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 내담자의 음악치료 경험 인식과 그에 대한 치료사의 인식 차원 비교 연구

        여정윤 淑明女子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33391

        본 연구는 청소년이 음악치료 경험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대하여 치료사는 그들의 경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다음 상호 비교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청소년 내담자와 치료사 각각의 인식 차원을 밝히기 위하여 다차원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활용한 개념도 방법이 사용되었다. 음악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19명의 청소년내담자와 그들의 음악치료사 15명의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진술문을 확보하여, 분류 및 평정과정을 거친 후 개념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청소년 내담자가 인식하는 음악치료 경험은 총 7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치료사-내담자 관계의 친밀함, 통찰과 통합, 자기이해와 희망획득, 몰입의 경험, 삶에 대한 기여, 대인관계의 자기영향력 인식, 수행과 완성). 치료사는 청소년 내담자의 음악치료 경험을 인식함에 있어서 총 8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자기조절의 변화, 타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치료에서의 관계 성장, 표현의 변화: 자기표현과 음악표현, 몰입의 경험, 자기수용, 치료에 대한 신뢰 확립, 긍정적 자아발견). 각각의 집단에서 도출된 차원은 2개로, 청소년 내담자의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인식 차원은 의미경험과정과 요소 차원, 관계외현과 개인내적 차원이었으며, 치료사는 치료개입과정과 효과 차원, 관계외현과 개인내적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동일한 평정진술문에 대해서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개인별 다차원 분석을 실시하여 개인의 인식차원에 특성변인이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았는데, 청소년 내담자는 6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자신과 타인에 대한 인식 변화와 통찰, 음악적 교류, 음악내적 경험, 치료사-내담자 관계의 친밀함, 치료에 대한 신뢰, 자기이해와 희망획득). 또한 치료사는 총 8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자기조절의 변화, 관계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긍정적 자아인식, 치료에 대한 신뢰, 음악내적 관계, 표현의 변화, 치료에서의 관계적 성장, 자기개방). 청소년 내담자와 치료사의 인식차원은 각각 2개의 차원이 나타났는데, 청소년내담자의 2개의 차원은 각각 의미경험과정과 요소차원, 관계외현과 개인내적 차원이었으며, 치료사의 차원은 각각 관계외현과 개인내적 차원, 치료개입과정과 효과 차원으로 밝혀졌다. 가중치 결과에서는 청소년내담자의 경우, 개인치료와 그룹치료, 그리고 치료사의 경우, 치료사의 연령이 차원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내담자가 음악치료의 경험을 치료과정 이후의 기여에까지 확장시켜 인식하고 있으며, 치료사는 치료과정과 효과를 중심으로 내담자의 음악치료 경험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내담자를 위한 보다 효율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며, 청소년 내담자 음악치료 시행에 있어서 틀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adolescence perceives their experience with music therapy and analyze the perceptions of music therapists to mutually compare the perceptions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adolescent clients and music therapists, concept mapping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used. Testimonies were collected from 19 adolescent clients who have had experience with music therapy and 15 music therapists for classification and scaling for concept mapping. In result, adolescent clients' perception of experience with music therapy was classified into 7 groups: intimacy between music therapist and client, insight and integration, self-understanding and achieving hope, the flowing experience, contribution to life, awareness of self-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formance and completion. Music therapists' perception of adolescent clients' experience with music therapy was classified into 8 groups: change in self-control, awareness of others and change in attitude, growth of relationship during therapy, change in expression (self-expression and musical expression), the flowing experience, self-acceptance, trust in therapy, and discovery of positive ego. Two dimensions were derived from each group; the dimension of semantic experience and elements and the dimension of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were derived from the perception of adolescent clients' experience with music therapy. From the perception of music therapist, the dimension of intervention and effectiveness and the dimension of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were derived. Individual Difference Scaling was performed for the same testimonials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examine how character variables influenced each individual's perceptional dimension. In result, six groups were derived for adolescent clients: change and insights in the perception of oneself and others, musical interaction, implicit music experience, intimacy between music therapist and client, trust in therapy, and self-understanding and achieving hope. Also, eight groups were derived for music therapists: change in self-regulation, change