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물 학습을 위한 고등학생 소집단과 교사의 면담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분석

        김정민 ( Jung Min Kim ),송신철 ( Shin Cheol Song ),심규철 ( Kew Cheol Sh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생물 학습 상황의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호작용의 유형 분석은 소집단 활동을 위해 교사가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하는 면담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상호작용의 유형은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간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4가지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소집단 내에서 교사와 소집단의 대표 학생 사이에서만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유형(LR, Leader Representation), 일부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유형(PSI, Partial Students Interaction), 학생과 학생 사이에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나 교사와는 대표 학생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유형(SAI, Students Active Interaction), 구성원 모두가 활발히 상호작용을 하고 모든 학생들이 교사와도 상호작용을 하는 유형(TSAI, Teacher-students Active Interaction) 등이다. 고등학생들은 면담 과정이 거듭될수록 학생과 학생 사이에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학습에 대한 개념 이해가 부족한 초기 단계에서는 학생들 간에 복잡한 상호작용 양상이 나타나지만 개념의 이해가 완성되어 갈수록 점차 상호작용 유형이 간결하게 변화되어가는 특성을 보였다. 이로부터 생물 학습을 위한 소집단에서의 상호작용은 개념 이해가 부족한 학습자에게는 개념을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학습 개념을 상호 형성할 수 있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tterns and features of interaction in teacher interviewing with high school students` small group for biology learning. The interactions in variety between the students and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teacher were made as the interviews with each small group were repeated to feedback for biology learning. The patterns of interaction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by interactive level of interaction among group members and a teacher: leader representation without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the teacher(LR, leader representation), interaction among a part of students and the teacher(PSI, partial students interaction), acti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inside the group, but only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der student(SAI, students active interaction), and interaction between all of the students and the teacher(teacher-students active interaction). Even though complex patterns of interactions were made among the students at the initial stage of in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study concept, the simple interaction processes were shown as students had gradually completed the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It was displayed that the interaction in the small group for biology study provides the opportunity to confirm and understand the concept to the students who were poor at the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and it can influence positively on the mutual creation of study concept.

      • KCI등재

        지구과학 영재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의사소통 구조와 집단 내 지위에 따른 언어적 상호 작용의 차이

        정덕호,이철민,박경진 한국지구과학회 202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verbal interactions of earth science gifted depending on their communications structures and group status in small group activities. To this end, a small group activit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density of the earth, and 8 small groups were selected, including 4 co�ownership type and 4 monopolistics type groups with different communication structures. And then, the framework was developed for analyzing verbal interaction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small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s, there were showing a simple pingpong-type communication structures for all small groups. Second, negative interactions such as ‘restraint’, ‘command’, ‘complaint’, and ‘lack of confidence’ predominantly appeared in all small groups. Third, the students in the status of out-lookers in small groups were mainly verbal interactions, such as instructing the other person, acting against the other person’s actions, and expressing dissatisfaction with the attitudes and abilities of members. Therefore, teachers should guide students to use higher-level verbal interactions in their group activities in small group activities, and engage in students communication to prevent negative interactions from occurring. The teachers also need to check the level of achievement for students in the status of out-lookers in advance and guide them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small group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sued to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to improve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이 연구의 목적은 소집단 활동에서 의사소통 구조와 집단 내 지위에 따라 지구과학 영재들의 언어적 상호 작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구의 밀도를 측정하는 소집단 탐구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소집단 간의 의사소통 구조가 서로 다른 공유형 집단 4개, 독점형 집단 4개 등 8개 소집단을 선정하였다. 이후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여 소집단 간의 특성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구조에 관계없이 모든 소집단에서 학생들은 핑퐁(pingpong)형의 단순한 의사소통 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소집단의 의사소통 구조 및 집단 내 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소집단에서 ‘제재’, ‘지시’, ‘불만’, ‘자신감 부족’과 같은 부정적인 상호작용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셋째, 소집단 내의 방관자의 지위에 있는 학생들은 상대방에게 지시하는 행동, 상대방의 행동을 저지하는 행동, 그리고 구성원의 태도나 능력에 대한 불만 표현 등의 언어적 상호 작용을 주로 보이고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는 소집단 활동에서 학생들이 상위 수준의 언어적 상호 작용을 구사하도록 지도해야 하고, 부정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생들의 의사소통에 관여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사전에 소집단 내 방관자의 지위에 있는 학생들에 대한 성취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이 소집단 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과학 영재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탐색

        이은경,윤지현,강성주,Lee, Eun-Kyung,Yoon, Jihyun,Kang, Seong-Joo 대한화학회 2014 대한화학회지 Vol.58 No.4

