA is applicable for patients without breath-holding difficulties.

      • KCI등재

        고상법을 사용한 Li4Ti5O12의 합성공정 중카본블랙 추가를 통한 입자뭉침 억제

        김두리,강상준,홍민영,류지헌 한국전기화학회 2016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9 No.3

        Li4Ti5O12는 우수한 사이클 특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지니고 있으며 급속충전 및 고출력 특성을지닌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이다. 고상법을 통한 Li4Ti5O12의 합성 중에 발생하는 입자간의 뭉침을 억제하기 위하여, 원료인 TiO2와 Li2CO3에 카본블랙을 소량 첨가하여 합성을 진행하였다. 원재료 대비하여 카본블랙을 각각 0, 0.5, 1.0, 및 3.0 질량%로 추가하여 고상법으로Li4Ti5O12를 합성하였으며, 얻어진 각 분말의 탭밀도와 분급속도를 비교하였다. 카본블랙의 함량이증가함에 따라 입자의 뭉침이 감소하여 탭밀도가 감소하였으며, 카본블랙을 1.0 질량% 사용한경우에 가장 빠르게 분급이 진행되었다. 또한, 카본블랙의 사용량에 무관하게 전기화학적 속도특성에서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1.0 질량%의 카본블랙의 추가를 통하여 성능의 손실없이 분말의 제조속도를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고상법을 사용한 Li<sub>4</sub>Ti<sub>5</sub>O<sub>12</sub>의 합성공정 중 카본블랙 추가를 통한 입자뭉침 억제

        김두리,강상준,홍민영,류지헌,Kim, Duri,Kang, Sang June,Hong, Min Young,Ryu, Ji Heon 한국전기화학회 2016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9 No.3

        $Li_4Ti_5O_{12}$는 우수한 사이클 특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지니고 있으며 급속충전 및 고출력 특성을 지닌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이다. 고상법을 통한 $Li_4Ti_5O_{12}$의 합성 중에 발생하는 입자간의 뭉침을 억제하기 위하여, 원료인 $TiO_2$와 $Li_2CO_3$에 카본블랙을 소량 첨가하여 합성을 진행하였다. 원재료 대비하여 카본블랙을 각각 0, 0.5, 1.0, 및 3.0 질량%로 추가하여 고상법으로 $Li_4Ti_5O_{12}$를 합성하였으며, 얻어진 각 분말의 탭밀도와 분급속도를 비교하였다. 카본블랙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의 뭉침이 감소하여 탭밀도가 감소하였으며, 카본블랙을 1.0 질량% 사용한 경우에 가장 빠르게 분급이 진행되었다. 또한, 카본블랙의 사용량에 무관하게 전기화학적 속도특성에서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1.0 질량%의 카본블랙의 추가를 통하여 성능의 손실없이 분말의 제조속도를 높일 수 있다. $Li_4Ti_5O_{12}$ is prepared through a solid-state reaction between anatase $TiO_2$ and $Li_2CO_3$ for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in quick-charging lithium-ion batteries. The small amount of carbon black (0, 0.5, 1.0, and 3.0 wt%) is added for the reduction of powder agglomeration during heat-treatment. As the amount of the added carbon black increases, the tap density of $Li_4Ti_5O_{12}$ powder gradually decreases. Furthermore, the $Li_4Ti_5O_{12}$ powder prepared with 1.0 wt% of carbon black shows the highest sieved fraction at the powder classification by 325 mesh standard sieve. The $Li_4Ti_5O_{12}$ powders with various contents of carbon black are almost same at the rate capability for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s in lithium-ion batteries.

      • KCI등재

        생체신호 기반 가상현실 스마트 멘탈케어 프로그램이 중⋅고령자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두리,박종환,임현주,이연화,문은수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4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유망한 치료도구인 VR을 활용한 생체신호 기반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를 제공하여 우울과 불안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1년 4월부터 12월까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지역사회 정신건강 복지센터 및 사회복지시설을 이용하는 50대 이상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생체신호 기반 가상현실 스마트 멘탈케어 프로그램을 1일 1회 30분씩, 주 2회, 총12주(24회기)를 실시하였다. 총 46명을 대상으로 중재 전⋅후 우울증 선별척도(Patient Health Questionnaire 9-item scale), 범불안장애척도(Generalized Anxiety Disorder 7-item scale), 지각된 스트레스척도(Perceived Stress Scale), 삶의 질(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 결과 스마트 멘탈케어 프로그램은 우울 및 불안 증상을 감소시키며(p<0.01), 삶의 질 향상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결론: 생체신호 기반 가상현실 스마트 멘탈케어 프로그램은 게임 기반의 즐거운 활동으로 삶의 질 저하와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중⋅고령자의 정신건강을 관리하는데 흥미로우며 안전하고 쉽게 접근 가능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써 우울과 불안 증상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핸드 트래킹을 활용한 비접촉식 인터페이스 기반 VR 콘텐츠 개발- 인체치료게임 <Robot Doctor VR>

