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이다' 구문의 특성 연구

        김보은 청주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이다’ 구문에서 보이는 여러 가지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함으로 본고 2장에서 형태론적 관점으로 설정한 ‘이다’의 범주와, 통사론적 관점으로 설정한 ‘이다’의 범주 그리고 의미론적 관점으로 설정한 ‘이다’의 범주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이다’의 용언설인 ‘지정사설’, ‘계사설’, ‘지정 형용사설’, ‘기능동사설’과 ‘이다’의 접사설인 ‘파생접사설’, ‘통사적 접사설’의 견해와 타당성을 짚어보았다. 여러 가설들의 타당성과 한계성을 살펴본 결과, ‘이다’는 ‘통사적 접사’로 봐야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여 본고에서 설명할 ‘이다’ 구문의 특성은 ‘통사적 접사’에 염두에 두고 살펴보았다.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본고 3장에서 이루어졌다. 본고 3장 1절에서는 본격적으로 형태·통사론적 특성과 통사·의미론적 특성을 각각 살펴보았다. 우선, 형태·통사론적 특성과 관련하여서는 남기심(2001)에서 제시한 유형을 토대로, ‘이다’ 구문을 ‘분류문, 유사분류문, 비분류문’으로 분류하여 이들 각각의 구문에서 보이는 ‘X+이다’의 특성, 즉 ‘X+이다’를 단어형성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문’에서는 ‘이다’를 ‘답다’와 ‘같다’ 구문과 비교하여 ‘이다’가 자립성이 없는 요소이지만 선행 명사 사이에 조사가 개입되어 선행 명사와 분리될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이다’는 ‘같다’와 함께 단형 부정문 형성이 가능하고, 관형어의 수식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단어형성이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사분류문’에서 보이는 ‘X+이다’ 구문의 형식은 남길임(2004)에서 제시한 ‘이다 관용 구문’과 유사하다고 보고 ‘이다 관용 구문’의 특성을 제시하면서 ‘유사분류문’과 비교하여 살펴봤다. 그 결과 ‘유사분류문’의 ‘X+이다’는 제3의 의미를 형성하고, ‘아니다’ 부정이 불가능하며 소절 구성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X+이다’의 ‘X’가 의문문과 부정문의 초점이 될 수 없다는 알 수 있었다. 이때 ‘유사분류문’과 ‘이다’ 관용 구문은 대부분 같은 특성을 갖고 있는 구문으로써 단어형성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비분류문’에서 보이는 ‘X+이다’ 구문은 남기심(2001: 163)에서 말하였듯이 ‘문법 차원이 아닌 담화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특수 형식의 문장’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사실은 ‘X+이다’가 통사적 구성의 형성보다는 단어형성의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문제로 판단하였다. 3장 2절에서는 통사·의미론적 특성으로 ‘이다’와 선행 요소들 간의 통사적 제약과 선행 요소들 간의 의미 관계, 즉 의미제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선행 요소들 간의 통사적 제약으로는 ‘X+이다’가 부사어와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지에 대해 살펴봤는데, ‘X+이다’ 구성에 대한 부사어의 수식 문제는 부사 자체의 수식제약과 함께 ‘이다’가 갖고 있는 의미자질이 복합적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어 ‘이다’는 부사의 수식을 받는 일반적인 용언과는 다르게 ‘이다’의 선행어로서 ‘명사’에 의한 제약을 갖는 성분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다’는 용언의 성질을 갖는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관형어의 수식 문제에서 {관형어+명사}와 같은 ‘구’의 형태에 ‘이다’가 결합한 것으로 보면 ‘구’와 연결되는 ‘이다’의 특성은 ‘통사적 접사’와 같은 맥락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다’의 범주를 ‘통사적 접사’로 봄과 동시에 그것이 바로 ‘이다’ 구문의 특성임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다’ 구문 중에 ‘강조’를 나타내는 ‘강조 구문’이 있는데 이러한 ‘강조 구문’은 ‘분열문’일 때에만 가능하다고 본다. 3장 3절에서는 ‘이다’ 구문의 선행 요소들 간의 의미 관계를 즉 ‘이다’ 구문에서 이루어지는 ‘등치관계’, ‘상위관계’, ‘비유관계’, ‘동작표시관계’, ‘속성표시관계’, ‘의미한정관계’로 여섯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봤는데, 의미 관계에 따라 ‘이다’의 문법적 기능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았다.

