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과후학교에서 효율적 문화유산 교육 방안 연구 : 초등학교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김혜선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nables vivid history learning by finding out how people at the time when the cultural heritage was formed lived and comparing it with our current living. Through cultural heritages, humans can confirm their identity as an individual or member of the community and have ethnic pride, respect for ancestors and love for their region and national culture. In addition, they can understand the value and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participate in valuing and conserving cultural heritages. Thi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s regarded as being able to develop creativity and sensibility with a variety of activities to understand society·politics·science and technology·economy·philosophy·religion etc., human activity areas and fully act as a subject leading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a variety of learning and experiences and this can contribute to ‘Smart Human Resource Development’pursued by Chungcheongnamdo education. An elementary after school is considered to be a program that can efficiently conduct thi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other than the existing formal curriculum. While all schools in Chungcheongnamdo are operating after schools and 86.08% of students participate in after schools, only 1% students participat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atching these unfortunate circumstances, the researcher studied a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lan which is efficient for after schools. But this study was carried out under the limitation of 25 elementary schools in Chungcheongnamdo. The researcher studied method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ith maximum efficiency within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of after-school and presented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this study, thinking the result i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using a concrete material. First, making a tangible cultural heritage mock-up, visiting directly and indirect experience through the mock-up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students cannot see the overall look of the actual artifacts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cultural heritage. Second, by directly drawing and expressing works of art such as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folk copy paintings etc. not just appreciating them,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spiritual culture of their ancestors and also understand painting tools and paints of the times. Third, while making and eating traditional food and making traditional play tools into concrete materials and playing with them, students will have the opportunity of understanding their folk culture and learn the wisdom of their ancestors who lived with nature. Fourth, by having the opportunity of directly making and using tools that have been used since prehistoric times and comparing the impact of human evolution on living tools and modern living tools, students will be able to expand their understanding from their life to the contemporary human culture living as well as me and my neighbors. Fifth, students may consider their position to adapt to globalization by making concrete materials such as Goguryeo tombs, Royal Tomb of King Muryeong etc. and understanding the propagation process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cultural technology, culture embedded in Goguryeo tombs and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o which they cannot actually go while directly looking at concrete materials in the classroom. This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preparing for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how people lived based on which afterlife view in each era. Sixth, students can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printing through the process of directly doing rubbing and carving etc. In addi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our cultural heritages in interesting and various ways through a variety of concrete materials show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Turtle Ship, Clepsydra, Hemispherical Sundial etc. and extended three-dimensional learning history will be also made. Thus, this study proposed a class using concrete materials as an efficient method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presented a plan to use audio-visual materials and activity sheet as secondary material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is learn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for many students to participate in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terestingly in the after-school.