        김두리,이다연,나정조 한국영상학회 202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0 No.1

        While VR content is gaining in popularity as a result of the COVID-19 epidemic, the demand for VR material has also grown. Nevertheless, the amount of diverse content available to satisfy users is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planned and developed gesture-based content to pique users' interest in virtual reality and to demonstrate the range of VR content. The industry is currently generating gesture-based content in response to the growing need for new types of content. Meta Oculus incorporates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y into its virtual reality headsets and promotes gesture-based content on its website.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features in this study that enable the generation and execution of content using a gesture-based interface. The device was made utilizing the Oculus Quest2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Unity game engine. C# and JSON were used as the major programming languages, and modeling and texturing were carried out using Autodesk's 3ds MAX and Blender. 'Robot Doctor VR' is a virtual reality game in which the user manipulates the organs of the human body with their own hands while wearing a head-mounted display. With conversion into a nanorobot, the process of assessing and repairing damaged organs in the human body will be gamified, providing users with an entirely new experience. 'Robot Doctor VR,' which was created to boost user immersion and present new material, aims to develop more realistic graphic content in the future to enable investigations of a wider variety of human organs. Additionally, moving to multiplayer via gesture detection will result in increased content diversity through user participation. 코로나19로 인해 VR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VR 콘텐츠의 수요는 증가하였으나, 사용자들을 만족시킬 만한 다양한 콘텐츠의 제작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VR 콘텐츠의 다양성과 사용자들의 호기심 충족을 위한 제스처 기반의 콘텐츠를 기획, 개발하였다. 새로운 형식의 콘텐츠를 찾는 사용자가 증가하게 되면서 산업계에서도 제스처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Meta Oculus에서는 제스처 인식 기술을 VR 기기에 탑재하였으며 이를 활용하는 콘텐츠들을 웹사이트에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고,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디바이스는 제스처 인식 기술이 제공되는 Oculus Quest2를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Unity 게임엔진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주언어로는 C#, JSON을 사용했으며, Autodesk 사의 3ds MAX, Blender를 사용하여 모델링 및 텍스처링을 진행했다. ‘Robot Doctor VR'은 HMD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신의 손으로 직접 조작하며 인체의 기관을 치료하는 게임이다. 나노로봇이 되어 인체 내에서 병에 걸린 장기들의 모습을 살펴보고 치료하는 과정을 게임화하여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사용자의 몰입감 증진과 새로운 콘텐츠의 제시로 개발된 ‘Robot Doctor VR’은 추후 더욱 다양한 신체기관의 탐색을 위하여 현실감 높은 그래픽 콘텐츠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제스처 인식을 통한 멀티플레이어로의 확장은 유저들 간의 협업을 통한 콘텐츠의 다양화를 가져오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경부 둔상 후 발생한 이글 증후군 1예

        김두리,최용석,김준현,조정해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4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7 No.6

        Eagle’s syndrome has various symptoms at cervico-facial lesion.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Eagle’s syndrome that developed after a blunt neck trauma. A 51-year-old man presented with a click sound when he turned his head to the right. The symptom had developed after a traffic accident that occurred 2 months ago.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a long styloid process that was easily palpable and burging out into the right tonsillar fossa. Radiologic examination did not reveal any presence of fracture on stylohyoid complex including stylohyoid ligament. We underwent a transoral resection of styloid process and released a stylohyoid ligament. The patient immediately experienced a relief of the symptom following the operation. It might be elucidated that the patient had an elongated styloid process and that the neck trauma had developed due to the dislocation or pseudoarticulation between stylohyoid ligament and the hyoid bone. Transoral resection of styloid process released pseudoarticulation and relieved the symptom.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4;57(6):400-2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사태를 통한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감염관리 개선 방향

        김두리,이미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20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Vol.29 No.3

