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 교원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인식·요구조사 및 프로그램 탐색

        박기열 慶南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No pre-retirement education for teachers is being carried out in Gyeongsangnam-do, Korea. The current situation is a great motivation to explore and design a model for a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who are going to retire. Against this backdrop,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come up with a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urveys of awareness and needs on the part of teachers. The main research area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teachers aware of the need for the pre-retirement education? Second, what are teachers' needs and expectations from the pre-retirement education? Third, what would be the suitable and proper type of pre-retirement education for teachers in Gyeongsangnam-do, Korea?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The respondents are teachers who are at the age of 40 or more. They were selected at the random basis in Gyeongsangnam-do.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pril 26. 2010 to May 16, 2010. 6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581 responded out of them and their responses were used as data for analysis. The program of SPSSWIN 17.0 was used for data and analysis. The teachers' awareness of pre-retirement education is revealed as below: First, 89.5% of the respondents agree that pre-retirement education is needed. It indicates that teachers need information on adaptation, hobby, pastime, health, job opportunities, and psychological reassurance even after their retirement. Second, 41% of them responded that they think that the previous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organized by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failed to continue because the program had not met teachers' needs. Third, the respondents expressed that above all, the current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should be changed so that a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can restart and teachers can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the points of view by the education superintendent on the pre-retirement education should be renewed before anything else. It was also shown that some policies need to be drawn up to make up for the missing part of teaching and other tasks. Fourth, 70.9%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costs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should be should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or that they should be shared together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It means that they wish to get some degree of governmental support and consideration even after they retire. Next, what follows is regarding self-identity education,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pre-retirement education, and the contents and operation of pre- and post-retirement education: First, 74.0% of them responded that they need self-identity education as part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44.9% said that self reflec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pre-retirement education. Furthermore, 86.5% revealed that either self identity or self reflection should be part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Second,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eachers' first concern is health care among seven areas. It is 4.57. It is followed by hobby and pastime (4.37), life design (4.30), financial plan (4.30), community service (4.01), IT education (3.64), and job opportunities 3.63.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people with expertise are most desired as instructors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On-the-job training and case presentations are most preferred as means of education. Teachers most favor one week for each area for the seven areas as the duration of the program with one or two sessions. And participation in program together with their spouses is most favored. Fourth, 36.5% of all the respondents chose the optional type over the others in the type of operation. It is followed by combinational type (27.4%), sequential type (18.4%), and intensive type (17.2%), respectively. Fifth, the age of 60 to 62 is most favored (30.6%) on the annual basis in the terms of when to join the program. Their school vacation of each year is most chosen (46.0%) for the program. 56.8% favored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as the organizer. And 52.2% chose life-long educational centers as the venue for the program. Sixth, 69.7% of the respondents request that a post-retiremen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s well. 63.0% of them revealed that the actual application of what they have learned from the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should be included in a post-retirement education.