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과 한국의 중등 음악 교사 양성 제도 및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국의 '수도사범대학교'와 한국의 '한국교원대학교'를 중심으로

        쑤셴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음악 교사 양성은 음악 교육 발전의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전반적인 음악 교육 제도를 살펴보고, 양국의 대표적인 사범대학 음악 교육과 교육과정 체계 및 양국의 중등 음악 교사 임용 제도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중 양국의 중등 음악 교사 양성 제도 개선에 참고하고 음악 교육 발전을 모색하는 것이 목표이다. 중국 기초 교육 개혁은 수 년 동안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음악 교육이 21세기 사회 경제 및 교육 발전을 따라가려면 지속적인 역량 강화와 개선이 필요하다. 제도적으로 충분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음악 교육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선진화된 음악 교육 양성 제도를 직접 경험하고 비교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일은 의미가 있다. 한국 국립 대학교인 한국교원대학교는 한국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교사 양성 기관으로 간주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중국 교환 학생으로 3년간 공부한 것은 외국인으로서 한국의 음악 교사 양성 제도를 새롭게 관찰하는 좋은 경험이었고, 중국과 한국 양국의 음악 교사 양성 제도를 직접 경험함으로써 보다 넓은 시야에서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 중국인으로서 바라본 한국의 음악 교사 양성 제도는 중국 음악교육 발전에 참고한 만한 가치도 있고, 비판 받을 부분도 있다고 본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용으로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 제도, 중등 교사 양성 제도 및 방안, 중등 교사 자격 및 임용 제도를 분석하여 비교한다. 또한 중국인으로서 한국의 경험을 참고하여 중국 사범대학 중등학교 음악 교육 전공 과정의 개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비교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은 교사 수습 제도가 다르다. 중국은 수습 교사 제도를 필수로 하고 큰 비중을 두고 있는 데 반해 한국은 교생 실습 기간으로 이를 대체하고 수습 제도는 없다. 즉 한국의 예비 음악 교사들이 진정으로 교사라는 직업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지를 실험할 수 있는 기간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점은 한국 전반의 음악 교사 양성 제도에 있어 지적할 수 있는 문제이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임용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국가적인 임용고시를 통해 교사를 선발하는데 이 시험은 고도의 전문적 지식을 요구한다. 이러한 현상은 교사가 지녀야 할 인성 및 소통, 공통체적 능력을 강화시키기보다 자칫 지식만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어 교육적 자질을 길러주는 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전문적인 지식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강점이 있으므로 중국에서도 참고할 부분이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사범대학 음악 교육과 교육과정 비교에서 가장 큰 시사점은 전통 음악 관련 교육과정이다. 한국교원대학교 음악 교육과 교육과정에서 국악은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한다. 중국 교원 양성 기관에서 민족 음악 교육은 비중이 크지 않고 체계적인 교육 환경 조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과 마찬가지로 서양 음악이 중심을 차지하는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에서 민족 음악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 한국의 경험은 참고할 가치가 있다. 이와 같이 연구를 마무리하면서, 비록 졸고이지만 중한 양국 교사의 교류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논문을 쓴 목적을 이루었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이 중한 양국 교사의 교류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바라며, 연구를 위해 한결같이 지지해 준 한국교원대학교와 외국인임에도 따뜻하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신 음악교육과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원 양성 정책에 관한 연구

        이상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수요의 양적·질적 변화에 적합한 한국어교원 양성 정책의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첫째, 학위과정으로 한국어교원이 배출되고 있는데도 비학위 양성과정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어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적절성을 파악하여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셋째, 현장의 수요와 여건에 따라 현장 적합성이 높은 한국어교원 양성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관계 법령 등에 대한 검토와 함께 사례 조사를 하였다. [사례 1]은 학위과정으로 한국어교원 자격 2급을 취득하고자 하는 정규 4년제 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례 2]는 비학위 단기 양성과정으로 한국어교원 자격 3급을 취득하고자 하는 대학 부설 한국어문화원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과정으로 한국어교원이 배출되고 있다 하더라도 비학위 양성과정은 현실적인 필요가 있다. 현장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공 및 경력을 가진 한국어교원 공급을 위해서는 비학위 단기 양성과정이 여전히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시수가 부족한 것을 증대할 필요가 있는데 증대 방안으로는 교직 과목과 국어학 등의 어학 과목에 대해서 선이수한 학점을 인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셋째, 과정별, 자격 급별 한국어교원의 특성보다 현장의 수요와 문화적 성향에 부합되는 한국어교원의 특성에 주목하는 양성 정책이 필요하다. 지금은 다변화된 현장의 수요와 문화를 고려하여 현장 적합성이 높은 한국어교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장 우선된 과제인 것이다.

