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慶南地域의 企業 메세나 活動과 活性化 方案

        김혜진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한 기업 메세나 활동은 이제 기업의 이미지 제고와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도 기업의 중요한 활동의 하나가 되었다. 선진국에 비해서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기업 메세나 활동은 이제 초창기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우리나라의 기업 메세나 활동을 정리해 보고, 특히 경남지역의 기업 메세나 활동에 대하여 그 현황과 향후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체계적으로 기업 메세나 활동이 시작된 것은 1994년 한국메세나협의회가 발족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경남에서는 지역단위로는 처음으로 2007년 10월에 경남메세나협의회가 창립되어 경남지역의 기업 메세나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 경남지역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현재 설립 초창기라고 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비교적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주로 대기업과 중견기업 위주로 활동하고 있는 것은 활동의 한계성을 가져 올 수 있는 약점이 있으며, 경남지역만의 특색을 나타내지 못하는 점은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경남지역의 기업 메세나 활동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첫째, 기업에 대한 제도적인 뒷받침으로 메세나 활동에 관한 인센티브 제도를 확립하고, 둘째, 메세나 활동과 관련된 기관들의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하며, 셋째, 대기업 위주에서 벗어나중소기업까지 포함하는 기업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교원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인식·요구조사 및 프로그램 탐색

        박기열 慶南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8655

        No pre-retirement education for teachers is being carried out in Gyeongsangnam-do, Korea. The current situation is a great motivation to explore and design a model for a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who are going to retire. Against this backdrop,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come up with a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urveys of awareness and needs on the part of teachers. The main research area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teachers aware of the need for the pre-retirement education? Second, what are teachers' needs and expectations from the pre-retirement education? Third, what would be the suitable and proper type of pre-retirement education for teachers in Gyeongsangnam-do, Korea?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The respondents are teachers who are at the age of 40 or more. They were selected at the random basis in Gyeongsangnam-do.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pril 26. 2010 to May 16, 2010. 6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581 responded out of them and their responses were used as data for analysis. The program of SPSSWIN 17.0 was used for data and analysis. The teachers' awareness of pre-retirement education is revealed as below: First, 89.5% of the respondents agree that pre-retirement education is needed. It indicates that teachers need information on adaptation, hobby, pastime, health, job opportunities, and psychological reassurance even after their retirement. Second, 41% of them responded that they think that the previous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organized by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failed to continue because the program had not met teachers' needs. Third, the respondents expressed that above all, the current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should be changed so that a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can restart and teachers can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the points of view by the education superintendent on the pre-retirement education should be renewed before anything else. It was also shown that some policies need to be drawn up to make up for the missing part of teaching and other tasks. Fourth, 70.9%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costs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should be should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or that they should be shared together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It means that they wish to get some degree of governmental support and consideration even after they retire. Next, what follows is regarding self-identity education,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pre-retirement education, and the contents and operation of pre- and post-retirement education: First, 74.0% of them responded that they need self-identity education as part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44.9% said that self reflec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pre-retirement education. Furthermore, 86.5% revealed that either self identity or self reflection should be part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Second,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eachers' first concern is health care among seven areas. It is 4.57. It is followed by hobby and pastime (4.37), life design (4.30), financial plan (4.30), community service (4.01), IT education (3.64), and job opportunities 3.63.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people with expertise are most desired as instructors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On-the-job training and case presentations are most preferred as means of education. Teachers most favor one week for each area for the seven areas as the duration of the program with one or two sessions. And participation in program together with their spouses is most favored. Fourth, 36.5% of all the respondents chose the optional type over the others in the type of operation. It is followed by combinational type (27.4%), sequential type (18.4%), and intensive type (17.2%), respectively. Fifth, the age of 60 to 62 is most favored (30.6%) on the annual basis in the terms of when to join the program. Their school vacation of each year is most chosen (46.0%) for the program. 56.8% favored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as the organizer. And 52.2% chose life-long educational centers as the venue for the program. Sixth, 69.7% of the respondents request that a post-retiremen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s well. 63.0% of them revealed that the actual application of what they have learned from the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should be included in a post-retirement education.