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is most preferred (53.8%) as an organizer of a post-retirement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centers are chosen (56.0%) as its venue. It suggests that teachers are supposed to expect the post-retirement education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explo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me issues are pointed out here which deserve to be taken care of befor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Among the issues are measures taken to compensate for the missing part of teaching and other tasks, the revision of related laws, regulations, and policies, for which renewed viewpoints of education superintendents are required, and efforts for financial support. Second, some specific goals are highlighted in the pre-retirement education program suggested here. One of the goals is to obtain information on post-retirement life. Third, the optional type is selected here as a way of operating the program. The optional type is a reflection of teachers' needs. In this type, teachers can choose courses suitable to them. It is more of consumer orientation. Fourth, it is suggested here that the pre- and the post-retirement education should be closely connected. The former focuses more on information regarding the planning of future life whereas the latter puts more emphasis on the actual application of what teachers have learned from the pre-retirement education. Fifth, it is identified and suggested here th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are most favored as the venue for the pre-retirement education. The pre- and the post-retirement education are not different in terms of its venue. Sixth, an effective and efficient model for the pre-retirement education for the whole group of teachers is suggested here, which has accommodated the needs of teachers in Gyeongsangnam-do. In addition, some program models are separately put forward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in needs between males and females,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etc. 본 연구는 현재 경남 지역에서 교원 퇴직준비교육이 제대로 실시되고 있지 않은 시점에서 그것이 다시 실시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출발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교원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교육 내용, 운영 방식 요구 조사와 프로그램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에 대하여 교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을 실시 할 때 교원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셋째, 경남 지역의 교원 퇴직준비교육을 위한 적합한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하였다. 2010년 4월 26일 부터 6월 16일 사이에 임의 표집한 경남 지역의 40세 이상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설문지 600부를 배포하였고, 회수한 설문지 581부를 대상으로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우선, 교원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89.5%의 교원들은 퇴직준비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교원들이 퇴직 후 변화된 생활에 대한 적응관련·퇴직 후의 취미, 여가, 건강·재취업 및 창업·퇴직 후의 심리적 안정에 대한 정보 획득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경상남도교육청에서 교원 퇴직준비교육이 실시되다가 중단된 이유에 대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이 참여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인식한 자는 41%였다. 셋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이 다시 실시되려면 우선적으로 바뀌어야 할 것에 대하여 교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 조성과 가장 먼저 바뀌어야할 인식 대상으로 교육감을 꼽았다. 그리고 다시 실시되기 위해서는 수업 및 업무 결손 대책 마련에 관한 정책 수립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이 다시 실시된다면 경비 부담은 국가 전액부담, 국가·도교육청 공동 부담이 이상적이라고 인식한 자는 70.9%였다. 이것은 교원들이 퇴직 후에도 국가적 차원에서 관심과 배려를 해주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교원 퇴직준비교육의 관련 교육인 자아정체성교육, 퇴직준비교육의 내용과 운영 방식, 퇴직 후 교육에 대한 요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직준비교육의 관련 교육인 자아정체성교육의 실시를 요구하였다(74.0%). 교육 내용으로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갖기를 희망하고(44.9%), 실시 방법으로는 퇴직준비교육의 한 부분으로 실시하기를 요구하였다(86.5%). 둘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의 교육 내용을 7개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건강관리(4.5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여가·취미(4.37), 생애설계(4.30), 재정계획(4.30), 사회봉사(4.01), 정보화교육(3.64), 재취업·창업(3.63)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의 바람직한 강사로 관련 영역 전문가, 교육 방법으로 현장방문체험 중심과 사례발표 중심, 교육 기간으로 7개 영역별로 각각 1주일 정도, 교육 횟수는 1~2회, 참여 유형은 배우자와 함께 참여하기를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넷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의 운영 방식은 선택형이 가장 높았고(36.5%), 혼합형(27.4%), 단계형(18.4%), 집중형(17.2%)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원 퇴직준비교육의 실시 시기는 60세부터 62세까지 매년(30.6%) 실시되기를, 1년 중 참여 시기는 방학 중에(46.0%) 실시하기를, 운영 주체는 경상남도교육청(56.8%)에서, 실시 기관으로는 경남 소재 평생교육기관(52.2%)을 요구하였다. 