        최근 소통과 협업을 통해 문제를 탐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과학 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활동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소집단 구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과학 영재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분석하고, 학습양식에 기반한 소집단 구성이 소집단 활동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쟁형, 협동형, 의존형 학습양식과 협동형, 협동형, 의존형 학습양식을 지닌 6명의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을 각각 소집단 1과 소집단 2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1의 경우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이 낮은 비대칭적 형태의 상호작용이 나타난 반면, 소집단 2에서는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이 높은 대칭적 형태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소집단 1보다 소집단 2에서 심층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았고, 학생들이 소집단 활동에 동등하게 참여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 방법이 소집단 활동의 참여 여부나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importance of small group activity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in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because of the increased needs to foster the human resources that could explore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bal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s of the gifted-students in science in the small group activity and examined how learning style affected the interaction within a group in order to seek an effective grouping strategy. The competition, cooperative, and dependent students with learning style in the small group 1 and the cooperative, cooperative, dependent students in the small group 2 were assigned by the 6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mall group 1 showed the asymmetric interaction of the low level, whereas the small group 2 showed the symmetric interaction of the high level. In other words, the frequencies of in-depth interaction in the small group 2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small group 1, and also students in the small group 2 were equally involved in the activity rather than the small group 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grouping by the students' learning styles in the small group activity should affect significantly the participation decision in activity and the level of verbal interac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s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소집단 크기에 따른 중학생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나타나는 언어적⋅물리적 상호작용

        송나윤,신기덕,노태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2 No.5

        이 연구는 중학생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2인 1조의 소집단 학습에서 나타나는 언어적⋅물리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서울 시내 중학교 2학년 학생 12명이 용해도, 녹는점과 끓는점 개념에 대해 증강현실을 활용한 2인 1조의 소집단 학습에 참여하였다. 이 수업은 녹음 및녹화되었으며, 수업이 종료된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개별 진술 단위, 상호작용 단위 그리고물리적 상호작용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개별 진술 단위에서는 정보 설명과 정보 질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상호작용 단위는 단순상호작용, 정교화 상호작용의 비율이 높았다. 정교화 상호작용을 하위 영역별로 보면, 누적형 상호작용의 비율이 높았으며 뒤를 이어 교정형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물리적 상호작용은 활동지를 쓰는 행동과 가상 객체를 관찰하는 행동의 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 2인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 듣기ㆍ말하기 실태 분석

        정혜진(Jung, Hye-Ji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실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듣기ㆍ말하기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 교수ㆍ학습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를 ‘다양한 상황 맥락 속에서 상호교섭과정을 통해 인간관계를 형성 및 개선하는 담화’로 정의하고,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특성을 목적, 물리적 맥락 요인, 과정, 화자와 청자의 네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 소집단 대화 분석을 통해 듣기ㆍ말하기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듣기ㆍ말하기 과정에서 대화 참여자로서 대화의 상호교섭성에 대한 인식과 대화의 과정에서 협력적으로 상호 작용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미흡하였던 듣기ㆍ말하기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 담화의 실태를 실증적 치원에서 밝혀 듣기ㆍ말하기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thods to train high school students to have social interactive conversations properly, for which an analysis was made of the present state of their hearing and speaking. Herein, the social interactive conversation is defined as the conversation to form and improve human relations through mutual negotiations about various situation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interactive conversation were analyzed from four angles, the purpose, physical factors, process, and the speaker and the hear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small group composed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did not realize the importance of mutual negotiations and interactions in social interactive conversations. There has been no the practical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social interactive convers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has empirically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social interactive conversations and has presented the methods to improve hearing and speaking educations.

      • KCI등재

        다문화 배경 언어학습자의 과학수업 내 소집단에서의 역할 및 상호작용 양상 탐색

        안완주(Ahn, Wanjoo),주혜은(Chu Hye-eun),김호정(Kim, Ho Jung),박희경(Park, Hee Kyung),Sonya Nichole Martin(Martin, Sonya Nicho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표는 다문화 배경을 지닌 언어학습자들이 모델 공동 구성 과학 수업에서 나타내는 학습자 역할과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여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중학교 3학년 지구과학 모델 공동 구성수업에 참여한 언어학습자 두 명이 포함된 소집단 구성원 다섯 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학생들의 수업 내 상호 작용을 비디오카메라와 녹음기로 녹화 및 녹음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전사해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구자의 수업 참여관찰과 언어학습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소집단 내에서 나타난 언어학습자의 역할을 분석하였으며, 수업 참여 양상을 반 전체 상호 작용과 소집단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내 역할 분석 결과 언어학습자 두 명의 역할은 각각 소집단 내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모델 공동 구성을 촉진하였다. 둘째, 반 전체 수업 상호작용 분석 결과 언어학습자의 다양한 정의적․인지적 어려움이 관찰되었으나, 소집단 상호작용을 통해 과학 학습에 정의적․인지적으로 기여하고, 구성원들의 도움을 받아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학습자의 수업 내 긍정적 상호작용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적절한 교사의 개입과 중재 및 이를 위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paper aims to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language learners from a multicultural background when co-constructing scientific models in a middle school Earth Science class. This interpretive qualitative research study examines the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ir peers to consider the ways that language and social interactions impact on science learning. Our analysis focuses on the activities of five students, including two multicultural students who are not fully proficient in Korean language. Data includes whole-class observations of multiple lessons, video and audio recordings of the whole class and small group interactions, and stimulated recal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students. The video and audio recordings were all analyzed and transcribed into text. We viewed the videos and audios and identified examples of interactions in which language or social interactions appeared to impact on the students’ science learning. Using these video clips to stimulate participant recall, we interviewed the teachers and students by asking them to reflect on their observed behaviors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Our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the language learner students experienced cognitive and affective difficulties during the modeling activities, their peers were able to support their learning by serving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language and conceptual learning. At the same time, the language learner students benefited the learning of their native Korean peers by promoting reflective dialogue among their peers,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content knowledge, and offering creative and innovative suggestions for developing their group’s model. However, for such strategies to be successful, teachers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clear roles for their participation and to foster positive social interactions among peers. Our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eachers’ use of collaborative teaching strategies, such as modeling activities, with language learner students.

