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승희 시의 식물적 상상력 연구

        이승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775

        Abstract A Study on the botanic imagination in the Lee Seung Heui’s poetry Lee Seung heui (Supervisor Sarah Le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show Lee Seung-heui poet’s consciousness world and the movement of his imagination, through the botanic imagination appearing in his poems. As the object of the study and analysis, are selected two books of poems which were published since his debut as a poet in 1997, i.e. I Have Ever Seen a Moon Which Skipped Dinner(Jeonyeokeul gulmeun daleul bon jeok-i issda, Changbi Publishers, 2006), Crokscomb Like Magic(Geojismalcheoreom Maendramiga. Munhakdongne, 2013) together with fifty poems among such works as published recently in various literary magazines, where the movement of the botanic imagination can be examined. The works to be analyzed are those in which the poet’s own peculiar world of botanic images? images from the wild rose/rainbow pink/lilac, etc. in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inclusive of The Theory of Sed(Ssias-ron) and Together with Grass(Pulgwahamkke) as his debut works, to the ‘Crokscomb’ image shown in his second collection?have been embodied through the movement of botanic imagination. In general, botanic imagination works as various imaginative powers according to each individual’s experience and world view beyond the common property of the plant. Also in Lee Seung-heui’s poems, his botanic imagination chiefly uses self-characterized botanic images based on his experience and daily life, rather than based on the common property of the plant. This means that his poems are creating more vivid botanic images by standing on his own concrete experience not on the conventional imagination, and by being based on such images, reproducing picture of life and furthermore seeking a new order of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e poet and the world around him. In the first place, his poems, while accepting conventional images, are opening a new possibility of botanic imagination through dynamic imaginative powers which show realities of life in multi-layered perspectives. That is to say, his poems does not show existing sentimental botanic images or botanic images in a passive meaning, but shows various and fierce searches for a method to extremely reveal the limits of realities and concurrently get them over. Especially, these searches for a method show well the characteristics of botanic imagination in that they are based on the poet’s own introspection. The term, ‘botanic’, however, includes a variety of, complex and multi-layered meanings, which are unexplainable in a dichotomous way such as passivity and activity,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and negativism and positivism. The poe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botanic imagination in a method to overcome the limit of finite existence by raising individual’s independent cognizance obtained by inner introspection to a higher level of value. Botanic images in Lee Seung-heui’s poems are being used as principal images which reveal the deficiency of poetic ego. A strong desire is crouching in the inside skin of the deficiency and stretching out its arms toward the world, and such desire is nothing but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another volitional ego. The proposition that ‘deficiencies are proofs of the existence of desires’ exactly suits his poems. Various kinds of flowers frequently appearing in his poems are no more than ‘flowers’themselves on the process toward their fruition in morphological images. However, a ‘flower’ found by the poet exists as an outcome brought forth by the wounds and deficiencies of the world. It can be said that the substance of his flower, which appears in his poems not as an object of contemplation, is an outcome conceived by deficiencies as well as a directional existence proceeding