      • 한국 대학생과 중국 조선족 및 한족 대학생의 가치관, 성취목표지향성 비교

        이홍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조선족 및 한족 대학생의 가치관(사회정치관, 직업경제관, 결혼가정관, 도덕윤리관)과 성취목표지향성(학습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을 비교함으로서 이중문화를 겪고 있는 조선족에 대한 이해와 집단의 특성을 이해하여 앞으로 한국과 중국 간의 교류를 더욱 활발하게 발전시키는 데에 필요한 기본정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구체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중국 조선족 및 한족 대학생들 사이에 가치관(사회정치관, 직업경제관, 결혼가정관, 도덕윤리관)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한국, 중국 조선족 및 한족 대학생들 사이에 성취목표지향성(학습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한국, 중국 조선족 및 한족 대학생들의 가치관(사회정치관, 직업경제관, 결혼가정관, 도덕윤리관)과 성취목표지향성(학습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은 국적과 성별 상호작용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교원대학교의 대학생, 연변대학교의 조선족 대학생과 한족 대학생을 설문조사하였다. 검사도구는 가치관 검사와 성취목표지향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 처리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다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과 중국 조선족 대학생이 중국 한족 대학생보다 더 적극적인 학습목표 지향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행접근목표지향은 중국 조선족 대학생이 제일 높고 중국 한족 대학생이 제일 낮은 경향이 있다. 수행회피목표지향은 이들 3개 세 집단 대학생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바, 수행접근지향성 경향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둘째, 사회정치관은 중국 한족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과 중국 조선족 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직업경제관에서 내재적 직업가치는 한국 대학생이 중국 조선족 대학생과 중국 한족 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고 외향적 직업가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혼가정관에서 근대적 결혼지향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조선족과 중국 한족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통적 결혼 지향은 반대로 중국 조선족과 중국 한족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이나 조선족 대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개방적으로 서구 문화를 수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조건중시 경향은 중국 조선족대학생이 중국 한족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경향이 있다. 도덕윤리관은 한국 대학생, 중국 조선족 대학생, 한족 대학생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바, 윤리의식은 국가에 상관없이 상대적으로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수행접근목표, 사회정치관, 결혼가정관에서 전통적 결혼과 조건중시가 국적과 성별 상호작용효과의 차이가 뚜렷하다. 수행접근목표, 사회정치관은 한국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모두 높게 보였고, 중국 조선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중국 한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혼가정관에서 전통적 결혼 경향은 한국 대학생, 중국 조선족 및 한족 대학생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조건중시 경향은 세 개 집단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국적에 관계없이 전통적 결혼경향에 남학생이 높은 것은 가부장적이고, 남성을 중시해온 동양의 오랜 전통 문화적 특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학습목표, 수행회피목표, 직업경제관에서 내재적 직업가치, 외향적 직업가치, 결혼가정관에서 근대적 결혼, 도덕윤리관은 국적과 성별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차이가 미미하다. 종합하면, 가치관과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영역에 대한 비교연구에서 가장 큰 특징은 중국 조선족 대학생이 한국대학생과 동질집단이 되어 한족 대학생과 차이를 보이거나, 한족 대학생과 동질집단이 되어 한국 대학생과 차이를 보이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가치관의 하위영역에서 사회정치관은 한족 대학생이 한국과 조선족 대학생보다 높고, 내재적 직업가치는 한국 대학생이 조선족과 한족 대학생보다 높으며, 근대적 결혼지향은 한국 대학생이 조선족과 한족 대학생보다 높고 전통적 결혼지향은 한족 대학생과 조선족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다.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영역에서 학습목표는 한국 대학생과 조선족 대학생이 한족 대학생보다 높다. 한중 두 나라간의 다양한 교류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면서 조선족은 양국 간 문화교류 및 무역의 활성화의 교량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조선족 유학생들은 높은 소질과 지식을 가진 엘리트로서 그들이 중국으로 돌아가면 한국과 관련된 직종에 종사하고 조선족 간부로 자라날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조선족 유학생은 중국문화와 한국 문화 사이에서 갈등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중국 조선족과 한국인은 같은 혈통, 같은 민족 언어, 같은 민족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그들 간의 세계관과 가치관은 엄연히 차이가 있다. 또한 조선족은 대략 150년 동안 중국에 정착하고 생활하면서 중국의 사회적, 지리적 환경에 적응되었고 그들의 집단주의와 평등주의 사상은 한국의 자본주의 체제의 경쟁원리와 개인주의와는 필연코 대립되고 모순된다. 그러므로 어렸을 때부터 중국에 태어나서 교육받고 자라온 조선족 유학생들은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힘들었고 정체성 혼란을 겪게 되기 마련이다. 한국에 유학하러 온 후 그들은 한국에서 생활하는 과정에서 한민족으로서의 동질성과 중국 국민으로서의 이질성을 직접 느끼게 되면서 중국과 한국의 차이점, 자신의 정체성, 그리고 한국에 대해서 비교적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때문에 조선족 유학생들은 한국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고 이해해야 하며, 한국에서도 조선족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있어야 한다.

