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목조건축문화유산의 디지털 기록화 연구 : 계룡산 중악단을 중심으로

        김학호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ultural heritages that have been passed on through a long history will have a genuine value as long as they are conserved as an original form. Furthermore, cultural heritages can never be reproduced in its original form once they get damaged. With huge efforts of restoring the destroyed cultural heritages as much as possible, numerou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making use of scientific equipment and technologies along with a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digital documentation for the cultural heritage. Lots of changes have been made to digital technology and documentation process due to the wide use of precision measurement survey, scientific analysi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Gyeryongsan has been known as a spiritual mountain, where ancient people had performed religious rituals worshipping god of the mountain since long time ago even before Joseon Dynasty. The Gyeryongsan was considered a geographically critical place. At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the king attempted to build Joseon's capital city near the Gyeryongsan. The Sinwonsa temple, an old temple is located at the southern outskirt of the Gyeryongsan. Near the Sinwonsa temple, there is Jungakdan which is only construction that exists until now, built in a way of Dan-Myo (altars and shrines) architecture. For this reason, The Jungakdan has a critically important value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religion. The Jungakda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in which precision measurement survey was performed and Dancheong (Korean traditional wood painting) pattern simulation was carried out recently as a part of digital documentation project for cultural heritages. The study on digital documentation for Jungakdan in Gyeryongsan was started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permanent conservation for the heritage sites based on precision and accuracy of documentation and perception of importance of documentation for cultural heritage. In this context, digital documentations survey methods and the way of using scientific equipment and analysis results were described and summarized in this study, especially for Jungakdan. Subsequently, the problems that were encountered in digital documentation have been derived. To address the problems, solutions have been suggested. In this way,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hat can contribute to performing efficient digital documentation, management of the digital documents, and its permanent conservation. In precision measurement survey, GPS measurement, optical wave measurement and wide-band 3D scanner measurement were applied together for getting higher accuracy. Among the measurement equipment, 3D scanner was used in measuring an entire area of Jungakdan, measuring the building's external appearance and identifying location of each building. Data that were obtained and collected from the measurement process were implemented in the system and utilized in CAD modeling as well as 3D modeling by means of appropriate software so that the data could be used in reproducing a measured drawing. The purpose of doing so is to reduce an range of error by comparing the implemented data built in the system to the manually measured data. For roof section where is hard to perform manual measurement, 3D scanned data were used as basic data so as to make sure high efficiency, accuracy and precision in measurement. In precision survey for Dancheong, scientific equipment such as infrared camera and precision 3D scanner were used to clearly identify Dancheong patterns that were not able to be distinguished with bare eyes. With use of the equipment, peeling and flaking or blurred pattern due to polluted material could be checked more accurately so that original patterns of Dancheong could be found in the simulation drawing. For the lack of statue of dragon head in Chungryang (vertical girder) which would be hard to reproduce on two-dimensional plane, 3D scanning was used to acquire digital copy data which is identical to the physical shape. However, for preserving the present records and documents over a long period, there are obstacles and limitations such as copyright issues and lack of system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distributed storage and integrated structure of digital data management. These issues could lead to a problem of existence of duplicate records along with lack of accumulation of the records.