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개정 정보통신단체표준(TTAS) 요약

        윤종민,정지은,김선,유성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0 TTA저널 Vol.67 No.-

        정보통신표준화운영규정 제8조(의결), 제9조(투표단위), 제10조(우편투표), 제35조(표준의 채택 등)와 정보통신표준화지침 제6조(표준안의 검토 및 심의)에 의거한 제16차 정보통신표준총회(`99. 12. 8)가 개최되어 62건의 정보통신단체표준(TTAS)이 제정되고 1건이 개정되었다. 이번에 제/개정된 63건의 단체표준은 시험인증분야 4건, 서비스 및 단말분야 5건, 통신망분야 16건, 전파통신분야 1건, 정보화분야 14건, 데이터분야 6건, 정보통신S/W분야 17건으로 새로이 제/개정된 단체표준 중 일부표준을 선정하여 표준내용을 요약$\cdot$소개한다.

      • KCI등재

        지역주도의 지역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법제 정비방안

        윤종민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2 江原法學 Vol.68 No.-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ans of national survival that can prevent the disappearance of the regions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the collapse of the metropolitan area caused by it, beyond the level of realizing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at the regional level.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system played a role in promoting regional development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y creating future industries in the region. However, today, it is an important national policy that promotes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 by creating high-quality jobs in the region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by solving social problems such as population decline that the region is facing so that individual regions can develop autonomously. In order to promote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suitable for the changed times and environment, it is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to prepare the legal system basis so that the state and each local government can jointly establish and promote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ies. The current legal system of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has certain limitations,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oriented policy promotion system, fragmentary regulations on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 difficulty of implementi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s a means of solving complex problems in the local community, and so needs to be improved progressively. In reorganizing the legal system of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t is desirable to enact a new independent law rather than partially amending the current related laws. In enacting an independent law, a legislative bill that can systematically reflect the following matters should be prepared that regional-oriented transformation of the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promotion system, securing financial means to support the continuous and stable implementation of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ies, preparing a support system to rapidly expand the region’s ow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base and capacity, and operation system of an organization in charge of professional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ies, etc.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은 국가의 과학기술 혁신을 단순히 지역 단위에서 실현하는 것을 넘어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의 소멸과 이로 인해 초래될 수도권의 붕괴를 막을 수 있는 중요한 국가 존립의 수단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즉 오늘날의 지역과학기술 혁신은 과거와 같이 과학기술 진흥을 통해 지역개발을 촉진하고 지역의 미래 산업을 창출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정책수단을 넘어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지역의 고급 일자리를 만들고 나아가 지역이 당면한 인구감소 등의 사회문제들을 적극 해결하여 개별 지역이 자생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중요한 국가정책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동안 지역과학기술 혁신정책은 중앙정부가 시행하는 국가과학기술 정책의 한 분야 내지 부속 정책으로 취급하여 추진되어 왔음을 부인하기 어렵고, 각 지역이 중심이 되고 개별 지역의 산업 및 사회적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독립적인 정책으로 수립하여 추진하도록 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이나 이를 위한 거버넌스 개편 등의 시스템 정비가 미흡하였다. 이에 변화된 시대와 환경에 적합한 지역과학기술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지역주도의 지역과학기술 혁신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할 수 있는 법제도 기반을 정비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행 지역과학기술 혁신법제는 중앙정부 중심의 정책추진체계, 지역과학기술 혁신에 관한 단편적인 규정, 지역사회의 복합적인 문제해결수단으로서의 과학기술 정책추진의 곤란성 등 일정한 한계를 보이고 있어 이를 발전적으로 새롭게 정비할 필요가 있다. 지역과학기술 혁신법제를 정비함에 있어서는 현행 관련 법률을 부분적으로 개정하기 보다는 새로운 독립 법률로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립 법률을 제정함에 있어서는 지역과학기술 혁신정책 추진체계의 지역중심 전환, 지역과학기술 혁신정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재정수단의 확보, 지역의 자체적인 과학기술 기반과 역량을 조속히 확충할 수 있는 지원체계 마련, 지역과학기술 혁신정책의 전문적인 수립과 집행을 담당하는 전담조직과 기구의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이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입법 추진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 KCI등재

        Endosonographic Features of Gastric Schwannoma: A Single Center Experience

        윤종민,김광하,박도윤,신나리,안상정,박철홍,이진성,이기조,이봉은,송근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6 Clinical Endoscopy Vol.49 No.6

        Background/Aims: Gastric schwannomas are rare benign mesenchymal tumors that are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othermesenchymal tumors with malignant potential, such as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findings of gastric schwannomas via 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EUS findings of 27 gastric schwannoma cases that underwent surgical excision at Pusan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2007 to 2014. Results: Gastric schwannomas were mainly located in the middle third of the stomach with a mean tumor size of 32 mm. All lesionsexhibited hypoechoic echogenicity, and 24 lesions (88.9%) exhibited heterogeneous echogenicity. Seventeen lesions (63.0%) exhibiteddecreased echogenicity compared to the normal proper muscle layer. Distinct borders were observed in 24 lesions (88.9%), lobulatedmargins were observed in six lesions (22.2%), and marginal haloes were observed in 24 lesions (88.9%). Hyperechogenic spots wereobserved in 21 lesions (77.8%), calcifications were observed in one lesion (3.7%), and cystic changes were observed in two lesions (7.4%). Conclusions: During EUS, gastric schwannomas appear as heterogeneously hypoechoic lesions with decreased echogenicity comparedto the normal proper muscle layer. These features may be helpful for differentiating gastric schwannomas from other mesenchymaltumors.