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is most preferred (53.8%) as an organizer of a post-retirement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centers are chosen (56.0%) as its venue. It suggests that teachers are supposed to expect the post-retirement education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explo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me issues are pointed out here which deserve to be taken care of befor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Among the issues are measures taken to compensate for the missing part of teaching and other tasks, the revision of related laws, regulations, and policies, for which renewed viewpoints of education superintendents are required, and efforts for financial support. Second, some specific goals are highlighted in the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suggested here. One of the goals is to obtain information on post-retirement life. Third, the optional type is selected here as a way of operating the program. The optional type is a reflection of teachers' needs. In this type, teachers can choose courses suitable to them. It is more of consumer orientation. Fourth, it is suggested here that the pre- and the post-retirement education should be closely connected. The former focuses more on information regarding the planning of future life whereas the latter puts more emphasis on the actual application of what teachers have learned from the pre-retirement education. Fifth, it is identified and suggested here th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are most favored as the venue for the pre-retirement education. The pre- and the post-retirement education are not different in terms of its venue. Sixth, an effective and efficient model for the pre-retirement education for the whole group of teachers is suggested here, which has accommodated the needs of teachers in Gyeongsangnam-do. In addition, some program models are separately put forward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in needs between males and females,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etc. 본 연구는 현재 경남 지역에서 교원 퇴직준비교육이 제대로 실시되고 있지 않은 시점에서 그것이 다시 실시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출발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교원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교육 내용, 운영 방식 요구 조사와 프로그램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에 대하여 교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을 실시 할 때 교원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셋째, 경남 지역의 교원 퇴직준비교육을 위한 적합한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하였다. 2010년 4월 26일 부터 6월 16일 사이에 임의 표집한 경남 지역의 40세 이상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설문지 600부를 배포하였고, 회수한 설문지 581부를 대상으로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우선, 교원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89.5%의 교원들은 퇴직준비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교원들이 퇴직 후 변화된 생활에 대한 적응관련·퇴직 후의 취미, 여가, 건강·재취업 및 창업·퇴직 후의 심리적 안정에 대한 정보 획득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경상남도교육청에서 교원 퇴직준비교육이 실시되다가 중단된 이유에 대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이 참여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인식한 자는 41%였다. 셋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이 다시 실시되려면 우선적으로 바뀌어야 할 것에 대하여 교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 조성과 가장 먼저 바뀌어야할 인식 대상으로 교육감을 꼽았다. 그리고 다시 실시되기 위해서는 수업 및 업무 결손 대책 마련에 관한 정책 수립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이 다시 실시된다면 경비 부담은 국가 전액부담, 국가·도교육청 공동 부담이 이상적이라고 인식한 자는 70.9%였다. 이것은 교원들이 퇴직 후에도 국가적 차원에서 관심과 배려를 해주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교원 퇴직준비교육의 관련 교육인 자아정체성교육, 퇴직준비교육의 내용과 운영 방식, 퇴직 후 교육에 대한 요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직준비교육의 관련 교육인 자아정체성교육의 실시를 요구하였다(74.0%). 교육 내용으로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갖기를 희망하고(44.9%), 실시 방법으로는 퇴직준비교육의 한 부분으로 실시하기를 요구하였다(86.5%). 둘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의 교육 내용을 7개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건강관리(4.5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여가·취미(4.37), 생애설계(4.30), 재정계획(4.30), 사회봉사(4.01), 정보화교육(3.64), 재취업·창업(3.63)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의 바람직한 강사로 관련 영역 전문가, 교육 방법으로 현장방문체험 중심과 사례발표 중심, 교육 기간으로 7개 영역별로 각각 1주일 정도, 교육 횟수는 1~2회, 참여 유형은 배우자와 함께 참여하기를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넷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의 운영 방식은 선택형이 가장 높았고(36.5%), 혼합형(27.4%), 단계형(18.4%), 집중형(17.2%)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의 실시 시기는 60세부터 62세까지 매년(30.6%) 실시되기를, 1년 중 참여 시기는 방학 중에(46.0%) 실시하기를, 운영 주체는 경상남도교육청(56.8%)에서, 실시 기관으로는 경남 소재 평생교육기관(52.2%)을 요구하였다. 여섯째, 퇴직준비교육과 연계하여 퇴직 후 교육이 실시되기를 요구하였다(69.7%). 교육 내용은 퇴직준비교육에서 배운 내용의 실제 적용(63.0%), 운영 주체로는 경상남도교육청(53.8%), 실시 기관은 평생교육기관(56.0%)을 요구하였다. 퇴직 교원들은 퇴직 후 교육이 평생교육 차원에서 실시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교원 퇴직준비교육을 위해 탐색된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실시되지 않은 퇴직준비교육이 실시되기 위해 우선적으로 어떤 여건이 필요한지 제시하고 있다. 경남 지역에서 퇴직준비교육이 다시 실시되기 위한 여건으로 교사들의 참여를 조성하는 수업 및 업무 결손 대책, 교육감의 인식 변화를 통한 법·정책·제도 반영, 또 재정의 확충을 위한 노력과 뒷받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구체적 교육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 프로그램에서 “퇴직 후의 생활에 대한 정보 획득”이라는 교육 목적을 제시하였다. 셋째, 이 프로그램은 교육 내용이 이루어지는 운영 방식으로 선택형을 채택하였다. 교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 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인 선택형을 채택하고 있다. 넷째, 퇴직준비교육과 퇴직 후 교육을 연계하고 있다. 퇴직준비교육에서는 미래 생활 설계를 준비하는 정보의 획득에 주력하고, 퇴직 후 교육에서는 퇴직준비교육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섯째, 퇴직준비교육의 담당기관으로 평생교육기관을 제시하고 있다. 교원들은 퇴직준비교육의 담당기관으로 경남 소재 평생교육원을 선호하였고 퇴직 후 교육에서도 평생교육기관에서 교육받기를 희망하고 있다. 여섯째, 경남 지역의 교원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요구를 토대로 교원에게 퇴직준비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기본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 외에도 요구에 있어 다소 차이를 보이는 남자 교원, 여자 교원, 교사, 관리직, 교육전문직을 구분하여 프로그램을 따로 제시하였다.

