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초등학생의 방과 후 쇼트트랙 활동 참여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은선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방과 후 쇼트트랙 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J, K, D지역의 초등학생 중 방과 후 쇼트트랙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 88명, 참여하지 않은 학생 70명이었다. 이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법을 이용해서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활동성, 사교성, 성취성, 자주성, 책임성 등을 조사해서 쇼트트랙 참여여부, 성별, 학년, 참여 기간, 참여 빈도 등으로 구분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쇼트트랙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 차이분석 결과, 활동성, 사교성, 성취성, 자주성, 책임성의 전 영역에서 쇼트트랙 활동에 참여한 아동과 참여하지 않은 아동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쇼트트랙 활동 참여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사회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쇼트트랙 활동에 참여하는 1-2학년의 사회성이 3-4학년의 사회성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쇼트트랙 활동 참여 기간과 빈도에 따라서는 사회성 발달과 무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방과 후 쇼트트랙 활동에 참여하는 저학년 남학생이 사회성 발달을 가장 잘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쇼트트랙 스케이팅 활동을 통해서 사회성 발달을 도모하고자 한다면 초등학교 저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다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effect of short track activities after school on the sociality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e, Eun Sun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Yun, Shin Jung Sc. 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hort track activities after school on the sociality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there were obtained questionnaires from 158 subjects. Of these subjects, 88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hort track activities, 70 students were not.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5 sub-domain, activity, sociability, achievement, independence and accountability. Also the data obtained from these subjects were analyzed to participating or not participating, sex, grade, participating period, and participating frequency. As a result of analysis statistically, are as follows. In the comparison of participating or not participating short track activities, sex, and gra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 range of on the full spectrum social activity. In the comparison according to the period of short track ac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hort track ac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domain beside independ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as the effect of short track activities after school on the sociality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was obvious that short track activity after school was available to cultivating personality or sociality of children. Short track activity, sociality, activity after school

      • 한국수어 통역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이은선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수어 통역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 분석하여 한국수어 통역사의 소진과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직무환경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17개 시·도 및 시·군·구 수어통역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한국수어 통역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결과분석에 113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모형을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여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변수 중 연령은 한국수어 통역사의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수어 통역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소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한국수어 통역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직무환경 위험요소가 증가하면 소진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한국수어 통역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또한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직무환경 위험요소가 증가하면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한국수어 통역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소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선행요인으로 직무스트레스 갖는 역할을 보여준다. 다섯째,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수어 통역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소진의 관계를 직무스트레스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직무환경 위험요소 하위요인 중 도전기회 부족과 업무과다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 또한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한국수어 통역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가 부분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거쳐 소진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한국수어 통역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근무처인 수어통역센터의 직무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surveyed the effects of the working environment’s hazards on the burnout levels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s with job stress as the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The study purposed to propose recommendations to relieve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s’ burnout and job stress through work environment improvements. The study recruited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s working in sign language translation centers across South Korea in 17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An online survey was utilized and 113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es employed the SPSS 22.0 program and analyses of frequency, technology and correlation were performed.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the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on model;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tress was 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in the control variables, the age of the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s showed itself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in the burnout level. This meant that the younger the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s age, the greater chance that he or she experienced increased burnout levels. Second, the working environment’s hazar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urnout level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s. This pointed to the fact that as the working environment’s hazards increase, the burnout level also increased. Third, the working environment’s hazar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tress of the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s. This evidenced that as the working environment’s hazards increased, the job stress also increased among the participants. Fourth, as the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s’ job stress increased, the burnout level also increased, which showed that job stress functioned as an important antecedent factor in influencing burnout levels. Fifth, the job stress variabl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environment’s hazards and burnout levels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s. In particular, the sub-factors of the working environment’s hazards such as the lack of challenging opportunities and work overload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tress and burnout levels. As job stress manifeste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levels as well,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working environment’s hazards played a role through the partial mediating route of job stress to lead to burnout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s. Thu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as well a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s of sign language translation centers in order to relieve the job stress and burnout levels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ers.

