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주현준,김태연,남지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간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80년부터 2011년까지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관계를 분석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CMA 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간의 전체 상관관계는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의 상관관계는 과거보다 현재, 중등학교보다 초등학교, 학생 수준보다 학급 수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지도성 유형 중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효과성의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지도성은 학생의 지적·정의적 발달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학급을 만드는데 큰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학교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개별 교사에게 권한과 자율을 부여하는 공유와 분산적 접근이 향후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현장 교사들이 권한을 부여받고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지도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학교급과 지도성 유형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Plan for the School-based After-School Programs : focusing on the case of Michigan

        주현준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The demand for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continues to grow. Repeated findings on schools have informed that unsupervised environment contributes to poor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misdemeanors. It has been raised to develop high-quality after-school programs in order to deal with the challenge. Facing the challenge, public school leaders have the responsibility to make every endeavor to relieve current conditions. Specifically, the role of school principals is "extremely important" to initiating and planning the school based after-school programs. Few studies, however, have been conducted that could guide the administrative standards of planning after-school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chool principals with the standards in planning after-school programs and extract the implications for school principa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ineteen tasks and 143 days were required to plan after-school programs. Some implications for school principals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경기ㆍ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주현준 한국교육학회 2008 敎育學硏究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teachers'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hich consisted of 19 teachers competencies based on the N.E.I.T. competencies model.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327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formul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d importance levels of the teachers' competenc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s. 2)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the high educational needs on the teachers' competencies and the highest priority to be developed were different. 3)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different level of educational needs on th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ir gender, teaching experiences, position, and school location. 이 연구는 역량기반 교사연수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초등학교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와 인천지역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지는 교육인적자원연수원이 전국 단위로 개발한 교사 역량모델을 토대로 하여 3개의 역량군과 19개의 하위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중요성 인식과 실제 수행 수준을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최종 회수된 327부의 설문지는 보리치(Borich)의 교육 요구도 계산공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19개 역량에 대해 인식하는 중요도 수준은 실제 수행 수준 보다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9개 역량 중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윤리의식, 교과전문성, 상호신뢰, 학생이해, 의사소통, 교수-학습 역량에 대해 높은 교육요구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수준은 성별, 교직경력, 보직 유무, 학교 소재지 등 개인 특성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사리더십 특성에 기초한 연구동향 분석

        주현준,김갑성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리더십 특성에 기초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교사리더십 연구 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사리더십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여 교사리더십의 특성을 정리한 후, 이를 기준으로 국내에서 발표된 박사학위논 문과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총 27편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리더십의 특성은 리더십 발휘 대상 및 영역이 다양하고, 영향력 발휘 형태는 형식적ㆍ비형식적 형태로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전문성 개발 방식은 제도화된 방 식과 비제도화된 방식으로 양분되었다. 둘째, 교사리더십의 발휘 대상 및 영역과 영향력 발휘 형태에서 연구의 편향성이 확인되었다. 연구대상은 교사 자신과 학생에 치중되었고, 영향력 발 휘 형태로 주로 과업주도성과 공동체성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사 리더십 연구의 방향으로 전반적으로 연구의 확대, 교사리더십의 특성에 충실한 연구 강화, 실 용적인 교사리더십 개발 모형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of teacher leadership and suggest the directions and tasks. To achieve the goal, the features of teacher leadership were drawn from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features, total 27 of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articles were analyzed to find the research tren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leadership was characterised by a variety of formal and informal grouping. Second, most of previous research focused on the ‘students’, ‘teachers’ , ‘task-oriented’ and ‘collegiality’, whereas little research to date has inquired about ‘school administrators’, ‘parents’ and ‘goal-oriented’. Third, it needs to conduct studies related to all fields of teacher leadership, make an effort to study the research trend of teacher leadership, and seek the practical model for teacher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 단위학교 자율화를 위한 지방교육자치의 재구조화 방안 토론

        주현준 한국교육정치학회 2010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현 정부의 ‘4.15 학교자율화 조치’는 단위학교에서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활동이 전개 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 시ㆍ도 그리고 단위학교 간의 책임과 권한을 조정하는 3단계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 번째 단계는 학교의 자율성을 저해하는 29개 지침 을 즉시 폐지하는 것이고, 두 번째 단계는 규제성 법령을 정비하고 행정절차를 간소화하 는 과정이다. 마지막 단계는 교육현장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서 학교단위 자율경영체제 확립을 지원하는 것이다. 즉 3단계의 주요 내용은 교육과정, 규제 완화, 지방분권, 학교 자율경영 측면의 변화를 추구하고 것으로 정리된다.

      • KCI등재

        학교 진로교육의 효과 분석

        주현준,이쌍철 교육종합연구원 2014 교육종합연구 Vol.1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on self-understanding, job attitude, career planning and career behaviors, as well as college major decision-making.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data collected b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education in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planning and career behaviors, while it showed no effect on self-understanding and negative effect on job attitude. Second, the period participating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schools influenced positive on self-understanding, job attitude, career planning, and career behaviors. Third, parents’ support on career education also had positive impact on self-understanding, job attitude, career planning, and career behaviors. Finally, caree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schools showed no impact on college major decision-making for students who pursued the higher educ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rior to career education, schools should carry out programs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own competence, interest and aptitude as well as to have proper vocational consciousness. In addition, they suggested that relevant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to reinforce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