      • 경남 지역 탈놀이의 변이 양상 연구

        김지민 慶南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고는 무굿의 순차 구조에 따라 연희되는 마산오광대가 경남 지역 탈놀이의 원형이라 보고 이를 바탕으로 연희본의 변이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경남 지역 탈놀이의 존재 양상과 무굿적 의미를 살펴본 후 경남 지역 탈놀이에서 연희되는 일곱 과장의 변이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Ⅱ장은 제의에서 연희로, 연희에서 무대 공연물로 정착한 경남 지역 탈놀이의 존재 양상을 파악하였다. 경남 지역 탈놀이가 무대 공연물로 정착하게 된 요인을 밝히기 위해 공간적 맥락·시각적 맥락·청각적 맥락·오락적 맥락으로 항목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경남 지역 탈놀이가 지니고 있는 무굿적 의미를 연희 과장을 통해 분석하였다. 경남 지역 탈놀이의 과장 구성이 무굿의 순차 구조와 동일하게 연행되고 있다는 점을 들어 각각의 기능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Ⅳ장에서 연희 과장의 변이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경남 지역 탈놀이 15종의 연희 과장을 면밀히 분석하여 각 과장에서 일어나는 서사 변화를 밝혀내었다. Ⅴ장에서는 경남 지역 탈놀이 연희본의 서사 변이에 따른 의미 변개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Ⅳ장의 분석을 토대로 일곱 과장에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주술적이고 제의적인 기능이 약화되는 요인과 오락적이고 유희적인 기능으로 변화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종합해 보면 경남 지역 탈놀이 중에서 일곱 과장이 모두 연희되는 마산오광대는 경남 지역 탈놀이의 전형(典型)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마산오광대의 과장 순서는 무굿의 기본 제차와 동일하였다. 경남 지역 탈놀이에 연희되는 일곱 과장을 다음과 같이 무굿에 대응시킬 수 있다. 첫 마당으로 연희되는 ‘오방신장 과장’은 굿판을 정화하는 목적을 가진 ‘부정굿’의 특색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중 과장’은 중이 속세로 내려온다는 의미에서 알 수 있듯 신을 맞이하는 ‘청신굿’의 특징을 가진다. 양반이 등장하는 ‘문둥이 과장’과 ‘말뚝이·양반 과장’은 해학과 풍자가 강해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오신굿’과 같다. 또 ‘영노 과장’과 ‘할미·영감 과장’은 풍요와 다산의 기원적 성격이 강해 ‘축원굿’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개 마지막으로 연희되는 ‘사자 과장’은 신을 보내는 ‘송신굿’의 특성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따라서 경남 지역 탈놀이가 주술성과 제의성을 상실하고 오락성과 유희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변이가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밝히기 위해 경남 지역 탈놀이의 전형(典型)이라 할 수 있는 마산오광대를 중심축에 두고 나머지 14종의 연희본에 대한 유형 분류를 하였다. 마산오광대에서 통영 1935년본, 김해 1936년본·2004년본, 진주 1936년본·1997년본을 1차적 변이형으로 확정하였다. 2차적 변이형은 확장형과 축소형으로 나뉜다. 통영 1935년본에서 확장된 것은 통영 1997년본이고, 축소된 것은 고성 1956년본·2011년본이다. 김해 1936년본·2004년본에서 축소된 것은 수영 1936년본·1961년본과 동래 1936년본·1972년본이다. 진주 1936년본·1997년본에서 확장된 것은 가산 1971년본·2004년본이다. Recognizing Masan Ogwangdae, which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structure of Mugut(shaman rituals), as the archetype of mask drama in the Gyeongnam Province, this study aimed to exchange the variation aspects of its script.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first looked into the existential patterns and meanings of Gyeongnam's mask drama as Mugut and conducted detailed analysis of variation aspects of seven scenes performed in it. Chapter II figured out the existential patterns of Gyeongnam's mask drama, which evolved from a service ceremony through play to stage performance in its establishment process. The factors behind its settlement as a stage performance were analyzed in the contexts of space, time, hearing, and entertainment. Chapter III analyzed the meanings of Gyeongnam's mask drama as Mugut through play scenes. As the scene organization of its mask drama was performed in the same sequential structure as Mugut, each of them was examined for their functional meanings.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changing patterns of play scenes, Chapter IV analyzed closely 15 play scenes of the mask drama in the Gyeongnam region and examined narrative changes in each scene. Chapter V traced the meaning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ing narratives of mask drama scripts in the Gyeongnam Provi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Chapter IV, it identified the factors behind the weakening shamanistic and ritualistic functions and the changing entertaining and playful functions common among the seven scenes. In short, Masan Ogwangdae, which is the mask drama of Gyeongnam that performs all of the seven scenes, is the model of Gyeongnam's mask drama. In addition, the scene order of Masan Ogwangdae was the same as the basic order of Mugut. The seven scenes performed in Gyeongnam's mask drama may correspond to Mugut as follows: the "Obangsinjang(dance of the gods to keep the five away) scene," which is performed in the first scene, is strongly characterized by the features of "Bujeong Gut(ritual to purify)" performed to purify the Gut venue; the "Monk scene" has features of "Cheongsin Gut(ritual to welcome the god)" to welcome the god as it signifies a monk's descent to the secular society; the "Mundungi(leper) scene" and the "Malttugi(the servant) and Yangban(the nobility) scene," both of which feature the Yangban, are similar to "Osin Gut(ritual to entertain the God)" performed to entertain the God for their strong humor and satire; the "Yeongno(legendary monster) scene" and the "Halmi-Yeonggam(the senior husband and wife) scene" have features of "Chukwon Gut(ritual to pray to God)" for their strong prayer for abundance and fecundity; and the "Saja(the lion dance) scene," which is usually performed last, has clear features of "Songsin Gut(ritual to send the God)" performed to see the God off.