      • 공주 학봉리 窯址활용 방안

        민혜정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요약 이 논문은 공주학봉리요지(公州鶴峰里窯址)와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의 문화유산 가치를 ‘어떻게 되살리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공주 반포면 계룡산 자락에 위치한 학봉리 요지는 조선의 분청사기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적이며, 국내 최초로 도자기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이다. 1927년에 1차 조사가 있었고, 1992년에 2차 발굴조사에 이어 1993년에 추가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공주 학봉리 요지는 분청사기 주요 생산지였으며, 거의 모든 종류의 도자기가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에 새겨진 연호(年號)와 관청명(官廳名)을 통해 분청사기의 편년이 가능해졌고, 공주 학봉리가 철화분청의 주요 생산지였음이 밝혀졌다. 우리나라 도자문화사(陶瓷文化史)에서 분청사기(粉靑沙器)는 14세기에서 16세기까지 약 150∼200년 정도 유행했다. 분청사기의 장식 기법은 상감, 인화, 조화, 박지, 철화, 귀얄, 덤벙 등 7가지 방법이 있다. 공주 학봉리 요지는 철화기법으로 제작한 철화분청이 유명하여 ‘계룡산 분청사기’ 또는 ‘계룡산 철화분청사기’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공주학봉리요지(公州鶴峰里窯址)는 1990년에 사적으로 지정되어 국가지정 문화유산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문화유산 활용이라는 시각에서는 백지상태와 마찬가지이다. 활용 가능한 공간이 전무한 상황이며, 활용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공주 학봉리 요지의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 문화유산으로 활용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간적인 활용 방안으로는 최소 공간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라키비움(Larchiveum) 건립을 제시하였다. 라키비움은 활용 공간이 협소한 학봉리 요지의 현재적 상황에 적합하며 학술연구와 교육, 체험과 축제 마당을 하나의 공간에서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행 사례 검토를 바탕으로 향후 공주 학봉리 요지 활용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우선순위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공주 학봉리 요지 보존·활용 계획 수립, 2) 문화유산 교육 교재 제작, 3) 전문 인력 육성 , 4) 초등학교, 중학교와 연계한 현장 체험 학습, 5) 문화재청 문화유산 활용 공모사업 추진, 6) 계룡산 철화분청사기 산업화 추진, 7) ‘K-철화분청’ 사적의 명소화 추진, 8) ‘이삼평기념비’를 매개로 한·일 도자문화 교류 확대 등이다. 종합적인 보존·활용 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2026년은 일본인에 의한 국내 최초의 도자기 관련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1927년을 기점으로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공주 학봉리 요지 활용이나 라키비움 건립 추진과 관련한 학술대회나 100주년 기념 지표조사 등과 같은 지속가능한 활용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on Utilization of the Gongju Hakbong-ri Kiln Site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to revive and utilize the cultural heritage value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공주학봉리요지) and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계룡산철화분청사기). Hakbong-ri Kiln Site, located on the slopes of Mount Gyeryongsan in Gongju Banpo-myeon, is an important historical site representing Joseon's Buncheong ceramics and was the location of the first pottery excavation survey in South Korea. The initial survey took place in 1927, followed by a second excavation in 1992 and additional research in 1993.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s revealed that Gongju Hakbong-ri was a major production site for Buncheong ceramics, with almost all types of ceramics being excavated. Through the study of era names(연호) and official department names(관청명) inscribed on the excavated artifacts, it became possible to determine the chronological dating of Buncheong ceramics, confirming that Gongju Hakbong-ri was a significant production site for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In South Korea's ceramic history(陶瓷文化史), Buncheong ceramics(분청사기) were in vogue for approximately 150-200 years, from the 14th to the 16th century. Buncheong ceramics featured seven decoration techniques: raised-relief, incised, inlaid, stamped, celadon, white slip, and slip-inlay. Gongju Hakbong-ri Kiln Site is famous for its Celadon Cheongsa made using the celadon technique, hence it is often referred to as "Gyeryongsan Buncheong Ceramics" or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 Although Gongju Hakbong-ri Kiln Site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site in 1990, its recognition remains low.