      • 국내 음악치료사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심리·정서 요인을 중심으로

        김보은 仁濟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사의 심리·정서적 요인에 대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여 음악치료사의 삶과 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수행방법에 따라 논문을 수집하여 포함/배제 기준에 따라 총 42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논문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음악치료사의 경험과 성장이 가장 많은 연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역전이, 소진, 불안, 직무스트레스 순이었다.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류한 결과 음악치료사에 관련된 연구는 2008년 석사 학위논문을 시작으로 2017년에는 박사학위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그 이후로 2018년까지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출판 유형별 분류결과 석사학위논문 19편, 박사학위논문 1편과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는 22편으로 학회지의 비율이 높았다. 음악치료사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연구 22편과 질적 연구 20편이며 연구의 공통적인 결과로 음악치료사의 심리·정서적 요인은 음악치료사로서의 성장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연구의 동향을 알아봄과 동시에 음악치료사의 삶과 임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정서적 요인을 밝히고 앞으로 음악치료사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Systematic reviews on the study of domestic music therapists : Based on the factors of the therapist's psychological emotions Bo-eun KIM (Advisor: Prof, Sung-jin KIM) Department of music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gure out factors influencing music therapist's life and clinic by systemic reviewing psychology·emotion of domestic therapist. Collection of paper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method of systemic literature review, and 42 pap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exclusion criteria. As a result of observ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by factor of all selected papers, music therapist's experience and growth were studied the most, and next frequency ranks are counter-transference, burnout, anxiety and job stress in order. As a result of classify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research of music therapist has been begun since 2008, starting from master's thesis at 2008 to doctor's thesis at 2017, thereafter, a lot of researches has been proceeded steadily. As a result of classifying publishing type, there were 19 master's theses, 1 doctor's thesis and 22 studies published in conferences. When it comes to music therapist study, there were 22 survey researches, 20 qualitative researches. Common result of these researches was that music therapists' psychologic and emotional factors influence on not only their growth as a music therapist but also their personal growth. Thus,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rend of researches of music therapist and at the same time tries to figure out psychologic·emotional factors which have effects on music therapist's life and clinics, and also to provide data base for research of music therapist in the future.

      • 수학일기쓰기 활동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보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학적 의사소통 방법 중 수학 일기 쓰기 활동을 학습자에게 적용한 후,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수학 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학생들의 사전 학력평가 성적을 통해 수준을 파악하고 총 4차시의 실험을 거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통해 세 수준의 학생들에게 수학 학업 성취도는 각기 다르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또한 수학 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태도는 세 수준 학생 모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수학 일기를 활용한 상·중·하 수준의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라는 연구 문제 결과는 상·중 수준의 학생에게는 수학 일기 쓰기 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지만,하 수준의 학생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다.즉, 수학 학습에 있어서 수학 일기 쓰기 활동이 의사소통 중 쓰기에 좀 더 익숙한 상위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둘째,‘수학 일기 쓰기 활동을 한 후 학생들의 반응은 긍정적인가?’라는 연구문제 결과에서는 수학 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문제 해결력,반성 및 유용성에 관한 문항은 평균 5%의 학생이 그렇지 않다는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그러므로 수학 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는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본 연구는 예비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4주간의 단기간 수학 일기 쓰기 활동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단기간이 아닌 장기간의 연구를 걸쳐 지속적인 효과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둘째,본 연구는 수학 일기 쓰기 활동을 일차함수 단원에 한하여 예비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상·중·하 수준의 학생들에게 각기 다른 수학 일기를 제시하였는데 다른 학년 서로 다른 단원에 맞는 상·중·하 수준의 각기 다른 수학 일기 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수학 일기 쓰기 활동에서 교수·학습 모형은 활동 중심,반성적 사고,의사소통의 구성주의 학습 원리를 상호 유기적으로 적용하고자 구안한 교수·학습 모형의 한 예이다.구성주의의 원리를 적용한 교수·학습 모형은 하나의 틀로만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므로,다양한 방법과 관점으로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방법의 예들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 대중음악으로 편곡된 곡을 통한 효과적인 클래식 음악 감상법 : 고등학교 2학년 음악교과를 중심으로