in the perception of and attitude in relationship, positive perception of ego, trust in therapy, implicit music experience, change in expression, growth of relationship during therapy, and self-disclosing. The perception of adolescent clients and music therapists had two dimensions each; the two dimensions of adolescent clients were the dimension of process of semantic experience and elements and the dimension of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whereas the two dimensions of music therapists were the dimension of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and the dimension of process and result in therapy. In the weighted results, personal therapy and group therapy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adolescent clients, whereas the age of music therapists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music therapists. This study revealed that adolescent clients expand their experience with music therapy to contribution after the process of therapy and music therapists perceive the clients' experience with music therapy based on the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therapy. In the future,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more efficient music therapy programs for adolescent clients and establish a framework to implement music therapy for adolescent clie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 음악치료가 탈북청소년의 정서발달과 임파워먼트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이은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3391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의 정서발달과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탈북청소년은 재북, 탈북과정에서의 억압이나 외상 같은 다양한 심리적 부담감으로 자신을 건강하게 표현하거나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보인다. 따라서 이들이 정서조절의 기술을 발달하게 하고 내적임 힘을 키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음악은 청소년의 흥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매체이다. 이에 연구자는 정서이론과 임파워먼트 이론을 바탕으로 음악치료 활동을 구성하였다. 대상은 대안학교 재학 중이며 한국에 입국하여 하나원 교육 이후 1년 이상 된 탈북청소년이었으며 주1회 총 12회기 동안 실험집단(26명)은 음악치료 활동을, 통제집단(24명)은 일반 수업을 진행하였다. 음악치료 효과의 확인을 위해 정서발달과 임파워먼트 검사를 사전 사후 시행하였으며 통계처리는 독립표본 t검정, 대응 t검정을 사용하였다. 음악치료에 참여한 탈북청소년은 통제집단보다 정서발달과 임파워먼트에 있어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음악치료가 탈북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며 임파워먼트를 증진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음악치료는 지속해서 증가할 탈북청소년의 건강한 정서발달과 적응을 넘어 미래 통일의 주역으로 성장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emotional development and empowerment of adolescent North Korean regufees, who seem to have a difficult time expressing themselves and regulating their emotions in a healthy manner due to the diverse psychological burdens they suffered back in North Korea and in the defection process including suppression and trauma. It is thus critical to promote their empowerment, which helps to develop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and grow internal power to solve problems. Music is an effective medium to which adolescents can have access through their interest. The investigator devised music therapy activity based on the emotion and empowerment theories. The subjects were adolescent North Korean regufees that were attending an alternative school and spent a year or longer since the education at Hanawon in South Korea. While the experiment group(n=26)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y activity once a week in total 12 sessions, the control group(n=24) received common lesson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powerment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ctivity to check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Independent-sample t-test and paired-sample t-test were carried out for statistical treatment. The adolescent North Korean regufees that participated in music therapy mad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otional development and empower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short,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health growth of adolescent North Korean regufees and demonstrated that music therapy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nhancement of their empowerment. Music therapy will offer important basic data to help adolescent North Korean regufees, whose number will likely continue to grow, become the driving force of unification of two Koreas in the future beyond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and adjustment.

