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현직 보육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민혜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Comparative Awareness of Child Abuse between Ex-Child care Teachers and Current Child care Teachers Hey-Jung Mim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 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ang, Hee Kim) This study is conducted a survey-based study on the awareness and experiences of child abuse, selecting as the research subjects unmarried and married child care teachers, and school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any child care agencies and a career as child care teachers. There is a research outcome that, regarding the awareness of the sign of child abuse, ex-child care teachers rearing children have showed a more sensitive awareness. Concerning such a cause it indicates that the groups of ex-child care teachers and the current child care teachers have, in general, had each high awareness that the sign of child abuse is caused by teachers and the relevant children, respectively in turn. Regarding the awareness of the child abuse report system, the group of the current married child care teachers have, especially, had a higher awareness compared with any other group.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prevention education has showed a high rate among the group of ex-child care teachers. And there has been a high awareness among married child care teacher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child punishment and discipline must be clearly made without confusion, in the entire social respect, and further careful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on child abuse education must be promoted. Regarding the awareness of coping with the experiences of child abuse, the number of the group of many research objects has showed a low frequency of the lectures and training experiences of child abuse. As for the witness and report of the abused children, there are many cases of having not reported it. Concerning such a cause, it shows that most people have considered less serious abuse is. Based on the outcome, above stated, this researcher found that there has still remained the past awareness and methods of child abuse and the importance of its prevention among the entire social members including ex-child care teachers and current child care teachers. Thus it is noted that the pertained academic world and every social member need to pay closer attention to it. Through the research outcome, this research thesis suggests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conduct a study on more child care teachers in larger regions. Second,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need to be strengthened in the entire social respect. Lastly, institutions such as the academic world and care agencies need to have a more systemical and academic research. Based on these,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of more advanced and future-oriented methods of the awareness improvement and interventions.

      •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지도 방안 연구

        민혜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을 구안하는 데 있다. 글을 쓰는 활동은 언어로써 생각을 생성하고 조직하여 확장시키면서 의미를 구성해 가는 과정이다. 특히 고쳐 쓰기는 자기 글을 돌아보며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문제를 해결해 가면서 쓰기 과정을 내면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수적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고쳐 쓰기 전략을 실제 쓰기 과정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고쳐 쓰기 지도 방법과 쓰기 능력에 따른 수준별 고쳐 쓰기 지도 방법이 적절히 제시되지 못한 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쓰기 능력 수준이 다양한 학습자들이 자신의 글을 보다 적극적으로 돌아보고 점검하며 능동적으로 고쳐 쓰기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 모형을 고안하였다. 특히 논술문과 같은 설득적인 글은 자신의 사고 과정을 보다 활발하게 살펴보아야 함으로 자기 점검과 자기 질문, 그리고 자기 조정의 고쳐 쓰기 전략은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본래 내용 구조도가 가지고 있는 시각적인 구조화의 효과를 고쳐 쓰기에 적용해 봄으로써 자신의 글을 좀 더 면밀히 살펴보고 사고 과정을 활발히 진행시켜 보다 능동적인 고쳐 쓰기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내용 구조 도와 관련해 고쳐 쓰기를 했을 때,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기존 연구들은 종종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쓰기 능력 수준이 다른 학습자들에게 내용 구조 도를 어떻게 적용하여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내용 구조 도를 활용해 고쳐 쓰기를 진행했을 때,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을 고안해 이를 쓰기 능력 수준이 다른 학습자 모두에게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고쳐 쓰기와 관련한 기존 연구 결과물의 한계를 검토해 보고, 보다 구체적이며 능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고쳐 쓰기 방법, 학습자 수준별로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는 고쳐 쓰기 방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2장에서는 작문 이론에 따른 고쳐 쓰기의 의미와 고쳐 쓰기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논술문에서 자기 조정 전략 사용이 핵심적인 고쳐 쓰기에 주목해 보았다. 3장에서는 기존의 고쳐 쓰기 연구 방법 중에서 글 전체를 구조화하여 점검하는 데 내용 구조도 중심의 고쳐 쓰기가 가장 효과적임을 밝힌 후, 학습자 수준별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전략의 활용 측면에 중점을 두어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모형을 실제 학습자들에게 적용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논의 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이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 지도가 실제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과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내용 구조도 전략의 습득 및 적용을 위한 교재를 계발하여 4학년, 8학년 각각 21명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적용은 사전, 사후 검사를 포함한 총 10차 시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실험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및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양적, 질적으로 탐구하였다. 