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영향 요인

        김순옥,라진숙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8 의료관련감염관리 Vol.23 No.2

        배경: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방법: 2016년 12월 1일부터 2017년 1월 31일까지 전국 300병상 이상 8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 2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은 개인적 특성으로는 임상 경력이 3년 미만의 간호사에 비하여 3년 이상의 간호사가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수준이 높았고,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의 인지도가 증가할수록 감염관리 활동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근무 부서 중 통합 중환자실에 비하여 내과계, 외과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조직적 특성으로는 병원 내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지침의 존재에 대한 인지 하고 있는 수준이 높고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한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조직 문화일 때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의 향상이 되었다.결론: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의 수준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에서 경력이 3년 미만인 간호사에게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질 좋은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며, 감염관리 활동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조직적 차원에서는 감염관리 활동을 위한 지침과 긍정적 조직 문화 수립이 필요하다.

      • 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에 대한 전향적 조사연구

        정희진,김우주,김민자,박승철,조경환 대한감염학회 1995 감염 Vol.27 No.2

        저자들은 1993년 1월부터 4월까지 고대 구로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1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병원감염의 발생률 및 사망률, 위험요인을 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 발생률은 총 146명의 환자중 58예로서 39.7였다. 각 부위별 병원감염은 폐렴 23예(39.7%), 기관지염 12예(20.7%), 요로 감염 8예(13.8%), 패혈증 6예(10.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원인균은 MRSA 13예(27%), Klebsiella species 14예(24%)의 순으로 나타났다. 2)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는, 신경외과에 입원한 경우, 두부외상이 있는 환자인 경우, 쇽이나 혼수등의 심각한 상태로 내원한 경우, 항균제 사용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혈중 알부민의 감소, 백혈구수의 증가, 크레아티닌의 증가, 각종 침습적 조작을 사용한 경우이었다. 3)중환자실에서 병원감염에 이환된 환자들중 사망한 환자는 총 58예중 23예로서 40%에 달하는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었다. 4)중환자실에서 병원감염에 이환된 환자들에서의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으로는 내원 당시 쇼크나 혼수가 있었던 경우, 각종 침습적 조작을 사용한 경우, 중환자실 재원 기간이 길수록,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 진단 당시 백혈구증다증이 있었거나 혈중 크레아티닌이 증가한 경우등이었다. 5)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볼때 기관내 삽관이나 기관절개등의 각종 침습적 조작의사용이나 혈중 알부민 농도의 감소 및 크레아티닌 농도의 증가등이 중환자실 병원감염에의 이환률이나 사망률증가와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위의 관찰을 토대로 하여 볼 때, 중환자실 환자들은 39.7%의 높은 병원감염에의 이환률을 보이고, 일단 병원감염이 발생하면 40%가 사망하는 등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병원감염의 현황 및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경험적 항균제 치료 및 예방의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병원감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대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Intensive care units(ICUs) probably represent the single largest identifiable source of nosocomial infection. Although nosocomial infection has become a maor health problem because of excessive morbidity, personal distress, and cost, no previous studies have clearly demonstrated the incidence of nosocomial infection and the case-attributable mortality in Korea. methods: In order to evaluate the incidence, the attributable mortality and risk factors of nosocomial infection in patients receiving intensive care, we have peformed a prospective stud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all patients who developed nosocomial infections in the ICU of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during a 4-month period(from January 1993 to April 1993). Result: 1)The incidence of nosocomial infections in ICU was 39.7(58 infections/146 admissions), and the percentage distribution by site was as follows: Pneumonia consitituted 39.7% of all nosocomial infecitons, tracheobronchitis 20.7%, urinary tract infection 13.8%, bacteremia 10.3%, phlebitis 6.9%,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5.2%, and others 3.4%. 2)Frequently isolated causative microorganisms of nosocomial infection were Methicllin-resistent Staphylococcus aureus(27%), Klebsiella species(24%), and Pseudomonas aeruginosa(17%). 3)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nosocomial infection were long duration of ICU stay, admission to neurosurgery, thepresence of shock or coma on admission, previous use of antibiotics, use of invasive procedures, peripheral leukocytosis, low serum albumin level, and high serum creatinine level. 4)The mortality rate in patients with nosocomial infection was 40%(20 deaths/58 infections) compared with 11%(10 deaths/88 non-infected patients) in patients without nosocomial infection: attributable mortality was 22%. The risk factors that attributed to the increment in the mortality rate were the presence of shock or coma on admission, long duration of ICU stay, use of invasive procedures, and steroid, peripheral leukocytosis, and high serum creatinine level. Conclusion: Nosocomial infections are frequent problems in critical care patients and associated with considerable morbidity, mortality, and cost. In addition, use of invasive procedures, previous use of antibiotics, low serum albumin level, and high serum creatinine level are closely related risk factors of nosocomial infection in the ICU and nosocomial infection-related deaths.