      • 초보 음악치료사의 좌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강시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9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보 음악치료사가 어떠한 좌절을 경험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자는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인 초보 음악치료사 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Giorgi(2009)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후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임상 내⋅외적에서의 좌절 경험’,‘좌절을 대처/극복하기 위한 노력’, ‘좌절 경험이 초보 음악치료사에게 미치는 영향’이라는 총 3개의 구성 요소와 24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초보 음악치료사들은 좌절을 겪으며 좌절에 대처하거나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문치료사로서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자기 탐색과 자기 성찰을 통해 내면적으로도 성장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보 음악치료사의 좌절 경험에 대한 이해를 도와 초보 음악치료사의 수련과 교육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rustration of beginner music therapists.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six beginner music therapist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Giorgi (2009)'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drew the results. The study results yielded a total of three components and 24 subcomponents: ‘In-clinical and External Frustration Experience’, ‘Effections to Defeat/Overcoming Disappointment’ and ‘Effections to novice music therapists’. The beginner music therapists tried to cope with or overcome frustrations through frustration, and through this process, they were able to go one step further and grow as professional therapis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grew internally through self-exploration and self-refle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raining and education of beginner music therapists by helping beginners understand the frustration experience of beginner music therapists.

      • 국내 음악치료사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심리·정서 요인을 중심으로

        김보은 仁濟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3339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사의 심리·정서적 요인에 대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여 음악치료사의 삶과 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수행방법에 따라 논문을 수집하여 포함/배제 기준에 따라 총 42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논문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음악치료사의 경험과 성장이 가장 많은 연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역전이, 소진, 불안, 직무스트레스 순이었다.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류한 결과 음악치료사에 관련된 연구는 2008년 석사 학위논문을 시작으로 2017년에는 박사학위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그 이후로 2018년까지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출판 유형별 분류결과 석사학위논문 19편, 박사학위논문 1편과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는 22편으로 학회지의 비율이 높았다. 음악치료사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연구 22편과 질적 연구 20편이며 연구의 공통적인 결과로 음악치료사의 심리·정서적 요인은 음악치료사로서의 성장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연구의 동향을 알아봄과 동시에 음악치료사의 삶과 임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정서적 요인을 밝히고 앞으로 음악치료사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Systematic reviews on the study of domestic music therapists : Based on the factors of the therapist's psychological emotions Bo-eun KIM (Advisor: Prof, Sung-jin KIM) Department of music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gure out factors influencing music therapist's life and clinic by systemic reviewing psychology·emotion of domestic therapist. Collection of paper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method of systemic literature review, and 42 pap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exclusion criteria. As a result of observ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by factor of all selected papers, music therapist's experience and growth were studied the most, and next frequency ranks are counter-transference, burnout, anxiety and job stress in order. As a result of classify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research of music therapist has been begun since 2008, starting from master's thesis at 2008 to doctor's thesis at 2017, thereafter, a lot of researches has been proceeded steadily. As a result of classifying publishing type, there were 19 master's theses, 1 doctor's thesis and 22 studies published in conferences. When it comes to music therapist study, there were 22 survey researches, 20 qualitative researches. Common result of these researches was that music therapists' psychologic and emotional factors influence on not only their growth as a music therapist but also their personal growth. Thus,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rend of researches of music therapist and at the same time tries to figure out psychologic·emotional factors which have effects on music therapist's life and clinics, and also to provide data base for research of music therapist in the future.

      • GIM심상음악치료에서 음악치료사와 클라이언트가 지각하는 치료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이일경 숙명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33391

        이 연구의 목적은 GIM심상음악치료에서 음악치료사와 클라이언트가 지각하는 작업동맹을 중심으로 치료사의 자기효능감, 치료사의 역전이 관리능력, 치료사와 클라이언트가 지각한 치료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IM심상음악치료사 훈련 3단계 입문 이상인 치료사와 5회기 이상 치료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 클라이언트 총 77쌍(pair)이었으며, 최근 6개월 이내 종결하였거나 현재 진행 중인 사례로 제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치료사의 자기효능감은 치료사가 지각한 치료성과에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며 치료사가 지각하는 작업동맹에 유의한 직·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사의 자기효능감은 클라이언트가 지각한 작업동맹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치료사의 역전이 관리능력을 매개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료사의 역전이 관리능력은 치료사의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치료사와 클라이언트가 상호주관적인 관계 안에서 역전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함으로 작업동맹을 맺는데 매우 중요한 매개 변인임이 밝혀졌다. 넷째, 치료사와 클라이언트가 각각 지각한 작업동맹은 모두 치료사와 클라이언트가 지각하는 치료성과 양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치료사의 작업동맹이 자신과 상대방의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비슷하였으나, 클라이언트의 작업동맹이 상대방의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신에 미치는 영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GIM심상음악치료에서 자기효능감, 역전이 관리능력 및 작업동맹은 치료성과를 높이는데 필수적인 변인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therapeutic outcomes perceived by music therapist and client in Guided Imagery and Music(GIM), such as self-efficacy,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working alliance. This study is composed of 2 structural models according to perception of music therapist’s and client’s working allianc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7 pairs of music therapists, who received GIM training Level 3 or more, and their adult clients, who received GIM sessions at least 5 times. The sessions were restricted to the one terminated within 6 months or still in progress. Data was analyzed by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PLS-SEM)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apist’s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rapeutic outcomes perceived by music therapist and had significant direct/indirect effect on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music therapist. Second, therapist’s self-efficacy did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rapeutic outcomes perceived by client, bu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lient, mediating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Third,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was influenced directly by self-efficacy and acted as significant mediator in developing working alliance through therapist-clients’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Fourth,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music therapist and client had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rapeutic outcomes perceived by music therapist and client. In this process, therapist’s actor and partner effect on therapeutic outcomes were similar, but client’s partner effect was relatively lower than actor effect.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concluded that therapist’s self-efficacy, counte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working alliance were indispensable variables to promote therapeutic outcomes in Guided Imagery and Music(GIM).