적용의 결과, 4학년과 8학년 모두 쓰기 능력 및 고쳐 쓰기 능력 면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드러냈다. 기존의 고쳐 쓰기 지도 방법이 학습자 수준에 따라 제시되지 못했던 점에 주목해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내용 구조도의 틀을 제공한 것도 상, 중, 하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학습자들이 작성한 1차, 2차 결과물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내용, 조직, 표현 면에서 고르게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가 초고를 여러 번 읽고 이를 구조화시켜 자신의 글을 돌아보며 점검하는 과정에서 조직은 물론 내용과 표현 면에서도 고르게 점검과 수정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결국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의미 구성 과정에 대한 자기 점검과 자기 질문, 그리고 자기 수정을 활발히 이루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4학년, 8학년 대부분이 사전 검사 때부터 고쳐 쓰기가 필요하다고 밝혔으나, 사후 검사를 통해 고쳐 쓰기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아졌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주로 단어와 문장 수준의 고쳐 쓰기를 해야 한다고 했던 사전 검사와 달리 주로 글 전체 내용과 조직 중심의 고쳐 쓰기를 해야 한다고 밝힌 학습자들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내용과 논의를 바탕으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학습자가 자신의 초고를 읽고 내용 구조 도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기 점검과 자기 질문, 그리고 자기 수정으로 이어져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수준별 내용구조도 틀을 제공함으로써 상, 중, 하 학습자들 모두 고쳐 쓰기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셋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와 고쳐 쓰기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넷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4학년, 8학년 학습자 모두에게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 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쓰기 과정에서 고쳐 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능동적인 고쳐 쓰기를 할 수 있는 전략으로 학습자 수준별 내용 구조 도를 활용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아울러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모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검증하고 실제 활용 방안을 제시함으로 도움을 주고자 한 점도 그 의의라 할 수 있다.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이 실제 고쳐 쓰기 과정에서 자신의 글을 비판적으로 점검하여 문제를 발견함과 동시에 해결해 가는 동안 자신의 글쓰기 과정을 내면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instructional plans for essa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A writing activity involves a process of creating, organizing, and expanding thoughts with language and building meanings. In particular, revising makes such an essential process in that it can help the writer look back on his or her writing, inspect it critically, solve problems, and internalize his or her writing process. Most students, however, lack a perception of revising and fail to use the revising strategy, which allows them to take an active and independent approach, in their actual writing processes. One of the reasons can be found in the absence of proper, concrete, and applicable instructional methods for revising and level-based revis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writing skills. Thus the investigator devised and applied an essay revising model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which helps the students in diverse writing skill levels structurize their writings, look back on and inspect them more actively, and participate in revising more actively. The application results show that both the fourth and eighth graders experienced significant effects in writing skills, revising skills, and revising perceptions. Recognizing that the old revising instructional methods failed to reflect the different levels of the students, the investigator offered a framework of content structural diagram by considering their different levels and witnessed positive effects on all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 The research content and discussions le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helps the students naturally include self-inspection, self-questioning, and self-revision in the process of reading a draft and making a content structural diagram and thus improve their writing and revising skills evenly in terms of content, structure, and expression. Secondl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offers the students a framework of content structural diagram and accordingly enables all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 take active part in revising. Thirdl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caused positive changes to the students' perceptions of revising. Finall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has positive effects on the writing skills, revising skills, and revising perceptions of both the fourth and eighth grader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utilized a student levels-based content structural diagram as a strategy to help the students realize the importance of revising and engage in revising more actively and provided help to the scene of education by applying and demonstrating a revising instructional model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Instructional plans for essa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will hopefully utilized by the students actively in a process in which they critically inspect their writings, solve problems, and internalize their writing processes.