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it remains largely undeveloped. The available space for utilization is very limited, and there have been inadequate discussions regarding its utiliza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and propose methodologies for its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As a spatial utilization approach, it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n "Larchiveum" to create synergy within the minimal available space at Hakbong-ri Kiln Site. Larchiveum is well-suited for the current spatial constraints of Hakbong-ri Kiln Site and offers the advantage of accommodating academic research, educ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estivals in a single space. Furthermore, based on a review of precedents, it presents priority considerations for future utiliz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including 1) the development of a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 2) the production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al materials, 3) the training of specialized personnel, 4)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in collaboration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5) the promotion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through a Cultural Heritage Agency competition, 6) the promotion of the industrialization of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 7) the establishment of 'K-Celadon Cheong' as a cultural landmark, and 8) the expansio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through the "Lee Sam-pyeong Memorial Monument." 2026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irst pottery excavation survey conducted by Japanese researchers in South Korea in 1927. It is hoped that this milestone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nd promote sustainable utilization plans, such as academic conference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the construction of Larchiveum, and a 100th-anniversary survey.

      • 척화비의 문화유산적 특징과 역사적 의미 연구

        이승희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Cheokhwabi (Stele Rejecting Reconciliation or Anti-foreign Stele) is a monument built around the country in 1871 to warn the people of the invasion from the Western powers in the midst of the world history at the late 19th century. When the Joseon Dynasty opened its doors and began communing with the West, its meaning was lost, and in 1882, it disappeared by the order of the demolition of King Gojong (the 26th King of Joseon Dynasty). Since then, it began to be discovered again from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it exists as a cultural heritage showing the history of seclusion and enlightenment. In the meantime, in the modern history leading to the ruin of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Cheokhwabi has been recognized as a symbol of seclusion and an old relics that did not suit globalization. As a result, it was neglected to manage and conserve its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without being recognized. In addition, there were only brief reports on the Cheokhwabi, but proper research was not conducted.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a total survey of the Cheokhwabi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the shape of each monument. Through the literature and historical records on the construction and demolition of the Cheokhwabi,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background and meaning were newly revealed. At least one Cheokhwabi has been discovered in each province, and 37 of them are currently in existence, of which 19 are designated as local cultural properties. The Cheokhwabi of 67% on the total is concentrated and distributed in Gyeongsang province, mainly located in parks and historical sites. It was produced in various standards, but the size and font of the inscription are almost identical. In terms of form, there are many rounded head shape and angled head shape, and they are mainly made by granite and sandstone. In 1872, the monument found in a part of the 『Late Joseon Local Map』, which was made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military facilities and maintenance of the military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Western aggression, indicates that it was built for military purposes and recogniz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ilities of the country. The Cheokhwabi also shows an extraordinary regionality in Gyeongsang province. The Gyeongsang province is the only area where the Cheokhwabi appears in the previous map, and the largest is distributed to this day. This area is a place that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Joseon Confucianism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Yeongnam Hakpa (Kyeongsang Province School) through numerous Seowons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established as the beginning of Baekundong Seowon (the first private academy to receive a royal charter). The Yurim (Confucian Scholarship) in this area, which were also active in medical service, responded with force to Western invasion and actively supporte. Heungseon Daewongun (the Regent who ruled the country on behalf of the young King Gojong) who insisted on seclusion, and participated with special interest in the