      • 한·중 한자어의 비교 연구 : 연세대학교 한국어 교재(3-6권) 부록에서 나온 어휘를 중심으로

        유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한자어와 중국어의 관계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그 목적으로 한다. 현재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율과 일상 언어생활에서의 사용빈도는 아주 높다고 한다. 그래서 중국인 학습자는 비한자 문화권의 한국어 학습자보다 한국어를 학습할 때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는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는 의미, 형태 그리고 용법에서 일치하지 않는 어휘가 많이 존재하고 있다. 이렇게 한국어 어휘로 굳어진 한자어는 현재 중국어 어휘와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이러한 차이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 방해 요소가 된다. 그래서 본 논문은 한·중 한자어의 비교를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연세대학교가 편저하고 중국 각 대학교 한국어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교재 3, 4, 5, 6권 부록에 나온 어휘 중 2음절과 [-하다]를 비롯한 한자어를 연구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한자어를 동형어와 이형어로 나눠 비교하였다. 동형어는 또 동형동의어와 동형이의어로 나누지만 형태는 같고 의미가 다른 동형이의어에 중점을 두고 비교하였다. 이형어는 이형동의어와 이형이의어로 나누지만 이형이의어는 비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의미가 같고 형태에 차이가 있는 이형동의어를 비교하였다. 이렇게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양국에서 실제 사용하는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양국 한자어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알아보았다. 동형동의어는 형태도 같고 의미도 일치하는 한자어를 말한다. 동형동의어는 한국에 유입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의미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고 중국에서도 원래의 의미가 지금까지 그대로 보존되었다. 비교 분석을 통해서 연세대학교가 편저한 한국어교재 3, 4, 5, 6권 부록에서 동형동의어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아주 큰 장점인 것을 알 수 있다. 동형이의어는 동형 완전이의어와 동형 부분이의어로 나눠 살펴보았다. 동형 완전이의어는 동형어에 해당되는 어휘들의 의미가 전혀 일치하지 않는 어휘를 말한다. 동형 부분이의어는 해당 어휘가 양국에서 공통 의미 외에 역사 문화 경제 등 이유로 새로 생긴 의미를 가지게 된 어휘들이다. 동형 완전이의어와 동형 부분이의어는 3, 4, 5, 6권 교제 부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 않지만 실제 해당되는 어휘 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동형이의어를 잘 비교하고 차이점을 기억해서 잘 파악해야 한다. 이형어는 이형동의어와 이형이의어로 나눌 수 있는데 이형이의어는 말대로 형태도 다르고 의미도 다른 어휘들을 말하고 비교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이형동의어만을 비교 연구를 하였다. 이형 동의어는 또 완전이형 동의어와 부분이형 동의어 그리고 역순 동의어로 나눠 비교를 하였다. 완전이형 동의어는 양국에서 같은 의미를 가지고 형태는 완전히 다른 어휘를 말한다. 즉, AB/CD형의 어휘이다. 부분이형 동의어는 양국에서 같은 의미를 가지며 형태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것이 아니고 하나의 동형 형태소를 갖고 그 형태소의 위치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어휘를 말한다. 즉 AB/AC﹑ AB/CB﹑ AB/BC﹑ AB/CA형의 어휘이다. 역순 동의어는 양국에서 사용하는 어휘 중 같은 의미를 가지며 같은 형태소도 갖지만 어순이 반대되는 어휘를 말한다. 즉 AB/BA형의 어휘이다. 이형 동의어는 전체 연구 대상 중에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형 동의어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제일 쉽게 오용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어 어휘의 형태를 그대로 변역해서 중국식 한국어를 만들고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상의 비교를 통해 연세대학교 한국어교재 3-6권 부록에서 나온 어휘를 정리해 보았다. 본 논문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이 교재를 사용할 때 다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점에서 출발하고 한·중 한자어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런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고 평소에 어휘를 배울 때 더 잘 파악하고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우리나라 교원단체의 조직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완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r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f Korean teachers' Associations foundation base,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teacher's identity. Established research contents are as below to fulfill this research purpose: 1. Compare and analyze on group identity shown on foundation base of teachers' Associations. 2. Compare and analyze on group identity shown on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3. Compare and analyze on group identity shown on teachers recognition To address the research contents,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survey were implemented. Relevant academic journals and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and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ary paper that were prepared by this researcher through the advice of this researcher's main professor after taking a pilot surve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Gyonggi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449 teachers that were analyzable were analyzed by SPSS/PC+ program(Ver. 15.0). And frequency analysis, χ² test were utilized. First. Organizational identity shown in foundation base Our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compared with Organizational identity widely shown in foundation purpose of teachers organization, business contents,character.activity,code and foundation base in law etc. KFTA(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 presents an professional idea very clearly in the role and establishment in teaching profession of specialization as a special interest group which is improving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in their foundation purpose. KTU(The Korea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 shows 'supporting a basic right positively as an education laborer' in their foundation purpose and presented an idea of labor union very well. Looking around their