toward eternity. The flower, therefore, comes out as a more brilliant and earnest representation toward conception. If perception is a ‘sticking-to-reality’ ability which reflects reality as it is, imagination is a ‘transcending-reality’ ability. It is difficult, however, for imagination to spread itself out, if it is not rooted in reality. Nevertheless, imagination may be said to be an independent consciousness certainly different from perception, and the poet is constructing imaginative worlds by borrowing various botanic images from the recognition which has been deep-rooted in reality. The botanic imagination unfolded by him, though based on reality, is not limited to the representations which disclose reality as it is. This is because imagination which has ripped out of representations displays volitions beyond the recognition of reality. Furthermore, the poet, through his botanic imagination, is constructing a world of his own by connecting various images such as water image contained in vegetability and images hanging down from endlessly spreading out boughs, to a single related network. Here,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just the heliotropism. Heliotropism means the habit of some plant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strong sunbeams. And also in the poet’s poems, ‘stretching out’ is pursuing a certain direction of heliotropism. Though the final destination being pursued by heliotropism is disclosed in some cases or not disclosed in other cases, it has a definite directional property and can be interpreted as not to be excessive in the perspective of ‘moving toward the sun.’ This is just why his poems are not gloomy forever, though seems to be gloomy or having been gloomy. Botanic images selected by him establish themselves as symbolic representations which obtain value of Dasein rather than emphasizing vital force, and furthermore play the role of a readerto imagine a new image through combination with other images. The botanic imagination o 요 약 이승희 시의 식물적 상상력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이승희 시인의 시에 나타난 식물적 상상력을 통해 시인의 의식 세계와 상상력의 움직임을 연구하고 밝히는 데 있다. 연구의 범위는 이승희 시인이 1997년 등단한 이후 출간한 두 권의 시집 『저녁을 굶은 달을 본 적이 있다』(2006년 창비), 『거짓말처럼 맨드라미가』(2013년 문학동네)와 최근 각종 문예지에 발표한 작품 중에서 식물적 상상력의 움직임을 살펴볼 수 있는 50편을 선택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대상 작품들은 등단작인 「씨앗론」및「풀과 함께」를 비롯하여 첫 시집에서의 찔레꽃, 패랭이꽃, 라일락 등의 식물 이미지와 두 번째 시집에서의 ‘맨드라미’ 이미지까지 시인만의 독특한 세계가 식물적 상상력의 움직임을 통해 형상화되고 있는 작품들이다. 식물적 상상력은 식물의 일반적인 속성을 넘어서 개인의 체험과 세계관에 따라 다양한 상상력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승희의 시에서도 식물적 상상력은 일반적인 식물의 속성을 바탕으로 하기보다는 개인의 체험과 생활에 근거한 자아화된 식물 이미지들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그의 시가 관습적인 상상력이 아닌 개인의 구체적 체험을 바탕으로 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식물성의 이미지들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삶의 모습을 재현하는 동시에 그것을 넘어 시인과 세계와의 사이에서 균형과 조화라는 새로운 질서를 찾고자 함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대상 시들은 전통적 식물 이미지를 수용하면서도 삶의 현실을 다층적으로 보여주는 역동적 상상력을 통해 새로운 식물적 상상력의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즉, 기존의 감상적인 식물 이미지 혹은 수동적인 의미의 식물 이미지가 아닌 현실의 한계를 극단적으로 드러내는 동시에 이를 넘어서려는 다양하면서도 치열한 방법의 모색을 보여준다. 특히, 이러한 방법의 모색은 자신의 내적 성찰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식물적 상상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식물적’이라는 말은 수동과 능동, 보수와 진보, 소극과 적극이라는 이분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중층의 의미들이 존재한다. 시인은 내면의 성찰을 통한 개인의 주체적 자각을 보다 높은 가치로 유한한 존재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식으로 식물적 상상력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승희 시인의 시에서 식물 이미지는 시적 자아의 결핍을 드러내는 주요 이미지로 쓰였다. 결핍의 내피는 단단한 욕망이 웅크리고 앉아 세상을 향해 손을 내뻗고 있는데 이는 또 다른 의지적 자아의 표상과 다름없다. ‘결핍은 욕망의 존재 증명이다’라는 명제는 이승희 시인의 시에도 여실히 맞아 들어가는 것이다. 시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여러 꽃은 형태적 이미지로는 결실을 향해 가는 하나의 과정 중인 ‘꽃’ 그 자체에 불과하지만, 시인이 발견한 ‘꽃’은 세상의 상처와 결핍으로 잉태한 하나의 결과물로 존재한다. 관조의 대상으로서의 꽃이 아닌, 시 속에 등장하는 꽃의 실체는 영원성을 향해가는 지향성을 지닌 존재, 결핍으로 잉태하는 결과물인 셈이다. 그래서 꽃은 더욱더 화려하고 잉태를 향한 간절한 표현물로 드러난다. 