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의 敎育自治制度에 관한 硏究

        박완식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help to establish our suitable educational self-governing system through examining problems of present korean educational self-governing system made before Apr. 6, 1988, and offering a proposal for its improvement. For the sake of this aim, within this thesis are four steps for analyzing problems mentioned above as follows; first, a theoredical background of self-governing system is examined, second, the developeing phase of Korean educational self-governing system is summariz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ird, some problems of Korean educational self-governing system a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four aspects: a) decentralization of power, b) control by in-habitants, c) separation and independence of general administration, and d) manage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trained specialist, fourth, a proposal is contrived in this paper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al self - governing system on the basis of these aspect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problems of present Korean self-governing system are found out as follows; first, if the aspect of decentralization of power is considered, the organization of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 right of personal management tend to be at the mercy of central administrative power, second, if the aspect of the control by the inhabitants is considered, the opinions of them are not reflected, third, if the aspect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paration is considered, the head of a local autonomy undertakes the head of the board of education's post and he or she has the veto rught, so that this leads to the loss of autonomy and neutrality of education; moreover local finance for education is with this reason dependent much on the local autonomy, fourth, if the aspect of the special management is considered,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are lacking in the technical knowledge. The proposal for developing educational self-governong system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affairs mentioned above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under the control of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undertaken by the local board of education to improve an independent educational policy, second, the area of the educational self-governing system should be fixed smaller than that of the present one, and the role and the function of the board of education should be regulated by the inhabitants, third, the competence of the head of a local autonomy undertaking that of the head of the board of education and his or her veto right should be abolished to ensur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paration, fourth, the finance of educ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other finance and a local educational autonomy should be able to form and discuss the budget bill for the coming year, and it should be able to collect educational tax, fifth, a train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to specialize educational administration. It is thought that Korean educational self-governing system would be much improved if the proposals are considered in practicing it.

      • 지방공무원의 전문성 제고 방안 : 횡성군을 중심으로