        Purpose: COVID-19 infections have been erupting in places of worship,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call centers in Korea since January 2020. This study aims to diagnose and present an infection control system solution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where at-risk elderly individuals are actively engaged in communal life. Methods: W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es of infection control systems betwee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medical institutions respective of relevant laws and this study’s evaluation system. Results: To prepare for future infectious disea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ng-term care facility infection control system and strengthen the standards thereof, to strengthen long-term care facility evaluation standards and to newly establish medical charges for infection control. Conclusion: Systematic procedure fortification and financial support provisions are necessary for infection control at long-term care faciliti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두리,임효남,김진일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3

        셀프리더십은 조직과 개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간호대학생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로 D시에 소재한 일개 간호대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창의성(r=.546, p <.001), 자기주장(r=.217, p =.004) 및 자아존중감(r=.258, p =.001) 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β=.212, p =.001), 학년 (β=.123, p =.060), 대인관계 ‘매우 좋음’(β=.327, p =.007), ‘좋음’(β=.395, p =.023), ‘보통’(β=.328, p =.040), 창의성 (β =.578, p <.001) 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셀프리더십에 대한 설명력은 35.5%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 십 향상을 위해서 창의성 및 대인관계를 포함한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Self-leadership is a positive factor for the organization and individuals, and it is a necessary competency for nursing student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self-leadership. 173 nursing students in D c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reativity (r=.546, p <.001), self-assertion (r=.217, p =.004) and self-esteem (r=.258, p =.001). In additi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were gender(β=.212, p =.001), grade(β=.123, p =.060), interpersonal relationship ‘very good’(β=.327,p =.007), ‘good’(β=.395, p =.023), ‘moderate’ (β=.328, p =.040) and creativity(β=.578, p <.001). Explanatory power was 35.5%. It is noteworthy to consider creativ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developing strategy to improv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갑상선 전절제술 후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이 발생한 갑상선암 환자의 인삼양영탕을 활용한 한양방 복합 치료 증례 보고 1례

        김두리,이수영,이현승,문병순,윤종민,Kim, Du-ri,Lee, Su-yeong,Lee, Hyun-seung,Moon, Byung-soon,Yun, Jong-min 대한한방내과학회 2018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9 No.4

        Thyroid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cancers in Korea, and thyroidectomy is the first-line treatment. Hypoparathyroidism is a common complication of thyroidectomy and can cause symptoms such as numbness, spasm, and anxiety, but these issues have seldom been reported in the Korean medical literature. The present case was a 53-year-old thyroid cancer patient who complained of numbness caused by hypoparathyroidism, general weakness, fatigue, and postoperative pain after total thyroidectomy.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herbal medicine, acupuncture, cupping, and moxibustion, and her changes in clinical symptoms were measured with a numeric rating scale (NRS), the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scale (KPS), and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C30). After treatment, her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leading to an improvement in her quality of life. Therefore, Korean medicine may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thyroid cancer patients who experience numbness caused by hypoparathyroidism, general weakness and fatigue after total thyroidectomy.

      • KCI등재

        독거노인의 심리적 외로움 경험분석 : 포커스그룹 면담

        김두리,강경희,이병임,김광환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독거노인의 외로움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기 위한 포커스그룹 면담을 적용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D시 노인복지관을 방문하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28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 상자는 28명의 대상자를 5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 당 50-70분의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연구참여 자발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 ‘피할 수 없는 쓸쓸함’, ‘어쩔 수 없는 죽음’, ‘내 삶의 수용’ 인 3개의 주제모음과 ‘배우자 의 부재’, ‘자녀를 위한 독립’, ‘주변인(친구)의 죽음’, ‘홀로 남겨진 죽음의 두려움’, ‘내려놓기’, ‘내 건강 챙기기’, ‘나만의 방식 으로 외로움 달래기’ 의 7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독거노인 연구대상자들은 어쩔 수 없는 외로움에 대해서 표현하였고, 스스로 외로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도 표현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독거노인의 심리적 외로움 극 복을 위한 다양한 방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loneliness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using the result of focus group interviews.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28 subjects in the Senior Welfare Center of D city. For the purpose, 28 persons were divided into 5 groups,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each group for 50-70 minutes. and the voluntary character of research participation was sufficiently explain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ree topic collections consisting of ‘Unavoidable lonesomeness’, ‘Inevitable death’, and ‘Acceptance of my life’ and seven subjects, which consist of ‘Absence of spouse’, ‘Independence for children’, ‘Death of neighbor (friend)’, ‘Fear of death left alone’, ‘Laying down’, ‘Taking care of my health’, and ‘Soothing loneliness in my own way’, were derived. The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expressed their feeling of unavoidable loneliness and their effort to overcome the lonelin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diverse plans to overcome psychological loneliness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ll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