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언어 문화 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 활용방안: 비대면 온라인 융합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김세령(Kim Ser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팬데믹(Pandemic) 상황이 끝없이 지속되면서,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일반적이었던 한국어교재 중심의 대면 교육을 온라인 기반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융합 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 언어 문화 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의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뉴노멀 시대, 한국어 교육에서도 코로나 이전의 교육을 넘어 새로운 기준을 모색하는 교육의혁신이 필요하다. 이에 H대 한국언어문화학과 ‘인공지능 시대의 스마트러닝’ 수업 사례를 통해한국 언어 문화 교육과 스마트러닝, 인공지능을 연계한 융합 교육내용과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학생들과 교수자의 연결과 소통을 높일 수 있었던 원격 수업의 다양한 형태를 모색해 보았다. 한편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 속에서 SMART 기반 교육을 통해 21세기 학습자에게 필요한역량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PBL(프로젝트 기반 학습, 문제 중심 학습)을 통해자기주도성, 연결과 소통,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컴퓨팅 사고 기반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수 있었다. 수업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모든 문항에서 수업 전보다수업 이후에 평균값이 상승하였고, 대부분의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범위에서 수강생들의관련 인식과 역량이 상승하였다. 한 학기 수업이 주요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 대학의 사례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수준이나 목적, 교육환경이 다른 모든 대학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따르지만, 한국 언어 문화 교육과 스마트러닝, 인공지능의 융합 교육이 뉴노멀시대에 어떻게 실천될 수 있을지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유사한 고민을 가지고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기준을 탐색하는 연구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코로나이후 급속한 교육환경 변화 속에 실습 중심의 융합 교육이 비대면으로 갑자기 운영되다 보니교육 인프라 면에서 여러 제약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As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continues, face-to-face education center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s been comm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facing difficulties in transitioning to online-based contactless education. This study thus aimed to present an effective application plan of smart learning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rough a case analysis of contactless online convergence education. In this era of new norm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novate education to seek new standards beyond education before the COVID-19 period. Using the case of “Smart Learning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t H University, the content of convergence education link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mart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examined, and various forms of distance classes that could enhance the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in contactless online classes were explored. Through SMART-based education in the contactless online class environment, this class improved the overall competencies required for twenty-first-century learners. In addition, project-based learning or problem-based learning helped to develop self-direction,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ollabor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To verify the class effectiveness,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In all the questions, the average value increased after each clas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In most of the questions, students perceptions and competences increased with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ange. It was confirmed that one semester’s learning was effective in achieving the main learning goals.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focuses on a specific university; thus, it may not be generalized to all universities with different levels, purpos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Nevertheless, the study may offer practical help to researchers who seek new standard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similar concerns where in-depth research on how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mart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can be practiced in the era of new normal is insufficient. In addition, due to the rapid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fter COVID-19, practice-oriented convergence education was suddenly conducted remotely; therefore, there were several limitations in terms of education infrastructur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 KCI등재후보