business contents, KFTA presents 'an establishment of teachers' speciality and democratic development of education' as a professional group and KTU shows 'business contents which secures teachers' democratic rights and full security of labor rights through changing of education-related law' and 'cooperation with labor rights group and international joint activity business of labor movement'. KFTA presents on fulfillment of teachers' establishment of specialization as a professional group in developing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s a special group and 'making an effort of teachers' specialization extension' which presents an idea as a professional group. Besides, there are no phrase which shows an honor clearly as a group of labor union in KTU's code but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ization' wa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t means teachers are a professional job instead of a labor job. Looking around a foundation basis of teachers organization in law, KFTA has a law theory on professional teachers organization in 'special law for enhancing teachers' position elevation' and 'negotiation and agreement to elevation of teachers' position' and we found KTU has a law ground on labor union teachers organization in 'law of teachers' labor unio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and ' labor union and labor-related adjustment law' Second. Organizational identity shown in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Compared and analyzed matters divided by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eachers' specialization extension based on bargain collectively , KFTA has 462 cases(77.2%) agreements related to teachers' socioeconomic elevation and teachers' specificity elevation matters occupied 137cases(22.8%) between 1992-1997. But only 12 cases(9.0%) were related to teachers' professional elevation among KFTA agreements from 2000 to 2002. we saw KFTA roles were focused on the roles of special interest group rather than a professional group compared with 137 cases(22.8%) which was agreed and related to teacher's professional elevation from 1992 to 1997 before KTU's occupying a legal position of teachers organization. Accordingly, KFTA and KTU's discriminations were shown going unclear step by step. In case of KTU, there were total 134 cases(97.1%) which was related to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here were only 4 cases (2.9%) related to teacher's specialization extension from 2000 to 2002. But KTU had relatively higher 38cases(27.5%) more than KFTA's 24cases(18%) related to labor condition and welfare. KFTA has lower activity on professional elevation, due to environment factor in lower cognitive and more less members and strong competition with KTU after KTU's legalization was made and KTU was analyzed in lower activity related to professional elevation which is teachers' basic factor only focused on role and function as labor union group, and KTU, much focused on role and function as labor union organization has been analyzed an insufficiency relatively to professional elevation-related activities were in short. Third. Organizational identity shown in teachers' recognition There were only 87.2% in teaching profession in researching of teachers asked in a survey result and expected teachers' organization will play a role in teacher's rights improve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Most teachers said teachers organization activities are coincidence with group idea and foundation purpose and are much satisfied with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KTU has a better organizational identity and well recognized about teachers organization image as a labor union group compared to KFTA As an aim pointing by teachers organization, professional attention and labor principle mixed form has been said by both teachers organization and said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eachers professional establishment' must be a priority. As an worth aiming by teachers organization, 'professional extension', 'right protection',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win-win and cooperation planning related with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has higher agreement percentage of 80% but has 60% lower agreement percentage of 'political influence extension as a interest/pressure organization'. It means teachers want teachers organization must be true to their role as a interest organization, whereas they are a little negative in enlarging a political influence. 'Teachers treatment and welfare promotion' and 'labor conditions improve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should be in first place in a survey on business content priority order and efforts for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efforts should be in first place in priority order of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To establish an honor and organizational identity as a teachers organization by both teachers organizations in the future, both organizations must do their best in activities by developing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eachers' professional extens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원단체의 설립근거, 단체교섭활동, 교원의 인식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교원단체의 설립근거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비교·분석한다. 2. 