지각이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현실 고착적’ 능력이라면 상상은 ‘현실 초월적’이다. 하지만 상상 역시 현실에 뿌리내리지 않으면 뻗어 나가기 어렵다. 그렇다 하더라도 상상력은 확실히 지각과는 다른 독립된 의식 행위라 할 수 있는데 시인은 현실에 뿌리내린 인식 속에서 여러 가지 식물 이미지를 차용해 상상적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현실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그가 펼쳐낸 식물적 상상력은 있는 그대로를 드러내는 묘사에 멈춰 있지 않다. 묘사를 찢고 나온 상상력은 현실 인식 너머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시인은 식물적 상상력을 통해 식물성이 갖는, 물의 이미지, 끝없이 뻗어 나가는 줄기들에 달린 여러 이미지를 하나의 관계망 안에 연결해 시인만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이 바로 향일성이다. 향일성은 식물이 햇빛이 강한 쪽으로 자라는 성질을 말하는데 시인의 시에도 ‘뻗어 나감’은 일정한 방향의 향일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것이 추구하는 최종 목적지는 드러나 있기도, 드러나 있지 않기도 하지만 확실한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햇빛을 향해 간다는 측면으로 본다면 초과하지 않는 해석이 될 것이다. 시인의 시가 어둡지만, 또는 어두웠지만, 마냥 어둡지만은 않은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그가 선택한 식물 이미지는 생명력을 강조하기보다는 살아 있음의 현존재로서의 가치를 획득하는 표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나아가 다른 이미지와의 결합을 통해서 새로운 이미지를 상상하게 하는 역할을 실천하고 있다. 이승희 시의 식물적 상상력은 부정을 통한 긍정의 시학을 통해 ‘불화’를 당당히 껴안음으로써 ‘화해’에 이르는 시인의 내적 성찰의 과정을 통해 그의 시 속에는 삶에 대한 긍정성이 내포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시의 기저에 내재한 결핍에 대한 인식은 오히려 시인

      • 젊은 성인의 허혈전처치가 최대하운동시 혈압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승희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It was cause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to exaggerated blood pressure response during exercise test. This study was purposed the effect of acute remote ischemic preconditioning on blood pressure response to sub-maximal exercise in young adults. The participants were total 16 (male 9, female 7) aged 20-30 years in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Sixteen healthy participants completed two testing sessions, separated by one week. Heart rate, blood pressures, rate pressure product(RPP) were measured during sub-maximal exercise test. Heart rate, SBP and RPP was not decreased both RIPC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RIPC group and control group for HR, SBP and RPP. Thus, an acute remote ischemic preconditioning didn't may prevent on exaggerated blood pressure response to sub-maximal exercise.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일회성 허혈전처치가 운동 중 심박수와 수축기혈압 및 심부담도의 상승을 억제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건강한 20-30대 남여 16명(남자 9명, 여자 7명)을 대상으로 허혈전처치와 통제처치를 무작위로 배정하고 일주일의 간격을 두고 교차설계로 진행하였다. 두 처치 후에 최대하운동부하를 자전거 에르고미터로 실시하였으며, 신체구성과 안정시와 운동시 심박수, 혈압, 심부담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방법은 반복측정분산분석과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일회성 허혈전처치가 운동 중 심박수와 운동 중 수축기 혈압, 운동 중 심부담도를 유의하게 억제시키지 않았다. 허혈전처치가 심박수 변화값, 수축기혈압 변화값, 심부담도 변화값을 유의하게 억제시키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회성 혀헐전처치가 운동 중 심박수, 수축기혈압, 심부담도를 억제하는 효과는 없었다. 추후 더 많은 대상자로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국립소록도병원 통합진료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이승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가 기관에서 운영하는 국내 유일의 한센병 전문 치료 기관인 국립소록도병원 은 한 때 6천여 명의 환자가 재원하고 있었으나 2005년 12월 현재는 679명만이 거주하고 있고, 그 수 또한 급격하게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어 장기적인 병원의 기능 전환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에 애양원과 위셔드병원의 사례를 고찰하여 일반인과 한센인이 함께 진료 받는 통합진료를 통한 외래와 입원시설의 개방이 국립소록도병원의 기능 전환을 위한 과정으로 검토 되고, 병원의 성격 또한 공공의 정체성을 분명히 할 필요성이 있음을 연구하였다 . 병원의 기능 전환은 두 가지 원칙이 견지되어져야 한다. 첫째, 재원한센인들은 고령화, 높은 장애율 그리고 높은 만성질환 유병률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특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병원의 병원적 기능이 유지되어야하고 둘째, 한센인들의 소외와 차별이 없는 기능 전환이 고려되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통합진료의 시행 과정은 먼저 소록도병원을 대표할 수 있는 특성화 진료과를 개발하여 브랜드화 시키는 것에서 부터 한센인 뿐만 아니라 장애인 및 지역사회 빈곤층 같은 소외계층을 적극 수용하는 공공성 강화의 형태로 까지 천천히 점진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한다. 이는 정부 당국, 병원 당국, 재원한센인 및 지역사회의 긴밀한 협조가 요구되는데 이의 결합 형태와 통합진료 시행에 필요한 법률의 변경 및 재정 마련 방안 등을 통합진료 모형을 통해 제시하였다. 아울러 통합진료를 효율적으로 적용하였을 시에 기대할 수 있는 예상 효과와 예상되는 문제 및 극복방안을 함께 연구하였다.

