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주 학봉리 窯址활용 방안

        민혜정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요약 이 논문은 공주학봉리요지(公州鶴峰里窯址)와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의 문화유산 가치를 ‘어떻게 되살리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공주 반포면 계룡산 자락에 위치한 학봉리 요지는 조선의 분청사기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적이며, 국내 최초로 도자기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이다. 1927년에 1차 조사가 있었고, 1992년에 2차 발굴조사에 이어 1993년에 추가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공주 학봉리 요지는 분청사기 주요 생산지였으며, 거의 모든 종류의 도자기가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에 새겨진 연호(年號)와 관청명(官廳名)을 통해 분청사기의 편년이 가능해졌고, 공주 학봉리가 철화분청의 주요 생산지였음이 밝혀졌다. 우리나라 도자문화사(陶瓷文化史)에서 분청사기(粉靑沙器)는 14세기에서 16세기까지 약 150∼200년 정도 유행했다. 분청사기의 장식 기법은 상감, 인화, 조화, 박지, 철화, 귀얄, 덤벙 등 7가지 방법이 있다. 공주 학봉리 요지는 철화기법으로 제작한 철화분청이 유명하여 ‘계룡산 분청사기’ 또는 ‘계룡산 철화분청사기’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공주학봉리요지(公州鶴峰里窯址)는 1990년에 사적으로 지정되어 국가지정 문화유산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문화유산 활용이라는 시각에서는 백지상태와 마찬가지이다. 활용 가능한 공간이 전무한 상황이며, 활용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공주 학봉리 요지의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 문화유산으로 활용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간적인 활용 방안으로는 최소 공간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라키비움(Larchiveum) 건립을 제시하였다. 라키비움은 활용 공간이 협소한 학봉리 요지의 현재적 상황에 적합하며 학술연구와 교육, 체험과 축제 마당을 하나의 공간에서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행 사례 검토를 바탕으로 향후 공주 학봉리 요지 활용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우선순위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공주 학봉리 요지 보존·활용 계획 수립, 2) 문화유산 교육 교재 제작, 3) 전문 인력 육성 , 4) 초등학교, 중학교와 연계한 현장 체험 학습, 5) 문화재청 문화유산 활용 공모사업 추진, 6) 계룡산 철화분청사기 산업화 추진, 7) ‘K-철화분청’ 사적의 명소화 추진, 8) ‘이삼평기념비’를 매개로 한·일 도자문화 교류 확대 등이다. 종합적인 보존·활용 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2026년은 일본인에 의한 국내 최초의 도자기 관련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1927년을 기점으로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공주 학봉리 요지 활용이나 라키비움 건립 추진과 관련한 학술대회나 100주년 기념 지표조사 등과 같은 지속가능한 활용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on Utilization of the Gongju Hakbong-ri Kiln Site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to revive and utilize the cultural heritage value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공주학봉리요지) and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계룡산철화분청사기). Hakbong-ri Kiln Site, located on the slopes of Mount Gyeryongsan in Gongju Banpo-myeon, is an important historical site representing Joseon's Buncheong ceramics and was the location of the first pottery excavation survey in South Korea. The initial survey took place in 1927, followed by a second excavation in 1992 and additional research in 1993.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s revealed that Gongju Hakbong-ri was a major production site for Buncheong ceramics, with almost all types of ceramics being excavated. Through the study of era names(연호) and official department names(관청명) inscribed on the excavated artifacts, it became possible to determine the chronological dating of Buncheong ceramics, confirming that Gongju Hakbong-ri was a significant production site for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In South Korea's ceramic history(陶瓷文化史), Buncheong ceramics(분청사기) were in vogue for approximately 150-200 years, from the 14th to the 16th century. Buncheong ceramics featured seven decoration techniques: raised-relief, incised, inlaid, stamped, celadon, white slip, and slip-inlay. Gongju Hakbong-ri Kiln Site is famous for its Celadon Cheongsa made using the celadon technique, hence it is often referred to as "Gyeryongsan Buncheong Ceramics" or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 Although Gongju Hakbong-ri Kiln Site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site in 1990, its recognition remains low.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it remains largely undeveloped. The available space for utilization is very limited, and there have been inadequate discussions regarding its utiliza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and propose methodologies for its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As a spatial utilization approach, it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n "Larchiveum" to create synergy within the minimal available space at Hakbong-ri Kiln Site. Larchiveum is well-suited for the current spatial constraints of Hakbong-ri Kiln Site and offers the advantage of accommodating academic research, educatio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estivals in a single space. Furthermore, based on a review of precedents, it presents priority considerations for future utiliz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including 1) the development of a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 2) the production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al materials, 3) the training of specialized personnel, 4)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in collaboration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5) the promotion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through a Cultural Heritage Agency competition, 6) the promotion of the industrialization of Gyeryongsan Celadon Cheongsa Kiln, 7) the establishment of 'K-Celadon Cheong' as a cultural landmark, and 8) the expansio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through the "Lee Sam-pyeong Memorial Monument." 2026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irst pottery excavation survey conducted by Japanese researchers in South Korea in 1927. It is hoped that this milestone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nd promote sustainable utilization plans, such as academic conference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Gongju Hakbong-ri Kiln Site, the construction of Larchiveum, and a 100th-anniversary survey.