교원단체의 단체교섭활동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비교·분석한다. 3. 교원의 인식에 나타난 교원단체의 조직정체성을 비교·분석한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규명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고찰은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학술지와 단행본, 선행연구 문헌, 교원단체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설립근거 및 단체교섭활동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다. 조사연구는 연구자가 지도 교수의 자문과 예비조사를 통하여 작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연구 내용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원단체의 설립목적, 사업내용, 성격·활동, 강령 및 법적설립근거 등에 전반적으로 나타나 있는 조직정체성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교총은 전교조는 설립목적과 사업내용에 전문직주의 이념과 노동조합주의 이념을 잘 나타내고 있다. 한국교총은 이익단체의 성격으로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전문직주의 단체의 성격으로 교직의 전문성 확립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강령에도 전문직주의 단체로서의 이념을 일관되게 제시하고 있다. 교원단체의 법적설립근거를 살펴보면, 한국교총은 ‘교원지위향상을위한특별법’과 ‘교원지위향상을위한교섭·협의에관한규정’에 전문직주의 교원단체에 대한 법률적 근거를 갖고 있으며, 전교조는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과 ‘노동조합및노동관련조정법’에 노동조합주의 교원단체에 대한 법률적 근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섭·협의와 단체교섭에 관련된 준거를 크게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에 관련된 사항과 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관련된 사항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해 본 결과, 전교조가 교원노조의 합법적 지위를 차지하기 이전인 1992년부터 1997년까지 한국교총의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하여 합의된 사항이 137건(22.8%)이었으나,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교총의 합의된 사항 중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사항은 12건(9.0%)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교총의 역할이 전문직 단체로서의 역할보다는 이익단체의 역할에 치중했음을 반영해 주는 결과이다. 이에 따라 노동조합주의 단체인 전교조와의 차별성이 점차 불분명해져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교조의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사항은 4건(2.9%)에 불과하였으나, 교원의 근로조건 및 복지후생과 관련된 사항은 한국교총의 24건(18.0%)에 비하여 38건(27.5%)으로 그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교총의 경우 전교조의 합법화 이후, 회원수가 감소하며 인지도가 낮아지는 등의 환경 요인과 교원노조와의 치열한 경쟁 상황으로 인하여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활동이 상대적으로 점점 약해지고 있으며, 전교조의 경우 노동조합주의 단체로서의 역할과 기능에 치중하다 보니, 교직의 기본 성격인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활동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교원의 교직관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 조사에 응한 교원 중 87.2%는 교직이 전문직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교원단체가 교원의 권익과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교원은 교원단체의 활동이 단체이념과 설립목적에 부합한다고 생각하며, 단체교섭활동에 대한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교원단체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한국교총에 비해 전교조가 노동조합주의 단체로서의 조직정체성을 더 분명하게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원단체가 지향해야 할 이념으로 양 교원단체 모두 전문직주의와 노동조합주의가 혼합된 형태라고 응답하였으며, 지향해야 할 목적으로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교직의 전문성 확립’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교원단체가 지향해야 할 가치로 ‘전문성 신장’, ‘권익 보호’,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 ‘교육관련 단체들과의 상생과 협력 도모’에 대하여 80%대의 높은 동의율을 보였으나, ‘이익·압력단체로서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에 대해서는 60%대의 조금 낮은 동의율을 나타냈다. 사업내용의 우선순위에 대하여 ‘교원의 처우 및 복지 증진’과 ‘근로조건의 개선 및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체교섭활동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도 대부분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노력에 최우선을 두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양 교원단체가 교원단체로서의 위상과 조직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활동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예비환경교사를 위한 장소기반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김명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장소기반적인 특성을 반영한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 적용을 바탕으로 예비환경교사에게 주는 교육적 가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장소기반적인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 적용하고, 분석하기이다.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의 대상은 한국교원대학교 환경교육과 3학년 학생들이며, 프로그램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정을 연구장소로 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오리엔티어링의 스포츠적 요소와 한국교원대학교의 장소기반적 특성이 반영되는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네가지를 제시하고, 이 구성요소가 잘 드러나도록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의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첫째, 프로그램의 대상인 예비환경교사들에게 친숙한 공간인 한국교원대학교를 배경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둘째, 시각, 촉각, 청각 등 오감을 두루 느낄 수 있도록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며, 셋째, 모둠으로 인원을 구성하여 토의․토론을 통하여 체험활동의 경험을 나누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넷째, 오리엔티어링이라는 스포츠적 요소가 잘 드러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적인 측면에서 일상성과 통합성을 고려한 장소기반 환경체험프로그램이라는 것에 의미를 가지고, 다양한 체험활동을 경험해볼 수 있는 오리엔티어링이라는 스포츠적 요소를 도입했다는 것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둘째,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 적용 후에 실시한 설문과 인터뷰의 분석결과를 환경교사자격기준에 비추어서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이 환경교사자격기준의 학습문화조성영역에서 큰 의미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의 적용 및 활용과 관련하여 학교라는 장소는 환경교육의 장소와 소재로서 환경교육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환경오리엔티어링은 예비환경교사 뿐만 아니라 초․중등학교 학생,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할 때에도 교육적 가치가 높고 전문성 신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한·중 교원양성대학 교육과정 비교 연구