        박완식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정보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공무원들의 전문성을 제고하는 일은 공공 분야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논문은 지방 공무원의 전문성 실태를 문헌 분석과 설문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전문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장에서는 공무원의 전문화와 관련된 여러 이론들에 대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공공 분야에 전문성을 제고하는 일이 중요하게 된 배경으로서 행정패러다임과 행정 환경이 어떻게 변하게 되었는지를 서술하였다. 다음으로 전문성의 일반적 개념과 공무원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의 구성 요소를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지방 공무원의 전문화의 가능성과 실태를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2장의 이론적 검토 결과를 토대로 횡성군과 홍천군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횡성군 공무원들에게는 실무자들이 이해하고 있는 전문성의 개념과 지방 공무원의 전문성을 저해하는 요인 및 제고방안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질문하였다. 홍천군 공무원들에게는 전문성 제고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제도로서 전문교육훈련, 경력개발제도, 개방형직위제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설문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지방 공무원의 전문성 제고방안을 모색하였다. 지방 공무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전문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경력개발제도와 개방형직위제를 도입·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제도가 효과적으로 정착되고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폐쇄적인 공공 분야의 조직 문화를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개선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마지막 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정책적 제언으로서 4장에서 언급한 제고방안을 강조하였다. 제도가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제도의 필요성에 대하여 충분히 공감하고, 그 제도의 내용을 이해하는 일이 대단히 중요하다. 오늘날 지방 공무원들은 전문화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감하고 있으나 이를 제고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논문이 지방 공무원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적절한 방향을 제시하기를 기대해 본다. The contemporary government environment is increasingly influenced by informatization, diversity, openness, and professionalization. Government paradigm also was shifted from "public management" to "new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fessionalism and core competence of public officials for the improvement of government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professionalim of public servants in local government. This research is based on survey analysis. The second chapter consists of literature review. This chapter explai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ofessionalism in public sector and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professionalization of local officials. The third chapter has two different surveys on Heongsung-gun and Hongchun-gun. The former is about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in local government. The latter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se surveys, most local official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ization in public sector. However, their knowledge and understandings are not highly sophisticated. The fourth chapter suggests the plans of improving the core competence of local servants. Three plans are suggested ; strengthening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areer development program and openness of position. For the success of these projects, organizational culture has to change toward openness. It is important that people share and understand the necessity of new pla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I hope that this research contribute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 李奎報의 禪詩硏究

        박완식 又石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李奎報는 東方의 第一詩豪로서, 麗朝의 가장 방대한 개인 문집인 『東國李相國集』이 전해오고 있다. 그의 문집에 시문으로 교유한 당대 문인이 근 2백명 가량 나타난 것으로 보아 당시 문단의 명사를 총망라하여 당대문학을 이끌어 나아갔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작품은 애국애민의 민족의식이 투철하며, 能文能史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이규보에 대해서는 수 많은 논저물이 제출되어 시와 산문, 그리고 문학관과 시정신이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특히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간행된 논저물에서는 애국애민의 시인으로 인식함은 물론 일찍이 이규보의 문학성을 고도로 추승하여 고려 말기에 창작된 사실주의적 경향의 대표적 작품으로 손꼽았고, 그를 고려시기의 유물론 철학의 대표 인물로 규정짓기도 하였다. 물론 비판의 여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규보의 평가는 두 측면에서 논술되어 왔다. 