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o stipulate regulation that requires to register records and documents into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total information system. The regulation would be specifying detailed actions that should be taken for achieving systematic and concrete management of digital documentation. Furthermore, it could be a stepping stone of establishing an integrated storage system for digital records and documents making use of an existing system. Digital documents for cultural heritage acquired in these ways would be precise and accurate simulated data necessary for long-term conservation. It could be a critical data for recovering an original shape of Jungakdan in the future that can be used in case when appearance distortion occurs to Jungakdan. It could also be widely used in digital restoration, damage diagnosis and structure stability evaluation. Making regulation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anagement of digital documents could promote the reuse of documents and the persistent accumulation of documents.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 significance in that digital documentation would raise its value by being used as a mean of restoration to its original form of cultural heritages. 오랜 역사 속에서 재난을 견디어 오늘날까지 전승된 우리의 문화유산은 원래의 모습으로 보존되어야 그 진정한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한 번 손상된 문화유산은 원상태로 돌이킬 수 없다. 최근 파괴와 훼손을 피하지 못해 손상된 많은 문화유산이 최대한 원상태를 회복하려는 노력 속에, 복구 및 복원 과정을 거치면서 문화유산에 대한 디지털 기록화의 중요성 인식과 과학적 장비와 기술을 활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정밀실측조사, 과학적 분석, 보존 및 복원 등 폭넓은 분야에 디지털 기술과 기록화 과정이 크게 기여하고 있다. 계룡산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국가에서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영산으로 조선 초기 국도의 천도공사가 진행되기도 하였던 지리적으로 중요한 곳이었다. 이곳 계룡산 남쪽에 신원사와 인접하여 있는 계룡산 중악단은 호국신인 계룡산신에게 국가에서 제사를 지내던 현존하는 유일한 단묘건축물로 건축적,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현재 계룡산 중악단에 대한 문화유산 디지털 기록화의 일환으로 정밀실측조사와 함께 최근에 단청정밀조사와 단청의 문양모사가 이루어진 목조건축 문화유산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계룡산 중악단의 디지털 기록화 연구는 문화유산에서 기록의 중요성 인식과 함께 기록의 정밀성, 정확성 및 영구보존의 필요성에 대한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계룡산 중악단의 디지털 기록의 조사방법과 과학적 장비의 종류별 활용방법, 분석 결과 등을 정리하였다. 또한 기록 보존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디지털 기록의 관리 및 활용과 영구보존에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정밀실측조사에서는 수실측과 함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GPS측량, 광파측량, 광대역 3D 스캔의 장비실측을 병행하였다. 이 중에서 중악단 건축물 실측에 사용한 3D 스캔은 중악단 전체 영역 조사와 건물 외형과 건물별 위치를 확인하는 용도에 활용되었다.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를 항목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3D 모델링은 물론 CAD 모델링으로 실측도면 작성에 활용하였다. 이는 구축한 데이터와 수실측 자료를 비교하여 오차를 줄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수실측이 어려운 지붕부 실측에서는 3D 스캔자료를 기본 자료로 사용하여 실측조사의 효율성 및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단청정밀조사에서 적외선카메라 및 정밀 3D 스캐너의 과학적 장비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던 단청문양의 흔적을 고증하고 채색층의 박리·박락과 퇴락 및 오염물 등에 의해 희미하게 보이는 문양을 보다 뚜렷하게 기록할 수 있게 하여 단청문양모사도의 원형 문양을 찾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2D 평면인 모사도로 제작하기 어려운 충량의 용머리 조각물 부재는 3D 스캔을 활용하여 실물 형상의 원형과 같은 디지털 복제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현재 기록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기록의 저작권 문제와 기록의 분산 보관 및 통합관리 체계에 대한 시스템 부재의 한계성을 갖고 있다. 이것은 기록의 활용과 누적화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록이 중복되는 현상 등이 생겨난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문화재수리종합정보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기록 등록을 의무화하는 규정 마련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디지털 기록의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세부적인 방안으로 볼 수 있으며, 기존의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디지털 기록의 통합 보존 시스템 마련을 현실화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확보한 문화유산의 디지털 기록은 장기적으로 보존관리에 필요한 정밀하고 정확한 실측 모사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향후 중악단의 형태 변형 및 원형복원에 대한 근거자료 및 디지털복원, 손상도 진단 및 구조 안정성 평가에도 널리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이다. 그리고 디지털 기록의 통합관리 법제화 마련은 기록의 재활용에 사용되고, 기록의 지속적인 누적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유산의 복원 실측자료 제시로 디지털 기록의 가치를 높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