        김향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China and Korea and draw its implications for both countries'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hese questions: 1. What are the purposes of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in China and Korea? 2. How is the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organized in China and Korea? 3. What kinds of areas and subjects does the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clude in China and Korea? In this study, four universities were selected: Hunan Normal University, Yianbian University in China and Korean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This study used the literature analysis to the research title. The following materials were reviewed and analyzed: literatures, documents, articles related to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China and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are some common features i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China and Korea such as purposes of education, constituent area of curriculum, and subjects as pedagogy, subject education, practice teaching. In the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eacher education was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university of teacher curriculum is organized with general education subjects, major subjects, elective subjects. And the curriculum is constituted with pedagogy, subject education, practice teaching for teacher training.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China and Korea. China requires more credits for graduation than Korea, but the elective subjects assigns to less credits. It indicates China adopts an exclusive form in teacher education. And in the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in China, there are two majors what are normal education major and non-normal education in a department. Hence, the course is mostly similar between two majors. This study clarified better understanding of teacher education in China and Korea. Furthermore,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improvement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는 초임 교사의 자질 제고를 위한 직전교사교육의 질적 향상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과 중국의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교사교육의 특징을 이해하고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 중 양국의 교원양성대학의 교육목적 또는 교육목표는 어떠한가? 둘째, 한· 중 양국의 교원양성대학의 현행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체제는 어떠한가? 셋째, 한· 중 양국의 교원양성대학의 현행 교육과정은 어떤 영역 및 교과목들로 구성되어있는가?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 진행되었고, 각 대학의 요람과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관련 저서와 연구논문을 참고하여 비교· 분석을 위한 세부영역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한국에서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과 한국교원대학교를, 중국에서는 연변대학과 호남사범대학을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과 중국은 모두 목적형의 교원양성방식을 취하고 있다. 양국의 교원양성대학은 교육, 연구, 봉사 등 대학의 기능에 따라 교육목표를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 기능의 서술에서 모두 우수한 중등교사의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목표는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지침이 되고 있다. 각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은 교양과목, 전공과목 및 자유선택과목 등 세 영역으로 나누어지며 각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명칭과 세부구조가 다르나 기본적인 편성· 운영 체제는 유사하다. 또한 교사양성을 위하여 편성된 교육과정은 교육학, 교과교육학, 교육실습 등 세 개 부분으로 해당 영역의 학점배분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 영역에서 네 대학은 모두 전체 이수학점 10% 내외의 적은 비중을 두고 있다. 이는 타 대학과 구분이 되는 교육과정을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교사 양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대학으로서 예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으로서는 역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의 교원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흐름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여러 가지 차이점도 보여주고 있다. 총 이수학점에서 중국의 교원양성대학은 한국보다 더 많은 학점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에 전체이수학점 중에서 자유선택영역의 이수학점은 한국의 대학에 비해 훨씬 적었다. 