      • KCI등재

        소집단 활동을 통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이 말하기 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혜영 ( Hea Young Lee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2

        이 연구는 소집단 활동을 통한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말하기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소집단 활동은 교사 주도 교수 방법의 단점을 보완한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적, 학습자 중심적인 접근 방법의 하나로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제2언어를 습득할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학습자의 동기를 높이고 스트레스를 낮추며, 다른 학습자의 학습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긍정이고 정의적인 교실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소집단 활동의 효과가 실제 교실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학습자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학습자에게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실제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개별 활동과 소집단 활동 사이에서 나타나는 학습자들의 차이에 주목하였다. 실험 결과 소집단 활동은 개별 학습보다 더 의사소통적이었으며 학습 효과도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발화량 증가 다른 참여자의 발화 촉진, 정보 제공과 수집, 오류 수정, 능동적인 태도 경직되지 않은 유연한 분위기 등의 면에서 개별 활동에서보다는 소집단 활동에서 긍정적인 차이를 보여 줬다. 결과적으로 소집단 활동을 통한 상호작용이 실제적으로 학습자들의 제 2언어 습득을 촉진하는 유의미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mainly at researching how small-group work between learners can influence speaking activities. Small-group work is a learner-centered method which is based more o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nd which is supplementary to the disadvantages of the teacher-centered method. Small-group work offers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second language naturally through interaction between more than two people or in group work. In addition, it is well known as means of increasing a learner`s incentive to learn, decreasing stress, improving the study of other learners, and providing a class environment with a positive and motivating atmosphere. This article intends to determine how this type of small-group work effectively occurs in the class and how it can have positive effects not only on the learners themselves but also on other learners. It seeks to do this through experiments. To this end,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ifferences between learners, as reflected in individual and small-group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outcomes, small-group work was found to be more ommunicative than individual learning; furthermore, the learning effects were better than those noted for individuals. In particular, learners doing small-group work demonstrated more positive outcomes in terms of their vocabulary, information supply and collection, error correction, and active attitude. They triggered participation in others more and experienced a flexible rather than an uncomfortable atmosphere compared to those who experienced individual learning. As a result, this article concludes that interaction through small-group work effectively creates learners` incentives for second language learning.

      • KCI등재

        그림책 읽기 맥락에서 또래 상호작용의 탐색: 소집단 활동 중심으로

        심향분,성소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소집단 그림책 읽기과정에서 일어나는 또래 상호작용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장 친숙한 매체 중의 하나인 그림책을 읽으면서 아동들은 책의 주제, 내용, 작가의 의도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자신의 생각 및 의견을 드러내고 교류한다. 연구자는 이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보면서 어떠한 또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만 6세 아동 4명으로 구성된 소집단을 중심으로 그림책 읽기 활동을 주 1회씩 4개월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또래 상호작용을 비디오 녹화한 전사기록과 저널쓰기, 활동 결과물 및 부모면담 등으로 분석하였다. 아동들은 상호작용 속에서 개인적 경험과 텍스트를 연결 지었으며 주체적으로 의미부여를 하고 해석하였으며, 자신의 의견·생각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타자(他者)의 의견을 수용하고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는 노력을 하였으며 때로는 타자를 모방하기도 하였다. 또한 생각 덧붙이기를 통해 사고의 확장을 경험하고, 의견의 불일치로 갈등을 경험하지만 의견교류를 통한 해결점을 찾아가면서 성숙된 토론으로 나아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단순한 대집단 그림책 감상활동이 아닌 텍스트와 관련된 유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 참여의 유형을 탐색함으로써 그림책 읽기 참여의 의미를 시사하고 진정한 의미의 독서 토론의 가능성과 가치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er interactions in the context of shared picturebook reading activities in a small group. Children exchange their thinking and opinions in terms of the picturebooks, as one of the most familiar media of education for children, such as theme, contents, and authors' intentions during shared picturebook reading activities.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in order to observe peer interactions in the context of shared picturebook reading activities with four six-year-old children once a week for four month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transcripts of video recording data of the activities, as well as research journals, the children's works, and transcripts of parents' interviews. Through the peer interactions the children connected the individual experience with the texts, constructed and understood the meanings as accepting, insisting, and imitating others' opinions. Also, the children expanded their idea through adding theirs to the others idea, experienced the conflicts and overcame it. As a result, they developed the peer interactions to the mature book discuss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t of peer interactions as exploring the patter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reading activities, and it shows the possibility and value of children's book discussion as re-evaluating the meanings of it.