      • 일본어 임용시험과 영어 임용시험 비교 분석 연구 : 2006~2008학년도 중등교사 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출제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민혜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研究は韓国における日本語中等教師新規任用候補者選定競争試験(以下日本語任用試験)の出題問題の改善のため、3年間(2006~2008年度)の英語任用試験との比較を通じて、日本語任用試験の出題問題を客観的に分析し、有効な改善方向を提示しようとした。問題分析の基準にしたのは信頼性と妥当性といった評価の原理であり、さらに望ましい外国語教師の資質とコミュニカティブ․アプローチに基づいた第7次課程を分析し、構因妥当性(construct validity)の構因とした。 任用試験の出題傾向は有能な講師選考と直接的な関わりがあると同時に、公立学校教師を目指す受験者に教師としての必要な実力を身につけさせる基準にもなる。従って、試験の目的は、単なる少数人員選考であってはならない。 研究を通じて、日本語任用試験と英語任用試験の分析内容をまとめ、改善の方法を提示すると次のようである。 まず、教科教育学からは次のような結論が出た。 第一、日本語任用試験は第二言語習得理論と教授法の出題比率が英語任用試験に比べ、はるかに低かった。第二言語習得理論に関する研究と評価問題開発が必要である。 第二、日本語任用試験の教科教育学の出題問題には実際に教科教育学の能力とは関係が見られない教科内容学的知識を問う問題が出題された。教科教育学と教科内容学の統合的問題は、教科内容学の知識を教科教育学の知識によって分析する問題である。 第三、日本語任用試験には、実際の教室活動からかけ離れた理論の解説と名称を問う問題が多いのに対し、英語任用試験には教室活動の原理が先に提示され、原理に基づいた教室活動の分析力と適応力を問う問題が多かった。 結果的に、1.で提示した教科教育学の構因妥当度を日本語任用試験が満足しているとは言えない。外国語教師らしい授業運営能力とそれにふさわしい資質のある教師を選考するためには、日本語教育論の研究を進め、多様な教科教育学の構原を評価問題に反映しなければならない。 次に、教科内容学からは次のような結論が出た。 第一、日本語任用試験にはコトワザ、慣用句、オノマトペをはじめ、固有名詞も含めた単語の意味を問う問題の比率が高かった。語学概論の領域でさえ、語学概論の原理の理解に関わる能力より、単語暗記力を問う問題が出題された。その反面、英語任用試験には単語の意味を問う問題はなかった。 第二、日本語任用試験に教科内容学の問題の中では現在の国家水準の教育課程と教科教育学の内容からかけ離れた問題が見られた。教育過程で排除すべきと書いてある内容が出題される反面、重点をおいている社会言語学および談話分析にかかわる問題があまり見られないのは、教育課程に反する傾向であると言えよう。 第三、日本語任用試験には国家水準の教育過程にはない日本文学に関する幅広い問題が出題された。また、文学の問題は作品名や作者名を問う問題がほとんどであり、さらに、作品の本文から作品名と作者名を類推しなければならない問題もあった。その反面、英語任用試験にはそのような断片的な知識を問う問題はなく、作品鑑賞や文学教育の方法にかかわる問題が出題され、日本語任用試験と大きな差があることがわかった。第7次教育課程の主な目標は日常生活での意思疏通である。従って、日本文学の内容も意思疏通を円滑にする一面という観点から、学問的というより文化的に扱わなければならない。 第四、日本語任用試験には、異文化理解や、意思疏通の社会言語的な観点を問う問題はあまり見られなかった。その代わり、日本で行われる行事や使われる物の名称、地域名などような日常的な常識を問う問題が出題された。しかし、このような用語を知っているからといって、その文化をよく理解しているとは言えない。従って、物や行事の名称を問う問題より意思疏通の中で理解しなければならない社会言語学的な問題が出題されるべきである。 第五、日本語任用試験には、正答の範囲がなく、正答を推測しにくい問題や正答がいくつもありそうな問題が出題された。 本研究では、最後に2009学年度から改訂される任用試験の例示問題を分析し、改善の案を次のように提示する。 第一、多肢選択型問題を製作する際に多様な本から内容を集めると問題の脈略が曖昧になることがあるので、一つの問題で評価項目を明らかにすべきである。 第二、教科教育学と教科内容学が統合的に問われる問題の開発が必要である。 第三、改善任用試験では2次論述型筆記試験と3次教職適性深層面接が日本語で実施されるようになっているので1次選択型筆記試験の会話と作文問題は控え目にすることも考慮の対象になりうる。 第四、文学と文化は第7次教育課程の内容の範囲内で、教授ー学習過程に採り入れる際の方法論とそのために必要な知識を問う問題が開発されるべきである。 第五、わずか40個の問題で少人数を選考しなければならない1次選択型試験では難易度調節が重要な課題となる。問題の妥当性を害しない範囲で適切な難易度も保つ方法としては1次選択型試験の一つの問題の読む分量を増やす方法がある。 第六、少人数の出題委員が8つもある試験科目の問題を出題することは無理があるだけに、あらかじめ各科目の専門家から問題を集めその中から出題委員が問題を選択し出題する問題銀行方式の導入を提案したい。 本研究の結果がこれから日本語任用試験の問題出題における改善に小さくはあるが、参考になっていただきたい。また、これから評価問題に関する活発な研究が進められることを望む。

      • 전계강도 측정에 의한 소방용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성능평가

        민혜정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재난발생시 소방대원들이 원활한 소방활동을 수행하기 위해특정 건축물에 설치된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통신장애, 즉 아날로그와 디지털무전기의 호환문제(Case 1), 설계·시공상의 문제(Case 2), 준공 후 유지관리상의 문제(Case 3), 무선통신보조설비가 제외된 건출물의 문제(Case 4와 5) 등의 5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소재 13개 건축물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건축물에 대하여 전파 전송과 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전파 음영구역을 확인하였고 각각에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존에 설치된 무선통신보조설비 통신망에서 아날로그 무전기와 신규 도입된 디지털 무전기의 전파전송 능력 및 전계강도를 측정하고 비교 평가한 결과(Case 1)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설치방식 및 구성부품과 종류에 따라 전파 전송능력에 큰 영향을 끼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중계기(증폭기)방식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디지털 호환용 중계기(증폭기)로 교체가 필요하였다. 대규모 건축물에서의 설계·시공에 대한 문제점(Case 2)에서는 지하 3층 바닥면적에서 전파음영 구역 존재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감쇠량 등을 고려한 계산서를 작성한 후 시공하여야 하며, 준공검사 시 전계강도 측정 리스트를 작성한 데이터 시트를 포함한다면 사전에 전파음영 구역 평가가 가능하다.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유지·관리적인 문제점(Case 3)에서는 누설동축케이블이 단선된 경우 단선지점에서 일정거리 이후 전파음영구역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도통시험 장치를 추가 설치하여 상시점검에서 케이블의 종단 저항값 50Ω보다 낮아지면 육안으로 단선임을 확인할 수 있다. 30층 미만 건축물에서의 문제점(Case 4)에서는 지하층에 방재실이 있고 지상층에는 무선통신보조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20층에서 전파음영 구역 존재하였다. 