        문화융합을 위한 지방학의 가능성-포항의 경우

        김윤규(Kim, Yun-k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3

        이 연구는 문화융합을 위한 다양한 준거 가운데 지역적 특성의 융합이 어떤 방식으로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문화가 생산된 지역적 배경은 그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동일한 소재에 대한 지역적 변화 역시 문화 연구에 불가결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한국문화는 비교적 좁은 국토에서 민족적으로 큰 차이 없이 생산되었지만, 지역을 나누는 산과 강으로 인해 비교적 특수성이 살아 있는 상태로 향유되고 있다. 지난 역사에서는 지방의 면적과 인구분포가 균등하게 이루어져 있었고, 각 지방마다 우수한 지식인들이 자리잡고 있어서 지방 문화가 전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산업화시대로 접어들면서 인구의 편중이 심해지고, 현대에 들어와서는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따라 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문화의 편중도 심해지고 있다. 이렇게 편중된 문화는 한국문화 전체를 빈곤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다양성과 생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현상은, 국토의 균형 발전과 원활한 소통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방학은 한국문화를 풍성하게 하는 유용한 통로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이미 전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한민족 전체를 아우르는 문화로 융합되기 위해서는 전래의 지방학과 함께 세계적 한국학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방학의 한 사례로서의 포항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다. 포항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외래 지식인과 이주 산업인력의 교감을 연구하고 이로 인한 사회변동과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은, 포항이라는 한 지방의 사례를 넘어 한국사회 전체를 조망하는 창구가 될 수 있다. 포항은 전통적인 농어업 사회에서 철강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공업 사회로 이행해가는 과정에서 급속한 인구팽창을 경험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 철강 산업이 퇴조하면서 향후 포항사회의 재편성이 요청되는 상황을 맞았다. 이러한 포항을 세밀히 들여다보는 것이 한국사회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전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문화를 서울 중심으로 일원화하고 한두 가지 성격으로 특화하는 것은 한국문화를 잘 이해하는 방법이 아니다. 각 지방이 각 특성에 따른 문화적 발전을 이루고 그것을 기술하고 특화하여 다양한 문화현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 한국문화를 진정으로 발전시키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nvergence of local characteristics, among various criteria of culture convergence, is possible. Regional background of a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that culture, and regional change of the same matter is also an essential factor in culture studies. Although Korean culture was created without much diversity in relatively small territory, because of mountains and rivers that divide regions, Korean culture passed down with comparative regional specificity. In the past, area and population of all the regions were even and each region evenly had excellent intellects, so local culture of provinces played important role in national culture. However, as industrialization beg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tensified, and today, concentration of culture is also intensifying as population crowded around the capital city, following political and economic profits. Such intensely concentrated culture might impoverish the whole Korean culture. Cultural phenomena that bases on diversity and vitality can only be gained through balanced development of territory and harmonious communication. In that aspect, local studies can be a valuable method to make Korean culture more abundant. Moreover, to converge Korean culture to embrace all the Korean people who are already spread out in the world, international Korean studies should be done along with traditional local studies. Study of Pohang, as a case of local studies, is still in beginning stage. Based on Pohang s identity, studying development potential and social changes caused by communion with foreign intellects and immigrant industrial manpower can further be a window to view the whole Korean society, beyond mere province. Pohang experienced drastic population increase in the process of society change from traditional farming and fishing society to industrial society centered by steel industry. However, as steel industry is declining nowadays, Pohang is facing demand to reorganize its society. Carefully looking into this situation Pohang is at will help understand and prospect the whole Korean society thoroughly. Unifying or classifying Korean culture into one or two characteristics with Seoul being the core is not a great wa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well. A true way to develop Korean culture is to maintain various cultural phenomena by developing, recording and specializing each region s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화장품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에 관한 연구

        황길오,박철주,Hwang, Kil-Ho,Park, Chul-Ju 한국식품보건융합학회 2016 식품보건융합연구 (KJFHC) Vol.2 No.2

        한-중 수교 이래 양 국가는 지리적 근접성을 이용하여 경제, 문화, 무역 등의 방면에서 교류협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해왔다. 중국에서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음악, 댄스, TV드라마 등 대중매체가 인기를 얻게된 '한류' 현상은 역사적으로 한국 문화를 수용해 본적이 없었던 중국인들에게 참신한 경험이었다. 중국 전체 인구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한족과 기후조건 및 문화가 비슷한 한국이 서울 88 올림픽을 치르고 고성장하면서 한국의 TV드라마를 등을 통해 '한류' 열풍으로 무역 및 마케팅 활동의 교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한국 기업들은 한-중 수교를 계기로 중국 시장의 직접 진출을 본격화하였다. 한-중 수교는 중국 시장 진출을 갈망하는 한국 기업에게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주었다. 한국의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교류가 빈번한 산동지역 시장에 대한 성공적 진출을 발판으로 삼아 다른 성, 시, 구, 지역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시장 환경 변화와 더불어 국내외 기업의 대중국 진출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한국 기업의 성공적인 대중국 진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 KCI등재