      • KCI등재후보

        스크립트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놀이가 초등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백연주,강옥려 한국발달장애학회 2018 발달장애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ll-group cooperative play using scripts implemented as a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in social interaction with peer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re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re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ir inclusive class were selected from the S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school curriculum plan,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the researcher's classroom during the regular class time using the club activity time. Using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the experimental condition included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behavioral measurements were made using the partial interval recording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mall-group cooperative play using scrip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cidence of positive interac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nsiderably decreased the incidence of negative interac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intervention effect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Therefore, small-group cooperative play using scripts is a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 that can be continuously carried out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This intervention can be presented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increasing positive interaction behaviors and decreasing negative interaction behavior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truggling with many difficulties in social interaction with peers.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등 지적장애학생에게 정규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실시한 스크립트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놀이가 비장애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경도지적장애학생 3명과 대상학생의 통합학급에서 함께 생활하는 비장애 또래학생 3명이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과정 계획에 따라 동아리활동시간을 활용하여 정규 수업시간에 통합지원반 교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행동측정은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였으며 행동관찰기록표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스크립트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놀이는 지적장애학생의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 발생률을 크게 증가시켰고, 부정적 상호작용 행동 발생률을 감소시켰으며, 중재 종료 후에도 중재 효과가 유지되었다. 따라서 스크립트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놀이는 정규 교육과정 내에서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실제적인 중재 방법으로,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는 지적장애학생의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을 증가시키고 부정적 상호작용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전략으로 제시될 수 있다.

      • KCI등재

        자연사관 관람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정원영,이주연,박은지,김찬종,이선경 한국지구과학회 200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0 No.7

        Inquiry became an essential methodology in science education. Recently, argumentation becomes more important in inquiry, but inquiry-based teaching in school science would not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have voluntary and active interactions during inquiry activities. Informal science learning can be an alternative for authentic inquir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find interaction patterns in dialogic inquir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s in the natural history gallery. Inquiry elements and interaction patterns are analyzed with 42 dialogues of 13 small groups. As a result, seven interaction patterns are identified. First, five major interaction patterns were drawn as follows; Sharing questions, asking questions and simple response, asking questions and simple explanation, asking questions-simple explanation-(collecting data)-data based explanation, and asking questions-collecting data-data based explanation. Second, pattern 2, ‘asking questions and simple response’, is sub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assive and/or evasive response, inaccurate response, and repeated patterns of asking questions-simple response.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different patterns of dialogic interactions in a small group inquiry in informal contexts from formal contexts, and provide foundations to understand middle school students’ interactive dialogues of inquiry occurred in the natural history gallery. 탐구는 과학교육의 본질을 설명해주는 결정적인 특징이다. 최근에는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여 탐구하고 그것을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포함한 논증이 강조되고 있는데, 학교 탐구학습 맥락에서는 자율적이고 활발한 상호작용의 측면에 서 그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그래서 대안으로 비형식 맥락에서의 탐구학습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국립과 천과학관 내 자연사관을 자유관람하는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13그룹의 탐구적 대화 42사례를 대상으로 탐구요소 및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탐구요소는 문 제제기, 자료수집, 설명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상호작용은 대화의 흐름을 화살표로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문제제기 로부터 탐구가 시작된다고 보았으며, 문제제기 이후 후속적인 반응에 따라 유형이 구분되었는데, 총 7가지 유형이 발견 되었다. 그 유형은 문제제기 공유, 문제제기-단순응답, 문제제기-단순설명, 문제제기-단순설명-(자료수집)-자료기반 설명, 문제제기-자료수집-자료기반 설명의 5가지로 크게 나누어지고,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유형 2는 다시 소극·회피적 응답, 부정확한 응답, 패턴의 반복으로 세분화되었다. 본 연구는 비형식 탐구학습에서 학교 탐구학습과 차별화되는 상호작용패턴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지며, 비형식 탐구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형식 탐구학습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