방재실이 지하층에 있는 경우에는 지하층과 연계하여 지상층에 안테나 등을 설치하여 성능개선이 가능하므로 관련법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법상 무선통신보조설비 대상이 아닌 저층 건축물 중 대형 건축물에서의 문제점(Case 5)에서는 공간 구획이 많은 건축물에서 전파음영 구역 존재하였다. 전파음영 구역이 모두 해소를 위해서는 건축물 외부에 가설 안테나를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층 건축물이지만 공간 구획이 많은 대형 건축물에서도 관련 법규 보완이 필요하다. 상기 문제점 해결을 통하여 소방대의 소화활동시 현장 대원과 지휘부간 최적의 무전 교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elected 13 building structures located in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in order to solve 5 problems related to auxiliary radio-communication systems installed in specific buildings for fire fighters to perform efficient fire-fighting activiti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communication failure or, that is, the problem of inter-operability between analogue and digital radio devices (Case 1), problem in design and construction (Case 2), problem of post-construction maintenance (Case 3), and problems in building structures excluding auxiliary radio-communication facility (Cases 4 and 5). The selected buildings were measured for their radio signal transmission and receiving sensitivity to find radio signal shadow zones. How to improve was presented for each of the problems. Detailed explanation is as follow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previously installed auxiliary radio-communication system, the radio signal transmission capability and electric intensity of analogue radio and newly-introduced digital radio were measured and compared (Case 1).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stallation method of auxiliary radio-communication system and its component parts and types had huge impacts on radio signal transmission ability.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existing repeater (amplifier) type of auxiliary radio-communication systems, it was needed to replace with digital interoperable repeater. With respect to the problem in large-scale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Case 2), radio signal shadow zone was found in the floor area on the 3rd basement level. Therefore, an invoice should be drawn up in consideration of attenuation amount, etc. before construction. If data sheet listing the electric intensity measurements is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completion inspection, radio signal shadow zone could be evaluated in advance. In the maintenance problem of auxiliary radio-communication system (Case 3), if the leakage coaxial cable was disconnected, radio signal shadow zone was found from certain distance from the disconnection point. To solve this problem, a continuity test device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and, if its resistance value at the cable end is lower than 50Ω, cable disconnection can be seen in regular insp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blem in under building of 30th floor (Case 4), radio signal shadow zone was found on the 20th floor in a building with no auxiliary radio-communication system on ground floor while having an emergency room on a basement floor. If an emergency room is on a basement floor, performance could be improved by installing an antenna or others on a ground floor in connection with the basement floor. In this connection, applicable regulation improvement was found necessary.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large-scale buildings among the low-rise buildings not subject to the auxiliary radio-communication system under the present law (Case 5), shadow zone was found in buildings with lots of space zoning. In order to get rid of all shadow zones, it was found necessary to install an antenna outside the involved building. Relevant law improvement is also needed for such large-scale low-rise buildings with frequent space division. By resolving all the problems above, we can ensure the optimal radio-communication between command and crew at the scene during the fire fighting efforts by fire brigade.