        한국전쟁 이후 아동 과학소설 전집의 장르문학으로서의 가능성 연구- 해동출판사와 아이디어 회관 전집을 중심으로 -

        이주성(Lee Ju-Seong),모희준(Moo Hee-jun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한국 현대소설 가운데 과학소설은 문학의 서브 장르 정도로 취급되어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현재도 그 연구가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과학소설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가장 큰 이유로는 과학소설이 한국 문학에서 일종의 하위 장르(Sub Genre)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는 과학소설이 대중문학이라는 범주 안에서, 그 중에서도 특히 아동이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국에서 발전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장르의 소설들과는 달리, 과학소설은 작가들이 창작한 소설이나, 해외의 과학소설들을 소개할만한 지면이 여의치 않았다. 무엇보다 창작과학소설을 쓸 수 있는 작가들이 한정되어 있었고, 그래서 일반적으로 과학 잡지에는 한 편의 창작과학소설과 두 세 편의 번역 소설들을 싣는 형식으로 구성이 되었다. 따라서 이 무렵 전집류의 등장은 과학소설사에 있어 의미심장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독자적인 단행본의 형태로 출간이 어려웠던 당시의 상황에서, 잡지 이외에 창작 과학소설을 대중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방법은 다른 나라의 번역된 과학소설과 함께 전집에 포함시키는 방법 밖에는 없었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전쟁이 끝난 이후, 정부에서는 제도적으로 과학교육을 육성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이는 냉전시기 이후 헤게모니를 장악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역할이 지대하며, 막 전쟁이 끝나 국가재건의 상태에 놓여있던 한국도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 것은 당연하였고, 과학 잡지 및 세계의 과학소설을 모아 놓은 전집의 출판은 이러한 과학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일환이었다. 본 연구는 한국전쟁 이후 출간되어 1970년대 번성했던 과학소설전집들을 대상으로 과학소설이 한국의 문학장르사에서 어떤 역할을 가지고 있었으며, 현대에 이르러 SF소설이라는 하나의 문학 장르로서 발전하기 까지 어떤 가능성을 지니고 있었는지에 대한 탐구이다. 근래 들어 과학소설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이나마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록 독자층의 한계가 있었지만 과학소설이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과학소설 전집의 보급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한국 SF작가협회’는 기존의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계몽성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사실상 한국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순수 과학소설 동호회 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이면에는 해동출판사와 아이디어 회관에서 출간된 과학소설전집들의 역할도 있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Among Korean modern novels, science fiction is treated as a sub-genre of literature, and sufficient research has not been done yet. Science fic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kind of sub genre in Korean literature because science fic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popular genre in the field of popular literature, It is because it developed in Korea. Unlike other genres of novels, science fiction was not enough to introduce novels created by writers or science fiction abroad. Above all, there were a limited number of writers who could use creative science novels, so science magazines generally consisted of one creative science novel and two or three translation novels. Therefore, the appearance of the whole collection at this time is a meaningful part of science fiction. In the context of the time when it was difficult to publish in the form of independent monographs, the only way to introduce creative science fiction to the public in addition to magazines was to include them in the collection along with translated science fiction from other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government has attempted to foster scientific education systematically. It is obvious that the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controlling the hegemony after the Cold War was great, and Korea, which had been in the state of reconstruction after the end of the war, fel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a part of this publication to go to such a scientific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cience fiction in Korean literary genres and to develop the literary genre of science fiction. It is a quest for what you have. In recent years, research on science fiction has been carried out little by little, and the reason that science fiction has become widely known to the public is due to the spread of the collection of science fiction books, though there is a limit to the readership. In fact, the SF Writers Association of Korea was one of the first pure science fiction groups in Korea, which was one step further from the enlightenment for the existing children and youth, and behind it was published in Haedong Publishing House and Idea Hall You can see that there was also the role of science fiction books.