        김보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generally agreed that modern society is overflowing with information and knowledge which changes rapidly day by day and this age can be called the era of culture. Music lies at the center of modern culture and culturally enriches the students'''' lives. However, music class have decreased drastically because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oriented curriculum. As a result, this subject has become considered as less important by students, since students assume that it is largely irrelevant to their more urgent issue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In this problematic situation for music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search the new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a new approach for teaching music in an interesting and easy way. By selecting the most fundamental classical music for students and researching popularized version of it can be revitalized the stagnant music class of today.This study tries to show the validity of popular music being advantageous to the music class. When it comes to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a survey whose aim is to find out what students think about the popular music. It then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music and popular music and deals with the correlation of these two kinds of music.In the next part, this study researches the origin of popular music, its development and role, and its influence on adolescents. It includes the criteria for choosing the proper pop music for students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The last section of this thesis explores the most important classical music for students appreciation, ranging from baroque music to romanticism music and illustrates the popularized versions of them. Additionally, this study introduces teaching procedures based on the rearrangement of classical music in pop style. It is followed by the evaluation of the clas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procedure can be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lass.To keep up with this swift age, schools should exert restless efforts on cultivating on new teaching methods to facilitate music education in the present. It is suggested that music education should be the spark which revitalizes students''''s well roundness and culturally enriches the lives of students as future leader of our society. 현대 사회는 정보와 지식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시대이며, 또한 문화의 시대라고도 할 수 있다. 그 문화의 중심에 음악이 있으며, 음악은 학생들에게 풍요로운 삶의 원천이 되어준다. 그러나 입시위주의 교과목 운영으로 인해 음악수업의 시수가 급격히 축소되고, 음악교과는 비입시교과로 취급되어 학생들에게 별로 중요하지 않은 예체능 교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의 문제로 인해서 음악교육은 새로운 내용과 교육방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체된 음악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고전음악을 선정하고, 이것이 대중음악으로 편곡된 사례를 찾아서 학생들에게 좀 더 쉽고 재미있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대중음악이 수업에 활용가능한가의 타당성을 밝히기 위해 우선, 이론적 배경에서는 대중음악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고 결과를 분석하였고, 고전음악과 대중음악에 대해 살펴본 후에 두 음악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다음으로는 클래식 음악의 접근을 위해서 본격적으로 대중음악을 이해하기 위하여, 대중음악의 발생과 변천, 역할,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대중음악의 선정기준과 교육적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마지막으로는 클래식 음악을 본격적으로 감상하기 위해서 바로크부터 낭만까지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클래식 음악을 선정하고, 그 곡들이 대중음악으로 편곡된 사례를 찾아 수업한 것을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작성하였다. 그리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수업 후 평가를 통해 얼마만큼의 효과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교육에도 끊임없는 노력과 개선이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는 음악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부단한 교수학습 개선과 노력이 필요하며, 미래 사회의 주역인 학생들이 올바른 품성과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음악교육이 그 중심을 잡아주어야 할 것이다.