      •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에 따른 학교적응 비교연구

        민혜정 경인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문화 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와 학교적응 수준과 개인별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친구관계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은 친구관계에서 차이가 있는가? ⅰ)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은 성별, 학년, 학업수준에 따른 친구관계에 차이가 있는가? ⅱ)다문화학생은 출생 국가 및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따른 친구관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은 학교적응에서 차이가 있는가? ⅰ)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은 성별, 학년, 학업수준에 따른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ⅱ)다문화학생은 출생 국가 및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따른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다. 이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천, 경기, 충남지역 소재 초등학교 3~6학년에 재학 중인 96명의 다문화학생과 150명의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을 분석하였다. 설문 언어는 한국어로 제작, 사용하였으며 다문화학생의 경우 한국어로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질문을 읽고 응답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 수준은 다문화학생이 일반학생 보다 낮았지만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일반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중학년보다 고학년에서 친구관계 수준이 더 높았지만 다문화학생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학업수준에 따른 친구관계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한국출생 다문화학생이 중도입국학생보다 친구관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은 다문화학생이 일반학생 보다 평균은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일반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3학년과 5학년보다 6학년의 학교적응 수준이 높았지만 다문화학생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이 학교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적응에서도 한국출생 다문화학생이 중도입국학생보다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친구관계는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친구관계 상위 집단 내의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 학교적응 수준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후속 연구에 요구되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가 가지는 편의표집의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학생의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학생 중 특히 중도입국 학생들의 학교생활에서의 어려움 해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지원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의 학교적응에서 나아가 한국사회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적 방안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어린이들의 家庭에 대한 知覺에 관한 硏究

        민혜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가 복잡해지고 문화가 눈부시게 발전할수록 학교 교육만으로 교육의 기능과 책임을 감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정의 기능과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고 하겠다. 최근 들어 날로 더해가는 도덕성의 실추, 인간성의 매몰현상과 더불어 청소년의 비행과 문제 아동이 급격히 증가하는 근본 원인은 가정 교육의 약화 내지 부재 탓으로 사회 문제의 뿌리가 우리의 가정에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현재의 아동교육에 관한 문제를 가정 안에서의 가족간의 역할과 기능이 아동에게 어떻게 지각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학교 교육과 연관된 새로운 가정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하는데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가정의 전반적인 기능에 대한 아동들의 현재 지각의 정도를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가정의 보편기능적, 제도 및 구조적, 상호작용적 측면에서 아동의 지각을 조사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토대로 어린이들의 가정에 대한 지각에 변화를 알아본다. 셋째, 학교교육과 연관된 가정의 교육적 기능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수집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조사 대상자를 표본이론에 맞추지 못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충분히 검증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2개교의 3학년과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처리는 頻度와 백분율을 기본적 자료로 처리하여 반응간의 차이유의는 카이 自乘法(Chi Square)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보편기능적 측면에서 보면 어린이들은 동성의 부모를 동일시하였으나, 자랄수록 아버지를 동일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에서 아버지의 권위를 인정하면서도 중요한 일의 결정에 있어서는 과거에는 아버지를, 현재에는 '의논해서 결정한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부모들의 맞벌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가족을 위해 더 수고하시는 분은 아버지라고 반응했다. 반면 생산활동은 아버지가 가정 일은 어머니가 하시길을 원하며, 가정 일에 대하여 아버지의 적극적인 참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도 구조적 측면에서 보면, 어린이들은 자신의 가정에 대해 비교적 행복하다고 반응했고, 행복의 조건으로는 '사랑과 이해'라고 했으며, 부모에 대한 불만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형제가 어려움을 당할 때에 과거에는 '도울 의무는 없지만 돕도록 노력하겠다'로 반응했고, 현재에는 '무조건 돕는다'로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 측면에서 보면 어린이들은 가정에서 아들과 딸을 평등하게 대해 주는 것으로 반응했고, 어머니와 지내는 시간이 많이 있으나 고학년이 될수록 자신의 비밀은 가족에게 이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린이들의 집안 일 참여정도는 과거에는 '누가 다함'으로 반응했으나, 현재에는 '못하게 한다'라고 반응한 것으로 보아 부모들이 집안일 보다는 공부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에서 부부관계에 대한 어린이들의 생각은 과거에는 '아버지가 높고 어머니가 낮다'로 반응했으나, 현재에는 '친구같이 친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반응으로 보아 현대가정은 수평적이고 조화로운 가족간의 관계가 형성되어 가고 있는 것 같다.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민주적인 가정을 이루기 위해 부모나 가족들이 자녀들과 함께 하는 대화의 시간을 의도적으로 가질 필요가 있고, 자녀교육에 있어서도 부모가 공동의 책임의식을 갖고 지도해야겠다. 