      • 집단 음악치료가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미화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91

        우리 사회는 국내 거주 외국인 백만 명, 결혼 이민자 십만 명 시대에 들어섰으며, 한국의 국제결혼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결혼의 증가 추세에 따라 여러 가지 문제점도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집단음악치료가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김해시 다문화 가족 지원센터의 베트남 여성 6명을 대상으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주 2회 7주 동안 12회기의 그룹 세션을 실시하여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의 양적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과 프로그램 종결 후에 Sandhu와 Asrabadi(1994)가 외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를 이승종(1996)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다시 베트남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점수가 동일한 대상자F를 제외한 모든 대상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이 모두 감소하였다. 대상자E는 20점으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여 95점을 기록하였고, 대상자 A는 6점을 감소한 71점, 대상자 B는 11점을 감소한 82점, 대상자C는 9점을 감소한 68점, 대상자D는 6점을 감소한 71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사전, 사후의 하위문항별 평균점수를 살펴보면, 지각된 차별감 문항은 114점에서 100점으로 14점 감소하였고, 향수병 문항은 77점에서 70점으로 7점 감소하였고, 지각된 미워함 문항은 56점에서 43점으로 13점 감소하였으며, 두려움문항에서는 49점에서 53점으로 오히려 4점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문화적 충격 문항에서는 50점에서 37점으로 13점 감소하였고, 최책감 문항은 23점으로 사전, 사후결과가 동일하였다. 나머지 기타문항에서는 163점에서 146점으로 17점 감소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위한 중재로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들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현황 및 결혼생활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고, 아직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원에 대한 연구가 그 변화에 비해 충분하지 못한 실정인 것을 생각할 때,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하여 한국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데 음악치료의 도입에 대한 가능성을 제안한다는 데 그 의의를 가진다. Korea has one million foreign residents and one hundred thousand married immigrants, an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has been increasing every year. Increasing trend of international marriage raises various issues in ou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s acculturative stress. For this study,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as prepared, targeting 6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Gimhae. The program, which was for treating acculturative stress, consisted of 12 sessions, two times a week for 7 weeks.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on subjects' acculturative stress change,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was conducted and compared with the points before and after each group music therapy program. It was developed by Sandhu and Asrabadi(1994) for international students, translated into Korean by Lee Seung Jong(1996), and then retranslated into Vietnamese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points, all subjects except for subject F, showed reduced acculturative stress level. Subject E showed the sharpest decrease by 20 points into 95 points. Subject A by 6 points into 71 points, Subject B by 11 points into 82 points, Subject D by 6 points into 71 points. Also average scores of sub-questions of pre and post group music therapy program are as follows ; Perceived Discrimination decreased by 14 points from 114 to 100, Homesickness decreased by 7 points from 77 to 70, Perceived Dislike decreased by 13 points from 56 to 43, but Fear increased by 4 points from 49 to 53. The score of Cultural Shock decreased by 13 points from 50 to 37, Guilty Conscience remained the same as 23 points. The other items decreased 17 points from 163 to 146.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group music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as an intervention tool to acculturative stress of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existing studies focused mainly on researching the actual conditio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not sufficiently on social support to them,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introduction of music therapy can help married immigrant women adapt to Korea by reducing the stress of acculturation.