      • 대전지역 산성의 활용 방안

        백남우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대전은 삼대 하천과 금강이 흐르고 있어서 인근에 고도인 공주와 부여로 통하는 교통로가 발달하였다. 그리하여 삼국시대에 이곳을 중심으로 치열한 국가 간 대치가 이루어졌다. 대전광역시에는 약 50개 정도의 산성이 분포되어 있어 ‘산성의 도시’라고 불린다. 이렇게 많은 관방시설이 자리하고 있지만, 이를 활용을 전혀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산성의 역할과 특징을 통해 문화유산적 가치를 알아보고 그 활용 방안에 대해서 모색해 보았다. 산성은 특성상 주변 시계가 확보된 곳에 있다. 그래서 대전의 산성은 대전 시가와 대전의 삼대 하천 변의 아름다움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도심 한가운데나 대청호반이 펼쳐진 곳에 보물처럼 숨어 있다. 이제 이 숨어 있는 보물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가치를 재조명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대전지역에 남아 있는 산성과 보루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확보된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산성의 가치를 논해야 한다. 대전 명품 길인 대전 둘레 산길의 등산로가 대전의 산성들을 통과하는 경우가 많다. 몇몇 산성은 시민들이 즐겨 찾는 산책로와 연계되어 있다. 산성 안에는 산책과 등산을 위한 쉼터나 때로는 체육시설을 설치하여 운동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산성을 통과하는 산책로나 체육시설은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산성이 훼손되기 때문이다. 앞으로 대전시는 산성과 보루를 대상으로 발굴조사를 하여 성벽과 내부 시설에 대한 복원과 더불어 무분별한 산책로를 정비하고, 성내에 설치된 체육시설을 이전하여 산성의 보전에 힘써야 한다. 이러한 산성의 보전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대전의 산성을 브랜드화하는데 다음과 같은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 첫째, 산성박물관을 건립하여 산성의 보전과 활용의 센터로 삼아야 한다. 둘째, 산성축제를 개최하여 시민들에게 산성에 관한 더 많은 관심을 유도하고, 셋째, 찾는 이 없이 방치된 산성에 명예 성주를 임명하여 산성의 환경을 관리하며 보존에 힘쓰게 하고, 넷째, 산성 해설사를 양성하여 산성을 찾는 이들에게 안내 및 정보를 제공하는 산성 전문가를 산성에 배치한다면 산성의 보존과 활용에 한층 더 다가갈 것이며, 지역의 관광문화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연구에서 제시된 활용 방안이 산성의 도시 대전의 도시 브랜드화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대전시는 산성의 도시 활용 방안에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Fortress in Daejeon Area Namwoo Baek The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Jeongseog Seo Daejeon has three major rivers and the Geumgang River flowing through it, so transportation routes to Gongju and Buyeo, which are located nearby, were developed. As a result, fierce conflicts between states took place her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called the "City of Mountain fortress" because there are about 50 mountain fortresses in the city. Although there are many government facilities located here, they are not utilized at all.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fortress in Daejeon to understand their cultural heritage value and explore ways to utilize them. Mountain fortress is located in a place where the surrounding clock is secured. Therefore, Daejeon's mountain fortress are hidden like treasures in the middle of the city center or on the shores of Daecheong Lake, where you can see the beauty of Daejeon City and the three rivers of Daejeon at a glance. Now, this hidden treasure needs to be made known to citizens and its value rediscovered. To do so, we need to discuss their value based on objective data secured through detailed excavations of the remaining mountain fortress and fortifications in the Daejeon area. The hiking trails of the Daejeon Perimeter Mountain Road, a famous road in Daejeon, often pass through Daejeon's mountain fortress. Some of the fortresses are connected to walking trails that citizens enjoy. The fortress are also used as places for exercise, with shelters for walking and climbing, and sometimes gym facilities. However, trails and sports facilities that run through the fortress can be problematic. This causes damage to the mountain. In the future, Daejeon City should strive to preserve the mountain by conducting excavations on the mountain and the fortifications, restoring the walls and internal facilities, maintaining the uncontrolled trails, and relocating the sports facilities installed in the fortres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reserving the mountain and at the same time brand the mountain of Daejeon, the following measures are needed. First, an Mountain fortress museum should be built to serve as a center for the preservation and use of fortress. Second, hold an Mountain fortress festival to attract more interest in fortress among citizens; Third, appoint honorary fortress lords to neglected mountains to manage the environment and preserve them; and Fourth, train fortress experts to provide guidance and information to visitors to the mountains, which will help further preserve and utilize fortress and revitalize local tourism culture. We hope that the utilization plan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elp brand Daejeon as a city of fortress, and the city of Daejeon should actively support the utilization plans for the city of fortress. Key words : Mountain fortress in Daejeon, Mountain fortress museum, Mountain fortress festi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