하나는 理氣哲學의 선구자이며, 理氣哲學 중에서도 二元論的 主氣論을 예고한 인물로까지 추승하여, 그의 문학이 곧 한국소설 이론의 효시로 보았으며, 또 다른 하나는 민족적 지각이라는 역사적 시각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문학과 문학사상의 비평을 마련해 주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그러나 이규보의 민족의식과 역사인식의 저변의 貫流하는 문학사상은 어디에 기조를 두고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自我의 認識'이니, '儒 佛 道 思惟의 混在'이니, '物의 本質 追求'이니, '李奎報의 意識世界'이니 하는 내재적인 면들이 연구되어 왔고, 근래에 들어 魯平奎의 『李奎報 哲學思想硏究』에서는 三敎調和論者로 규정하여, 철학적인 입장에서 그의 삼교조화의 구체적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러나 이는 儒者的 입장 위에서 道佛의 사상을 수용한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漢詩의 일부인 禪詩에 대한 관심이 미약했는데, '80년대에 접어 들면서 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印權煥의 『高麗時代 佛敎詩歌 硏究』는 전문적 저술로선 처음으로써 선시를 체계적이고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麗朝禪詩形成의 思想的 背景』에서는 禪의 전래와 知訥의 선사상을, 『麗朝 禪詩人과 禪詩』에서는 慧諶, 一然, 沖止, 景閑, 普雨, 慧勤 등의 略傳과 禪詩, 그리고 선세계를 고찰하였으며, 趙東一의 『韓國文學通史』에서는 「불교문학의 새로운 경지」라는 장을 통하여, 知訥의 定慧結社運動으로부터 비롯되는 그의 語錄의 의미를 밝히고, 慧諶으로부터 慧勤에 이르는 선사들의 선시를 史的으로 살폈으며, 李鍾燦의 『高麗禪詩硏究』는 보다 심도 있게 禪詩論을 전개하였다. 「禪詩論」에서 선시의 기원, 게송의 문학성, 선시의 가송, 선시의 수사, 선시의 유형을, 「麗朝禪詩의 理論과 實際」에서는 麗朝 선사들의 작품 및 그 배경을 통하여 그들의 선사상을 밀도있게 고찰하였으며, 金光源의 『韓龍雲의 禪詩 硏究』는 「禪과 禪詩」에서 印度禪, 中國禪, 韓國禪의 주류를 분류하고, 「萬海의 禪詩에 나타난 禪 世界」에서는 기존 禪詩分類 유형에 따라서 꼼꼼한 예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는 모두 선종 선사의 시가를 중심으로 다루는 데 그쳤을 뿐이다. 물론 이를 뒤이어서 李奎報의 禪詩에 관한 硏究도 이루어지고 있다. 趙胤實의 『李奎報의 禪詩 硏究』는 이규보의 시를 素材別로 분류하여 이규보가 만년에 자연으로 회귀한 것은 단순한 자연귀의가 아닌, 선의 세계와 밀접한 깨달음의 경지를 의미한다 하였다. 이는 소재별 분류에 의한 연구로서 사상을 배경으로 하는 본격적인 선시 분류에는 미흡한 점이 없지 않았다. 이사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교정신이 접목된 그의 문학사상으로 보거나 선사의 선시가 아닌 시인의 선시 연구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면 불교를 토대로 한 이규보의 내면정신을 다룬 그의 선시 연구는 아직도 미개척의 상태에 놓여 있다 할 것이다. 이의 연구를 위해서는 먼저 고려시대라는 시대상황과 우여곡절이 많았던 이규보의 생애가 그의 사상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가의 문제들의 토대 위에서 보다 더 전문적으로 분류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이규보의 선시를 단순한 소재론적 차원이 아닌, 문학사상적 측면에서 검토하여 이규보 선시의 실체를 밝히고자 한다. 고려건국이념에 의해 불교가 국교로 제정된 이후 유교와 불교는 고려 전기 및 중기까지는 아무런 충돌이 없이 공존하면서 한 시대의 文運을 지배해 왔다. 당시 일반인의 관념은 유교와 불교는 모두 인간의 敎學에 절실한 것이지만, 유교는 인간의 外的 生活, 즉 實際生活에 치중하여 齊家治國을 표방하였고, 불교는 인간의 內的 生活, 즉 情神世界에 주안점을 두어 내면 심리의 安慰를 추구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는 가정과 국가를 다스리는 정치경제학인데 반하여, 후자는 몸과 마음을 닦아 安心立命을 추구하는 來世生活에 관계되는 敎理이다. 이처럼 고려조는 濡佛이 공존 병립하는 체제에서 양자의 관계는 분리될 수 없는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유학자 문인의 신분으로서 불교을 독실하게 신봉하는 자가 있는가 하면 불교도로서 유학을 정통한 자가 많았다. 특히 이규보의 문집에 나타난 근 2백명에 가까운 사람들과의 교유 가운데 승려와의 교유는 28명에 이르며, 문집에 등장된 출현 횟수로 살펴보면 李需 34회, 李百全 32회에 뒤이어 惠文禪師와는 26회로 3위에 기록되었다. 惠文은 「山人體」를 터득한 詩僧로 그와는 어떤 儒者보다도 빈번한 왕래가 있었다. 혜문선사와 그밖의 禪僧들과 주고받은 시들은 모두 88수이다. 그러나 이규보는 사원을 찾아 적지 않게 시를 읊었고, 또 그가 쓴 작품 가운데에서 불교에 관련된 것, 그리고 자신의 생활 속에서 풍겨오는 禪的 趣向까지 미뤄보면 실로 불교에 관련된 작품의 수효가 적지 않다. 이로 보면 이규보는 고려시대를 풍미한 禪宗 家風에 심혈을 기울였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詩와 禪이란 하나의 문학이요 하나는 종교이며, 하나는 예술이요 하나는 사상이므로 서로의 범주가 다르고, 내용 또한 차이가 있다는 점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선가에서는 시의 형식을 도입하여 禪의 의미를 예각화하고, 시인은 禪的 意味를 영입하여 정신적 경지를 심화시킨 바 있음은 엄연한 사실이다. 이처럼 상이한 시와 선이 어떠한 경로와 필요에 의해서 상호 융합의 관계를 가질 수 있었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禪宗의 發生과 影響을 살펴 詩와 禪의 關係를 고찰해 보지 않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이의 규명을 위해서 시와 선의 9가지 같은 점과 4가지 차이점을 주로 하여, 선인이 시의 형식을 빌려 읊은 게송과 시인의 선적 의미를 수용하여 시로 심화시킨 형성과정과 시와 선이 융합된 禪詩의 修辭技法과 類型을 어떻게 분류해야할 것인가 하는 문제 또한 검토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규보의 생애는 불교와 직접적인 관계에 있어서 외적 생활 및 교유의 관계, 그리고 불교관에 의한 내면의 사상을 규명하여, 불교사상에 의한 유학자적 經世觀을 밝힘과 아울러 주된 문학관의 배경을 밝히고자 한다. 그의 시문학에 있어 주된 관점은 고인을 답습하지 않고 새로운 창작에 의한다라는 '新意說'에 있다 할 것이며, 장편 영웅서사시 동명성왕 또한 그의 민족의식을 돋보여준 작품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물론 고인의 用事를 빌리지 않고 새로운 창작을 시도하는 '新意說'은 선천 후천적인 자질과 노력을 토대로 하여 독자적인 창작을 주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의도는 어떠한 他力에도 힘입지 않고 自力으로 이루려 하는 禪的 思考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일까? 