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기 CO2 농도에 따른 소나무의 생리.생태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

        윤주은 서울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산업혁명은 도시의 인구를 증가시키고 도시화를 확대시켰다. 그리고 도시화의 팽창은 CO2 농도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서울의 도심지인 서래공원, 도심외곽지역인 서울여대 및 교외지역인 북한산을 중심으로 대기 중 CO2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 도심지인 서래공원의 대기 중 CO2 농도는 409.1~429.3μmol CO2 mol-1 로 조사지점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났으며, 도심지외곽에 위치한 서울여대에서 측정한 대기 중 평균 CO2 농도 399.7~416.2μmol CO2 mol-1 로 나타났다. 교외지역에 있는 북한산에서 측정한 대기 중 평균 CO2 농도 374.2~413.6μmol CO2 mol-1 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가 작은 “Urban CO2 dome"의 모형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CO2 농도의 증가는 잎의 광합성속도가 증가되고 잎의 기공밀도는 감소되어진다. 조사지점별 CO2 농도에 따라 소나무의 광합성속도도 차이를 보였다. 도심지인 서래공원에 있는 소나무의 광합성속도는 8.9 (±3.06)μmol CO2 m-2s-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외지역인 서울여대에 있는 소나무의 평균광합성속도는 15.0 (±2.25) μmol CO2 m-2s-1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외지역인 북한산의 소나무 평균광합성속도는 14.8 (±7.14)μmol CO2 m-2s-1로 조사지점 중 가장 낮았다. 또한, 조사지점별 엽육내 CO2 농도와 광합성속도에 대한 상관분석결과 서래공원, 서울여대 및 북한산의 R2 값은 0.82, 0.81 및 0.61으로 나타났다. 세지역 모두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이 중 엽육내 CO2 농도가 광합성에 미치는 기여율은 서래공원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2 농도에 따라 잎의 기공 밀도도 차이를 보였다. 조사지역인 도심지역의 서래공원과 도심외곽지역 서울여대 및 교외지역인 북한산의 소나무 기공밀도를 관찰한 결과 81.76 (±25.35)mm2, 96.07 (±19.8)mm2 및 118.69 (±27.23)mm2로 CO2 농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기공 밀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대기 중 CO2 농도의 영향일 것이라 생각된다. 소나무 잎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조사지점별 엽육조직에서만 유의성을 보였다. 도심지인 서래공원 소나무 잎의 엽육조직은 304.06㎛으로 가장 넓었으며, 도심외곽지역인 서울여대 소나무 잎의 엽육조직은 216.34㎛, 교외지역인 북한산은 215.85㎛으로 가장 좁았다.

      • 공공도서관 역사 문화프로그램 현황 조사 : 서울시를 중심으로

        윤지영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현재의 공공도서관은 정보 보존과 이용이라는 기본 기능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평생교육센터로서 자리 잡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문화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발전에 많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주제로 그 내용도 확대하고 있다. 역사 문화 프로그램은 한 사회의 역사화 문화 인식을 지탱하고 유지시킨다는 측면에서도 공공도서관이 중요하게 바라봐야 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운영되는 역사 문화프로그램의 발전방안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공공도서관이 진행하고 있는 역사 문화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본 후 현재 진행하고 있는 역사 문화 프로그램을 유형별로 살펴보았으며, 유사한 역사 문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박물관․미술관․문화원의 역사 문화프로그램을 확인하여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역사 문화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서울시 공공도서관 및 유관 기관의 역사 문화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역사 문화 프로그램의 유형을 주제별, 이용자별, 운영형식별, 기간별로 나누어 프로그램 진행 상황을 세부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제별로는 한국사 관련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어린이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비중이 높았다. 주로 통합형 운영형식을 취하며 정기적인 프로그램이 다수를 차지했다. 연구 결과 공공도서관의 역사 문화 프로그램은 어린이와 성인 이외에도 유아 및 노인 이용자 등과 같이 이용자층을 확대하여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또한 직장인 등을 고려하여 온라인, 야간, 주말 등 다양한 시간대에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성도 높다 판단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박물관·미술관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통합형 프로그램의 기획과 확대 등을 제안하였으며 역사 문화 프로그램이라는 주제의 특수성과 관련, 매체의 적극적인 활용을 제안하여 이용자와 프로그램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적으로 서울시에 위치한 기관들로 그 조사를 한정하였기에 그 한계가 존재하며 좀 더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기본 사례 또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후속 연구 등을 기대해볼 만하다. Currently, the public library has become a lifelong learning center of the community with the basic functions of preserving and using information. The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play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are expanding on various topics. The history and culture program is a program that public libraries should consider more importantly in terms of sustaining and maintaining the perception of historical culture of a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programs operated by public libraries in Seoul. In order to do this,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y and culture programs being conducted by public libraries was investigated, the current history and culture programs were examined by type, and the history and culture programs of museums, galleries, cultural center were also examined to compare their featur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y and culture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and related institutions in Seoul and the types of historical and cultural programs were examined and analyzed in detail by the thematic, user, operating type and period. In terms of themes, programs related to Korean history were the most important, and the proportion of programs targeting children was high. Most of the programs were operated regularly as integrated form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will be able to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by expanding the user base to a wider population such as infants and elderly users in addition to children and adults. Also, it is necessary to offer the programs on weekends and at nights to embrace office workers who cannot participate during the day.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planning and expanding integrated programs through association with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suggests the active use of media in relation to the specificity of the theme of historical cultural program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is restricted to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Therefore, the follow-up research that examines the basic case or framework of the public libraries’ history and culture programs in more detail is necessary as future research.