construc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Cheokhwabi. Howev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Wijeongcheoksa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and Swaegugyangi (exclusion of all things foreign) were devalued as the ideology and policy that led Joseon to ruin, the Cheokhwabi also became a relic buried in the path of history. Since the 1990s, as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reevaluated, the Cheokhwabi has also been re-evaluated. For example, in 2016, the Yeongi Cheokhwabi designated as a city and provincial cultural heritage, was classified as a modern political defense of a relic building, not a epigraphy of a recorded heritage. This seems to be an attempt to re-examine the original purpos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heokhwabi.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take a step forward in such an attempt, overcome the preconceived notions and historical limitations of the Cheokhwabi, and reestablish its value and historical meaning as a cultural heritage to establish itself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that is utilized regionally and educationally. In addition, I hope that the 18 pieces that have not yet been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s will be promoted to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as well as a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along with steady monitoring. 척화비는 19세기 후반 서세동점이라는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조선으로 밀려드는 서구 열강 세력의 침략을 경계하고 백성들에게 이를 일깨우고자 1871년 전국 각지에 세워진 비석이다. 조선이 문호를 개방하고 서양과 통교를 시작하면서 그 의미를 잃게 되자 1882년 고종의 철거 명령으로 사라졌다. 이후 일제강점기부터 다시 발견되기 시작하여 쇄국과 개화라는 역사의 단면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 현존하고 있다. 그동안 척화비는 조선의 망국과 일제강점으로 이어지는 근대사 속에서 개화를 늦추고 국제정세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게 한 쇄국양이의 상징이자, 세계화에 어울리지 않는 구시대적 유물로 인식되어왔다. 따라서 역사성과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채 관리와 보존에 소홀하였다. 또한 일부 척화비에 대한 간략한 보고서만 있었을 뿐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에 흩어져 있는 척화비의 전수조사를 통하여 현황과 분포를 파악하였고, 각 비석의 형태를 분류하여 문화유산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척화비의 건립과 철거에 관한 문헌과 사료를 통하여 역사적 및 사상적 배경과 의미를 새롭게 밝히고자 하였다. 척화비는 각 도에서 적어도 1기 이상이 발견되어 현재 37기가 현존하고 있으며 이 중 19기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전체의 67%가 경상도에 집중 분포되어 있고 주로 공원과 사적지에 소재하고 있다.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되었으나 비문의 크기와 서체는 거의 일치한다. 형태적으로는 원수형과 규수형이 많고 주로 화강암과 사암의 재질로 만들어졌다. 1872년 서양의 침략 대비를 위한 군제의 정비와 군사시설을 파악할 목적으로 제작된 『조선 후기 지방지도』의 일부에서 발견되는 척화비는 당시 군사적 목적으로 세워져 국가의 중요 시설 중 하나로 인식하였음을 알려준다. 척화비는 또한 경상도에서 남다른 지역성을 보여주는데 경상도는 앞의 지도에서 척화비가 나타난 유일한 지역이며 현재까지도 가장 많은 척화비가 분포하고 있다. 이 지역은 백운동서원을 효시로 세워진 수많은 서원을 통해 영남학파가 형성되어 조선 성리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곳이다. 의병활동도 활발했던 이 지역의 유림은 서양의 침략에 무력으로 응대하며 쇄국양이를 주장한 흥선대원군을 적극 지지하였고 척화비 건립과 보존 및 관리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동참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위정척사와 쇄국양이는 조선을 망국으로 이끈 사상이자 정책으로 평가가 절하되면서 척화비 역시 역사의 뒤안길에 묻힌 유물이 되었다. 1990년대 이후 조선 말기의 역사와 근대등록유산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척화비 역시 재조명되고 있다. 따라서 2016년 시도문화재로 지정된 연기척화비는 기록유산의 금석각류가 아닌 유적건조물의 근대정치 국방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척화비의 원래 건립목적과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한 시도로 보인다. 이 연구가 이러한 시도에 한 발짝 앞으로 나아가 척화비에 대한 선입관과 역사적 한계성을 극복하고 문화유산으로서 가치와 역사적 의미가 새롭게 재정립하여 지역적 및 교육적으로 활용되는 역사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아직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18기와 먼저 지정된 지방문화재를 국가문화재로 승격하여 꾸준한 연구 및 모니터링과 함께 적극적인 보존과 관리방안이 마련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직산 불교문화유산의 활용방안 연구

        오병상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제목 : 직산 불교문화유산의 활용방안 연구 현재 우리나라의 불교문화유산이 전통과 보존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천안시가 보유하고 있는 지정문화재 60점 가운데 불교문화재의 비율이 국보1점을 포함 27점으로 천안시 전체 문화재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국가지정문화재 12점중 8점 67%가 불교문화재로써 천안지역 문화를 이해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고려 왕실과 많은 연관이 있는 홍경사, 천흥사, 만일사, 성불사, 마점사 등 많은 사찰이 창건되어 오랫동안 기능을 유지하여 오다 역사의 굴곡속에서 폐사되고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천안시, 지역문화원, 향토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고려초 찬란했던 불교문화유산에 대한 가치를 재평가하고 계승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천안지역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수요자들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활용방안으로 고려초 직산현과 성거산 주변이 가지고 있는 불교문화유산 가치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참여자들의 교육수준, 불교문화의 적응능력, 연령층을 고려한 대상층에 맞는 운영계획을 세워 강사를 선정하고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한다. 