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as a shift in the mask drama of Gyeongnam Province as it lost its shamanistic and ritualistic features and sought after entertainment and playfulness.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ose findings, the study categorized the remaining 14 scripts with Masan Ogwangdae, which is the archetype of Gyeongnam's mask drama, at the center. Its first variation forms include Tongyeong Ogwangdae(1935 script), Gimhae Ogwangdae(1936 and 2004 scripts), and Jinju Ogwangdae(1936 and 1997 scripts). Its second variation forms were divided into extended and reduced ones. The extended form of Tongyeong Ogwangdae(1935 script) was Tongyeong Ogwangdae(1997 script), and its reduced forms were Goseong Ogwangdae(1956 and 2011 scripts). The reduced forms of Gimhae Ogwangdae(1936 and 2004 scripts) were Suyeong Yaryu(1936 and 1961 scripts) and Dongnae Yaryu(1936 and 1972 scripts). The extended form of Jinju Ogwangdae(1936 and 1997 scripts) was Gasan Ogwangdae(1971 and 2004 scripts).

      • 기술창업 성공을 위한 창업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김민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지속적 경기 침체와 저조한 고용의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경제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국가 경제 질적 성장을 유도 가능케 하는 경제 주체로 중소기업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정부는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예비창업자를 육성하고 창업을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 관한 관심이 대기업에서 창업기업 중심으로 변하는 현상과 창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경남지역의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창업자의 정보와 애로사항, 자금조달 방법 등의 실태조사를 하였다. 경남지역의 창업기업 실태조사를 통해 경남지역의 창업 정책에 대한 수요자의 애로를 파악하여 경남지역의 기술창업 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창업진흥원의 “한눈에 보는 창업 동향” 자료와 도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367개에 대한 설문조사(2019년 6월)를 기반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단기정책으로 첫째, 비대면 방식의 창업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하고, 둘째, 기업의 생애 전 단계 성장단계별 맞춤식 경남형 창업 트랙 구축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셋째, 온/오프라인 국내 판로개척 지원시스템과 글로벌 창업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하며, 인력난 문제 해소를 위한 청년-스타트업 인력지원 매칭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중기정책으로 첫째, 경남형 컨트롤 타워와 창업 지원기관의 집적화가 필요하고, 둘째, 경남지역의 Post-BI 공간 마련이 필요하며, 셋째, 경남창조혁신센터 서부센터 기능의 확대가 필요하고, 넷째,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인력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장기정책으로 첫째, 도내 대기업, 공공기관과 스타트업과의 연계 협력사업 강화를 위한 경남도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며, 둘째, 경남 액셀러레이터 확대와 독자적 창업 투자 지원기관 확충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셋째, 퇴직자 및 고숙련 기술자 등의 창업 연계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고, 넷째, 도내 창업지원 기관들의 연계 프로그램 추진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경남지역 기술 창업기업의 성공을 위한 정책지원에 대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분석 범위를 경남 도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면서 특정 시점 기준으로 한정된 데이터를 이용한 부분이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 분석 기간 연장을 통해 더 명확한 기술창업의 성공과 정책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the major business entity to cope with the continuous economic recession and the low level of employment rate has been increased the role of small and mediums enterprises(“SMEs”). Korean government facilitate pre-startups and develop post startups as the policy to vitalize the startups. This paper studied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basis information, general predicament and the method of raising funds of startups in the business incubation center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We also investigated the changing trend on the recognition to startups as well as the changing attention to startups from big companies. From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startups, we understand the bottleneck problems of the potential startups on the startup supporting policy by Gyeongsangnam-do and give any policy impli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startup programs. Our study is based on the startup develop institutes’s “startup trend at a glance” and the survey materials by the 367 companies which is moved into the business incubator center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as of June, 2019.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short-term policy, First, we think a startup supporting system based on the on-line method is necessary. Second, Gyeongsangnam-do startup track based on the companies’ life cycle and growth stage should be developed and advanced. Third, to set up a new local on/off line supporting system and a global startup supporting system to cultivate a new market is needed. To solve the human resources shortag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young-startup personel matching program. As the mid-term policy, First, Gyeongsangnam-do’s control tower and startup supporting institutes’ cluster are necessary. Second, a Post-BI system in Gyeongsangnam-do Province should be built up. Third, the function of CCEI’s west center must be expanded. Fourth, a human resources’ restructuring of the CCEI is required. As the long-term policy, First, Gyeongsangnam-do’s role and leadership to build up the cooperative projects among big private company, public company and startup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the expansion of Gyeongsangnam-do’s accelerator and the scale-up of the independent startup investment supporting institution are necessary. Third, the operation of a startup cooperative program with retired and high level engineers is required. Fourth, the startup aiding program among the Gyeongsangnam-do’s startup supporting institutes should be implemented.