      • 교실교육과정 실행 중 교사와 학생이 선정하는 교육내용 원천 탐구

        김보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생이 수업 중 하는 활동에서 출발하여 교실교육과정 실행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교실교육과정 실행 사례를 교사가 실행하는 교실교육과정 이야기와 학생이 경험한 교실교육과정 이야기로 나누어 기술하고. 교사가 가르치기 위해 하는 활동을 교사가 선정한 ‘내용’으로, 학생이 교육과정을 경험하며 하는 활동을 학생이 선정한 ‘내용’으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이 선정한 내용과 내용의 원천을 비교하며 교사와 학생이 내용을 선정하는 방식을 논의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교사의 인권 교육과정 이야기와 영이의 인권 교육과정 이야기에서 이 교사와 영이가 선정한 내용을 각각 31개 추출할 수 있었다. 이 교사가 교실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학생에게 하는 질문, 대화, 활동, 과제는 교사가 선정한 교실교육과정 내용을 구성했다. 한편 인권 교육과정을 배경에서 발생한 여러 사건 중 일부에만 보이는 영이의 반응과 활동은 영이가 선정한 교실교육과정 내용을 구성했다. 둘째, 이 교사와 영이가 내용을 선정하는 원천이 달랐다. 교사와 학생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 제안하는 여러 내용 중에서 특정한 내용을 선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교사와 학생에게 내용을 제안하고 내용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을 ‘내용의 원천’이라 논의하였다. 먼저 교사는 국가교육과정, 학생, 교사 자신을 원천으로 하여 교실교육과정에서 가르칠 내용을 선정했다. 한편 학생은 교사, 자신, 친구를 원천으로 하여 내용을 선정했다. 셋째, 교사와 학생이 어떻게 내용을 선정하는지를 교사와 학생이 내용의 원천을 고려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사는 교실교육과정 주제를 중심으로 국가·학생·교사 세 원천이 서로 연결되도록 내용을 선정했다. 한편, 학생은 자신의 존재와 자신이 지키고자 하는 가치를 중심으로 교사, 친구, 자신에게서 나오는 내용에 자신의 관점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교실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했다. 특히 영이의 경우, 자신이 중시하는 가치인 ‘자유’를 중심으로 모든 내용을 선정한다는 내적 일관성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와 학생이 선정한 교실교육과정 내용은 각각 교실교육과정 실행을 통해 교사가 개발한 교육과정, 학생이 개발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내용이라 볼 수 있었다. 또 교사와 학생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내용을 선정한다는 것은 교사와 학생이 선정한 내용을 조직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육과정 개발이 학습할 내용을 선정하고 논리적으로 조직하는 활동임을 고려했을 때, 학생이 선정한 교실교육과정 내용 및 학생의 내용 선정방식은 학생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모습 일부이기도 하다. 즉 본 연구를 통해 학생이 교육과정을 경험하며 교사가 실행하는 교실교육과정과는 다른 자신만의 교육과정을 개발한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외과병동 간호사의 복부수술 후 조기운동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김보은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복부수술 후 조기운동에 대한 외과병동 간호사의 중요도 및 수행도를 파악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함으로써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교육자료 개발에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일 상급종합병원 외과병동에 근무하는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8일부터 3월 2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ver. 25.0 프로그램(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One-way ANOVA를 시행하였으며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9.27±5.92세였으며, 총 병원 근무경력은 6.04±5.60년으로 5년 미만이 96명(59.3%)으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조기운동에 대한 간호경험은 156명(96.3%)이었으며, 88명(54.3%)이 조기운동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하였다. 3) 대상자의 폐합병증 예방운동에 대해 본인이 생각하는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중요도(t=-3.082, p=.002)와 수행도(t=-4.493, p<.001)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조기이상에 대해 본인이 생각하는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중요도(t=-2.559, p=.011)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수행도(t=-1.136, p=.258)에는 차이가 없었다. 4) 대상자의 폐합병증 예방운동에 대한 중요도는 평균 4.16±0.34점이었으며, 수행도는 평균 3.92±0.45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8.282, p<.001). 대상자의 조기이상에 대한 중요도는 평균 3.90±0.44점이었으며 수행도는 평균 3.35±0.59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5.112, p<.001). 5)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해 인식을 비교한 결과, 폐합병증 예방운동에서 제 3사분면에는 ‘구강간호 수행’, ‘호흡음 청진’, ‘진동 또는 타진’, ‘필요시 흡인’ 문항이 포함되어 폐합병증 예방운동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부가적인 문항들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제 2사분면에는 ‘흡인위험성 확인’ 문항이 포함되었으며 제 4사분면에는 ‘앉은자세 유지’, ‘운동 전 활력징후, 산소포화도 확인’, ‘양손 또는 베개를 이용한 수술부위 지지’ 문항이 포함되었다. 조기운동에서는 침상 내에서 시행하는 발목운동, 무릎운동, 복부강화 운동, 허리강화 운동, 팔 또는 다리 강화운동의 문항이 제 3사분면에 포함되었으며 ‘침상 끝에 걸터앉기’는 제 4사분면에 포함되어 각 문항의 중요도 또는 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외과병동 간호사가 복부수술 후 조기운동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에 비해 수행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조기운동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적절한 간호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수행도는 높으나 상대적으로 중요도는 낮은 문항에 대해서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중요도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관리 되어야 하겠다.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 개발