      • KCI등재

        하이브리드 러닝을 이용한 <한국어교육실습> 수업 사례 연구 : 비대면 해외 강의실습을 중심으로

        문혜영(Mun Hyeyoung),이효진(Lee Hyojin),정하길(Jung Hagil),한은수(Han Eunsu),정지은(Jung Jie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교육실습> 과목이 가진 한계점을 극복하고 보완하기 위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강의실습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 학기간의 수업 기간 중 ‘비대면 강의실습’에 해당하는 부분의 준비 및 진행 과정을 서술하였다. 또한 수업 후 실시되었던 만족도 조사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과목으로서의 <한국어교육실습>의 방향성에 관해 제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습 기관 부족 및 실습 대체 등으로 인해 진정한 의미의 교육실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를 코로나19로 인해 급부상하고 있는 온라인 수업으로 보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16주 간의 <한국어교육실습> 과정 중 4주 동안 인도네시아 내 I재단과 협업하여 온라인 한국어수업 및 <한국어교육실습>을 동시 진행하였다. 온라인 수업 및 강의실습에서는 지식 전달과 더불어 학생들과의 의사소통 및 활용 단계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해당 과정이 끝난 이후 실시된 만족도 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서기획한 수업이 현지 학생들과 실습에 참여한 수강생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구를 진행하였던 H대학교에서는 온라인 방식의 교육실습이 한국어 예비교원 학생들로 하여금 기존의 방식에서보다더욱 적극적으로 수업에 주도적 역할을 하게끔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대면 형식으로 <한국어교육실습>을 시행하는 방법은 기존의 <한국어교육실습> 수업 방식에서 문제가 되었던 실습 기관 부족이나, 실습을 다른형식의 수업으로 대체하는 사항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현지에 적당한 한국어교육기관이 없어 어려움을겪고 있는 학생이나 교육기관에도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 practicum subj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for Foreigner at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It was conducted Non-face to face and on-linePracticum as well as class of Korean. It is also analyzed a satisfaction survey of the courses. Inthis study, It was been tri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lack of practical institutionsand the replacement of practical training, with online classes which are rapidly rising due toCovid 19. For this reason it was progressed Korean Practicum and Korean class courses at thesame time with cooperation of Indonesian education institution, for 4 weeks. In addition, thisonline class focused on communication and utilization with students as well as knowledge transfer. In the satisfaction survey after the courses, the course has worked positively for both local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It was also found that the online practicum let the students inUniversity play a leading role as teachers more actively than in the existing way. Therefore, it isexpected that implementing Korean education Practicum with flipped-online class could behelpful to the students and also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are struggling with Korean education.

      • KCI등재

        해외거주 비원어민 한국어교사를 위한 한국방문 단기연수 프로그램 연구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Connect to Korean with KNUT” 사례를 중심으로

        박나리(Naree Park),강소영(Soyeong K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본 연구는 해외 현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외국인 교사를 대상으로 국립한국교통대학교에서 실시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커리큘럼을 보이고, 추후의 참가자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교사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인 지식 획득보다 실제 교수법 중심의 커리큘럼, 체험활동 중심의 한국문화 습득, 문법 관련 전문용어나 교수법 관련 전문용어에 대한 선제적 이해 등에 초점화하여 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분석결과, 한국어 교수법 향상, 한국어 능력 신장, 교육 자료의 획득,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구성, 교사 효능감 신장에서 긍정적이었던 반면에 언어영역별 교수법 습득과 한국어 및 한국문화에 대한 경험적, 교수법적 지식 습득, 수업 토의와 자기 수업성찰에서 매우 긍정적인 응답결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한국어 교수 방법 확대, 연수프로그램의 교육과정 보완, 교육 자료 제공에서 보다 강화된 교육이 필요함이 지적되었다. 특히 교수방법, 교육자료, 교육과정에서 긍정과 부정의 응답이 함께 나타나서 이에 대한 외국인 교사들의 관심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식 및 이론 중심의 온라인 교육과 학습자 집단의 학습목적별 교수법에 대한 실제 습득 및 적용 중심의 오프라인 프로그램 간의 연계 운영의 필요, 현지 교사 간 온라인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를 통한 교육자료의 공유와 접근 가능성 제고, 국가적 차원에서의 토픽 관련 교수자료 개발과 보급의 필요, 보다 장기적으로는 외국인 교사의 변인과 요구조사에 따른 맞춤형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실현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sign the curriculum for the retraining program for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from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who are living abroad. Additionally, it aim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program by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in the study. Based upon related prior research, the curriculum for this program emphasized actual teaching methods, acquiring Korean culture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a preunderstanding of grammar-related terminology or pedagogical terminology. The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survey responses revealed that the enhancement of teaching methods,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the design/acquisi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strengthened self-efficacy proved to be highly positive. On the other hand, additional teaching methods and more detailed teaching materials were demanded. In particular,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from participants appeared with respect to teaching methods,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curriculum, which confirms the high level of interest held by foreign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appears to be a need for a linkage between online education focused on knowledge and theory and offline programs centered on actual acquisition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for every learning purpose of the learner group. Additionally, a case could be made for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dissemination and accessibility of localized teaching materials at the national level, including TOPIK related ones. In the long term, the realization of a customized teacher retraining program that meets the variables and needs of foreign teachers is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