둘째, 가족구성원의 공동체 의식 함양 및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가정과 연관된 학교단위 프로그램의 활용을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실천하여야 하겠다. 셋째, 어린이들의 가정교육을 강화하고, 사회화의 기초가 되는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조부모, 친척, 이웃과의 유대관계를 좀 더 친밀하게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현대의 기술정보시대에 결핍되기 쉬운 가족의 정서교육과 인성교육을 위해 대중매체를 선별하여 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이 연구되어야 하겠다. As modem society is getting complicated and the culture is greatly developed,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family become more important because it's impossible for school system alone to take the whole responsibility and function of education. Recently, the number of juvenile delinquency and problem child has rapidly increased with the fall of morality and the lost of humanity. It means the weakened function of family education is the fundamental cause of those problems and social problem is rooted in our famil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find a way of new family education related to school education by realizing how children perceive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family. The Object of Study First, in order analyze the level of present children's perception to a general family function, the perception of children will be surveyed in terms of a universal family function, system and structure, and interaction. Second,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the change of children's perception to family will be checked. Third, a basic data will be collect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function of family related to school education. The limited points of this study are that it failed to make a sample group designed to meet a standard sampling theory, and the depend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is has not been fully verified. The subjects were third and sixth grade children of the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Chi Square was used to examine the statistic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reactions based on the arrangement of basic data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Study First, in the universal function side, children identified the same sex parent as theirs with themselves but as they were getting older, they showed the tendency to identify their fathers. Although they admitted their father's authority, they responded that they made a decision through the consultation when they faced something important while their fathers usually decided alone in the past. Even if the number of dual-income husbands and wives has increased, it showed that most of children thought that father made more efforts for family. On the other hand, children expected father to be engaged in the productive action and mother with home matters. And also they wanted father's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family matters. Second, in the systemic and structural side, children responded that they felt relatively happy with their families. The condition of happiness was love and understanding according to children's answers and they had no complaints about their parents. For the question which asked about what they were going to do when their brothers or sisters were in trouble, they said in the past that they would try to help even though there was no obligation. But the answer to help them unconditionally showed children's thinking has been little bit changed. Third, in the interactional side, children thought that were treated equally by family members regardless of their sex. It was revealed that they spent a lot of tie time with their mothers but as they were growing up, they kept their secrets and problems in their mind and didn't talk about those things to any family member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study rather than to do house chore by children's answers that their parents fcrced them not to participate in housework. In the past, children thought father was in higher position than mother but now according to this study, they think father and mother have close connection with each other like friends. It indicates that equal and harmonious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is having been formed. The Suggestion of Study First, it's necessary that family members should intentionally have time for conversation with their children to make democratic family. And mothers and fathers have to educate children with equally shared responsibility. Second, teachers should apply positively the school-level programs related to family matters to the strengthening the unity of family and moral education. Third, it's important to mak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grandparents, relatives and neighbors get closer for family education and forming the social network which is fundamental for socialization. Fourth, it must be studied the way to use mass media selectively for the family education of emotion and morality which can easily lack in rapidly changed modern technology society.