아울러 직산현과 성거산은 고려초 많은 불교사찰이 창건되고 불교문화를 전승하여 지역문화의 꽃을 피운 지역으로 성거산만이 가지고 있는 아름다운 경관과 산림환경을 살려 4개 전통사찰 연계순례와 숲길걷기 명상 등 프로그램을 만들어 현대인의 정서와 생활환경에 맞는 새로운 불교문화를 도입하여 자기 성찰과 마음의 안식처로 제공하고 쉼터로 활용되어야 한다. 위와 같이 요약된 내용을 토대로 주민들이 참여하는 지역축제와 연계하여 발전시켜 나가야 하며 또한 조선시대에 없어진 천흥사, 홍경사 두 곳 폐사지에 국보제7호 천안 봉선홍경사갈기비와 보물제99호 천안 천흥사지 당간지주, 보물제354호 오층석탑이 남아있다. 그리고 그곳에서 출토된 국보제280호인 천흥사명 동종이 국립박물관에 보존되어 있고 명문기와, 주춧돌 등 문화재 가치가 큰 유물이 홍경사지와 천흥사지 발굴사업을 통하여 계속 발견되고 있다. 직산현과 성거산에 폐사지에 남아 있는 고려초 석조문화의 특성을 가지고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만들어 천안지역 학교, 역사문화단체, 향토사연구회, 불교문화단체 등과 연계하여 우리문화를 알고 싶어하는 수요자들에게 ‘내고장 문화재 알기’와 현장체험학습을 통하여 불교문화유산을 잘 활용함으로써 천년전 고려초 직산현과 성거산에 찬란하게 꽃피웠던 불교문화가 잘 전승되어야 한다. Abstract A Research on Utilizing Jiksan’s Buddhist Cultural Heritage Our Buddhist cultural heritage is based on the success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 Of the 60 designated cultural assets held by the city of Cheonan, the ratio of Buddhist cultural assets totaled 27, including 1 national treasure, which accounts for 45 percent of the total designated cultural assets. In particular, 8 out of 12 state-designated cultural assets in Cheonan are Buddhist cultural assets, accounting for 67 percent of total cultural assets, which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Cheonan's regional culture. In Cheonan, many temples, including Honggyeongsa Temple, Cheonheungsa Temple, Manilsa Temple, Seongbulsa Temple and Majumsa Temple, which were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were deeply connected to the royal family of Goryeo and maintained the temple's function for a long time. They, however, were not noticed after being closed and destroy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ose who study local history of Cheonan and Cheonan Regional Cultural Center should use the program suitable for the actual situation of Cheonan to re-evaluate and inherit the value of brilliant Buddhist cultural heritage in Jiksan-hyu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o promote cultural development. The effective plan is to organize a program to make the most of the values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of the early Goryeo Dynasty that Jiksan-hyun and Seonggeo Mountain have. In other words, we should select instructors and create differentiated programs by setting up an operation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educational level of participants, the ability to adapt to Buddhist culture, and the age group. Jiksan-hyun and Seonggeo Mountain are the areas where many Buddhist temples were built in the early Goryeo Dynasty, and have blossomed local culture by passing on Buddhist culture. New programs that suits the sentiment and living conditions of modern people, such as pilgrimages along with four traditional temples and meditations on forest trails, should be established to preserve the beautiful scenery and forest environment that only Seonggeo Mountain has. Through this, Buddhist temples should be provided as a place of self-reflection and rest for the mind and used as a rest area for living. These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festivals in which the residents participate. National Treasure No. 7 Stele for the Construction of Bongseonhonggyeongsa Temple, Treasure No. 99 Flagpole Supports in Cheonheungsa Temple Site, and Treasure No. 354 Five-Story Stone Pagoda in Cheonheungsa Temple Site remain in the ruins of Cheonheungsa Temple and Honggyeongsa Temple, which destroy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lso, the National Treasure No. 280 Buddhist Bell from Cheonheungsa Temple is preserved at the National Museum, and relics of great cultural value such as the roof tiles with inscription and foundation stones are still found through the excavation project of Honggyeongsa Temple Site and Cheonheungsa Temple Site. Based on the cultural assets remaining in the ruined temples in Jiksan-hyun and Seonggeo Mountain area, we should create a differentiated programs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culture in the early Goryeo Dynasty. In cooperation with schools, historical and cultural organizations, local history research society and Buddhist cultural organizations in Cheonan, we should provide a program that utilizes Buddhist cultural heritage, such as ‘knowing about the cultural heritage of my hometown’ program and field trips to those who want to know about our local culture. By doing these, efforts should be made to transfer the Buddhist culture that flourished in Jiksan-hyun and Seonggeo Mountain thousand years ago in the early Goryeo Dynasty.

      • 충청남도 불교문화유산의 현황과 보존대책 고찰 : 국가지정 석조문화유산을 중심으로