      • 부유선별에 의한 윤활제용 고품위 몰리브덴 정광 회수연구

        이은선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윤활제용 몰리브덴의 제조기술은 대부분 화학적 처리인 산 처리에 의해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그 제조공정이 까다로워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화학적 처리공정은 몰리브덴광의 물성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산출되는 몰리브덴광을 대상으로, 물리선별인 부유선별만을 사용하여 윤활제용 고품위 몰리브덴 정광을 회수하고자 하였다. 윤활제용 고품위 몰리브덴 제조를 위해 본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 NMC에서 부유선별에 의해 생산하고 있는 페로몰리브덴용 1차 정광산물로, 품위가 88.06% MoS2이다. 본 시료의 주요 불순물은 SiO2와 Fe2O3 그리고 CaO이며, 각각 3.03%와 1.30% 그리고 1.02%이다. 또한, 고품위 몰리브덴 제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Cu와 Pb등의 함량은 0.16%와 극미량으로 존재한다. Mo 근원광물은 몰리브데나이트(Molybdenite, MoS2)이며, 주요 맥석광물로 석영(Quartz, SiO2), 녹니석(Chlorite, (Mg,Fe)5Al(Si,Al)4O10(OH)8) 그리고 활석(Talc, Mg3(Si4O10)((OH)2)) 등이 확인 되었다. 윤활제용 고품위 몰리브덴 정광회수를 위해 조선부선-분쇄-정선부선 7회를 수행하였다. 규산염 광물로 이루어진 불순물의 억제를 위해 다양한 억제제 변화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규산소다(Na2SiO3)가 규산염광물 억제에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조선부유선별을 통해, 몰리브덴광중에 존재하는 미립자의 맥석광물들을 제거하고, 분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맥석광물들의 미립화를 최소화 하였다. 이때 회수된 몰리브덴 정광은 분쇄 과정을 통해 맥석광물과 몰리브덴광의 단체 분리도를 향상시켰으며, 정선부선 7회를 통해 몰리브덴광의 품위를 향상 시킬 수 있었다. 부유선별에 있어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들을 변화시켜 다음과 같이 부유선별 최적실험조건을 결정하였다. 부유선별의 최적조건은 분쇄시간 20min., 광액농도 10%solid, 교반속도 1,500rpm, 광액의 pH 10, 기포제 AF65, 조선과 정선에서 포수제(Kerosene)첨가량 각각 100g/t과 150g/t, 부선과 분쇄단계에서 억제제(Na2SiO3) 첨가량 각각 1,000g/t과 2,000g/t이며, 이때 몰리브덴 정광의 품위와 회수율은 각각 98.3% MoS2와 43.5%이었다. 회수된 몰리브덴 정광은 미국의 Climax Co., 중국의 CCPL와 Exploiter molybdenum Co. LTD에서 생산되는 윤활제용 몰리브덴 제품사양인 98% MoS2이상을 충족하였다. 따라서 몰리브덴 정광처리에 있어서, 산 처리공정이 아닌 물리적 선별법인 부유선별만으로 윤활제용 고품위 몰리브덴 정광을 회수할 수 있었다. In general, the high-purity molybdenum concentrate for lubricant use is produced by chemical process such as acid leaching. Because of its complicated treatment process, however, it all depends on importation in Korea. And it is also known that the chemical process causes the weakening of physical property of molybdenu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cover the high-purity molybdenum concentrate by physical separation of froth flotation. The sample use in this study is a primary concentrate of ferromolybdenum use, produced from an acting plant in NMC Resource Co., and the grade of sample is 88.6% MoS2. The chemical grade of impurities is 3.03% SiO2, 1.30% Fe2O3 and 1.02% CaO, relatively. And it also has minor components of 0.16% Cu, trace of Pb as well. It consists of mainly molybdenite(MoS2), origin mineral of Mo, and gangue minerals such as quartz, chlorite, talc and etc.. The process consisting of rougher flotation-grinding-7 time cleaner flotation was adopted for recovering the high-purity molybdenum concentrate. In order to get the high-purity molybdenum concentrate, various depressants are used to depress the impurities of silicate minerals in froth flotation. It results that sodium silicate(Na2SiO3) is the most effective depressant among them. Through the rougher flotation, the fine-particle silicate minerals are depressed and over-grinding of them is minimized during grinding process. And the typical grinding process on recovered molybdenum concentrate is adopted to promote the liberation between molybdenite and gangue minerals. The grade of molybdenum concentrate can be increased by the 7 time cleaner flotation. Therefore, it concludes that the molybdenum concentrate of 98.3% MoS2 is obtained with 43.5% recovery under the comprehensive conditions of 10%solid pulp density, 1,500rpm impeller velocity, 20 minute grinding, pH 10 in pulp, addition of AF 65 frother, including with 100g/t of kerosene in rougher flotation, 1,000g/t of sodium silicate in flotation, 2,000g/t of sodium silicate in grinding process and 7 time cleaner flotation, respectively. It is finally confirmed that the high-purity molybdenum concentrate of 98% MoS2 satisfies the commercial grade of molybdenum lubricant, which has been produced by Climax Co. in USA, CCPL and Exploit Molybdenum Co., LTD. in China. Therefore, it shows that the high-purity molybdenum concentrate can be produced by single froth flotation without adoption of chemical process.