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olicy ideas for the success of technology startup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in the usage of Gyeongsangnam-do BI companies data at a specific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mple period and companies in order to give a concrete policy implication for the success of technology startups in the further research.

      •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김소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은 그들의 높은 학업성취 욕구를 충족 시켜줌과 동시에 사고력신장, 특수능력습득, 특정지식습득, 적성강화, 일반능력신장 5가지 교육목표를 골고루 신장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보과학 영재교육기관의 교육내용과 교육일정을 분석하여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정보과학 영재의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미래형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A curriculum for the gifted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has to satisfy their desire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to reach five education targets for acquiring ability to think, specific knowledge, specific skills, strengthening aptitude and increasing general ability. In this thesis, we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chedule of institu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introduce their problem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who can bring out their latent force.

      •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의 역사적 고찰 - 언론노조운동의 조건별 요인과 성격별 사안 분석을 중심으로 -

        김태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의 역사적 고찰에 관한 것으로, 경남지역 언론사 노조의 주요 활동을 시대 순으로 기술하고, 그 가운데 중요한 87건을 가려낸 뒤 네 가지 변인을 적용해 중앙정치주의적 사안, 중앙경제주의적 사안, 지역정치주의적 사안, 지역경제주의적 사안 등 성격별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의 특징과 공통점을 뽑아냈으며, 아울러 주요활동 87건을 정권별로 분류해 정권별 특징과 공통점을 뽑아냈다. 우선, 경남지역 언론노조들이 창립되고 활동을 시작한 1988년부터 2020년까지 경남지역 방송노조 3곳과 신문노조 4곳의 일지와 성명서, 입장문 등 내부 자료와 이와 관계된 학술연구서, 사사, 그리고 관련 단체들의 자료 등을 모아 문헌 조사를 실시했고, 이후 이를 바탕으로 전·현직 노조 간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뒤,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의 역사를 통사적으로 기술했다. 이를 통해 파업 등 쟁의행위를 비롯한 주요 활동 87건을 뽑아낼 수 있었다. 이후 이 활동들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네 가지 변인, 즉 서울과 지역에 관계없이 전국 공통적인 현안은 중앙주의, 서울과 대립하거나 지역을 위한 현안은 지역주의, 외부적인 조건이나 요인에 의한 현안은 정치주의, 내부적인 조건이나 요인에 의한 현안은 경제주의를 적용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87건을 중앙정치주의적 사안, 중앙경제주의적 사안, 지역정치주의적 사안, 지역경제주의적 사안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중앙정치주의적 사안이 가장 많은 비중(40건, 46.0%)을 차지했다. 방송노조의 사장 퇴진 운동이나 신문노조의 미디어 악법 반대 투쟁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이는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이 정권이나 정부 등 정치적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하겠으며, 언론사들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언론 환경이 악화돼, 방송법이나 신문법 개정 운동 등 이를 극복하려는 연대 활동이 언론노조나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강하게 펼쳐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중앙적, 즉 전국적 사안이 많은 것은 방송노조의 경우 단일노조의 형태를 지니고 있어서, 대부분 중요한 사안들은 공동 활동이나 공동 투쟁을 많이 한다는 점과 함께, 언론노조들이 일반 노동자 단체라는 성격 보다는 정권과 사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언론인 단체라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도 증명한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지역경제주의적 사안이 많은 비중(24건, 27.6%)을 차지했다. 방송노조의 경우 창원-진주MBC 광역화 반대 투쟁이나 KBS 창원 노조의 진주국 구조조정 반대 운동, 신문노조의 경우 임금협상이나 단체협상을 둘러싼 활동이나 투쟁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이는 노동자로서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를 찾는 노조 활동이라고 하겠다. 이밖에 위성방송 동시재전송 반대 투쟁, 지역방송과 관련한 방송법 개정 운동, 지역신문 발전지원 특별법 제정 운동 등 지역정치주의적 사안은 14건, 16.1%였으며, 방송사 단체교섭 결렬에 따른 쟁의행위, MBC정상화위원회나 KBS진실과미래위원회 활동 등 중앙경제주의적 사안은 9건, 10.3%로 비중이 가장 낮았다. 지역신문사의 대주주나 경영진은 지역의 기관이나 기업으로 구성되고 노조 활동 역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이므로 신문사 노조의 중앙경제주의적 사안은 없었다. 또한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의 주요 활동 87건을 정권별로 분석한 결과, 보수정부 2기인 이명박-박근혜 정권 시기에 파업 등 쟁의행위의 빈도(35건, 40.2%)가 가장 많을 뿐 아니라 강도도 높았음을 알아낼 수 있었다. 