그리고 동명성왕의 서사시는 신화의 줄거리를 정리하여 이를 계몽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려는 성향이 없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이규보의 道佛的인 사고에 의해 각색된 바는 없었을까? 불교의 傳來 초기에 전도를 목적으로 하여 용이한 문체를 사용했던 散文的 韻文體의 說理詩라 할 수 있는 문체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일까? 승려 一然의 『三國遺史』, 李承休의 『帝王韻記』와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일까? 위의 문제는 결국 이규보의 문학과 불교에 어떤 상관성을 지니고 있는가에 귀결되며, 이의 究明이 본 논문의 주된 관심이다. 이규보가 불교에 대해, 즉 禪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했는가는 그의 시문을 통해서 접근하는 것이 첩경일 것이다. 禪詩의 분류 방법은 杜松柏의 『禪學與唐宋詩學』에서 분류했던, 다시 말하면 시인이 禪的 思惟를 시에 도입한 '援禪入詩'의 유형에 따라서 이규보의 시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논의되어진 문제들을 정리하여 이규보 선시의 문학사적 위치는 과연 어디에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규보의 禪詩를 통하여 비춰진 고려조의 문예사조에 불교의 영향은 어느 정도 접목되어 있는 것일까? 한 걸음 더 나아가 詩人과 僧侶의 상호 교류로써 精神的 文學的 融合이 어떠 했을까를 살펴보고자 한다. 위의 문제를 탐구하기 위한 기조로서, 먼저 선시에 일반적인 접근이랄 수 있는 선종의 발생 유래와 詩禪의 융합과정, 禪詩의 外延的 問題를 규명해 보기로 한다.

      • 漁父詞 硏究 : 그 類型과 思想的 背景을 中心으로

        박완식 又石大學校 199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동양의 고전으로 잘 알려진 <어부사>에 관한 연구이다. <어부사>는 강호 閒情을 담은 어부의 세계를 노래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국문가사로서의 <어부사>에 편중되어 漢詩 및 佛敎의<어부사>가 도외시됨에 따라서 <어부사>의 초기작가를 孔俯(1352~1416)로 보았다. 본 연구는 이를 다시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비롯되고 있다. 먼저 <어부사>의 기원에 대해 살펴보면 <어부사>는 儒佛道 三敎思想의 바탕 위에 중국의 張志和, 船子和尙, 蘇東坡 등의 영향을 받았다. 유교적 사고는 세가지의 유형으로 요약된다. 하나는 벼슬에 있을 때에 군주를 걱정하다가 강호에 물러나서도 백성을 걱정하는 江湖戀君의 進退兩憂, 다른 하나는 곧은 낚시를 드리우며 때를 기다리는 直釣待時의 操舟候風, 또 다른 하나는 자신의 고결한 氣介를 지키고자 王侯를 섬기지 않고 자신의 일을 고상하게 가지는 不事王侯 高尙其事이다. 道家的 사상도 세가지로 나뉘어 진다. 惟意自適의 輕世肆志, 제 3의 이상향 추구에 목적을 둔 仙界指向, 자연에로의 귀의라는 고차원의 정신세계이다. 불가의 사상적 기원은 구도자, 득도자, 본체진리와의 일치를 꾀하는데 있다. 이것이<어부사>의 사상적 배경이다. 詞의 자의적 해석은 처음에는 單語 내지 文藝를 일컫다가 가사문학을 거쳐 운문학을 지칭하게 되었고, 詞의 격조의 변화는 詞의 詩化를 통해서 雅詞가 발전하면서 唐宋의 詞壇에는 正統的 婉約派, 그리고 蘇東坡·辛棄疾을 중심으로 한 憂國的 豪放派로 양분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어부사> 초기 작가에 대해서는 현존 문헌상으로 살펴볼 때 林椿, 金克己, 李奎報, 慧心, 眞覺 등을 꼽을 수 있다. 비교적 연대가 분명한 이규보(1138~1241)와 진각(1178~1234)은, 기존설에서 초기작가로 말하는 孔俯(1352~1416)에 견주어 보아도 2백여년을 상회하고 있다. 그러나 임춘과 이규보의 시에서 어부의 그림이 병풍에 흔히 그려졌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그 이전에도 <어부사> 4 과 《拈頌說話》이다. 《拈頌說話》는 禪家의 公案에 대한 해설서로써 이에 게재된 船子和尙의 고사와 <어부사>는 선가의 <어부사>가 진각 이전에 유행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혜심의 <어부사>는 일찍이 佛家에서 자주 써온<漁家傲>의 詞牌에 塡詞한 것으로써 우리나라의 최초로 詞의 전형을 갖추고 있다. 이로 볼 때 近因으로서의 소동파 영향 이전에 불가<어부사>의 遠因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시의 형식을 갖춘 <어부사>는 近因으로써 소동파의 영향을 입어 고려후기에 이르면 <어부사>에 관련된 많은 작가계층과 漁村四時를 묘사한 장편의 연작시가 출현하였다. 특히 亨齋 李稷(1362~1431)의 <孔氏漁村四時>는 이색에 이어 5言古時 4수, 40구절을 지어 漢詩 漁父四時詞의 체계를 확립해 주었다. 불교 <어부사>는 세 단계의 변화양상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詩禪融合, 불교사상의 전문성, 敎理로서의 經學化이다. 바꿔 말하면 승려는 불교의 철학 이념을 표현하기 위해 문학의 양식을 빌리고, 문인은 정신적 승화의 차원에서 불교적 사상을 도입했던 것이 시선융합이었다. 그 후 시선융합의 차원을 뛰어넘어 전문적인 불교인들만의 <어부사>를 형성하였고, 敎理로서의 經學化는 宋僧 治父 道川이 불교인의 필독서 가운데 四敎의 하나인 《금강경》에 선자화상의 <어부사>를 《금강경》의 頌으로 인용하여 경학의 일부가 됨으로써 이뤄졌다. 우리나라 경우 이규보의 <華亨船子和尙>으로 비롯하여 진각이 <어부사>와 《拈頌說話》 第533條에 선자화상의 <어부사>를 수록한 이후, 涵虛 得通의 《金剛經說誼》를 거쳐 <어부사>의 경학화를 이룸으로써 불교 <어부사>는 조선조 말엽까지 끊임없이 전승되었다. 歌唱과 吟詠의 차이는 먼저 음악성과 문예성으로 나누어 진다. <어부사>의 가창화는 한시에서 연작의 장편화로, 국문가사로 발전했다가 다시 한시로 환원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조시대의 <어부사>는 크게 세가지 부류로 말할 수 있다. 그것은 고려 <어부사>를 계승한 문인의 <어부사>와 불교의 <어부사>, 그리고 독창적인 국문가사로서의 강호문학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문인의 <어부사>는 조선조에 이르러 다양한 체제와 유형으로 고루 발전하여 散文 및 詩·賦·曲에 의한 <어부사>를 구가함으로써 <어부사>에 나타난 의식도 다양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姜太公의 直釣待時에서 嚴子陵의 高尙其事로, 다시 兩者의 은둔을 초탈하는 양상으로 변하였고, 일면으로는 생업의 어부 입장에서도 성리학의 사상이 반영된 敎條的 意識이 반영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특히 문인의 <어부사>는 전형적인 강호연군의 사상이 주류를 이루었고, 불교의 <어부사>는 유학과 불학이 융합되기에 이르렀다. 