      • 음악치료사가 인식하는 직업윤리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

        김지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3391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들이 인식하는 직업윤리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직업윤리의 구성요인들을 탐색하고, 대표할 수 있는 문항을 제작하였다. 음악치료사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직업윤리에 대한 구성요인은 ‘자기관리의식’,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기관과의 관계’, ‘치료관련윤리’, ‘연구관련 윤리’, ‘갈등해결’ 등 일곱 가지로 구분되었다. 둘째, 음악치료사 직업윤리 구성요인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기관리의식’은 음악치료사로서의 자기인식과 책임 뿐만 아니라 전문적 지식과 기술, 객관성, 성실성, 전문자격과 수련, 자격증명 등을,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는 클라이언트의 인격존중, 비밀보장, 적절한 강화는 물론 다양한 유형의 클라이언트를 향한 접근, 관계적 측면에서의 다문화적 관점과 다양성 등을, ‘동료와의 관계’는 동료에 대한 존중과 책임, 동료의 검토(peer review), 의뢰, 자문(consultation) 등을, ‘기관과의 관계’는 기관과의 연대와 협력, 변화촉진, 기관에서의 청렴성 유지문제, 노동법에 근거한 계약, 기관운영의 인식 등을 설명한다. ‘치료관련윤리’는 치료절차 설명과 동의, 치료의 종결과 중단 판단, 예상되는 피해자 및 자살하려는 클라이언트를 보호할 의무, 보호대상자 보호, 평가와 진단, 슈퍼바이저의 책임과 의무, 치료적 측면에서의 다문화적 관점과 다양성 등을, ‘연구관련 윤리’는 비윤리적 목적에 연구사용 금지, 연구의 사회적 책임과 승인, 연구대상자에 대한 책임, 연구발표와 출판 등을, ‘갈등해결’은 윤리적 이슈 파악, 윤리위원회와 협력, 윤리위반의 직면, 윤리적 의사결정 원칙, 윤리와 법률 등을 나타낸다. 셋째, 음악치료사 직업윤리 구성요인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있어 Cronbach's α는 .853,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설명력은 52.725%,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χ2값은 1187.819, CFI, TLI는 .90이상, RMSEA, RMR는 .05이하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치료사들이 인식하는 전체 직업윤리는 총 200점 만점 중 174.79점(표준편차: 10.60)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5점으로 환산하면 4.37점이었다. 직업윤리 구성요인별로 살펴보면, ‘연구관련 윤리(4.59점)’, ‘클라이언트와의 관계(4.57점)’, ‘동료와의 관계(4.45점)’, ‘치료관련윤리(4.42점)’, ‘갈등해결(4.26점)’, ‘기관과의 관계(4.00점)’, ‘자기관리의식(3.94점)’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치료사의 개인적 특성인 연령, 임상경력, 고용형태, 최종학력 중 연령이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기관과의 관계’, ‘치료관련윤리’, ‘연구관련윤리’, ‘갈등해결’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음악치료사들의 직업윤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전문직으로서의 음악치료사의 소명의식과 책임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대상자의 음악치료 연구경향 분석