      • 한국어 교재의 과제 중심 교수요목 설계 방안 : 초급의 주제와 기능, 과제, 문법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민혜정 고려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교육과정을 실현하고, 교육과정과 학습과정을 연결시켜 주는 한국어 교재에 필요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주제와 기능ㆍ과제ㆍ문법을 조직할 때 각 요소 간 상관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과제 중심 초급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의사소통 능력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과제 중심의 교수요목으로 설계된 경희대 「한국어ⅠㆍⅡ」, 서강대「서강 한국어ⅠㆍⅡ」, 이대 교재「말이 트이는 한국어ⅠㆍⅡ」교재를 살펴보았다. 먼저 각 교재의 교육 내용을 조사하여 세 교재 간 공통되는 주제와 기능, 과제와 문법을 추출하여 초급 단계의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고, 다음은 이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긴밀한 구성을 갖추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육 내용을 선정할 때는 첫째, 학습 대상과 학습 환경이 고려되어야 하고, 둘째, 교육 내용이 타당하기 위해서는 사용 빈도가 높은 실제적인 과제를 중심으로 선정해야 한다. 셋째는 학습자의 등급에 맞는 교육 내용을 선정해야 한다. 넷째는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실제적으로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하더라도 이들을 실생활과 유사하게, 그리고 그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언어지식을 연결시킬 수 없다면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이라는 언어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주제와 기능ㆍ과제ㆍ문법이 서로 유기적 연관성을 가지고 연결되어야 한다. 각각의 요소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상관성을 확보하면, 첫째, 일관된 내용 안에서 올바른 교수ㆍ학습의 방향을 제시하여 언어학습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둘째, 학습한 내용을 실제 의사소통 상황으로 쉽게 전이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학습자들이 자연스러운 발화를 생성해 낼 수 있다. 따라서 교재에서 이들이 자연스럽게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교수요목을 구성하는 항목 간에 유기적 상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육 내용을 선정할 때는 주제에 대한 보편적인 프레임을 중심으로 내용을 설계하고, 이 주제와 관련된 기능과 과제를 정한다. 그리고 그 다음 이들을 수행할 때 필요한 문법 항목을 선정해야 한다. 둘째, 정확하고 구체적인 교육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교수요목을 설계할 때 주제, 기능, 과제, 문법 각각의 요소가 모두 실제 의사소통 목적을 가진 것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넷째, 교수요목을 설계할 때, 문법 항목에 너무 치중하지 말아야 한다. 다섯째, 단원의 주제가 여러 영역에서 다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단원의 주제가 정해지면서 선정된 과제들의 활동 유형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이들은 모두 단원의 주제를 화제로 삼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교수요목을 설계할 때, 교수요목을 구성하는 요소 간 유기적인 연관성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이들이 자의적 임의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최대한 배제하고 초급에서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시도하여 각 요소간의 객관적인 연결 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인의 특정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언어 자료를 직접 수집하여 주제와 기능, 과제, 문법을 연결시킨 것이 아니라, 이미 개발된 교재의 비교 분석을 통해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수평적 조직만을 하였다. 따라서 학습자의 요구조사와 교육 내용의 수직적 조직은 후고로 미루기로 한다.