      • KCI등재후보

        투석실에서의 감염관리 표준지침

        김의종,김미나,최정실,유소연,김재석,정윤성,노경호,이혜경,장숙진,이혜수,이성희,염준섭,이상오,이선화,정재심,김정욱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0 의료관련감염관리 Vol.15 No.2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들은 심각한 기저질환이있는 상태에서 혈관에 유치도자를 가지고 있고,투석 중 혈액과 체액누출이 빈번한 점, 수혈을받는 경우가 많은 점 등 혈류감염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의료관련감염에 취약하다. 또한 혈액투석환자들은 장기적으로 투석실을 이용함으로써 병원감염의 병원균과 지역사회감염의 병원균이 만나서 섞여 혼재하는 곳이다. 이에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는 질병관리본부의 지원에 의해 투석실에서 표준감염관리지침서를 개발하였다. 이지침은 투석용 혈관통로 감염관리, 투석용수관리, 투석액과 투석용수의 미생물학, 화학적 감시,투석액 구성요소 및 이동체계, 투석기, 투석과정에서의 소독, 폐기물 처리와 혈액이 묻은 튜브관리, 환자감시무균술과 표준주의, 기타환경관리등 1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본 감염관리술기를 위한 5개의 부록으로 구성되었다. 이 지침은 국내에서 최초로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와질병관리본부가 공동으로 승인한 투석실의 표준감염관리지침이다. 여기에서는 부록을 제외하고지침서를 출판하며, 전문은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http://www.kosnic.org/)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전국병원감염감시체계 중환자실 부문 결과 보고: 2011년 7월부터 2012년 6월

        전민혁,김태형,김성란,천희경,한수하,방지환,박은숙,정선영,엄중식,김영근,이길연,최희정,김효열,김경미,성주헌,어영,김홍빈,정흥수,권준욱,우준희,전국병원감염감시체계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4 의료관련감염관리 Vol.19 No.2

        배경: 전국병원감염감시체계(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KONIS) 중환자실 부문에서 2011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감시를 수행한 다섯 번째 연간 자료를 보고한다. 방법: 전국에 있는 81개 병원의 143개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원내 요로 감염, 혈류 감염 및 폐렴에 대한 감시를 전향적으로 실시하였다. 병원감염률은 1,000 재원일수 또는 기구일수 당 감염 건수로 구하였다. 2011년 10월 1일 이후부터 무증상 세균뇨는 보고에서 제외되었다. 결과: 조사 기간 동안 총 3,374 건의 병원 감염이 발생하였는데 요로 감염 1,356건, 혈류 감염 1,253건, 폐렴 765건이었다. 요로 카테터 관련 요로 감염(CAUTIs)은 1,000 기구일 당 2,26건(95% 신뢰 구간, 2.14-2.39), 요로 카테터 사용률은 0.85 (95% 신뢰 구간, 0.84-0.851)였다.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은 3.01 (2.84-3.19)이었고, 이용률은 0.52 (0.519-0.521)였다. 인공 호흡기 관련 폐렴의 비율은 1.70 (1.56-1.86)이었고, 이용률은 0.40 (0.399-0.401)였다. 인공 호흡기와 요 카테터 사용률은 400-699 병상 규모 병원의 중환자실에서 더 낮았지만, 인공 호흡기 관련 폐렴과 요로 카테터 관련 요로감염은 이들 병원에서 더 많았다. 결론: 병원 감염 비율은 지난해 조사 결과와 비슷했다. 검증 된 감염 통제 전략의 구현이 지속되어야 하겠고, 특히 중소규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 임신부의 호흡기감염 예방 지식과 이행 정도

        윤성원,김옥선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3 의료관련감염관리 Vol.18 No.1

        배경: 임신부의 호흡기감염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고, 태아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감염예방이 필요하다. 이에 임신부들의 호흡기감염 예방 지식과 예방 행위 이행 정도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상급종합병원 1곳의 산전관리 교육에참여한 임신부 300명에게 2012년 5월 10일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한 259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결과: 임신부 259명 중 2명(0.8%)만이 호흡기감염 예방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임신후 호흡기감염을 40.9%가 경험했다. 호흡기감염예방 지식은 15점 만점에 11.63점(정답률 77.5%) 이었으며, 감염예방 이행 정도는 52점 만점에32.34점(이행률 62.19%)이었다. 호흡기감염 지식과 이행 정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임신 중 호흡기감염을 경험한 대상자들이 많았으나 호흡기감염 예방에 대한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호흡기감염 예방 지식과 이행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으므로임신부들의 호흡기감염 예방을 위한 지식 제공을 위해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노인요양기관 종사자의 호흡기감염 예방 지식과 이행도