        김봉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충청남도에 분포하는 문화유산 중에서 국가지정문화재인 국보와 보물은 각각 27점과 105점이며, 불교문화와 관계된 유산은 총 92점이다. 이 불교문화유산은 각각의 관리자와 소유자의 형태 및 방법에 따라 보존상태에도 큰 차이를 보이며, 이미 훼손이 심각한 것도 많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들 국보와 보물 불교문화유산의 현황과 관리 실태를 살펴보고 문화유산별 특성에 따른 보존 방법을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의 국보 및 보물 불교문화유산 92점 중 석조문화재 46점만을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문화유산을 종별로 불상, 석탑, 석비, 당간 및 석등(기타)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문화유산은 개별적 보존상태, 수리이력 및 관리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보존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보존상태 평가 결과, 실내에 위치한 불상과 석조대좌는 균열, 박락, 깨짐 등의 물리적 훼손이 발생하였으며, 일부는 보존처리 되어있는 곳도 있었다. 마애불상은 수리 및 원형 복원된 곳도 있었으나 보존처리 물질과 원재료와의 균열 및 수지 탈락 등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석탑과 석비는 거의 실외에 위치하고 있어 노출된 환경으로 인해 재료의 균열, 박락, 깨짐 등의 물리적 훼손은 물론 변색이나 생물오염 등의 화학 및 생물학적 훼손도 진행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당간 및 석등도 균열, 박락, 깨짐 등의 물리적 훼손이 나타났으며, 거미줄이나 식물 서식 등의 생물오염도 확인되었다. 특히 사찰이 소실된 경우 당간 및 석등만 남아 있는 경우도 있어 별도의 보존 관리를 위한 보호 장치가 없는 경우도 있었다. 불교문화유산의 보존을 위해서 불교단체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적극적인 보존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보존관리 미흡, 화재 및 인위적 훼손, 전문지식 없이 실시된 자체적인 보존처리, 도난 및 관람 노출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장기적 보존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리와 대책이 계획되어야 하며, 보존처리가 가능한 전문화된 불교인력 양성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계룡산 학하마을 문화유산 활용에 대한 연구

        윤원갑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조선 중기 “정감록” 등에서 피난처이며 십승지지(十勝之地)라 했던 계룡산에 군부대가 들어오고 존치한 곳이라도 도시화의 물결로 복합 도·농·산촌으로 변천하는 모습에 따라 기존의 문화유산을 살리면서 잘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계룡산은 산태극, 수태극을 이루는 명산이다. 계룡산에는 피난처로 알려진 신도안과 금병산(숯골)은 군부대가 계룡대, 자운대가 들어섰고 학하마을의 피난처만 남아 있지만, 점차 본래의 모습을 떠나 다른 모습으로 변하는 시기에 이르렀다. 이 마을은 천왕봉을 중심으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학하동행정복지센터 관할 (학하동, 복용동, 계산동, 덕명동) 일대인데 계룡산 자락의 빈계산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학하마을은 별봉 남쪽으로 월봉이 있고 가까운 교촌동 칠성당의 고인돌, 대정동의 한우물마을 고인돌에 새겨진 별자리 모양 바위구멍(성혈) 등은 모두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곳에는 계룡산의 금수봉, 도덕봉, 빈계산 등 수려한 자연경관과 별봉, 월봉, 학무정, 영당, 수통골 등이 있고 송시열, 탄허 스님, 김상만 동아일보사장, 도선국사, 암행어사 박문수, 이만형 광주이씨 입향조, 고려대 유진오 총장 등이 머물렀던 곳이다. 그들의 자취가 살아있는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인근의 현충원에서 애국심을 갖게 하고 아기자기한 도예공원, 도예촌, 동학사, 유성온천과 고려유적 터, 금병산 숯골 등을 관광지로 연계하여 역사마을, 관광마을로 거듭날 수 있다. 계룡산과 빈계산에서 흘러내리는 화산천을 중심으로 진잠 방향의 학하동, 계산동, 유성방향의 복용동, 학하동이 있다. 앞으로 도시개발을 통하여 학하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문화유산탐방코스가 개발된다면 이곳의 문화유산이 잘 보존되고 알려지게 될 것이며 후손들의 삶의 질을 높이어 평생 살아가고 싶은 마을로 변화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도시화의 물결로 학하마을의 정겨운 모습이 사라져가고 있지만, 지역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활용하여 역사마을, 관광마을, 도·농·산촌 복합 체험마을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 목조건축문화유산의 디지털 기록화 연구 : 계룡산 중악단을 중심으로

        김학호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cultural heritages that have been passed on through a long history will have a genuine value as long as they are conserved as an original form. Furthermore, cultural heritages can never be reproduced in its original form once they get damaged. With huge efforts of restoring the destroyed cultural heritages as much as possible, numerou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making use of scientific equipment and technologies along with a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digital documentation for the cultural heritage. Lots of changes have been made to digital technology and documentation process due to the wide use of precision measurement survey, scientific analysi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Gyeryongsan has been known as a spiritual mountain, where ancient people had performed religious rituals worshipping god of the mountain since long time ago even before Joseon Dynasty. The Gyeryongsan was considered a geographically critical place. At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the king attempted to build Joseon's capital city near the Gyeryongsan. The Sinwonsa temple, an old temple is located at the southern outskirt of the Gyeryongsan. Near the Sinwonsa temple, there is Jungakdan which is only construction that exists until now, built in a way of Dan-Myo (altars and shrines) architecture. For this reason, The Jungakdan has a critically important value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religion. The Jungakda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in which precision measurement survey was performed and Dancheong (Korean traditional wood painting) pattern simulation was carried out recently as a part of digital documentation project for cultural heritages. The study on digital documentation for Jungakdan in Gyeryongsan was