      • 여성운동선수의 성희롱 경험

        이은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성운동선수의 성희롱 경험 본 연구는 중등운동선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대학에서도 선수 생활 중인 여성운동선수의 성희롱 경험을 문화기술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성운동선수 15명을 대상으로 개인 또는 집단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의 분석을 위해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분석의 과정을 거쳐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15명의 연구 참여자의 성희롱 경험에 관한 자료에서 의미 있는 진술들을 추출하여, 일반적인 구분으로서의 성희롱 유형인 신체적 성희롱, 언어적 성희롱, 시각적 성희롱으로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첫째, 신체적 성희롱은 입맞춤이나 포옹, 뒤에서 껴안기 등의 신체적 접촉, 가슴이나 엉덩이 등 특정 신체 부위를 만지는 행위, 안마나 애무를 강요하는 행위 등이며, 둘째, 언어적 성희롱은 음란한 농담이나 음담패설, 모에 대한 성적인 비유나 평가, 성적 사실 관계를 집요하게 묻거나 성적인 내용의 정보를 의도적으로 유포하는 행위, 회식자리에서 무리하게 옆에 앉혀 술을 따르도록 강요하는 행위 등이었다. 셋째, 시각적 성희롱은 성희롱 행위자가 특정 신체 부위를 노골적으로 쳐다봄으로써 불쾌한 시선을 느낀 경우 등이었다.

      • 대학 평생교육원 음악과정연구 : 대전지역대상

        이은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music courses that were offered in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usic course as well as seeking ways for advancing the music programs. The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The percentage of women (87%) who participated in the music program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 (13%). The women who attended the courses are not only professionally working women, but are also highly educated with a college degree. The survey also shows that the age of students range mainly from 20 · 30 years old. Regardless whether music related courses were being offered, the majority of students had the intention to continue taking additional courses at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Their main purpose of taking additional courses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was to further educate themselves for self development and to expand theirscope of leisure as well as their interests and hobbie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usic courses thought that the overall teachings and the learning environmentsat the time were highly proficient. Regardless of whether the students had previous musical interest, high marks were given for the program’s enjoyable experience and many students were happily willing to further pursue the music courses. Students mostly chose classical (48%) compared to pop & modern (33%) as the main areas they wished to participate in. Despite the fact that the classical music courses mainly focused on the traditional and structured aspects, there is a high demand for a larger variety of classical music programs other than the traditional aspects. They would also like more availability for theseclasses. In other words, a larger variety of music programs ranging from classical to modern music are needed. Majority of students wish for variety in educational courses and improvement in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example, having professors from the field will give a huge impact as to how much the students could benefit from the music course. Most of the students (60%) taking the survey have said that they hope for a variety of music courses, extra class availability, and more advanced classes. If the establishment of music programs can fulfill the desires to gain new knowledge, fulfill aesthetic desires as well as self realization, then the music courses should continue to be offered in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The university will be able to exhibit an advanced form of education where overcoming past limited education styles becomes a possible reality.