        김보은 인천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One of the reasons why educators have been traditionally interested in self-regulated learning is that it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side from inborn intelligence. The self-regulated education is drawing interests in the field of education due to increased interests in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which is because the more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becomes, the more it is presupposed that learners should have the ability to plan and regulate the learning by themselves.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being emphasized not only in existing face-to-face learning but also in online learning, blended learning, mobile learning and smart learning environments, and, recently, even in flipped learning and mook learning environments. In fact, the relev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to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proven through several studies. In particular, smart learning has been growing steadily due to the spread of smart technology and smart devices and to increases in the necessity of timely learning,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its appropriate teaching strategy or design strategy. In addition, a strategy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at meets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design principl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and on verification of its validity. The research questions specifically cov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design principl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2. Are the design principles valid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Development studies with empirical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have been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literature studies which may exclu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research topic in addition to the review of prior literatures in developing design principles. For design principle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they have been verified three times for its validity by five educational technology experts and two teaching design experts. Lastly, the final design principle has been derived through only one usability evaluation by three smart learning teaching designers. Based on those procedures, first of all,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categorized into cognition and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in the research problem 1. Sub-factors of cognition and meta-cognition were classified as demonstration, elaboration, systematization, planning, inspection, and control, those of motivation were classified as mastery-oriented goal, self-efficacy, and task value, and lastly those of behavior were classified as behavior management, time management, and asking for help. The early design principles have been developed by mapping design principles derived from the review of prior literatures, ca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to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Finally, a total of 36 design principles and 62 design guidelines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20 design principles and 35 design guidelines in the cognition and meta-cognition, 8 design principles and 13 design guidelines in the motivation, and 8 design principles and 14 design guidelines in the behavior through the verification of valida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carried out by experts in the research problem 2.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cognition and meta-cognition is ‘Provide an opportunity to compare learning objectives and current achievement for checking target progress’,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information with visualized data (dashboard, chart, calendar) to track progress and see if goals are achieved’ and ‘Evaluation data to enable comparisons betwee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e.g., learning, evaluation)’.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motivation is ‘Support for the mastery-oriented goal by using performance criteria’,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advance information(expectancy effects, previewing the learning content, etc.)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to set a specific goal’, ‘Guidance for setting up close and mid-level(challengeable) goals’, and ‘Guidance for aiming at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and ’inducement to make plans for rewarding oneself when goals are met’.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behavior is ‘Provide an opportunity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nned time and the time spent in actual performance’,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a visualized tool(mobile planner, learning timer, etc.) capable of recognizing the planned learning time and the time spent in actual performa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principl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have been considered comprehensively. Second, field-orien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ird, the specificity of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has been consider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re have been discussion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sign principles,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ies has been suggested based on limitations in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It is believed that the derived study results will be a useful resource for teaching design experts to conduct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design activities in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and that it will facilitate the learning and performance of learners further. 