민주정부 1기인 김대중-노무현 정권 시기(17건, 19.5%)에는 사장이나 경영진 퇴진 운동의 빈도와 강도가 낮았지만 노동법이나 미디어법 반대 및 개정 운동이 활발했는데, 중앙정치주의적 사안이 20건으로 다른 사안들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보수 1기인 노태우-김영삼 정권 때는 경남지역 언론사들의 창립 초창기인데다가, 신문노조는 창립되지 않거나 활동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빈도가 낮다고 할 수 있지만, 노태우 정권 하반기부터 언론 장악 기도가 드러나면서 언론노조운동이 점차 격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민주정부 2기인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빈도(16건, 18.4%)가 다시 줄어들었지만, 향후 정권의 교체 여부에 따라 언론노조운동의 빈도와 강도가 충분히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The main study on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press union movement in Gyeongnam Province described the major activities of the media companies in the order of the times, extracted 87 of them and applied them to four variables, classifying them as centralistic, central and regional and regional economic issues. Through this, it analyzed what characteristics and commonalities the press union movement in Gyeongnam Province has in common. In addition, 87 major activities were classified by administration to extract characteristics and commonalities of each administration. First of all, from 1988 to 2020, when the press unions in Gyeongnam region were founded and started their activities, they collected internal data such as diaries, statements, and statements of the four newspaper unions in Gyeongnam, academic research papers, history,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former and incumbent union leaders, and then gave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the press union movement in Gyeongnam. Through this, 87 major activities, including strikes and other contentious activities, were selected. Since then, the four variables, namely, "centralism," are common nationwide issues regardless of Seoul and the region, while regionalism, external conditions or factors have applied economicism to analyze them. Through this, 87 cases could be classified as central political issues, central economic issues, regional political issues and regional economic issues. As a result, central political issu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40 cases, 46.0 percent). A case in point is the campaign to oust the president of the Korean Broadcasting Workers' Union and the newspaper union's struggle against the media evil law, which indicates that the media union's movement in Gyeongnam Province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and that the media environment has deteriorated due to the intensifying competition among media companies, and joint activities to overcome such issues as the broadcasting law and the newspaper law revision movement are strongly centered on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he media unions and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he Korean Confederation of media.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central and national issues proves that broadcasting unions have the form of a single labor union, and that most important issues involve a lot of joint activities and joint struggles, as well as that media unions are more sensitive to the regime and society than ordinary workers' organizations. Next, regional economic issues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24 cases, 27.6 percent). In the case of the broadcasting union, the struggle against the Changwon-Jinju MBC metropolitanization, the KBS Changwon union's campaign against the restructuring of Jinju, and the newspaper union's activities or struggles over wage negotiations or collective bargaining are representative examples, which are labor union activities that seek the most basic rights as workers. In addition, there were 14 cases of regional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struggle against simultaneous retransmission of satellite broadcasting, the movement to revise broadcasting laws related to local broadcasting, and the movement to enact a special law to support development of local newspapers, while the central economic issues such as disputes caused by the breakdown of collective bargaining among broadcasting companies, the activities of the MBC Normalization Committee and the KBS Truth and Future Committee, accounted for the lowest portion with nine cases and 10.3 percent. Since major shareholders and management of local newspapers are composed of local organizations and companies, and union activities are targeted at them, there was no central economic issue of newspaper union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87 major activities of the press union movement in Gyeongsangnam-do showed that the frequency (35, 40.2%) was high during the second term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as well as the intensity of strikes or disputes. First democratic government, had less time, (17 with a 19.5 percent) CEO Kim Dae-jung or Roh Moo-hyun administration or campaign asking executives and labor laws or bills and oppositionActive exercise. This proves that there were 20 central political issues during this period, overwhelmingly higher than other issues. During the Roh Tae-woo-Kim Young-sam administration, which was the first conservative term, the media labor union movement was gradually intensifying as the media union was not founded or did not perform properly, and the media union was less frequent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revealed its attempt to dominate the media. Moon Jae-in, the second phase of democratic government administration frequency with which the switch of power in the future, but decreased back to (18.4 percent and 16) the journalists ' union based on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ercise is enough.Say shows can be different.