      • 색채 캐릭터 코드를 활용한 주택상품의 색채 마케팅에 관한 연구

        이승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상품의 색채 마케팅시 효과적인 색채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세부 목적은 첫째, 주택상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성격을 '색채 캐릭터 코드'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둘째, 소비자의 색채 선호도를 조사하고 셋째, 각 색채 캐릭터 코드에 따른 색채 배색 샘플을 만들고 주택상품의 색채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는 샘플을 선택하여 이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의 색채 캐릭터 코드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트만의 'Personality Profile'의 설문지와 고바야시의 'Colorist' 의 색채 샘플을 이용한 인지실험을 병행하고 있다. 하트만의 설문은 성격의 장단점을 나타내는 형용사 관련 항목 30문항과 특수한 상황에서의 반응을 알아보는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바야시의 색채 자극물은 빨강, 파랑, 노랑, 흰색 계열의 총 33가지 색상을 제시하여 선호색을 선택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설문의 대상은 서울·경기도 지역의 20-30세의 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색채 캐릭터 코드에 따른 색채 샘플은 가장 빈도가 높았던 파랑, 하양, 노랑, 빨강 캐릭터 코드에 따른 색채배색 샘플을 선택하여 이 중 주택상품에 적합한 색채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비자의 성격을 분류하기 위한 색채 캐릭터 코드의 결과는 파랑(33%), 하양(29%), 노랑(22.5%), 빨강(15.5%)으로 나타났으며 선호색은 파랑(62%), 빨강(18%), 노랑(14%), 흰색(6%)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에서는 빨강, 파랑, 노랑, 하양의 네 가지 색채 캐릭터 코드의 특성 중 색채와 대응할 수 있는 대표적인 형용사를 추출하여 배색샘플을 제안하고 있다. 파랑 캐릭터의 감성어휘로는 '친밀한, 신뢰하는, 비관적인'을 사용하였으며, 하양 캐릭터 코드는 '평화로운, 평온한', 노랑 캐릭터 코드는 '친한, 에너지가 넘치는, 낙관적인, 즐거운', 빨강 캐릭터 코드는 '강렬한, 활동적인'에 대응하는 배색샘플을 제안하고 있다. 3. 본 연구에서는 각 색채 캐릭터 코드에 따른 배색샘플 중 주택상품에 적절한 배색샘플을 제안하고 있다. 파랑 캐릭터 코드에 대응하는 색채 배색샘플은 파랑과 갈색을 기본으로 하는 '신뢰하는' 이미지의 배색 샘플 20개를 제안하였으며, 하양 캐릭터 코드는 파랑과 흰색을 기본으로 한 '평온한' 이미지의 배색샘플 12개를 제안하였고, 노랑 캐릭터 코드는 주황색을 기본으로 한 '친근한 이미지와 보라색을 중심으로 한 화려한 이미지의 10개의 배색샘플을, 빨강 캐릭터 코드는 빨강을 기본으로 한 '활동적인' 배색샘플 8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색채 배색은 주택상품의 마케팅 전략 중 상품의 질과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 색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esign elements of Resedential Building are color, shape, texture. Among these factors. Color is the first to be recognized and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in determining which goods get chosen first and can also increase a product's value. In order to make effective color marketing strategy for Resedential Building. Firstly, consumer's feature of behavior has to be estimate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consumer's persona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set up strategies of color marketing for Resedential Build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analyze the consumer's personality through 'Color Character Code'. 2. To analyze consumer's color preference 3. To make color combination scheme and show its sample based on the derived color sche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 Frequency of each color character code is analyzed BLUE(33%), WHITE(29%), YELLOW(22.5%) and RED(15.5%). BLUE character code is appeared most frequently. Color preference is appeared BLUE(62%), RED(18%), YELLOW(14%), and WHITE(6%). 2. The representative words of BLUE character code is 'intimate, dependable and pessmistic', WHITE character code are 'peaceful and calm', YELLOW character code are 'friendly, energetic and happy', RED character code are 'powerful and active'. The Color combination samples using BLUE, WHITE, YELLOW and RED character code are suggested. 3. Among this Color combination samples, choosing the color combination sample which can be used for residential building is as follows. The color combination samples for BLUE character code consist of 20 samples of 'dependable' image used orange and yellow, WHITE character code consist of 12 samples of 'calm' image used white and blue. YELLOW character code consist of 10 samples of 'friendly and energetic' image used orange. RED character code consist of 8 samples of 'active' image. This study has shown distribution of each color character code based on personality. The color combination samples using color character code is to provide the color marketing strategies for residential building.