started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permanent conservation for the heritage sites based on precision and accuracy of documentation and perception of importance of documentation for cultural heritage. In this context, digital documentations survey methods and the way of using scientific equipment and analysis results were described and summarized in this study, especially for Jungakdan. Subsequently, the problems that were encountered in digital documentation have been derived. To address the problems, solutions have been suggested. In this way,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hat can contribute to performing efficient digital documentation, management of the digital documents, and its permanent conservation. In precision measurement survey, GPS measurement, optical wave measurement and wide-band 3D scanner measurement were applied together for getting higher accuracy. Among the measurement equipment, 3D scanner was used in measuring an entire area of Jungakdan, measuring the building's external appearance and identifying location of each building. Data that were obtained and collected from the measurement process were implemented in the system and utilized in CAD modeling as well as 3D modeling by means of appropriate software so that the data could be used in reproducing a measured drawing. The purpose of doing so is to reduce an range of error by comparing the implemented data built in the system to the manually measured data. For roof section where is hard to perform manual measurement, 3D scanned data were used as basic data so as to make sure high efficiency, accuracy and precision in measurement. In precision survey for Dancheong, scientific equipment such as infrared camera and precision 3D scanner were used to clearly identify Dancheong patterns that were not able to be distinguished with bare eyes. With use of the equipment, peeling and flaking or blurred pattern due to polluted material could be checked more accurately so that original patterns of Dancheong could be found in the simulation drawing. For the lack of statue of dragon head in Chungryang (vertical girder) which would be hard to reproduce on two-dimensional plane, 3D scanning was used to acquire digital copy data which is identical to the physical shape. However, for preserving the present records and documents over a long period, there are obstacles and limitations such as copyright issues and lack of system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distributed storage and integrated structure of digital data management. These issues could lead to a problem of existence of duplicate records along with lack of accumulation of the records.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o stipulate regulation that requires to register records and documents into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total information system. The regulation would be specifying detailed actions that should be taken for achieving systematic and concrete management of digital documentation. Furthermore, it could be a stepping stone of establishing an integrated storage system for digital records and documents making use of an existing system. Digital documents for cultural heritage acquired in these ways would be precise and accurate simulated data necessary for long-term conservation. It could be a critical data for recovering an original shape of Jungakdan in the future that can be used in case when appearance distortion occurs to Jungakdan. It could also be widely used in digital restoration, damage diagnosis and structure stability evaluation. Making regulation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anagement of digital documents could promote the reuse of documents and the persistent accumulation of documents.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 significance in that digital documentation would raise its value by being used as a mean of restoration to its original form of cultural heritages. 오랜 역사 속에서 재난을 견디어 오늘날까지 전승된 우리의 문화유산은 원래의 모습으로 보존되어야 그 진정한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한 번 손상된 문화유산은 원상태로 돌이킬 수 없다. 최근 파괴와 훼손을 피하지 못해 손상된 많은 문화유산이 최대한 원상태를 회복하려는 노력 속에, 복구 및 복원 과정을 거치면서 문화유산에 대한 디지털 기록화의 중요성 인식과 과학적 장비와 기술을 활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정밀실측조사, 과학적 분석, 보존 및 복원 등 폭넓은 분야에 디지털 기술과 기록화 과정이 크게 기여하고 있다. 계룡산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국가에서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영산으로 조선 초기 국도의 천도공사가 진행되기도 하였던 지리적으로 중요한 곳이었다. 이곳 계룡산 남쪽에 신원사와 인접하여 있는 계룡산 중악단은 호국신인 계룡산신에게 국가에서 제사를 지내던 현존하는 유일한 단묘건축물로 건축적,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현재 계룡산 중악단에 대한 문화유산 디지털 기록화의 일환으로 정밀실측조사와 함께 최근에 단청정밀조사와 단청의 문양모사가 이루어진 목조건축 문화유산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계룡산 중악단의 디지털 기록화 연구는 문화유산에서 기록의 중요성 인식과 함께 기록의 정밀성, 정확성 및 영구보존의 필요성에 대한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계룡산 중악단의 디지털 기록의 조사방법과 과학적 장비의 종류별 활용방법, 분석 결과 등을 정리하였다. 