      • 공주 학봉리 窯址활용 방안

        민혜정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이 논문은 공주학봉리요지(公州鶴峰里窯址)와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의 문화유산 가치를 ‘어떻게 되살리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공주 반포면 계룡산 자락에 위치한 학봉리 요지는 조선의 분청사기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적이며, 국내 최초로 도자기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이다. 1927년에 1차 조사가 있었고, 1992년에 2차 발굴조사에 이어 1993년에 추가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공주 학봉리 요지는 분청사기 주요 생산지였으며, 거의 모든 종류의 도자기가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에 새겨진 연호(年號)와 관청명(官廳名)을 통해 분청사기의 편년이 가능해졌고, 공주 학봉리가 철화분청의 주요 생산지였음이 밝혀졌다. 우리나라 도자문화사(陶瓷文化史)에서 분청사기(粉靑沙器)는 14세기에서 16세기까지 약 150∼200년 정도 유행했다. 분청사기의 장식 기법은 상감, 인화, 조화, 박지, 철화, 귀얄, 덤벙 등 7가지 방법이 있다. 공주 학봉리 요지는 철화기법으로 제작한 철화분청이 유명하여 ‘계룡산 분청사기’ 또는 ‘계룡산 철화분청사기’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공주학봉리요지(公州鶴峰里窯址)는 1990년에 사적으로 지정되어 국가지정 문화유산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문화유산 활용이라는 시각에서는 백지상태와 마찬가지이다. 활용 가능한 공간이 전무한 상황이며, 활용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공주 학봉리 요지의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 문화유산으로 활용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간적인 활용 방안으로는 최소 공간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라키비움(Larchiveum) 건립을 제시하였다. 라키비움은 활용 공간이 협소한 학봉리 요지의 현재적 상황에 적합하며 학술연구와 교육, 체험과 축제 마당을 하나의 공간에서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행 사례 검토를 바탕으로 향후 공주 학봉리 요지 활용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우선순위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공주 학봉리 요지 보존·활용 계획 수립, 2) 문화유산 교육 교재 제작, 3) 전문 인력 육성 , 4) 초등학교, 중학교와 연계한 현장 체험 학습, 5) 문화재청 문화유산 활용 공모사업 추진, 6) 계룡산 철화분청사기 산업화 추진, 7) ‘K-철화분청’ 사적의 명소화 추진, 8) ‘이삼평기념비’를 매개로 한·일 도자문화 교류 확대 등이다. 종합적인 보존·활용 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2026년은 일본인에 의한 국내 최초의 도자기 관련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1927년을 기점으로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공주 학봉리 요지 활용이나 라키비움 건립 추진과 관련한 학술대회나 100주년 기념 지표조사 등과 같은 지속가능한 활용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on Utilization of the Gongju Hakbong-ri Kiln Site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to revive and utilize the cultural heritage value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공주학봉리요지) and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계룡산철화분청사기). Hakbong-ri Kiln Site, located on the slopes of Mount Gyeryongsan in Gongju Banpo-myeon, is an important historical site representing Joseon's Buncheong ceramics and was the location of the first pottery excavation survey in South Korea. The initial survey took place in 1927, followed by a second excavation in 1992 and additional research in 1993.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s revealed that Gongju Hakbong-ri was a major production site for Buncheong ceramics, with almost all types of ceramics being excavated. Through the study of era names(연호) and official department names(관청명) inscribed on the excavated artifacts, it became possible to determine the chronological dating of Buncheong ceramics, confirming that Gongju Hakbong-ri was a significant production site for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In South Korea's ceramic history(陶瓷文化史), Buncheong ceramics(분청사기) were in vogue for approximately 150-200 years, from the 14th to the 16th century. Buncheong ceramics featured seven decoration techniques: raised-relief, incised, inlaid, stamped, celadon, white slip, and slip-inlay. Gongju Hakbong-ri Kiln Site is famous for its Celadon Cheongsa made using the celadon technique, hence it is often referred to as "Gyeryongsan Buncheong Ceramics" or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 Although Gongju Hakbong-ri Kiln Site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site in 1990, its recognition remains low.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it remains largely undeveloped. The available space for utilization is very limited, and there have been inadequate discussions regarding its utiliza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and propose methodologies for its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As a spatial utilization approach, it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n "Larchiveum" to create synergy within the minimal available space at Hakbong-ri Kiln Site. Larchiveum is well-suited for the current spatial constraints of Hakbong-ri Kiln Site and offers the advantage of accommodating academic research, educ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estivals in a single space. Furthermore, based on a review of precedents, it presents priority considerations for future utiliz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including 1) the development of a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 2) the production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al materials, 3) the training of specialized personnel, 4)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in collaboration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5) the promotion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through a Cultural Heritage Agency competition, 6) the promotion of the industrialization of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 7) the establishment of 'K-Celadon Cheong' as a cultural landmark, and 8) the expansio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through the "Lee Sam-pyeong Memorial Monument." 2026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irst pottery excavation survey conducted by Japanese researchers in South Korea in 1927. It is hoped that this milestone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nd promote sustainable utilization plans, such as academic conference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the construction of Larchiveum, and a 100th-anniversary surv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