여섯째, 퇴직준비교육과 연계하여 퇴직 후 교육이 실시되기를 요구하였다(69.7%). 교육 내용은 퇴직준비교육에서 배운 내용의 실제 적용(63.0%), 운영 주체로는 경상남도교육청(53.8%), 실시 기관은 평생교육기관(56.0%)을 요구하였다. 퇴직 교원들은 퇴직 후 교육이 평생교육 차원에서 실시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교원 퇴직준비교육을 위해 탐색된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실시되지 않은 퇴직준비교육이 실시되기 위해 우선적으로 어떤 여건이 필요한지 제시하고 있다. 경남 지역에서 퇴직준비교육이 다시 실시되기 위한 여건으로 교사들의 참여를 조성하는 수업 및 업무 결손 대책, 교육감의 인식 변화를 통한 법·정책·제도 반영, 또 재정의 확충을 위한 노력과 뒷받침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구체적 교육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 프로그램에서 “퇴직 후의 생활에 대한 정보 획득”이라는 교육 목적을 제시하였다. 셋째, 이 프로그램은 교육 내용이 이루어지는 운영 방식으로 선택형을 채택하였다. 교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 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인 선택형을 채택하고 있다. 넷째, 퇴직준비교육과 퇴직 후 교육을 연계하고 있다. 퇴직준비교육에서는 미래 생활 설계를 준비하는 정보의 획득에 주력하고, 퇴직 후 교육에서는 퇴직준비교육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섯째, 퇴직준비교육의 담당기관으로 평생교육기관을 제시하고 있다. 교원들은 퇴직준비교육의 담당기관으로 경남 소재 평생교육원을 선호하였고 퇴직 후 교육에서도 평생교육기관에서 교육받기를 희망하고 있다. 여섯째, 경남 지역의 교원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요구를 토대로 교원에게 퇴직준비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기본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 외에도 요구에 있어 다소 차이를 보이는 남자 교원, 여자 교원, 교사, 관리직, 교육전문직을 구분하여 프로그램을 따로 제시하였다.

      • 인간의 욕망을 동물로 형상화 한 도자조형 연구 : 잠재적 에로티시즘을 중심으로

        박기열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서로 부대끼며 삶을 공유한다. 그러나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일상적인 욕망의 억압은 당연한 듯 느껴지지만 사실 현대사회에 절실히 요구되는 인간본성의 회복이라는 당면과제에 위배되는 온갖 규범과 제도들에 익숙해진 모순적 상황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 대한 반발과 의문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인간 모두에게 욕망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긍정적으로 재평가하고 이를 통해 올바른 욕망의 분출이 인간사회에 어떠한 결과로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담론을 동물의 모습들을 통해 형성하고자 했다. 우선 기존의 제도나 법률에 의해 억압되는 성적(性的)욕망을 인간의 심리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했고 그러기 위해서 에로티시즘과 금기(禁忌)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제작의 당위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다른 장르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예술의 다양성과 발전 가능성 비교로 작품전개 방식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표현기법에 있어서는 작품 성형방법, 그리고 테라시즐레타와 점토간의 상관 관계 및 소성방식을 명시함으로써 판 성형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테라시즐레타의 효과적인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했다. 그리고 작품 배경의 하나로 삽입된 개인 고백서 형식의 자가욕망 진단서를 통하여 본 연구자가 생각하는 욕망의 경험과 단상들을 기술하였다. 그 이유는 본 연구자의 생각과 작업에 임했던 마음의 고백이 본 연구 작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진실한 방법이라 생각했고 그로 인해 인간 본성에 더 가까이 다가가 불시에 엄습하는 욕망에 당황하고 거북해하기 보다는 좀 더 솔직해지고 당당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모든 것의 근원이 되는 사랑에 대한 확신을 전달하고자한다. Regardless of their freewill, people share their lives with others as we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suppression of everyday desires that comes with social life may seem natural. But in actuality, the fact that we are accustomed to these rules and institutions contradicts with the fact that restoring and returning to human nature is one of the greatest problems man faces in this day and age. This study focuses on this issue and attempts to positively reassess our natural desires. By examining the lives of other animals, it discusses how the proper pursuit of these desires can contribute to human society.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sexual desires, which are suppressed greatly by law and institutional ethics, from a psychological viewpoin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the justification of artistic creation was explained based on theoretical knowledge of eroticism and taboos. Also a comparative study was done on the diversity and future potential of erotic art in other genre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the unfolding of art works. With regards to expressional techniques, molding methods, the relationship between Terra sigillate and clay, and the process in which each is created were examined. Through this, an attempt was made to present an effective method of molding and expressing with Terra sigillate,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rough the self-diagnosis on desires, which is written in a confession type manner, I tried to express my random thoughts and experiences related to desire. This is because I believe that a confession on the attitude I had towards my works and thought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explain my creations. These are all efforts to make another step towards the true nature of human beings and to be frank and have dignity about my desires rather than be embarrassed and shun away from them. Ultimately this will be an opportunity for me to convey to others the confidence I have in love, which is the essence of this world.