      • 평생교육산업의 경제적 규모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연구 : 유아교육, 공공직업훈련, 대학 평생교육을 중심으로

        이승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의 다양한 분야 중에서 유아교육, 공공직업훈련, 대학부설 평생교육의 경제적 규모를 평가하기 위해 교육경제학적 모형에 근거하여 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표다원화와 지표심화를 통해 질적지표를 창출하였으며, 실제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질적지표의 실제값을 산출하여 국내 평생교육산업의 경향을 파악하는 한편, OECD 국가들과 비교를 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위치를 가늠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평생교육 부문 행·재정 정책수립에 있어서 정책가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실증적 지표들은 평생교육의 다른 분야에도 적용되어 활용되고자 하는 바, 기존의 규범적 지표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평생교육산업의 경제적 규모 평가를 위한 질적지표는 교육경제학적 모형의 투입물, 즉 교육생산함수모형에 의한 학생수, 교육기관수, 교사(교수)수, 교육비용함수모형에 의한 교육비를 초기지표로 하여 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유아교육 부문에서는 46개의 지표, 공공직업훈련 부문의 경우에는 26개의 지표, 대학부설 평생교육 부문에서는 34개의 지표를 창출하였다. 유아교육, 공공직업훈련, 대학 평생교육 부문에서 개발된 지표들에 대해서 산출식을 제시하였으며, 각종 통계자료를 통해 산출값의 예를 보여 주었다. 또한, 각 평생교육산업 부문별로 국내 동향을 파악하고자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지표의 시계열 동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해당 평생교육산업의 부문별 경제적 규모와 연도별 규모 변동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유아교육 부문에서는 재적아동수, 기관수, 교사수와 같은 단순 초기지표 값은 향상되었지만 인구적, 경제적 여건을 고려한 질적지표값은 발전도가 초기지표값에 미치지 못하였다. 우리나라의 지표값을 OECD 주요국들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직업훈련 부문에서는 연도별로 탄력적인 동태를 보였으므로 좀 더 안정적인 정책의 수립과 실천이 요구된다. 외국과의 비교에서도 다양한 직업훈련체계에 맞는 통계치가 산출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평생교육 부문에서는 양적인 팽창은 급속히 이루어졌으나 질적 수준의 향상은 아직 미흡하였다. 외국과의 비교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학 평생교육과정이 다양하지 못하며 직업을 보유하고 있는 성인들의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경제학적 접근에 의해 교육생산함수 모형 및 교육비용함수 모형에 근거를 두고, 지표다원화와 지표심화 과정을 통해 개발된 질적지표들은 평생교육산업의 경제적 규모를 평가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실증적 지표는 측정오차의 문제에 있어서도 자유스럽고, 관심영역과 세부관심영역별로 교육지표를 도출하는 기존의 규범적 지표 개발방식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평생교육 부문에 대해서도 본연구에서 개발된 지표창출체계는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둘째, 유아교육 부문에서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은 양적 팽창에 비해 질적성장은 OECD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미흡한 수준이다.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추진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노동시장 참여가 가계 및 국가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현실에서 더욱 양·질적으로 우수한 유아교육기관이 확대 보급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 1인당 아동수가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정부 당국의 재정적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동 1인당 교육비는 가계부담률이 높았으며, GDP 대비 아동 1인당 유아교육비는 OECD 주요국들에 비해 현저하게 뒤떨어지는 것으로 보아 양질의 공교육화에 조기 도달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투자가 크게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공공직업훈련 부문에서 우리나라의 공공직업훈련은 외부의 경제여건 특히 실업상황을 크게 반영하여 행·재정정책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연도별 이수자수와 교육비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직업훈련의 수요에 따른 탄력적 운영은 경제여건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이러한 현상은 직업훈련의 수요 등락에 따라 개별 직업훈련원이 수용해야 할 훈련원생수의 변동이 클 수밖에 없어 일관되고 체계적인 직업훈련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구조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공 및 민간 직업훈련은 각각 특성에 맞게 직업훈련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직업을 보유한 사람과 실업자의 직업훈련 참여비율을 적절히 안배하여 장기적으로 안정되고 일관된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대학 평생교육 부문에서 우리나라의 대학 평생교육은 양적 증가에 비해 질적인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학 평생교육은 현재 양적 성장이 지속적으로 더 요구되는 시기이기는 하지만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비효율적인 교육으로 끝나버릴 우려가 있다. 미국의 사례에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대학 평생교육은 질적인 측면은 물론이고 양적인 측면까지도 크게 미흡한 수준이다. 고등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 평생교육은 전문학위부터 취미까지 다양한 강좌를 제공하여 개인의 소비적인 교육 수요와 투자적인 교육 수요 모두에 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economic size of lifelong education industry using a new method for creation of indicators and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conomic siz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ublic job training and university-offered lifelong education fields. The new method, named the bottom-up method with a positive model, consisted of 5 steps. In the first step, the initial indicators which were defined with input parameters of an educational production function and an educational cost func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economic models were introduced. In the second step, the features needed to be intensive indicators were evaluated. In the third step, various intensive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economic size of lifelong education industry were created through the diversification and in-depth specification of indicators that an initial indicator was intensified by another initial indicator or environmental factors of an educational system such as demographical and economical factors. In the fourth step, the actual values of indicators were