      • 성격유형과 음악선호간의 상관성 연구

        이은선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earch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references of music. For the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 weeks with 387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 area. The measurement tool for analyzing data were the DISC survey paper and the survey paper for the preference of music which was designed by music therapists and supervised by experts. The result of the research was following. First, the significant between DISC characteristics and music genres such as popular music, classical music, and opera existed. The second result show that the connection between DISC characteristics and music elements such as tempo, harmony, volume, rhythm, and musical rang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 tone color and DISC characteristics was not found. In the last result, D type from the DISC survey was strongly related with some of music elements, which were tempo and volume, but it show the week correlation between D type and musical range. Each of I, S, C types show that the interrelation with tempo, yet show weak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olume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usical range. 본 연구는 개인의 성격유형과 음악선호도를 조사하고 성격유형과 음악선호간의 관련성을 알아 본 것이다. 설문조사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대학생 총 387명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자는 4월 21일부터 5월10일까지 3주간에 걸쳐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DISC유형 설문지와 음악선호도 검사를 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제작한 음악과 연구를 위해 치료사가 만든 음악선호도 설문지로 이루어 졌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ISC 유형과 음악장르, 대중음악, 클래식의 악기연주 선호와 성악 연주 선호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DISC 유형과 음악요소(빠르기, 음역, 크기, 리듬, 화성)간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고 음색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DISC 각 유형의 강도점수와 음악요소(빠르기, 음역, 세기)간에 D형은 빠르기, 크기와 상관관계가 다소 높으며 음역은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I, S ,C형은 빠르기와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세기와는 낮은 상관관계를, 음역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패션 브랜드 아이덴티티 특성 연구 및 개발 : 스포츠 웨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이은선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 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마케팅 경쟁은 브랜드들이 우세를 점하기 위해 맞겨루는 브랜드 경쟁 시대로 접어들었다. 패션업체들 사이에서도 계속해서 증가되고 있는 브랜드의 포화상태 속에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상품의 질이나 특성이 점차 비슷해짐에 따라 패션산업은 상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를 파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동질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회경제 전반과 라이프스타일 지향의 타겟(Target) 공략이 필요하고, 특히 브랜드 아이덴티티(B.I)의 확립을 통해 타사의 브랜드와 차별화 시킬 수 있는 요소를 필연적으로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정립하고, 급변하고 있는 국내 스포츠 시장의 흐름을 파악한 후, 스포츠 관련 의류 업체들의 B.I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브랜드 핵심구성요소인 브랜드명, 로고, 심볼, 컬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타브랜드와 차별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개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특정 브랜드의 B.I 디자인을 연구 개발함으로써 패션업체에 활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구조모델을 입증사례로서 제시한 논문이다. B.I에 대한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비주얼디자인(visual design) 혹은 B.I의 기본요소에 대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초점을 맞추어 분석·제안하는 형식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패션브랜드로서 B.I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문제 인식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패션 부문 중 상대적으로 B.I의 영향력이 크게 미치는 스포츠 관련 의류 업체들 중 노출빈도가 높은 순위로 범위를 한정하여, B.I의 기본요소별 분류에 의한 시각적인 조형요소와 그에 해당하는 의미를 분석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네임은 창업자 네임(Proper Names), 묘사형 네임(Descriptive Names), 은유형 네임(Metaphoric Names), 신조어 네임(Artificial Names), 축약형 네임(Abbreviation Names)으로 분류가 이루어졌다. 먼저 창업자 네임은 오랜 전통을 지닌 외국 브랜드가 대부분이며, 묘사형 네임은 음소의 음성 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유성음보다는 무성 폐쇄음을 사용하여 작고, 빠르고, 가볍다라는 이미지를 형성시킨다. 은유형 네임은 브랜드를 간접적으로 비유하기 때문에 특히 브랜드의 이미지 관리 및 차별적인 전략이 요구되고, 신조어 네임은 패션분야에서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는데, 이는 사이클이 짧고, 트렌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패션의 특성에 부합하여 드러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축약형 네임은 의미, 음성, 문화적인 맥락 등 브랜드가 표현하고자 하는 여러 요소들을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적용이 용이한 브랜드명 개발 방법으로 밝혀졌다. 무엇보다 브랜드 연상의 토대가 될 수 있는 바람직한 브랜드명은 그 자체적으로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브랜드 로고타입은 형용사 SOFT/HARD/WARM/COOL을 기준척도로 하여 서체에 따른 이미지 스케일을 분류하였을 때, 아무래도 스포츠 관련 브랜드의 서체형태는 수요대상과 시장상황을 막론하고 전체적인 이미지를 강인한 이미지와 합리적이고 신뢰감, 정밀감을 유도하는 COOL/HARD 방향으로 집중분포 되어있고, 전체적인 유형을 살펴보면 고딕체 일변도로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브랜드 심볼마크는 유형에 따라 상징적 기호와 도상적 기호로 분류할 수 있다. 패션에 있어서 심볼은 크게 글자네임이나 기하학, 형상화, 동물이나 식물을 포함한 자연물 이 네 가지로 분류가 가능하다. 형용사 SOFT/HARD/DESCRIPTIVE/ABSTRACT를 기준척도로 하여 분포도를 살펴본 결과 스포츠 캐주얼 부문은 문자 마크가, 액티브 부문은 기하학적인 형태가, 아웃도어 부문은 묘사가 강한 자연물을 응용하거나 형상화 한 것들을 알 수 있었다. 심볼의 활용도는 복잡한 형태보다 의미를 단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심플하며 가독성이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넷째 브랜드 트레이드마크는 브랜드가 추구하는 본래의 컨셉을 배제한 조형적인 이미지 요소만을 전제로 하여 형용사 SOFT/HARD/WARM/COOL의 기준척도와 CLASSIC/MODERN/FEMININE/MANNISH로 확장하여 이미지 스케일을 분류하였다. 전체적으로 심볼과 로고타입의 이미지스케일보다 넓은 포지셔닝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이 조형적인 이미지는 브랜드 이미지와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스포츠 캐주얼 부문은 COOL/MODERN한 경향을 나타내고, 액티브 부문은 WARM보다는 COOL한 경향으로 아웃도어 부문은 전통적인 이미지와 내추럴한 이미지를 반영한 WARM/CLASSIC 분포도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B.I의 기본 구성요소를 조합한 트레이드마크는 브랜드의 실질적인 상징마크로서 그 조형미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충실히 반영하여야 한다. 