이는 <어부사>의 폭넓은 수용과 다양한 작가층을 대변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선계지향의 도가적 사상은 유가화한 일면이 반영되기도 하였다. 이는 도가사상이 유가화되어 초탈 속에서도 태평성대의 이상으로 변화된 것이다. 위에 서술한 결론을 통하여<어부사>의 사상적 기원과 유형의 변모양상, 그리고 고려조의 초기 작가와 조선조의 다양한 <어부사>의 사상적 기원과 유형의 변모양상, 그리고 고려조의 초기 작가와 조선조의 다양한 <어부사>의 사상적 기원과 유형의 변모양상, 그리고 고려조의 초기 작가와 조선조의 다양한 <어부사>를 이해하는데 일조가 되기를 기대하며, 아울러 본고에서 보다 미진했던 <어부사>의 가창화가 시대를 달리하면서 어떻게 음악성이 변천했는가라는 데 대한 부분과 <어부사>의 방대한 문학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 앞으로도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 우리나라 교원단체의 조직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완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r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f Korean teachers' Associations foundation base,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teacher's identity. Established research contents are as below to fulfill this research purpose: 1. Compare and analyze on group identity shown on foundation base of teachers' Associations. 2. Compare and analyze on group identity shown on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3. Compare and analyze on group identity shown on teachers recognition To address the research contents,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survey were implemented. Relevant academic journals and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and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ary paper that were prepared by this researcher through the advice of this researcher's main professor after taking a pilot surve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Gyonggi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449 teachers that were analyzable were analyzed by SPSS/PC+ program(Ver. 15.0). And frequency analysis, χ² test were utilized. First. Organizational identity shown in foundation base Our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compared with Organizational identity widely shown in foundation purpose of teachers organization, business contents,character.activity,code and foundation base in law etc. KFTA(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 presents an professional idea very clearly in the role and establishment in teaching profession of specialization as a special interest group which is improving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in their foundation purpose. KTU(The Korea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 shows 'supporting a basic right positively as an education laborer' in their foundation purpose and presented an idea of labor union very well. Looking around their business contents, KFTA presents 'an establishment of teachers' speciality and democratic development of education' as a professional group and KTU shows 'business contents which secures teachers' democratic rights and full security of labor rights through changing of education-related law' and 'cooperation with labor rights group and international joint activity business of labor movement'. KFTA presents on fulfillment of teachers' establishment of specialization as a professional group in developing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s a special group and 'making an effort of teachers' specialization extension' which presents an idea as a professional group. Besides, there are no phrase which shows an honor clearly as a group of labor union in KTU's code but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ization' wa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t means teachers are a professional job instead of a labor job. Looking around a foundation basis of teachers organization in law, KFTA has a law theory on professional teachers organization in 'special law for enhancing teachers' position elevation' and 'negotiation and agreement to elevation of teachers' position' and we found KTU has a law ground on labor union teachers