      • 대학생의 교내활동, 외부활동, 여가활동 참여도와 인성발달 수준과의 관계

        이현숙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대학생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고 오랜 시간 노출되는 환경인 대학환경 속에서 참여하는 교내활동 참여도, 대학생들이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인 외부활동 참여도, 일상생활 속에서 참여 가능한 여가활동 참여도가 대학생의 인성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2,3,4학년의 남녀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고 최종 317개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독립변수인 교내활동, 외부활동, 여가활동 참여도가 종속변수인 대학생의 인성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교내활동 참여도는 인성발달 수준과 그 하위요인 7개(긍정적 생활태도, 심미적 소양, 도덕적 판단력, 타인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한 용서와 관용,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 세계시민정신)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활동 참여도는 심미적 소양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세계시민정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도는 인성발달 수준과 타인에 대한 존중, 심미적 소양,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 긍정적인 생활태도, 도덕적 판단력, 세계시민정신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대학생들의 인성발달 수준과 관련 깊은 활동요소들이 이후 대학생의 인성발달을 위한 환경과 기회제공의 방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학생들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 방법, 내용을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s of university students' class activities, out-of-class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and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Data were collected from 328 undergraduate students from 33 universities based in Seoul and its satellite cities. 317 except 11 incomplete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grees of university students' class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However, the findings show that the degree of out-of-class activiti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In specific,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three activities and the seven sub-constructs of character development (positive attitudes, pursuit of the common good, moral judgment, understanding and love for others, forgiveness and compassion for others, sense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a community member, and world citizenship)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class activit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the seven sub-constructs of character development while their out-of-class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only two sub-constructs: pursuit of the common good and world citizenship. Second,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leisure activities are correlated with the six sub-constructs except forgiveness and compassion for oth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ors should develop students' class, out-of-class, and leisure activities tailored to the purpose and needs for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and universities should provide the students with as many opportunities as possi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meeting their needs.

      • 여대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정새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여대생의 대학 생활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더불어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 경기 지역 여자대학생 35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생활스트레스 척도, 스마트폰 중독 척도, 우울(BD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고위험 사용자군에서 스트레스 경험빈도와 우울이 높게 나타났으며,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에서는 스트레스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우울이 높은 집단은 스마트폰 중독과 생활스트레스 경험빈도,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생활스트레스 경험빈도와 생활스트레스 중요도는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생활스트레스 경험빈도는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생활스트레스 경험빈도와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는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생활스트레스 중요성만 스마트폰 중독과의 사이에서 우울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활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을 예방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들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서 여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과 개입에 있어 생활스트레스 및 우울이 효과적으로 개입된 것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치료현장에서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다룰 때 중요한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구체적인 치료방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를 통한 전화상담 모델 연구