이는 중국의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은 보다 폐쇄적인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각 영역 학점의 배분에서 중국의 교원양성대학은 교양영역과 교과내용학 영역에 상대적으로 많은 학점을 두고 있어 비사범계열전공과 뚜렷한 구분이 되는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이는 한 학과에 사범계열전공과 비사범계열전공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중국의 교원양성대학은 단순한 교사양성을 목적으로 한 단과대학이 아닌 종합대학의 체제로 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양국의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은 초임교사 양성이라는 특정 목표를 시종일관하게 반영하여야 하며 교육과정 전담 기관의 효율적인 편성과 운영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육학 및 교과교육학 영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편성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기존의 단일한 교과목에서 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교육학 및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여야 하며, 이론을 실천할 수 있는 실천의 장을 제공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교원양성대학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직전교사교육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이는 교원양성대학 교육과정의 편성과 개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재외한국학교 실태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최기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study purports to draw plans for the operational development of overseas Korean schools, by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chool administration.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 systems of overseas schools operated by major foreign countries. Although overseas Korean schools are expanding infrastructure for operation including laws, management structures and supporting systems, there yet exists plenty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securing more budgets and carrying out restructuring procedures. The core problems identified in the operation of overseas Korean schools are the lack of elasticity in curriculum management, educational gap between institutions, insufficient budgets, poor educational conditions and environment, unstable supply of teachers, lack of teachers' ability and professionalism, and overlapping functions that show a regionally imbalanced distribution. These problems ar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connected to financial situations, and tend to be interconnected. Overseas educational institutions primarily aim at providing education for students to help them develop a sound sense of ethnic identity, adapt to local circumstances, and link to their mother country amidst geographically and culturally different foreign settings. While overseas Korean schools are placed in foreign educational circumstances, what should be considered is the fact that they operate the same curriculum with that of schools in Korea, and that a majority of students enter universities in Korea after completing secondary education overseas. In this sense,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overseas Korean schools should be improved to a level equivalent to those located in Korea. Analysis results indicate a foremost need to supply overseas Korean schools with the same educational environment as schools in Korea, in order to ensure educational consistency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schools. This includes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and competent teachers. In that view, this study proposes seven detailed measures as follows: First, overseas Korean schools must re-establish their objective and role of educational provision, in the direction of balancing education for adaption to local circumstances and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mother country. Second,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be operated more flexibly, with a better reflection of distinct local characteristics. An equally urgent need is to newly develop a customized curriculum for overseas Korean schools. Third, the teacher dispatching system should be reinstated by securing necessary finances, or either employment conditions should be sharply improved for locally recruited teachers. Financial alternatives could be considered for this, for example the Japanese system where payroll costs for dispatched teachers are covered by budgets from the local government's educational finance. Fourth, steps should be taken to provide basis for the reinstatement of the teacher dispatching system, such as modifying the overseas benefits system for teachers. Fifth, there should be major improvements in the selection system of principals, and a periodic training program in Korea should be introduced for teachers. Sixth, scholarships and tuition waiver should be granted at a same level with domestic schools, considering that some overseas Koreans are under difficult financial conditions. Finally, overseas Korean schools that have little means of further managerial improvement should be restructured or merged with other schools. 본 연구는 가장 대표적인 재외동포교육기관 중 하나인 한국학교를 중심으로 그 운영실태 분석을 통해 한국학교의 새로운 발전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우선 재외동포교육과 재외교육기관에 대한 개념 정의를 명확히 하기 위해 재외국민과 재외국민 교육의 정의, 의의와 발달과정을 조사하였고, 재외동포의 현황과 재외교육기관의 운영실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재외동포 교육의 법적인 근간을 이루고 있는 재외국민의 교육지원 등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재외 교육기관의 설립과 교육과정에 대한 규정과 특수성, 제도적 제한사항을 검토하고, 그 타당성과 객관성 검증을 위해 일본과 미국 등 외국의 재외국민 교육제도와 교육기관 운영 체계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대체로 우리나라의 재외동포 교육에 관한 법률이나 제도적 장치는 조사 대상국가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운영 규모나 예산 지원, 시대적 환경 변화의 반영 그리고 운영을 내실화하기 위한 각종 운영위원회 등 인적자원의 구조화에 있어서는 아직도 많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외동포 교육이 그 국가에 거주하는 동포의 이주관련 역사적 배경, 지역적 특수성 등에 따라 그 지향점을 달리하는 점에 착안하여 일본, 중국, 남미, 아시아 등 지역별로 교민사회의 특성과 한국학교의 재정적, 법적, 교육적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그 지역의 한국학교에 대한 교육수요자 및 교사, 동포 커뮤니티 관계자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반영하였다. 