      • KCI등재

        인공지능(AI) 창작물의 저작권관계 정립 방향

        윤종민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3 江原法學 Vol.73 No.-

        생성형 인공지능인 챗GPT가 공개된 이후 인공지능을 둘러싼 법률문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저작권분야에 있어서도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이 일반에게 널리 공개‧유통되고 인공지능으로 인한 저작권 침해 문제가 현실화되면서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을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다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소위 인공지능과 관계된 저작권 논쟁이다. 이 글에서는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에 대한 권리‧의무의 귀속 등 저작권관계에 관한 그동안의 논의들을 분석‧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산업의 원활한 발전과 인공지능 창작물의 효과적인 보호 및 활용체계 구축 등 인공지능과 저작권법의 적용관계를 조화롭게 운영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그동안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에 대한 권리관계는 인간 중심의 저작권법원리에 입각한 법해석론적인 견해와 입장으로 인하여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였는바 인공지능 창작물의 효과적인 보호와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인 저작권제도의 정립을 위한 보다 실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상황에서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을 둘러싼 다양한 법률문제에 원활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법리적 해석에 의한 접근보다는 입법정책적인 결단을 통해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즉, 현행 저작권법제도의 운영원리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인공지능 창작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한편 그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법률문제를 원활히 해결하기 위해 저작권법의 발전적이고 보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관계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을 저작권법상의 저작물로 포섭하여 법적인 보호대상으로 하고, 해당 저작물에 대한 권리의 귀속 및 배분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며, 인공지능의 저작물 창작 및 서비스 등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저작권 침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권리구제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Since the release of ChatGPT, a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est in legal issues surrou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ield of copyright, as work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re widely disclosed and distributed to the public and copyright infringement problem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e a reality, the problem of how to treat works cre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s emerging as an issue again. This is a copyright controversy related to so-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is article, we analyze and evaluate the current discussions on copyright relations, including the attribution of rights and obligations for work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find ways to harmoniously op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pyright law for establishing a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and the effectiv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So far, the rights relationship for work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has not been properly responded to due to legal interpretation views and positions based on human oriented copyright legal principles.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ive protection an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a more practical efforts are needed to establish copyright system future-oriented. In the current situation, in order to smoothly respond to various legal issues surrounding work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t seems desirable to reorganize laws and systems through legislative policy decisions rather than an approach based on legal interpret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protect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and smoothly resolve various legal problems arising therefro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lement the copyright law while maint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s of the current human oriented copyright law system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establish the copyright relationship of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the works cre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must be included as works under the Copyright Act and be subject to legal protection, the ownership and distribution of rights to the works must be appropriately established, and the rights relief system must be in place to resolve copyright infringement issues raised in relation to the creation and service of works by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학교기업 제도의 현황과 발전과제

        윤종민 한국경영법률학회 2008 經營法律 Vol.18 No.2

        Recently, the importance and interest on School-Based-Enterprises that is useful instrument promoting the work-based-learning and building fund needed in managing university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ies are gradually increased. By the way, in spite of enacting the laws and ordinances and operating the various system related to School-Based-Enterprises,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search about that are insufficient. Especially the research on comparative analysis, problems and improvement devices of School-Based-Enterprises in the legal side are not found.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legal problems and present the development method of School-Based-Enterprises, by closing examination on the legal regulation system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at. For the purpose, first generally survey the meaning and developing process, secondly examine the kinds of types and regulating principles in existing legal system, thirdly analyze and estimate the executing situation, and lastly study the developing strategy for the activating of School-Based-Enterprises. In this result, the following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example, reduction of governmental regulation, more support in finance and taxation, settlement of evaluation system on commercializing technology in substance, building the user protection system of manufactured goods and services, are needed in the School-Based-Enterprises development.

      • KCI등재

        국가연구개발 저작물 관리의 법적 고찰

        윤종민 한국지식재산학회 2010 産業財産權 Vol.- No.33

        In oder to make technology innovation and information exploi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national S&T information system for management and use of knowledge information come from national R&D programs. The research works such as R&D report and scientific treatise are very important public resources, and at the same time, creative products of researcher participating in R&D project. Therefore, as we establish the S&T information service system, we should protect the rights of producer of that research works on copyright law. In this paper, the legal issues and knowledge information management schemes about national R&D works are analyzed, and some improvement matters are suggested in establishing the national S&T information system efficiently.

      • KCI등재
      • SPR 카메라 시스템을 활용한 실험실 환경 내 항공기 주익 변형 측정

        윤종민,한재흥,이윤규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구조물 변형 측정에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레이저 변위 센서, 가속도계, strain gauge, FBG (fiber bragg grating) 센서와 같은 여러 센서들과 비교하여, 스테레오 카메라와 SPR (Stereo pattern recognition) 기법을 활용한 반사 마커는 변위 계산이 직접적이고 구성이 간단하여 시험의 편의성뿐 아니라 대상 구조물의 구조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SPR 기법을 활용한 반사 마커는, 충분한 측정 정확도가 보장된다면 비행 중 비행체 주익의 변형 측정뿐 아니라 복잡한 구조물의 실험적인 모달 테스트에도 그 활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반사 마커와 스테레오 카메라로 구성된 SPR 카메라 시스템의 마커 크기 및 배치, 스테레오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등의 설계 변수들을 고려하여 설계된 실험 환경에서, SPR 카메라 시스템의 측정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Compared with other conventional sensors for displacement measurement of structure, such as accelerometer, laser displacement sensor, strain gauge, and FBG sensor, SPR camera system which consists of stereo camera set and reflective markers can be chosen as an alternative sensor because not only it do not affects structure characteristics but it is simple. Because of these advantages, provided enough level of measurement accuracy, SPR camera system can be applied to inflight deformation measurement of aircraft main wing or experimental modal test of complicated structure. In this study, measurement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PR camera system with several design parameters such as marker shape and distribution, camera position and orientation are in consid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