calculated with educational and related data including published and unpublished statistics and estimated data. In the final step, some remarks on calculated indicators were included. Herein, the time-serial trends of indicators were analyzed and some indicators were compared internationally. The new method for creation of indicators was applied to the three educational field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ublic job training and university-offered lifelong education. Firstly, the number of students, the number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number of teachers and the education cost were introduced as initial positive indicators. By the diversification and in-depth specification of indicators, 42 intensive indicator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created. For the public job training and university-offered lifelong education, 22 and 30 intensive indicators were respectively created. The formulae for calculation of the developed indicators and their calculated values were presented, including calculation procedure and input data sources. In order to evaluate the annual changes of the Korean economic siz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ublic job training and university-offered lifelong education fields, the time-serial trends of indicators were analyzed. Also, to evaluate the annual improvement of their economic sizes, the trends of the dimensionless indicators indexed by the reference year were analyzed. Meanwhile, the Korean economic siz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ublic job training and university-offered lifelong education fields were compared to those of OECD countries.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positive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have been based on the educational economic approach with an educational production function and an educational cost function. These are very useful as indicators for evaluation of the economic size of an educational industry. In addition, the indicators developed by a positive model are free of errors in measurement, and the educational input-output model for creation of intensive indicators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lifelong educational fields. The intensive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has been created by the bottom-up method while the normative indicators has been introduced by the conventional top-down method. The bottom-up method which produces very various and practical indicators can be used as a method to complement the conventional method for creation of normative indicators. Second, even though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is superficially growing in the aspect of particip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lated intensive indicators are pointing out an unsatisfactory level, particularly, compared to those of OECD countries. Therefore, policies for the participation of more children in the education must be pursued. Expanding particip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gives children's mothers more opportunities to have jobs and improve their life quality. When the intensive indicators reflected with female's demographical feature were investigated, it was concluded that the particip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more. The cos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depend heavily upon respective households. Expanding financial investment by the government is needed so that the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may reach a high level of quality. Third, the public job training in Korea is closely related to economic problems, particularly, joblessness. This is a bit far from the type of lifelong education that pursues the improvement of lifestyle. Thus needed are the long-term consistent and systematic polices for creating the programs of job training as part of the lifelong education. The public job training field which has basically an organization for the unemployed suffers from unstable changes in the number of traine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long-term polic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stable and consistent public job training are needed to properly adjust the proportion between participations of the employed and the unemployed. Fourth, while the university-offered lifelong education in Korea is growing quantitatively, its quality is not satisfactory yet. Compared to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versity-offered lifelong education of Korea is quite unsatisfactory in both the aspects of quantity and quality. The proportion of 4-year university-offered lifelong education centers to total higher institution-offered lifelong education center is even decreasing in Korea. The university-offered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must meet to both the educational demands in the economic and non-economic aspects by offering diverse courses with high quality for degree-seekers to hobby-learners.