organization in 'law of teachers' labor unio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and ' labor union and labor-related adjustment law' Second. Organizational identity shown in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Compared and analyzed matters divided by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eachers' specialization extension based on bargain collectively , KFTA has 462 cases(77.2%) agreements related to teachers' socioeconomic elevation and teachers' specificity elevation matters occupied 137cases(22.8%) between 1992-1997. But only 12 cases(9.0%) were related to teachers' professional elevation among KFTA agreements from 2000 to 2002. we saw KFTA roles were focused on the roles of special interest group rather than a professional group compared with 137 cases(22.8%) which was agreed and related to teacher's professional elevation from 1992 to 1997 before KTU's occupying a legal position of teachers organization. Accordingly, KFTA and KTU's discriminations were shown going unclear step by step. In case of KTU, there were total 134 cases(97.1%) which was related to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here were only 4 cases (2.9%) related to teacher's specialization extension from 2000 to 2002. But KTU had relatively higher 38cases(27.5%) more than KFTA's 24cases(18%) related to labor condition and welfare. KFTA has lower activity on professional elevation, due to environment factor in lower cognitive and more less members and strong competition with KTU after KTU's legalization was made and KTU was analyzed in lower activity related to professional elevation which is teachers' basic factor only focused on role and function as labor union group, and KTU, much focused on role and function as labor union organization has been analyzed an insufficiency relatively to professional elevation-related activities were in short. Third. Organizational identity shown in teachers' recognition There were only 87.2% in teaching profession in researching of teachers asked in a survey result and expected teachers' organization will play a role in teacher's rights improve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Most teachers said teachers organization activities are coincidence with group idea and foundation purpose and are much satisfied with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KTU has a better organizational identity and well recognized about teachers organization image as a labor union group compared to KFTA As an aim pointing by teachers organization, professional attention and labor principle mixed form has been said by both teachers organization and said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eachers professional establishment' must be a priority. As an worth aiming by teachers organization, 'professional extension', 'right protection',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win-win and cooperation planning related with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has higher agreement percentage of 80% but has 60% lower agreement percentage of 'political influence extension as a interest/pressure organization'. It means teachers want teachers organization must be true to their role as a interest organization, whereas they are a little negative in enlarging a political influence. 'Teachers treatment and welfare promotion' and 'labor conditions improve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should be in first place in a survey on business content priority order and efforts for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efforts should be in first place in priority order of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To establish an honor and organizational identity as a teachers organization by both teachers organizations in the future, both organizations must do their best in activities by developing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eachers' professional extens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원단체의 설립근거, 단체교섭활동, 교원의 인식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교원단체의 설립근거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비교·분석한다. 2. 