        홍승숙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started from this question that is there have some family counseling model which can help more efficiently than short-term telephone counseling. Therefore I studied what is the critical point of telephone counseling and what can be its alternative plan above all. The study method is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y and reality of telephone counseling. Especially I analyzed and collected statistics about telephone counseling data recently in three years of Seoul Women University's family counseling association with classifying it into itemized contents and counseling contents. With this analysis I could figure out the efficiency and effects of telephone counseling, and recognize necessity of the family counseling model for over passing the limitation of telephone counseling. Among lots of family counseling theories, I found that Solution-Focused Family Therapy theory is used usefully and can be a great help of this. For structuralizing sixty minutes more efficiently, focusing on rather solution than problem and rather positive than negative makes a big change in short time . Also it is not concerned about consulter's weak point, but strength, so Solution-Focused Family Therapy is useful in here. And with this therapy, a consultant set a goal with a consulter, so it makes synergy effects, because most of consulters use this telephone counseling by their own choice. Moreover it blocks up that only consultant leads to set a goal, and supports consulter to a professional position to make his or her own goals of counseling, which can be possible, so the efficiency of counseling can increase. The biggest worry of consultant can be solved in Solution-Focused Family Therapy. Whenever they consult consulters without any information about them, they feel the need of questions which can understand consulters more effectively. That question has two strength points. One thing is that make consultant to manage counseling immediately, and the other is that it has successful and effective question technique to understand consulters in a short time. This question technique makes consultant to find consulter's exceptional things, strength points, and the degree of change, in addition to this, it makes counseling progress more systematically in a short time. Also it is not problem-focused questions, but solution, so that it gives counseling lot of powers. This Solution-Focused Family Therapy overcomes the telephone counseling's weaknesses and shows the family counseling model with telephone to make a help consulters more effectively. If some theory is very good, but no consultants use it in the real counseling field, it's not good anymore, that's why I show counseling cases. Solution-Focused Family Therapy, thus, makes up the weak points of telephone counseling and maximizes its strength, so I expect it helps telephone counseling makes more professionally with this new family counseling model.

      • 가족상담에 관한 목회자들의 인식조사 연구

        하현철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사회에서 가족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정도로 우리의 삶에 중요하게 자리잡고 있다. 그 중요성을 인식하는 만큼 문제성도 다양하며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성도들에게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렇기 때문에 목회현장에서 성도들을 상담해야 하는 목회자로서 복잡하고 다변화 하고 있는 가족의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것은 무거운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가족의 중요성을 피력하면서, 1장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그리고 연구방법과 범위와 용어정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2장에서는 가족상담적 배경을 성경에 기초하여 성경 속에서 보여지는 결혼과 가족갈등 그리고 이혼에 관한 문제들을 성경인물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그러면서 성경인물들의 가족상황과 가족상담의 치료적 기법을 적용해 봄으로써 가족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성경에서 찾아보았다. 3장에서는 본 논문의 중심 주제인 가족상담에 대한 목회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해 보았다. 가족상담에 대한 전반적인 목회자들의 인식과 전문성에 과한 분석, 그리고 목회현장에서의 가족상담에 대한 자원등에 관하여 분석해 보았다. 또 주요교단별 신학대학원의 상담 및 가족상담에 관한 교과과정도 분석해 봄으로써 신학대학원별로 상담 및 가족상담의 교육의 활성화 및 전문성등을 검토해 보았으며, 신학대학원별 교과과정에 따라 가족상담에 대한 목회자들의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다시한번 신학대학원에서의 상담및 가족상담의 교과과정의 확대필요성을 다루었다. 아울러 목회현장에서 필요한 가족상담의 치료적 기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요약하면서 나름대로의 제언을 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family is being emphasized in current society, pastors and ministers were surveyed on their perception on the need of family counseling. One hundred pastors and ministers were surveyed and the study delved into their in depth understanding of family counseling. Survey ques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questions were regarding the pastors and ministers general perception on family counseling. The second questions were based on their specific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family counseling, and finally the third questions investigated the tools or methods in family counseling during actual situations. Through careful research, it can be understood that most of the pastors and ministers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amily counseling, yet still lack professional family counseling. This is especially true due to the fact that each divinity school has its own curriculum and the understanding of family counseling varies from school to school that the pastors and ministers have attended. In other words, pastors with exposure to family counseling education during their time in seminary have shown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family counseling than others that have not. Based on this research,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observations. First, as pastors and ministers assume the role of a counselor to many, they should be obligated to possess profession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counseling. Second, as all those who have taken the survey have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family counseling, more emphasis and activity must be put on the relevant subject. Third, there must be more opportunities to learn more about family counseling, especially in the divinity school and there is a pressing need to extend relevant counseling subjects. Lastly, if churches have professional counselors other than the pastors and ministers, full cooperation is essential from both parties.