      • 초등학교 6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디자인 사고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이승희 진주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사고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디자인 사고는 다양한 분야를 통합한다는 점에서 융합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디자인 사고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발상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기 여할 수 있기에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기에 특화된 창의적 체험활동과 관련 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학생들의 창의성과 융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 그램 개발을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과 디자인 사고의 특징을 분석하 여 ‘전통시장 살리기’라는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이도현(2015)이 제안한 디자 인적 사고 프로세스에 따라 12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김진수(2012)의 STEAM 교육 프로그램 설계 절차인 PDIE 모형을 활용하 여 개발한 디자인 사고 프로그램을 S초등학교 6학년 3반 21명을 대상으로 적 용한 결과 다양한 체험활동이 포함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과제 수행 능력 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대화를 분석한 결과 서로 경 험과 지식을 공유하면서 갈등을 조정하고 협력하여 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함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은 ‘관찰’, ‘형상화’, ‘추상화’, ‘차원적 사 고’와 같은 창의적 사고 도구를 활용하여 복잡한 현상을 단순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전통시장과 관련된 주제 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지역 사회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문제 해결 에 다양한 교과 지식을 활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디자인 사고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학생들은 안내자료 제작에 집 착하였으며 교사 의존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모둠의 개개인의 능력을 고 려하지 않은 모둠 구성이 활동에 걸림돌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프로 그램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하도록 창의적 사고 기법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과 수업의 결과 또는 산출물 보다는 과정을 강조하는 것, 주제와 관련한 사전 조사 활동을 통한 정보수집이 필요하다는 점을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고려사 항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디자인 사고’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디자인 사고에 기반한 프로그 램 개발 및 적용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역량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앞으로 디자인 사고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 설계 및 적용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스포츠센터종사자의 이직의도 및 경력변경의도 결정요인 연구

        이승희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이직의도 및 경력변경의도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07년도 현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스포츠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이며, 최종분석에는 300개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센터 종사자들의 이직의도 원인으로는 낮은 조직몰입과 높은 직무스트레스로 나타났다. 특히 종사자들의 이직 원인의 한가운데는 스포츠센터 조직적 차원이 개인·직무적인 차원보다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센터 종사자들의 경력변경의도 원인으로는 낮은 직무만족과 높은 직무스트레스로 나타났다. 특히 종사자들의 경력변경의도 원인의 한 가운데는 스포츠센터 종사자들의 개인·직무적 차원이 조직적인 차원보다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스포츠센터 종사자들의 이직원인으로는 조직적 차원이, 경력변경의도 원인으로는 개인·직무적 차원이 크게 작용하지만, 직무스트레스는 이직과 경력변경의도 두 변수 모두에 원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센터의 능동적인 인적 자원관리와 직원들의 경력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특히 조직과 개인적인 차원에서 종사자들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decisive elements as to what made employees in sports centers conceive turnover intention and career change intention.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complex sports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s of 2007 were selected as universe, and 300 data was used for a final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as analytic methods, and significance level was set up as α=.05 to verify assumptions. Consequently, results of the study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reasons why employees in sports centers conceived turnover intention were low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igh job stres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ports centers had a much greater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an personal?vocational issues. Second, employees in sports centers wanted to change their career because they obtained low job satisfaction and suffered from high job stress. In this case, personal?vocational issues were more involved in career change intention than organizational issues. In conclusion, organizational issues were more influential in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in sports centers, but personal?vocational issues affected on career change intention more than organizational issues. With this backdrop, human management of sports centers were required adequately considering the balance of organizational issues and personal?vocational issues, which would be a key of successful organizational management. Above all, as job stress was the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why employees want to change their career or work place, a measurement to cope with stress should be prepared by the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