전통적으로 교육학자들이 자기조절학습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자기조절학습이 선천적인 지능과는 별개로 교육과 훈련을 통해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근래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와 교육기술의 발전으로 다시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학습자 중심의 개방형 학습 환경일수록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조절해 나가야 하는 능력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기조절학습의 중요성은 기존 면대면 학습뿐만 아니라 온라인 학습환경, 블렌디드 학습환경, 스마트러닝, 그리고 최근에는 플립러닝과 무크 학습환경에서도 강조되고 있으며, 여러 연구를 통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이 입증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테크놀로지와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적시적 학습 필요성의 증대에 따라 스마트러닝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반면 이에 적절한 교수전략이나 설계전략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 개발과 함께, 개발된 원리에 대한 전문가 및 교수설계자의 타당도 검증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구성요소 및 설계원리는 무엇인가? 2.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는 타당한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험적이며 실용적인 특성을 지닌 개발연구를 활용하였다. 설계원리를 개발하는 데 있어 선행문헌 검토뿐만 아니라 연구의 주제에 대한 실제적 정보가 배제될 수 있는 문헌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례분석 및 현장전문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설계원리는 총 3회에 걸쳐 교육공학 전문가 5인과 교수설계 전문가 2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된 설계원리는 1회에 걸쳐 교수설계자 3인에게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을 반영한 최종적인 설계원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절차를 토대로 연구문제 1에서는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를 인지 및 메타인지, 동기, 행동으로 범주화하였다.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의 하위 요인은 시연, 정교화, 조직화, 계획, 점검, 조절로 분류하였고, 동기 영역의 하위 요인은 숙달목표, 자기효능감, 과제가치로, 행동영역의 하위 요인은 행동관리, 시간관리, 도움구하기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선행문헌검토, 사례분석 및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설계원리를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소에 대응(mapping)하여 초기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전문가 타당도 검증 및 사용성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에서 20개의 설계원리와 35개의 설계지침, 동기 영역에서 8개의 설계원리와 13개의 설계지침, 행동 영역에서 8개의 설계원리와 14개의 설계지침으로 총36개 설계원리와 62개 설계지침이 개발되었다.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목표달성 정도 점검을 위해 학습목표와 현재 달성 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지침에는 ‘진행상황을 추적하고 목표달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각화된 데이터(예: 대시보드, 차트, 캘린더)로 정보를 제공하라’와 ‘개인 내 및 개인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평가자료(예: 학습진도, 학습참여 정도, 평가결과 등)를 계량화하여 제시하라’가 있다. 동기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수행준거를 활용하여 숙달목표를 지향하도록 지원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 지침에는 ‘구체적인 목표설정을 위해 학습내용과 관련된 사전정보(예: 기대효과, 학습내용 미리보기 등)를 제공하라’, ‘근접하고 중간수준(도전 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라’, ‘목표 달성 시 스스로의 보상에 대해 계획하도록 유도하라’가 있다. 행동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계획한 시간과 실제수행 시간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지침에는 ‘계획한 학습시간과 실제 수행한 시간을 인지할 수 있는 시각화된 도구(예: 모바일 플래너, 학습타이머 등)를 제공하라’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설계원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둘째, 현장지향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셋째, 스마트러닝 학습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설계원리의 개발 및 적용 측면에서의 논의를 하였고, 연구 진행과정 및 결과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교수설계 전문가들이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효과적·효율적인교수설계 활동을 수행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학습자의 학습 및 수행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교차타당성방법을 이용한 선형모형의 로버스트 예측오차에 대한 연구

        김보은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are many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However, exists the unsuitable data in the model selection, then we were used to the following the robust model selection. Besides, the parameter can be used to solve the problem from the unknown distribution. As experiment, we conclude that the contamination distribution satisfies rather the robust method than least square method in any situation and the data have been a small observation. In this paper using the statistical methodology of the cross-validation, we estimate the robust parameter on the non-normality observation, and then we see the conclusion that obt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st square method and the robust method. Finally, we can compare the MSE with the both model and predict the estimation of prediction error from the loss function.

      • 창작동요에 관한 분석과 경향 연구 : 1990~2000년대 KBS, MBC 창작동요제 입상곡 중심으로