      • 고통 감내력,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의 관계 : 청소년과 성인 집단 비교

        권희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직장인 집단을 대상으로 연령집단에 따라 고통 감내력, 분노반추, 역기능적 분노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연령집단별로 고통 감내력과 분노반추가 역기능적 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고통 감내력과 역기능적 분노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연령집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대학교 2, 3, 4학년, 만 27~35세 직장인 남 ․ 여 총 460명을 대상으로 고통 감내력 척도(DTS), 분노반추 척도(K-ARS), 상태-특성 분노 표현척도(STAXI-K)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다변량 분석, t-검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집단이 고등학생 집단에 비해 고통 감내력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직장인 집단이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보다 고통 감내력 하위요인인 평가 수준이 높았다. 또한 대학생 집단은 중학생 및 고등학생 집단에 비해 분노반추 하위요인인 분노원인반추 수준이 높았고, 직장인 집단에 비해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집단이 특성분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직장인 집단의 고통 감내력은 역기능적 분노 즉 특성분노,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분노반추는 역기능적 분노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고통 감내력과 분노반추 간에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고통 감내력과 역기능적 분노 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연령집단에 따른 매개효과의 양상이 달리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고통 감내력이 역기능적 분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분노반추를 통해 간접적으로 역기능적 분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해당하는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직장인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청소년과 성인 집단에서 고통 감내력과 역기능적 분노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청소년 집단에서는 고통 감내력이 역기능적 분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역기능적 분노의 유지 및 심화과정에서 고통 감내력의 부족이 일종의 취약성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역기능적 분노 문제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 고통 감내력의 증진과 발달적 특징을 고려한 접근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비롯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relation there are in distress tolerance,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on the subjects of groups including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iate students and employe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upon dysfunctional anger by the developmental stage. Further,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how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rumination by the developmental stage represents in the 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dysfunctional ang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DTS, K-ARS and STAXI-K on the subjects of the total 460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including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2nd year high school students, sophomore, junior and senior collegiate students and employees aged between 27 and 35 years old. The data were then processed by using an SPSS 18.0 program to carry ou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group of employees showed a high level of distress tolerance comparing that of the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the group of employees showed a higher level of evaluation, a sub-factor of distress tolerance than that of thos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lso, it is found that the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comparing that of thos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high level of anger cause rumination, a sub-factor of anger rumination and that the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iate students comparing that of employees showed a high level of trait anger.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 variables, distress tolerance for the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iate students and employee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ysfunctional anger, that is to say, trait anger, anger-out and anger-in, and anger rumination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ysfunctional anger. And it i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Third, from the result of examining mediating effects of anger rumin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dysfunctional anger, it i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t aspects of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It is found that distress tolerance, other than directly affecting dysfunctional anger, indirectly affected dysfunctional anger through anger rumination as the age grew older.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attempted to empirically verify relation aspects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by selecting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iate students and employees who were in their adolescence and adult period as research subjects.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ack of distress tolerance possibly function as so called a vulnerable factor in the course of maintaining and/or deepening of dysfunctional anger by exploring roles of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affecting dysfunctional anger. Based on this study, a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into the matter of dysfunctional anger,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approach considering increase of distress tolerance and developmental features. And this study discussed limit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s well.