또한 기록 보존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디지털 기록의 관리 및 활용과 영구보존에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정밀실측조사에서는 수실측과 함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GPS측량, 광파측량, 광대역 3D 스캔의 장비실측을 병행하였다. 이 중에서 중악단 건축물 실측에 사용한 3D 스캔은 중악단 전체 영역 조사와 건물 외형과 건물별 위치를 확인하는 용도에 활용되었다.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를 항목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3D 모델링은 물론 CAD 모델링으로 실측도면 작성에 활용하였다. 이는 구축한 데이터와 수실측 자료를 비교하여 오차를 줄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수실측이 어려운 지붕부 실측에서는 3D 스캔자료를 기본 자료로 사용하여 실측조사의 효율성 및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단청정밀조사에서 적외선카메라 및 정밀 3D 스캐너의 과학적 장비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던 단청문양의 흔적을 고증하고 채색층의 박리·박락과 퇴락 및 오염물 등에 의해 희미하게 보이는 문양을 보다 뚜렷하게 기록할 수 있게 하여 단청문양모사도의 원형 문양을 찾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2D 평면인 모사도로 제작하기 어려운 충량의 용머리 조각물 부재는 3D 스캔을 활용하여 실물 형상의 원형과 같은 디지털 복제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현재 기록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기록의 저작권 문제와 기록의 분산 보관 및 통합관리 체계에 대한 시스템 부재의 한계성을 갖고 있다. 이것은 기록의 활용과 누적화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록이 중복되는 현상 등이 생겨난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문화재수리종합정보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기록 등록을 의무화하는 규정 마련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디지털 기록의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세부적인 방안으로 볼 수 있으며, 기존의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디지털 기록의 통합 보존 시스템 마련을 현실화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확보한 문화유산의 디지털 기록은 장기적으로 보존관리에 필요한 정밀하고 정확한 실측 모사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향후 중악단의 형태 변형 및 원형복원에 대한 근거자료 및 디지털복원, 손상도 진단 및 구조 안정성 평가에도 널리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이다. 그리고 디지털 기록의 통합관리 법제화 마련은 기록의 재활용에 사용되고, 기록의 지속적인 누적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유산의 복원 실측자료 제시로 디지털 기록의 가치를 높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 ‘천안 거북놀이’ 문화유산 가치와 전승 방안

        오이석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천안거북놀이’는 천안의 대표적인 민속 문화유산으로 충청남도의 소중한 무형 문화유산이기도 하다. 지역 문화유산은 그 지역의 역사와 자연환경을 토대로 오랜 세월 지역민의 삶과 생활 풍습이 축적된 생활공동체적 가치가 내재 되어있다. ‘천안거북놀이’는 천안의 역사와 문화 및 지역정서가 깃든 대동(大同) 민속놀이로 제액초복(除厄招福), 무병장수, 만사태평 등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고 1950년대까지만 해도 8월 한가위에 천안지역의 일부 마을에서 놀았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천안거북놀이’는 일제강점기 우리 민속 말살 정책의 영향과 왜색문화를 청산하지 못한 상태에서 서구 문화가 무분별하게 도입된 데다가 한국전쟁과 현대산업화 시기를 거치며 마을마다 약간의 시차를 두고 없어졌고 급기야 천안 전역에서 일시적으로 단절되는 지경에 이른다. 본 고는 천안 거북놀이의 본래 모습을 추적하고, 복원과정에서 바뀐 점이 있다면 그 사유와 문화유산 진정성에 미치는 정도를 가늠하며, 전승 활동에서 객관성이 담보된 문화유산 가치를 지향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무형문화재 지정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고 관련 근거를 제시하는 한편, ‘천안거북놀이’의 전승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입장면 구덕리와 고려 8대 임금 현종과 관련한 ‘천안거북놀이’의 기원 설화는 역사성을 추론할 수 있었고, 거북놀이는 천안에서 발생하여 인근지역으로 전파된 신뢰성있는 근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천안거북놀이’의 놀이 재료와 연희 의식 등을 살펴봄으로써 천안 거북놀이의 성격과 의미를 이해하고, 문헌 기록과 현지 조사 및 다른 지역의 거북놀이 비교 등을 통해 ‘천안거북놀이’는 추석 때 농민들이 농악을 동반한 마을의 대동놀이로 즐겼으며, 제의적인 성격이 강하고 수숫잎을 이용하였으며, 천안 전역에서 마을마다 행하였고, 기원 설화를 뒷받침하는 구덕리 마을의 존재와 기원설의 역사적 맥락이 연결되는 등의 특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천안거북놀이’의 연행 의례와 연행과정을 살펴 정리하고, 이를 통해 연행 의미를 제의적, 공익적, 세대 공감·소통, 사회계층 간 이해·공존, 마을 간 교류·협력, 일상 탈출과 해학, 인간과 신(神)의 교감(交感)-오신(娛神) 등으로 함축, 정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연희단 구성과 운영 및 놀이 도구 제작 등에 대해서도 간단히 알아본 후 ‘천안거북놀이’의 원형복원 과정과 ‘천안거북놀이보존회’의 창립과 활동 내용 및 성과 등도 살펴보았다. ‘천안거북놀이’는 2010년 제17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에서 병천고등학교 학생들의 공연으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고 이를 계기로 2010년 12월「천안거북놀이보존회」가 결성되었다. 보존회는 2015년과 2016년 연속하여 충청남도 대표 민속으로 한국민속예술제에 출전하여 각각 동상과 장려상을 수상하는 등 대내외적으로 그 공연 기량과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문화유산 진정성 확보와 민속문화의 전승력 증대 및 천안시민들에게 문화주체의 자긍심을 고취시켰다. 이를 토대로 ‘천안거북놀이’의 문화유산가치를 역사적 가치, 민속문화적 가치, 민속예술적 가치, 교육·학술적 가치로 조명하였다. 이어서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천안거북놀이’의 전승을 위하여 무형문화재 지정등록 필요성 및 과제와 대책을 제시하고 문화재보호법·령 등에 의한 무형문화재 지정기준에 따라 지정가치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천안삼거리 거북축제」등 천안삼거리의 문화적 가치를 함께 살려낼 수 있는 방안과 「기원설화 연극제」를 소개하는 한편, 문화콘텐츠 개발 및 홍보·활용 방안에 대하여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천안거북놀이’는 우리나라의 소중한 무형 문화유산으로써 함께 관리하고 전승해야 할 가치가 충분하며 공공의 무형 문화유산으로, 현세대가 모두 함께 보존하고, 미래세대에 전승해야 할 의무가 있다. 따라서 충청남도 지정 무형문화재로 등록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