다섯째 조사대상인 30개 브랜드의 대표컬러는 전반적으로 BLUE, RED, GREEN, WHITE, BLACK이 주류를 이루었고, 그 외 컬러들은 이 제시된 컬러에 조금씩 변용되어 사용되고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HUE & TONE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역동적이고 생명감이 넘치는 스포츠 브랜드의 특성에 부합되어 보여지는 것이다. 최근에는 브랜드의 고유한 컬러도 트렌드와 해당 브랜드의 컨셉 변화에 따라 근소한 차이로 변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컬러의 경향은 예전보다는 좀 더 가벼운 느낌의 컬러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문화가 변화하고 사람들의 취향이 변하듯이 브랜드 역시 그 시대의 예술적인 감각에 맞게 변화하여야 하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순간적인 발상에 의해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 전략을 세운 후 진행되므로 무엇보다도 진행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업의 실체와 비전을 정확히 반영하고, 경쟁자와 차별성을 가지며, 소비자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체계적이고 정교하게 구성된 핵심단어를 각인시켜야 한다. 둘째 지속적이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지녀야 한다. 그러나 기업 실체의 변모에 따른 아이덴티티의 변화가 요구될 경우에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 셋째 강력한 상징물을 창조하는 것이다. 핵심단어로 정의된 아이덴티티에 걸 맞는 시각적 상징물이 소비자의 기억 속에 확고히 자리잡는 그 순간이 바로 파워 브랜드가 탄생되는 순간이다. 마지막으로 통합적 관리에 주력해야 한다. 소비자에게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기업이나 브랜드의 표현양식 모두 전략적으로 관리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이론적인 원칙을 바탕으로 하여 스포츠 관련 브랜드 시장조사 결과에 따라 확고하며 통합된 이미지가 부재한 실정으로 드러난 ‘영원’ 브랜드를 현 상황에서 타브랜드들과의 경쟁에서 상대적 우위를 선점하고 미래의 소비자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 전략을 통해 B.I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리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재구축하고 새로운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해 나가는 동시에 현재 아웃도어 브랜드들은 증가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차별화가 되지 않고 있으므로, 새로운 개념을 도입한 미래 지향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선점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개발사례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패션관련업체들이 B.I 개발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조형미만 부각시키기보다는 패션브랜드로서 B.I 특성에 부합되어 활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구조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기업은 제품을 만들고 소비자는 브랜드를 구매한다’는 말이 있다. 즉 사회적으로 브랜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기업의 입장에서는 아이덴티티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기업이 소비자들로부터 궁극적으로 기대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시키고, 모든 통일된 시각 이미지 역할을 재확인하여 디자인의 체계화 및 일관성 있는 경영의 전략적 합리성을 가지고 B.I를 운용할 수 있도록 계획,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The marketing competition of 21century is became a brand competition period for compete with each brand for superiority. A fashion enterprise is extremely saturated with its brand also the quality and property of products are became analogous to each of those brands. For that reason the fashion industry is aware that fashion brands are not only selling things they are also selling the image of high value of add products. Therefor, fashion brands need understanding of society, economic and conquest of target for overcome from the same quality. Especially by establish of brand identity can discriminate form other brand. Therefor, this treatise is studied on following. First, set up formulate a theory of brand identity. Second, understand internal sports market which is changing rapidly. Third, research actual state of B.I of sports fashion brands. So, by analyze actual state of brand name, logo, symbol, color and that bring up with effective development direction of brand discrimination. This treatise show basic structure model of actual state of demonstration which will help with fashion brand B.I by study and develop one of brand's B.I design that base on those analysis above. Existing study on B.I is mostly about visual design or base point. There are not enough study on character of fashion brand B.I because of that this study has started. An research object of this study limit to renowned sports fashion brands which have got enormous influence from B.I, and then grouping them to visual formative element and analyze the meaning. According to investigation, choose brand 'Young One' which has unyielding and unify image and change it to new B.I system which will can get excellent occupant from competition with other brand and also will be satisfied future people. This sort of development instance study's ultimate aim is not only show visual formative beauty of fashion enterprise's B.I, also show basic structure model which practical use for fashion brand's B.I.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성평등 의식과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관한 연구

        이은선 경성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 요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성평등 의식과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성평등 의식은 어떠한가? 2.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어떠한가? 3.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성평등 의식과 어머니가 인식하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2018년 12월 10일 ~ 2019년 1월 5일에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원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때 연구자가 각 기관의 교사들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하고 2주 뒤 이를 회수하였다. 