      •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 : 경남고성공룡 세계엑스포를 중심으로

        김익권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지역축제의 주된 목적은 지역 특화물의 브랜드화, 축제기반시설의 조성 등을 통해 국·내외 관광객을 유인하고 이를 통해 지방자치단체간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지역축제는 비차별화, 과다한 경쟁 등으로 본래의 목적을 상실하고 예산낭비를 초래하는 등 오히려 지역경제에 역효과를 가져온 측면도 적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 3대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브랜드를 가지고 경남 고성군에서 개최된 「2006 경남고성공룡 세계엑스포」를 대상으로 행정구조적 측면, 행사운영적 측면, 환경적 측면에서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축제 활성화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행정구조적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지나친 관주도 운영방식과 전문인력의 부족이 지적될 수 있다. 지나친 관주도 운영방식은 자치단체장이 교체될 경우 후임 자치단체장이 전임 자치단체장이 고안한 축제를 승계할 것인가라는 문제와 관련이 된다. 비록 좋은 축제라 하더라도 후임 단체장의 관점에 따라 축제는 중단될 수도 계속될 수도 있는 것이다. 조직위원회의 이사장을 자치단체장에서 민간인으로 교체하여 조직위원회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리고 지역축제의 연속성, 전문성, 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무국 조직인력을 전문분야별로 공개 모집함으로써 외부전문가를 유입시켜 한다. 행사운영적 측면에서는 프로그램의 획일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나 크게 주목해야할 사항은 할인 및 무료관람객의 남발이다. 공룡엑스포는 지역의 특산물을 매개체로 하여 개최되는 축제가 아니고 다소 추상적인 ‘공룡발자국’이라는 매개체를 가지고 개최되는 것인 만큼 직접적인 수입원은 입장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라는 희소가치 증대를 위해서는 무료관람객과 할인제도를 대폭 축소하여야 한다. 환경적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지역의 인적자원 부족 및 무관심, 기반시설의 부족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처음으로 개최된 만큼 그 동안 부족했던 숙박시설, 교통시설, 주차장 등 각종 기반시설은 재정적 부담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구비하면 될 것이다. 지역축제에 있어 성패여부는 지역주민의 관심여하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 지역축제에서 지역 활성화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것은 지역주민들이 의식부족이나 지나친 관주도로 마지못해 참여하기 때문이다.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방문한 관광객 수이지만 이들을 찾아오게 만드는 것은 지역주민들이 진정한 주역이 될 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공룡엑스포 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행정구조적 측면, 행사운영적 측면, 환경적 측면 등 3가지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논의의 전개는 지역축제를 매개로 한 지역발전방안(지역주민의 공동체 의식 함양방안,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방안, 고용효과 증대방안 등)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The main purposes of regional festivals are to turn regional products into brand products, attract tourists from within the country as well as from abroad by constructing the facilities required for a festival to be hosted, and to use such efforts to secure the competiveness of a municipality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However, the rapid growth in the number of regional festivals have negativelyaffected the local economy as the undifferentiated festivals and excessive competition have wasted funds and lost sight of the original purposes of these festivals. As such, this study analyzes the 「Goseong Dinosaur Expo 2006 」, which was hosted in Goseong-gun Gyeonsangnam-do using its position as “one of the world's top three sites for dinosaur footprint fossils”, in terms of administrative structure, operations of the event, and environment to find out its problems and proposed a strategy to promote regional festivals which overcome such problems. First of all, excessive control by the municipality and an insufficient number of experts should be pointed out as problems in terms of administrative structure. Excessive control by the municipality gives rise to the issue of whe thera new governor of the municipality will assume the festival plans made by his predecessor in the event of a change of governors. Even if the festival is a good one, it could continue or not depending on the opinion of the new governor. This is why a plan to change the chief director of the organization committee from the governor toa civilian must be drawn up. Also, experts from outside must be involved by openly enlisting people to work the festival according to the subject areas of expertise so as to ensure that the festival is specialized, safe, and constant. In terms of operations, there were many problems including the simplicity of the program, but theissue which must be given the greatest attention is the excessive number of viewers that view the festival for free. As the dinosaur expo is not a festival that is based on regional products but a more abstract theme that is 'dinosaur footprints, the most direct source of income remains the income which comes from ticket sales. Therefore, to increase the scarcity value that the 'site for dinosaur footprint fossil' holds, the number of discount policies and free entrances must be drastically reduced. In terms of environment, the issues of lacking manpower, apathy, and basic facilities pose problems. Since this is the first time this particular event is being hosted, various basic facilities such as accommodations, transportation, and parking lots could be increased on a step by step basis, considering the financial burden to the municipality. Whether a regional festival succeeds depends on how interested the local residents are. The reason why regional revitalization effects do not show well in the case of our domestic regional festivals is because local residents do not care enough or only participate unwillingly because the municipality takes charge and excessively so. The number of tourist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 of a regional event, but the local residents becoming the true participants in the event is what will make these tourists come. This study searches for a plan to improve the Goseong Dinosaur Expo fromthe aspects of administrative structure, operations, and environment.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such research relates to rocal development plans based on regional events (plans for instilling a sense of unity in the residents, vitalizing the regional economy and creating high added values, and increasing employment).