      • 서울지역 일부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습관 및 혈액 임상지표 비교 연구

        이루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대학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첫 발돋움을 하는 단계이자 자발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특히 여대생의 경우 훗날 임신을 통하여 제2세대를 양육해야하는 모체이므로 더욱 적극적이고 적절한 영양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대학생이 된 후에는 식습관이 불규칙 해지고 과도한 체중 조절로 인해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거주 형태에 따른 식습관과 혈액 특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총 374 명의 대상자가 거주 형태에 따라 자택군, 기숙사군 및 자취군으로 분류되었다. 설문지를 통해 일반 사항, 식습관, 음식 섭취 빈도, 신체 활동 및 식생활 태도를 조사하고 인체 측정 및 혈액 임상 지표를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BMI는 각각 161.21cm, 53.54kg, 20.51이었다. 많은 여대생이 건강과 영양에 관심이 있었으며, 체중 감량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또한, 자취군에서 주관적인 건강 상태가 다소 안 좋아졌다고 유의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대부분이 격렬한 신체 활동보다 가볍게 걷기 운동을 하고 있었으며, 기숙사군은 운동 시설이 부족하여 운동하기가 어렵지 않다는 인식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끼니 중 주로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았으며, 자택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대학생이 된 이후로 식습관이 더 나빠진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중 자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단백질, 유제품, 과일, 해조류의 섭취 빈도는 다른 두 그룹에 비해 자취군에서 현저히 낮았다. 고지방 육류의 섭취 빈도는 자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자택군에서 음식을 작은 조각으로 잘라 먹었으며, 자취군에서 고 탄수화물 음식을 피하는 경향이 있고 새롭고 풍부한 식품을 시도하고 즐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평균 혈중 농도는 정상 이었지만 혈중 임상 지표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취군은 자택군과 비교했을 때 식습관이 좋지 못했다. 거주 형태가 혈액 임상 지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거주형태와 혈액 임상 지표를 비교연구 하였다는 시도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대학생, 특히 자숙 그룹의 영양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 교육이 필요하다. College students are the important time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the foundation to maintain a healthy adulthood.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should be more aggressive and appropriate nutrition because they can later become pregnant. However, after becoming a college student, eating habits are likely to become irregular and may experience various health problems due to excessive weight 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 types. A total of 374 subjects were classified as home group, self-boarding group and boarding group according to their residence type.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frequency of food intake, physical activity and eating attitudes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lood clinical indices were analyzed. The average height, weight, and BMI of the subjects were 161.21cm, 53.54kg, and 20.51, respectively. A large number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health and nutrition and had tried to lose weight. In addition, the self-board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t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omewhat worse(p<0.05). Most of the subjects were walking lightly than the intense physical activity, and the boarding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exercise because of lack of exercise facilities in the vicinity. Most frequently skipping meal was breakfast,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ome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Most colleg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ir eating habits had worse since becoming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lf-boarding group. The frequency of grain intake, protein intake, dairy intake and seaweed intak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elf-boarding group, than those of the other two groups. The frequency of consuming fatty meat and frui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ome group. In the home group, they cut food into smaller pieces and tried new and rich foods in the self-boarding group. The average blood level of the subjects was normal but did not affect the change of blood clinical index.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self-boarding group had inadequate dietary habits compared to the home group. Although the residence pattern did not affect the change of the blood clinical index, but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idence type and the blood clinical index were comparatively studied. Therefore, proper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college students, especially self-boarding group.

      •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기 비난의 매개효과

        김재윤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대학생 시기는 중·고등학교 시절에 비해 스스로 행동하고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지고, 부모로부터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독립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대학생 시기에 친밀한 대인관계를 경험하지 못한다면 우울, 불안, 부적응 등과 같은 다양한 심리적 부적응을 겪게 되고 정체감 확립과 인격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시기에 성취과업을 성공적으로 이루지 못했을 때, 고립감이라는 위기를 경험하게 되며 이후 단계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 시기 동안 대인관계에서의 갈등과 문제를 잘 다루기 위해 주변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친밀감을 경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비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및 경상/강원, 충청/전라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 자기 비난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332명(남89명, 여243명)의 자료에 대하여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 자기 비난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 비난은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자기 비난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하는 이들에게 치료적인 방향과 개입 전략으로 내면화된 수치심뿐만 아닌 자기를 비난하는 사고를 다루어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University students are free to choose and act on their own terms compared to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It is a time of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independence from parents. However, if you do not experience intim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university students' time, you will experience various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such as depression, anxiety, maladjustment, and negative influence on identity formation and personality development. Failure to accomplish accomplishment successfully during this period can lead to a crisis of isolation and may affect the development of the later stag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form a friend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o experience intimacy in order to cope with conflicts and problems in interpersonal relations during university students'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riticism when internalized shame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For this purpose, it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Gyeongsang/Gangwo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with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internalized shame level, interpersonal problem level, and self-criticism level. It collected answers from 332 students (89 males and 243 females), analyzed the mutual relation between main variables and analyzed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interpersonal problem, and self-criticism. Second,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affected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self-criticism was partially 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ose experiencing interpersonal problems will need to deal with self-criticism as well as internalized shame by therapeutic orienta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inally, it discuss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