총 210부를 배포하여 200부를 회수하였으며(회수율 95.2%),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한 9부를 제외한 191부(유효율 90.9%)를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4.0를 이용하여 분석자료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성평등 의식에 있어 자녀의 연령의 학교생활/가정생활에서는 만 4세 집단이 가장 높았고, 만 4세, 만 3세, 만 2세 집단과 만 0, 1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 직업생활/사회문화에서는 만 4세 집단과 만 0, 1세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모 연령의 직업생활에서는 만 36-39세가 가장 높았고, 이는 만 35세 이하 집단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 모 직업의 학교생활/전반적인 인식에서 사무직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서비스/판매직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문화에서는 사무직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그 외의 모든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있어 자녀의 연령/모 연령에서는 아버지의 양성평등 의식과 다르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모 직업의 생활지도에서는 전문직/행정 관리직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서비스/판매직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성평등 의식과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모든 하위 요인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아버지의 양성평등 의식이 어머니가 인식하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성평등 의식과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간의 관계를 밝히고, 아버지의 양성평등 의식의 향상과 이를 기반으로 실제 양육참여의 증가를 위해 의식은 향상되고 있으나 실제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외벌이 혹은 맞벌이를 대상으로 하므로 다양한 가족 유형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아버지의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므로 보다 실제적인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를 촉진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주요어 : 양성평등, 양성평등 의식, 양육참여, 아버지의 양육참여 Abstract A Study on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Mother-Perceived Paternal Involvement in Fathers with Children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d paternal involvement perceived by mothers in fathers with children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of fathers with children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2. What is the mother-perceived paternal involvement of fathers with children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of fathers with children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nd their paternal involvement perceived by moth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e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from December 10, 2018, to January 5, 2019. At that time, this researcher handed out questionnaires through the teachers of the institutions and collected them two weeks later. 210 questionnaires were passed out, and 200 questionnaires were gathered(response rate 95.2%). And 191 questionnaires(valid rate 90.9%) were selected as the final data of this study except for nine ones that seemed not to be faithfully filled out.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4.0 version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of the fathers with children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heir awareness in terms of school life/ family life by child age was analyzed, and the father group with four- year-olds were the best, and the groups with four-year-olds, three- year-olds and two-year-ol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roup with one-year-old and younger children. As to work life/socio-cultu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at were the group with four-year-olds and the group with one-year-old and younger children. In terms of work life by mother age, the group of fathers whose children's mothers were aged between 36 and 39 were the best, and this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roup whose children's mothers were at the western age of 35 and down. As to school life and overall awareness by mother occupation, the group of fathers whose children's mothers were office workers were the best, and this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roup of fathers whose children's mothers were in the service industries and sales associates. In terms of socio-culture, the fathers whose children's mothers were office workers were the best, and this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ll the other groups. Second, regarding paternal involvement perceived by the moth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hild age and mother age, unlike the case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terms of guidance by mother occupation, however, the fathers whose children's mothers were professionals and took administrative and managerial positions were best involved, and this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father groups whose children's mothers were in the service industries and sales associates. Third, every subfactor of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of the fathers with children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the subfactors of paternal involvement perceived by the mothers.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of the fathers exercise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paternal involvement perceived by the mother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because it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of the fathers with children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nd their paternal involvement perceived by the mothers, and because it found that the fathers improved in gender equality awareness to be more involved in parenting but that their parental involvement actually lagged behind their awareness.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thers from single- and double-income families, and research on more diverse family types is necessary. Second, not sufficient studies have yet examined the difficulties of fathers in work-family balance. Therefore research on more practical ways of boosting paternal involvement and related programs is necessary. Keywords: Gender equality, gender equality awareness, parental involvement, paternal invol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