        김보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activities of creative children's songs that have been developed since 1980s and analyses creative tendency centering on the songs which were awarded from 1990s to 2000s. For the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importance of creative children's songs, and analyses the songs awarded at the song competitions organized by KBS and MBC since 1990s, targeting the years of award, judgement, song writers, composition, beat, pitches, number of phrases, rhythm, accompaniment harmony, playing types, dynamics, and word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s of creative children's songs to see whether they are suitable for children of this time, and analyses many techniques shown in songs with musical elements. Then, it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elements, words, harmony, forms and composition, and popularity.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songs in 2000s have characteristics of musical elements: variable and specified rhythms and rap, pitches using agrement, or jumping pitches, chords and discords, soft, static and lyrical tones, free progress of pitches (2 degrees, 6 degrees, and sequential progress), which provides familiarity and pleasure for us. For beats, complex beats are used, which gives us something different. The characteristics in words include various episodes such as ' yearning for rural life, computer games, or pet dogs' rather than tough periods. And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appear through contrast with animals, plants and natural phenomena. For the characteristics in harmony, as harmony is getting complicated and dependent on popularity, jazz-style or popular harmonies are usually being used rather than classic harmony. Those in forms and composition include the followings: increased number of phrases from 35 to 55, abundant use of harmonies, various and comprehensive accompaniment, changed forms, sudden change in the speed of songs, plentiful use of staccato which causes mood of songs to be changed, use of accents which makes songs powerful, many use of temporary signs which puts vigor to the mood of songs through which words and musical expression are emphasized. And children are getting familiar with popular songs as they are exposed to them through TV or computers. Therefore, our creative children's songs are changing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 So for desirable development of creative children's songs, this study suggests that: words designed for children, and literary elements which contain children's life and world should be developed. The nature of children's songs to follow should be based on innocent mind of children and their life. And children's songs should be future-oriented, and be accompanied by musicality and artistic mind. 본 논문은 창작동요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1980년대부터 발달되어 온 창작동요 활동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재조명해보고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출품되어 온 창작동요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에 따라 나타나는 창작경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분석상에서는 창작동요의 중요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199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창작동요제에 입상한 곡들을 중심으로 하되 그 중에서 MBC와 KBS가 주최한 창작동요제의 입상곡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수상년도ㆍ수상내역, 작사ㆍ작곡자, 조성, 박자, 가락, 마디 수, 리듬, 반주화성, 연주형태, 다이내믹, 가사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한 창작경향에서는 동요 창작의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현시대 아동들에게 적합한 창작동요의 창작여부를 짚어보았으며, 음악적 요소가 함께 어우러진 동요에 나타나는 여러 기법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음악적 요소에 나타난 특징과 가사의 내용(노랫말)에 나타난 특징, 화성에 나타난 특징, 형식과 구성에 나타난 특징, 대중성에 입각한 특징들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 음악적 요소에 나타난 특징에서는 2000년대의 창작동요곡에서 다양하면서 세분화된 리듬꼴과 말하기 형식(Rap), 꾸밈음을 사용한 가락이나 도약성 가락이 많이 등장하였고, 성부간의 화음과 불협화음, 그리고 음정 간에 이루어지는 부드럽고 정적이며 서정적인 음색이 등장했으며 음높이가 자유스러운(2도, 6도, 순차적 진행) 진행이 더해져서 더욱더 우리에게 친근함과 즐거움을 선사해주었다. 박자에서는 변박자가 많이 쓰여짐으로 색다른 맛을 느끼게 하였다. 가사의 내용(노랫말)에 나타난 특징에서는 예전의 힘들었던 시절의 가사가 아닌 오히려 ‘시골에 대한 그리움’이나, 요즘 시대에 걸 맞는 ‘컴퓨터 게임’, 그리고 집에서 키우는 ‘애완견’에 대한 에피소드 등 가사의 내용상의 소재가 참으로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또한 의성어나 의태어가 동물, 식물, 자연현상에 많이 빗대어 져서 등장되어지고 있었다. 화성에 나타난 특징에서는 화성이 더욱더 복잡해지고 대중성에 입각하다 보니 고전적 화성이 쓰여지기 보다는 재즈풍이나 대중적 색채가 짙은 그러한 화성이 많이 쓰여지고 있었다. 형식과 구성에 나타난 특징에서는 35마디~55마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마디 수가 많아졌고 풍부한 화성의 쓰임과 함께 다양하고 포괄적인 반주 형식이 비춰졌으며, 형태 또한 많이 바뀌어졌다. 또한 곡의 빠르기가 갑자기 변화된 부분, 스타카토가 다량 사용되어 곡의 분위기가 바뀐 부분, 악센트의 표현으로 곡의 분위기가 강해진 부분, 임시표의 사용이 두드러짐으로 곡의 분위기를 한층 더 살려낸 부분이 많아져서 가사와 음악적 표현이 강조되기도 하였다. 또한 요즈음 급속도로 확산되어지고 있는 대중가요가 어린이들에게도 많이 익숙해지고 있으며 텔레비전이나 컴퓨터를 통하여 접하여지고 있는데, 그 실정의 영향으로 우리의 창작동요곡도 그 추세에 걸맞게 변화되어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창작동요의 바람직한 방향은 진정으로 우리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가사, 그리고 어린이들의 삶과 그들만의 세계가 담긴 문학적 요소들이 많이 발굴되어야 할 것이며 앞으로 따라야 할 창작동요의 성격은 어린이들의 순수한 동심을 기초로 하며 그네들의 삶에 입각한, 본연의 모습에서 흐트러지지 않은 그러한 동요의 성격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미래를 향한 눈을 뜨고 어린이의 동요, 어린이를 위한 동요가 탄생되고 불리워져야 할 것이며 창작동요의 방향 또한 순수한 감각을 잃지 않은, 음악성과 예술성이 내재되어 있는 곳으로 향해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