      • 일제강점기 경남지역 고적보존회에 대한 고찰

        선우성혜 慶南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경남은 임란의 격전지이며 고대 일본과의 빈번한 교류가 이루어진 지역이었다. 따라서 일제는 식민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한 근거지 및 임란에서 왜군의 활약을 볼 수 있는 지역으로 조선 지배를 공고히 하고자 의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 이전부터 관심을 가져왔다. 한편으로, 조선민중에게 경남지역은 임란의 격전지로서 전승지로 구국충절의 정신이 새겨있는 곳이면서, 고대 국가의 발원지라는 점에서 민족영웅에 대한 존숭심과 지역에 대한 자긍심·애향심강한 지역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역사적 특성을 바탕으로 경남지역에서는 일찍부터 고적보존회가 등장하고 있었다. 경남지역의 고적보존회의 설립은 이 시기 고적보존회 설립의 일반적 현상과 마찬가지로 총독부 고적조사보존정책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은 지역민들의 애향심과 조상에 대한 존숭심이 그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며 본 연구를 시작했다. 경남은 일제하 설립되는 다양한 고적보존회의 동향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경남 각지에서 설립되는 고적보존회의 존재양상은 해당 지역의 지역민들이 품고 있던 조상 및 지역의 민족 영웅에 대한 존숭심과 애향심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제하 경남지역 고적보존회를 연구한다는 것은 의미를 갖는다. 본고는 이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일제하 총독부 고적정책의 변화를 통해 경남지역 고적보존회의 설립 배경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경남지역에서 나타나는 고적보존회의 실제적인 존재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일제하 경남지역 고적보존회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를 통해 살펴본 경남지역의 고적보존회의 성격은 크게 官邊的·民官合作的·民族的인 구분 속에서 이해할 수 있었고, 민간과 관인이 같이 활동하고 있음으로 넓은 의미에서 民官合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별로 그 성향은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남해와 통영의 경우 민족적 성향이 보다 강하게 드러난다. 뿐만 아니라 민족적 성향이 강한 지역의 고적보존회 활동은 참여인물이 비단 해당 지역에서만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인근지역의 인사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활동하고 있었고, 이는 1930년대 전국적으로 일어난 민족적 고적보존운동의 영향이었다. 이와 같은 점으로 미루어 보아 경남지역 고적보존회는 경남이 가지는 역사적 특성을 바탕으로 일제의 정책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지역에 따라 그 성향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Gyeongnam was one of the intense battle fields at the time of the Imjin Korea-Japan War, and was an area where exchanges with ancient Japan were fulfilled. Thus, Imperialist Japan had paid attention to this area before it took over Korea in order to justify its colonial ruling. On the other hand, for the Joseon people, the Gyeongnam area was an intense battle field, a site of the greatest victory, and a place where state-saving heros’ spirits were engraved.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it was a place of origin of an ancient nation, and was a base for national heroes’ activities, the residents had stronger attachment to and pride of it than any other people from other areas. Thus, based on such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e Gyeongnam area had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early in the Japanese Imperialist era. As was the case with the general phenomenon in the foundation of a historic sitet preservation society at that time, its foundation was affected by the Government-General’s policy of historic site preservation. However, in some subareas, the local residents’attachment to the areas and their respect for forefathers also had grea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s activities.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in the Gyeongnam area have such characteristics that one can find the trends of various such societies founded in the Japanese Imperialist era from it one fell swoop. Furthermore, the society has certain amount of significance in that it was based on the residents’ respect for their forefathers and national heroes and their attachment to the area. With this recognition,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foundation of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in the Gyeongnam area through changes in the Government-General’s policies for historic sites in the Japanese Imperialist era. And, based on this, it also tries to explic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by looking at the aspects of its substantial existence in the Gyeongnam area. Consequently, through this paper, I can understand the society’s characteristics as having propensities of official sources, civilian and official collaboration, and the nation, and it can be said to be based on civilian-official collaboration in that civilians and officials participated in its activities. However, the propensities were different from area to area, and Namhae and Tongyeong had more national tendency. In addition, in the activities led by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ies in the areas with strong national propensities, the participators did not remain at their original areas, but had active relationships with neighborhood figures. To judge on the basis of these points, though it was influenced by the Imperialist Janpan’s historic site policies,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in the Gyeongnam area had strong national propensities on the basis of the area’s historic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