      • 국회의원후보자의 정당추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기열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국회의원후보자의 정당추천제도는 우리 정당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병리적 현상과 맞물려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한마디로 말하면 보수일변도의 정당이고 특정지역을 지지기반으로 하는 지역중심의 정당체계와 매우 권위적이고 정당민주화가 되어 있지 않으며 이합집산이 많고 정당일체감이 결여되어 있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추천제도가 지나치게 중앙 집중적인 추천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확실한 구속력을 지니지 못하는 정당법, 당원의 자격을 명확히 하지 않은 후보자의 자격, 중앙당 중심의 추천절차, 중앙당의 기준에 맞는 후보자추천 기준에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의 정당이 정당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하는 정당 내부의 민주화를 통하여 정당 본래의 모습을 찾아가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국회의원후보자의 정당추천제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정당이 국회의원후보자를 추천할 때 반드시 정당구성원이 참여하는 선출절차를 거쳐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국회의원후보자는 해당선거구의 당원대회 또는 대의원대회에서 선출되어야 한다. 특히 당 대표가 공직후보자를 결정하거나 계파별로 안배하는 전근대적인 사고로 결정하는 방법은 사라져야 한다. 당원대회에 참여하는 당원은 당원으로 일정기간 등록되어야 하고, 일정기간 이상의 당비를 납부한 자이어야만 한다. 진성당원의 수를 늘리기 위해 일시적으로 예외규정을 두면 급조된 당원들이 많이 생겨 본래의 취지와 상반될 것이다. 당원에게 후보자 선출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등 당내 민주화에 기여하며 상향식 의사결정의 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한다면 당원은 늘어날 것이고 당비도 제대로 납부할 것이다. 정당추천제의 민주화는 또한 정당내부질서의 민주화, 즉 당내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따라서 국회의원후보자 선출권이 정당간부의 수중에 있고 그 결정이 당원의 의사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당내민주주의의 원칙에 어긋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당의 후보자추천은 상향식의 당론결정과정을 통하여 일반당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제도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지역구 당원의 의사를 존중하여 추천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추천이고 그렇게 되어야 하겠지만 현재의 정치문화로는 아직은 지역구 당원의 결정으로만 후보자를 결정했을 때 정당이 국회에 있어 꼭 필요한 인물을 당선시킬 수 없을 수 있고, 지역구의 이해관계로 인해 지역의 유지가 돈으로 당선될 가능성 또한 크므로 시기상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지역구 당원 또는 대의원들의 결정에 대하여 중앙당의 인준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그 절차는 당헌으로 정해야 한다. 그러나 당의 인준절차에서 선출된 후보자를 거부할 경우 반드시 재투표를 요구하여야 하며 재투표 결과는 최종적으로 효력을 가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정당이 요구하는 당선 가능성의 기준과 유권자가 요구하는 이상적 조건을 모두 갖춘 후보자를 추천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울 것이지만 한국정당은 이를 찾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정당의 당내민주화를 이룩하고, 정당정치의 발전을 도모하며 대의제 민주정치의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공정별 문서화 연구

        박기열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는 정보화 사회로써 컴퓨터와 통신기술이 합해진 정보통신은 우리사회의 커다란 변혁을 일으키고 있다. 이제는 정부, 은행, 경활서, 연구기관, 기업, 병원, 언론, 학쿄등 우리사회의 뼈대가되는 곳의 사무실은 물론 백화점등 유통센터나 심지어 동네 수퍼마켓, 약국, 비디오가게 에서도 컴퓨터와 통신은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에는 반드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적용시킬수 있어야하는 소프트웨어가 준비되어 있어야 하는데,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규모 또한 점점 더 방대해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소프트웨어 생산성과 질적인 면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따라가지 못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은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않아서 엄청난 개발 및 유지보수 비용을 들이고 있다. 이는 다른 요인도 많겠지만 특히 표준화된 개발 공정이나 개발 방법론 및 기법등이 적절하게 활용 되지 못한 것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 사무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적합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개발공정을 제안 하였다. 