        김옥선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5 의료관련감염관리 Vol.20 No.2

        배경: 노인요양기관 종사자들은 면역이 저하된 노인들에게 호흡기 감염을 전파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호흡기 감염 예방은 중요하다. 이에 노인요양기관에서의 호흡기감염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가 되는 기초자료로서 노인요양기관 종사자들의 호흡기감염 예방에 대한 지식과 이행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2014년 7월 19일부터 8월 8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노인요양기관에 근무하는 202명의 종사자들에게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노인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조사대상자의 44.6%가 최근 1년 이내에 호흡기감염을 경험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호흡기감염 예방 지식은 12점 만점 중 10.6점이었으며, 감염 예방 이행 점수는 48점 만점 중 34.6점이었다. 호흡기감염 예방 지식과 이행 간에는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r=0.00, P=0.967). 결론: 본 연구에서 노인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호흡기감염 예방 지식 수준은 높았으나 이행은 높은 수준이 아니었고, 지식과 이행간에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므로 지식 수준을 높이기 보다 다양한 호흡기감염 예방 이행 수준을 높이는데 초점을 둔 프로그램 개발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발생한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집단발생의 분자역학적 조사와 감염관리

        이성희,정재심,류선주,김양수,류지소,배직현 대한감염학회 1996 감염 Vol.28 No.2

        목 적 : 메티실린내성 포도상구균(MRSA)은 병원감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특히 중환자실등 고위험군환자에서 이환율이 높고 집단감염이 자주 발생하여 이의 역학을 밝히기 위한 여러가지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발생한 MRSA 패혈증 집단발생의 역학조사를 위해 분자역학 방법 중의 하나인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PFGE)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의해 감염관리 조치를 취하여 감염을 줄일 수 있었으므로 이에 대한 보고를 하고자 한다. 방 법 : 1995년 3월부터 9월까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환자 중 MRSA 패혈증을 나타내었던 13명의 환자 중 11명에서 분리된 16 균주를 대상으로 액채배지희석법에 의한 항균제감수성검사와 SmaⅠ제한효소를 이용한 PFGE를 통해 DNA 분석을 실시하였고, 환자기록조사로 MRSA 감염의 시기, 다른 MRSA 감염환자와의 상호관계, 치료에 직접 관여한 의료진과의 관계등을 파악하였다. 감염관리 대책으로는 환자와 의료진의 cohorting을 실시하였으며 손씻기 교육등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대부분의 MRSA 군주들은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eicoplanin과 vancomycin에만 감수성을 보이고 다제내성균들이었으며 6종류의 양상을 나타내었고, PFGE 결과는 7종류의 양상을 보였다. 감염관리 대책을 도입한 후 4개월간 단 1건만의 MRSA 감염이 있을 뿐이다. 결 론 : PFGE 결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발생한 MRSA 감염 집단발생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몇가지 균주에 의한 지속적인 감염이었으르로, 환자외 의료진의 cohorting을 실시하고 손씻기 교육을 강조하므로서 감염을 줄일 수 있었다. PFGE는 재현성이 우수하고 균주의 식별이 용이하여 병원감염의 역학적 조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is an important cause of nosocomial infection, and infection with this organism can result in considerable morbidity and mortality despite intensive care. Between March and September 1995, 15 episodes of MRSA bacteremia occurred in 13 patie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which was successfully controlled with the aid of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PFGE) for molecular typing of the isolates. Methods : A total of 16 strains of MRSA isolated from 11 patients were typed for antibiogram by microdilution method and chromosomal patterns by PFGE. Infection control measures included in-service teaching sessions, cohorting of patients and nursing staff, and meticulous hand washing. Results : Six patterns of antibiograms and 7 patterns of DNA types were identified in 16 strains indicating the diversity of the outbreak strains. Only one additional episode of MRSA bacteremia occurred in 4 months since the introduction of control measures. Conclusion : The diversity of chromosomal DNA patterns suggested that new strains of MRSA were introduced continuously into the NICU and the infection control measures to prevent its introduction into the NICU were successful in reducing MRSA infection in the unit. Chromosomal DNA typing by PFGE is reproducible and descriminatory, and the which is found very useful in the molecular epidemiologic studies of nosocomial inf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