        최지혜 평택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91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ADHD에 관한 음악치료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57편의 ADHD 대상 음악치료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의 특성, 측정관련 특성, 중재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세부 분석 항목을 살펴보면 연구 참여자의 특성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인 연령, 성별, 대상 자수의 수를 포함하였고 연구자의 특성으로 지역, 전공을 분석하였다. 측정관련 특성으로는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유형, 평가도구, 종속변인을 포함하고 중재관련 특성으로는 연구기간 관련특성인 치료기간, 치료횟수, 세션당 시간, 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음악활동 및 음악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초등학교 고학년이 가장 많았으며 성별은 남아가 여아에 비해 2.76배 더 많았고 연구대상자의 수는 2~5명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연구자의 전공은 음악교육 전공이 가장 많고 그 뒤로 음악치료 전공자가 뒤를 이었으며 연구자의 소속 대학은 서울 지역이 가장 많았다.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양적 연구는 모두 실험연구에 속하였으며 실험연구의 세부 유형에서는 단일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다. 평가도구는 표준화검사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였으며 관찰 기록지를 사용한 연구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연구에서 설정된 종속변인은 주의력결핍, 충동성, 과잉행동의 순이었으며 각 종속변인의 세부 요인으로는 주의력 결핍 가 운데 주의집중이 가장 많고 과잉행동 가운데 자리이탈, 충동성 가운데 규칙수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관련 특성 중 연구기간 관련 특성에서 치료기간은 5~10주가 가장 많았고 치료 횟수는 11~16회기가 가장 많았으며 세션당시간은 20-30분이 가장 많았다. ADHD 대상 음악치료에서 가장 자주 활용된 음악활동은 악기연주였으며 음악적 요소 가운데 가장 많이 활용된 요소는 리듬 요소였다. 본 연구는 현재 ADHD 대상 음악치료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방법론적인 관점에서 ADHD 대상 음악치료 연구의 연구 참여자에 관한 특성, 측정에 관한 특성, 중재에 관한 특성과 같은 음악치료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음악적 요소라는 중재요인을 분석에 포함하여 향후 새로운 연구자들의 연구 방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ADHD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임상현장에서 음악치료사들이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보고된 연구들의 경향성을 빈도분석 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연구결과의 효과크기에 대한 부분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ADHD 대상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보다 심화시키고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 음악치료 놀이극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이랑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91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시기이며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에 중요한 시기이며, 자아개념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자기인식이 자아존중감이다. 지적장애 청소년은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언어적인 각 발달 영역에서 지체가 되면서 낮은 자아개념 가지게 되고 낮은 자아존중감이 형성된다. 낮은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에서 부정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고, 또래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도 어렵게 되며, 궁극적으로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 적응에 부적응 영향을 주게 되므로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치료 놀이극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창원시 K복지관 아동발달 상담센터에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만 12~19세 지적장애 청소년 5명으로 구성하였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사용된 음악극은 ‘너는 특별하단다’음악극 총 1편을 진행하였으며, 음악치료 놀이극 활동은 주 1회, 40분간 총 12회기의 그룹세션으로 진행하였고 마지막 회기는 발표를 통해 지적장애 청소년이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음악치료 놀이극 세션과 세션 후 인터뷰는 녹화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자아존중감 검사도구 개발하기 위해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검사SEI(self-esteem inventory)를 한국 문화와 초등학생에게 적합하도록 문항을 수정 보완한 31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통계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회기별과 인터뷰에 나타난 각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음악적?바음악적 반응을 항목에 따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음악치료 놀이극이 지적장애 청소년 전체의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고 있으며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까지는 이끌어낸 못했지만 중재 전 보다 중재 후의 평균 변화가 있었다. 셋째, 단계에 따라 음악적?비음악적 반응의 기술을 통해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변화의 모습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를 통해 진행된 음악치료 놀이극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다.

      • 집단음악치료가 초등학교 1학년 시설 아동의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홍수진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91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아동들의 무망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의 한 시설에 거주하는 1학년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시설 아동의 무망감 감소를 위한 15회기의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시설 아동의 무망감 감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상자들의 무망감 변화의 양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아동용 무망감 척도를 사용하여 점수를 비교한 결과, 음악치료 실시 전(M=4.40, SD=1.76)에 비해 실시 후(M=1.40, SD=1.12)의 평균치는 .001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시설 아동의 음악치료 개입과 연구에 있어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decreased hopelessnes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of 1st grade in elementary schools, after going through a group music therapy program. The research was subjected to 15 institutionalized children from one facility in Busan. The program took place for 15 times and the influence of the decreased hopelessness was studied after the therapy treatment. The hopelessness scale was used to collect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changes of the feelings and estimate the amount of the hopelessness that the participants had before and after the group music therap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n average of .001 significance level difference in the result after the therapy(M=1.40, SD=1.12), compared to the result before the therapy(M=4.40, SD= 1.76). The study would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for further studies on music therapy needed for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