조사 결과를 근거로 각 지역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공히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교육재정, 교사수급, 교육시설 측면에서의 한국학교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 방안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문제점 도출은 그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철저한 데이터 분석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문제점에 대해 재외동포 교육의 정책방향, 교육과정, 교육재정 확충과 교육환경 개선, 교원수급, 교원 직무역량 강화, 교육 복지 정책의 구현, 학교운영의 효율성 제고 등 각 주제별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장 중요한 관점은 해외의 동포도 우리나라의 중요한 인적자원이라는 기본적 사고의 틀을 견지하면서, 국내외간의 일관성 있는 교육의 구현을 위해 국내와 동등한 교육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교육에 충분한 시설이나 우수한 교사의 확보, 학교의 운영을 강력하게 뒷받침 할 수 있는 재정의 확충이 선결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좀 더 구체적인 대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학교 교육의 목표와 역할을 재정립하여 현지 적응교육과 모국이해 교육, 국내 연계 교육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도록 하되 국제학교의 모델이 아닌, 정체성 교육과 국내연계교육이 그 기반을 형성하는 새로운 모델과 그 역할이 정립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을 보장해야 하고 국가수준의 새로운 재외한국학교용 교육과정 개발이 시급하다. 셋째, 건실한 교육재정의 확보를 통해 파견교원 제도를 부활하여 국내 연계교육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하거나 현지 채용 교사의 대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국가의 소중한 자원인 학생들의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일본과 같은 파견교원 인건비의 지방교육재정 부담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아울러 한국학교들도 자구노력의 차원에서 기부금 유치를 활성화해야 하고 지정 기부금제도나 일시보관 기여금 등의 도입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넷째, 제한적 파견제나 해외 장기교육연수제, 재외수당 조정안 등의 도입을 통해 예산 효율을 개선함으로써 교원 파견제의 부활을 뒷받침 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교직원의 직무역량 개선과 전문성 제고를 위해 교원 선발체계를 연차적으로 개선해야 하고 국내 교육과의 일관성,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현지 채용 교원에 대한 정기 국내 연수 프로그램을 도입하여야 한다. 여섯째, 국내에서 해외로 이주한 교민들의 일부는 상당히 어려운 경제적 환경에 있음을 감안하여 국내와 대등한 수준의 장학금 또는 학비 감면 제도를 시행하여 열악한 환경에 있는 학생들이라도 공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관리 하여야 한다. 일곱째, 운영이 한계에 달한 일부 한국학교는 과감한 구조 조정을 통해 통폐합하고 더 많은 교민이 수혜를 볼 수 있는 타 지역에 대한 한국학교 설립을 지원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이 과정에서 한국학교 재학생들의 공교육 공백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가 한국학교를 위한 제반 법률 및 제도 정비, 예산 확보 및 교원 교육 등에 반영된다면 가장 선진화되고 체계화된 동포 교육 시스템을 운영해 나가는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세계는 우수한 인재 확보, 특히 글로벌화된 인재 확보를 위해 어떠한 지원도 아끼지 않는 상황에 와 있다. 세계 각지에 퍼져 활동하고 있는 우리 동포 학생들은 향후 우리나라가 그 지역에 거점을 마련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만큼 국제화되고 현지화 된 인재들이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가 국내에서는 찾기 어려운 이러한 인재를 국가의 가장 큰 자원으로 변화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확신하며 제시한 여러 가지 대안들이 실제로 구현되기를 바란다.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자들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신혜인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의 정체성과 연구 방향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융합교육전공 대학원 과정의 활성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를 설계하였다. 즉, 연구자의 자기 이해로부터 나온 사고의 구조를 토대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자들을 면담하기 위한 사전 조사를 하였으며, 심층인터뷰까지 내부자적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를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융합교육 전공자들로 선정하고 면담을 위한 사전조사지 문항을 개발하였다. 면담을 위한 사전조사 문항은 단답형이 아닌 개방형 문항으로 작성하여 면담의 토대가 되는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을 위한 사전 조사 문항 개발과 검토는 융합교육 전공 교수 1인, 타 학과 학습연구년제 교사 1인에게 세 차례의 타당도 검증을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문항은 2회의 예비 검사를 통해 2018년 8월15일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수집한 사전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면담을 위한 심화 질문을 위해 일반대학원 전공자와 교육대학원 전공자 각 2~4인 씩 심층인터뷰 대상자를 선정하여 2018년 10월 8일부터 심층인터뷰를 실행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심층인터뷰 참여대상자에게 전자메일 또는 SNS로 전송하여 연구자의 해석에 왜곡된 부분이 없는지 등에 대한 검토를 받아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원에 입학할 때 전공 선택을 하는 이유가 일반대학원 전공의 경우와 교육대학원 전공의 경우에 차이가 있었다. 일반대학원 전공자들은 급변하는 시대에 자신의 직업에 관련된 교육적 혁신을 위해 교육 기관인 대학원에서 도움을 얻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4차 산업혁명시대라는 주요관심사가 전공자들의 공통점이었고, 전문성, 지식, 역량 확장 및 콘텐츠 개발, 훈련, 연구, 능력 신장 등을 목적으로 입학하였다. 한편 교육대학원 전공자들은 모두 직업이 교사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자신의 수업에 도움을 받기 위해 대학원의 전공을 선택하였다. 특히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 교과 내 교과 간 융합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각의 다양화 및 창의 융합 인재에 대한 이해를 얻고자 하였다. 둘째 대학원 커리큘럼을 통해 일반대학원 전공자들은 현재 교육의 방향과 흐름, 각 분야에서 새롭게 시도하고 도전하는 교육 사례들을 접할 수 있고 이미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학문 간 융합교육 뿐 아니라 학문 내의 융합과 융합교육을 위한 교사와 학생들이 갖춰야할 기본 자질의 중요성 등을 인식하게 되었다. 한편 교육대학원 전공자들은 융합교육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의미 있는 교육이며, 교사들의 연구 역량으로 충분히 실천 가능한 것이고 자신의 전문성, 타 교과에 대한 이해 및 기초지식 함양의 필요성 등을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일반대학원 전공자들은 신설 전공이므로 대학원에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의 제시, 연구 네트워크와 전임교수, 연계과정의 개설 등을 요구하였고 교육대학원 전공자들은 프로그램 개발, 사례 중심의 다양한 체험 수업, 타 교과와의 연계지도, 방법론 등을 요구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 대학원 과정의 활성화 방법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