개발 공정별 효과적인 문서화가 산출될 수 있도록 단계별 산출물과 표준양식을 제시하여 개발기간중 사용자와 개발자, 개발자와 개발자등 프로젝트에 관계하는 요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모하였고 사후 관리에 철저히 준비하도록 하였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질을 평가하고 향상 시키기 위하여 검증(verification)과 확인(validation)과정을 매 단계마다 추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서 본 논문의 개발공정별 문서화 방법을 적용하면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소프트웨어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될 수 있다. Modern time is an information society. An information network combining computer with the technology of communications is bringing about a revolution in our society. Nowadays computer and communication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laces such as government administration, banks, ploice stations, hospitals, printed matter and schools. which are the framework of our society. And also in supermarkets, drugstores, video-shops, etc. But, for them to be useful, the software to meet the user's demands must be prepared. Furthermore, the user's demands for the computer are growing more and more complex and more numerous. We are spending a great amount of money in the maintenance of software because the software development was not done systematically, and the software is not complying with the user's requests in its productivity and quality. This is due to the lack of a standardized development or method and a lack of skilled technicians. Therefore. a systematic and standardized develoment proess is suggested in this paper. This process is suitable to the development of a O.A(office autom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outputs and stanrd forms for documentation, and during the development time makes a free communication be established between a user and a programmer, a programmer and a project manager, between the members in a project team. This helps to assure them of the accuracy of their results. Verification and validation are added to each step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oftware. Consequently, if we apply "process Documentation for software development" to new project, an effective and successful project for software development wi11 be completed.

      • KD147모드 주행 디젤 차량의 매연 대푯값 결정 방법 연구

        박기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제 목 : KD147모드 주행 디젤 차량의 매연 대푯값 결정 방법 연구 디젤 차량의 부하검사 방법인 KD147모드 매연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차량들의 매연 배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현재 KD147모드의 매연 대푯값 결정은 최고 피크점을 기준으로 전, 후 0.25초 구간의 5point 산술평균한 값을 매연 대푯값으로 결정하고 있어 매연의 발생구간은 전 구간 중에 여러 point에서 발생하고 있는 차량의 실제 측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매연 결과값은 최고 피크점을 기준으로만 형성된다. KD147모드 매연 측정값을 좌우의 이웃한 매연 측정값과의 차이가 전체 매연측정 평균값의 20%이상이 되면 그것을 피크점으로 인정하여 나타내었더니 기존의 방식보다 여러 개의 피크점이 생성되었으며 이들 피크점들의 평균값을 KD147모드 측정 대상차량의 매연 대푯값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새롭게 제안하였다. Abstract Korean via 147(KD147 mode) load of diesel vehicles with particulate measurements in the exhaust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est conditions Park, Ki Yeol (Supervisor Lee, Choong Hoon) Dept. of Automotive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moke emissions of Diesel vehicles were measured using KD147 mod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presentative smoke value for the tested Diesel vehicle is calculated by averaging five consecutive smoke measurement points which consists of a maximum smoke point over the KD147 mode, two points before the maximum and two points after the maximum with the measurement time interval of 0.25 second. To use the five points averaging smoke value as a representative smoke emission value for the tested vehicle has problem that it can not include other several peak points during the KD147 mode driving. A new method for deciding a representative smoke value for the tested Diesel vehicle was researched. Multiple smoke emission peaks over the KD147 were detected. The multiple smoke emission peaks are averaged for getting the representative smoke value for the tested veh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