교원단체의 단체교섭활동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비교·분석한다. 3. 교원의 인식에 나타난 교원단체의 조직정체성을 비교·분석한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규명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고찰은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학술지와 단행본, 선행연구 문헌, 교원단체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설립근거 및 단체교섭활동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다. 조사연구는 연구자가 지도 교수의 자문과 예비조사를 통하여 작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연구 내용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원단체의 설립목적, 사업내용, 성격·활동, 강령 및 법적설립근거 등에 전반적으로 나타나 있는 조직정체성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교총은 전교조는 설립목적과 사업내용에 전문직주의 이념과 노동조합주의 이념을 잘 나타내고 있다. 한국교총은 이익단체의 성격으로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전문직주의 단체의 성격으로 교직의 전문성 확립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강령에도 전문직주의 단체로서의 이념을 일관되게 제시하고 있다. 교원단체의 법적설립근거를 살펴보면, 한국교총은 ‘교원지위향상을위한특별법’과 ‘교원지위향상을위한교섭·협의에관한규정’에 전문직주의 교원단체에 대한 법률적 근거를 갖고 있으며, 전교조는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과 ‘노동조합및노동관련조정법’에 노동조합주의 교원단체에 대한 법률적 근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섭·협의와 단체교섭에 관련된 준거를 크게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에 관련된 사항과 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관련된 사항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해 본 결과, 전교조가 교원노조의 합법적 지위를 차지하기 이전인 1992년부터 1997년까지 한국교총의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하여 합의된 사항이 137건(22.8%)이었으나,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교총의 합의된 사항 중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사항은 12건(9.0%)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교총의 역할이 전문직 단체로서의 역할보다는 이익단체의 역할에 치중했음을 반영해 주는 결과이다. 이에 따라 노동조합주의 단체인 전교조와의 차별성이 점차 불분명해져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교조의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사항은 4건(2.9%)에 불과하였으나, 교원의 근로조건 및 복지후생과 관련된 사항은 한국교총의 24건(18.0%)에 비하여 38건(27.5%)으로 그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교총의 경우 전교조의 합법화 이후, 회원수가 감소하며 인지도가 낮아지는 등의 환경 요인과 교원노조와의 치열한 경쟁 상황으로 인하여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활동이 상대적으로 점점 약해지고 있으며, 전교조의 경우 노동조합주의 단체로서의 역할과 기능에 치중하다 보니, 교직의 기본 성격인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활동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교원의 교직관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 조사에 응한 교원 중 87.2%는 교직이 전문직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교원단체가 교원의 권익과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교원은 교원단체의 활동이 단체이념과 설립목적에 부합한다고 생각하며, 단체교섭활동에 대한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교원단체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한국교총에 비해 전교조가 노동조합주의 단체로서의 조직정체성을 더 분명하게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원단체가 지향해야 할 이념으로 양 교원단체 모두 전문직주의와 노동조합주의가 혼합된 형태라고 응답하였으며, 지향해야 할 목적으로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교직의 전문성 확립’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교원단체가 지향해야 할 가치로 ‘전문성 신장’, ‘권익 보호’,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 ‘교육관련 단체들과의 상생과 협력 도모’에 대하여 80%대의 높은 동의율을 보였으나, ‘이익·압력단체로서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에 대해서는 60%대의 조금 낮은 동의율을 나타냈다. 사업내용의 우선순위에 대하여 ‘교원의 처우 및 복지 증진’과 ‘근로조건의 개선 및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체교섭활동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도 대부분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노력에 최우선을 두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양 교원단체가 교원단체로서의 위상과 조직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활동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