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일제강점기 동래 지역 조선인 경제인의 경제활동과 연고 결속

        선우성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동래 지역 조선인 경제인의 경제활동을 살펴보고, 거기서 형성된 그들만의‘연고(緣故) 결속’의 실상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일본인 중심 부산부 위주의 식민지 경제정책 아래서 차별과 일본인 자본의 위세에 심각한 재생산의 위기를 감내하면서도 근근이 생존할 수 있었던 역사적 동력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일제강점기 대부분의 조선인 사업체는 일본인 운영 사업체에 비해 자본과 기술면에서 취약하였다. 동래 지역 역시 이러한 현실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럼에도 1914년에서 1942년 사이 동래 지역에 설립된 조선인 사업체는 집계된 것만 회사는 26개사, 공장은 126개소였다. 조선인이 중역으로 참여하였던 조합도 12개소였다. 그 중에는 동래연관조합과 같이 전통적인 수공업의 근대화 모습이 포착되기도 하였으며 동래 지역의 산업 발달을 위한 관민일치 운영의 양말제조공장의 설립 등 노력이 있었다. 조선인 경제인들은 나름의 곡절과 대응을 통하여 식민지 말기까지 존속했으며 그러한 가운데 혈연, 지연 등 연고를 통한 경제활동의 모습도 보였다. 일제강점기 동래 지역의 사업체를 보면, 전시체제기라고 하더라도 생활밀착형 사업체 이상의 성장이 어려웠다. 예를 들어 그나마 가장 많았던 곡물류 업종에서 10년 이상 장기간 존속하는 업체의 경우 영세한 만큼 인적 유대관계를 통하여 운영되고 있었다. 그와 같은 동래 지역 조선인 경제인의 인적 연계망을 추적하고자 혈연 연고, 지연 연고, 혈연과 지연의 중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혈연 연고에서는 수안동 청주 한씨가 혈연 연고에 기반을 둔 경제활동이 두드러졌다. 지연 연고는 대대손손 지역 내 혈연적 연계망의 토대에서 형성된 이른바‘전통에 기반을 둔 혈연형 지연’체계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대체로 조선인 경제인이 연고에 기반 한 채, 영세한 자본으로 지역의 생필품 수요에 기반 하여 미약한 공급능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전개하였고, 이는 동래군 조선인 사업체가 식민지시기 생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conomic activities of the Korean businessmen in the Dongnae region of Pu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o clarify their cronyism, that is, their blood and regional connections. In particular, it tries to make understood the historical momentum for Koreans to survive, under the disadvantages of their being discriminated by the colonial economic policy and overwhelmed by Japanese capital as well. Most business by Korea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weaker in capital and technology than that by Japanese. The reality of the Korean business in the Dongnae region was not much different. As tallied between 1914 and 1942, there were 26 companies and 126 factories in Dongnae region. There were also 12 unions in which Koreans acted as directors. Among them, there were unions for modernized traditional handicrafts, such as the Dongnae Associ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socks-manufacturing factory operated by government-civilian coope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es in the Dongnae region. Korean businessmen had survived coping with ups and downs until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Meanwhile, there were also economic activities sustained through solidarity based on blood and regionalism. Even during the period of war, the Korean business in Dongnae region had difficulty growing beyond the daily necessity business. For example, in grain industry, which had the largest portion of it, companies that had lasted for more than 10 years were run by personal connection due to their small scale. To track down the personal connections of the Korean businessmen in Dongnae region, this study examines their blood ties, regional relationships, and the overlapping of both. Han Family of Suan-dong Cheongju stands out in economic activity based on blood ties. What is remarkable in regional relationship is ‘a system of blood-linked regional relationships based on traditions’, which had been formed generation after generation on the basis of blood-linked networks in the area. By these ties, the Korean businessmen made efforts to maintain their meager supply capacity which met only the demand from the daily necessities of the region. As a result, the blood and regional connec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urvival of the Korean business in Dongnae reg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일제강점기 경남지역 고적보존회에 대한 고찰

        선우성혜 慶南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남은 임란의 격전지이며 고대 일본과의 빈번한 교류가 이루어진 지역이었다. 따라서 일제는 식민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한 근거지 및 임란에서 왜군의 활약을 볼 수 있는 지역으로 조선 지배를 공고히 하고자 의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 이전부터 관심을 가져왔다. 한편으로, 조선민중에게 경남지역은 임란의 격전지로서 전승지로 구국충절의 정신이 새겨있는 곳이면서, 고대 국가의 발원지라는 점에서 민족영웅에 대한 존숭심과 지역에 대한 자긍심·애향심강한 지역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역사적 특성을 바탕으로 경남지역에서는 일찍부터 고적보존회가 등장하고 있었다. 경남지역의 고적보존회의 설립은 이 시기 고적보존회 설립의 일반적 현상과 마찬가지로 총독부 고적조사보존정책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은 지역민들의 애향심과 조상에 대한 존숭심이 그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며 본 연구를 시작했다. 경남은 일제하 설립되는 다양한 고적보존회의 동향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경남 각지에서 설립되는 고적보존회의 존재양상은 해당 지역의 지역민들이 품고 있던 조상 및 지역의 민족 영웅에 대한 존숭심과 애향심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제하 경남지역 고적보존회를 연구한다는 것은 의미를 갖는다. 본고는 이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일제하 총독부 고적정책의 변화를 통해 경남지역 고적보존회의 설립 배경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경남지역에서 나타나는 고적보존회의 실제적인 존재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일제하 경남지역 고적보존회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를 통해 살펴본 경남지역의 고적보존회의 성격은 크게 官邊的·民官合作的·民族的인 구분 속에서 이해할 수 있었고, 민간과 관인이 같이 활동하고 있음으로 넓은 의미에서 民官合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별로 그 성향은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남해와 통영의 경우 민족적 성향이 보다 강하게 드러난다. 뿐만 아니라 민족적 성향이 강한 지역의 고적보존회 활동은 참여인물이 비단 해당 지역에서만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인근지역의 인사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활동하고 있었고, 이는 1930년대 전국적으로 일어난 민족적 고적보존운동의 영향이었다. 이와 같은 점으로 미루어 보아 경남지역 고적보존회는 경남이 가지는 역사적 특성을 바탕으로 일제의 정책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지역에 따라 그 성향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Gyeongnam was one of the intense battle fields at the time of the Imjin Korea-Japan War, and was an area where exchanges with ancient Japan were fulfilled. Thus, Imperialist Japan had paid attention to this area before it took over Korea in order to justify its colonial ruling. On the other hand, for the Joseon people, the Gyeongnam area was an intense battle field, a site of the greatest victory, and a place where state-saving heros’ spirits were engraved.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it was a place of origin of an ancient nation, and was a base for national heroes’ activities, the residents had stronger attachment to and pride of it than any other people from other areas. Thus, based on such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e Gyeongnam area had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early in the Japanese Imperialist era. As was the case with the general phenomenon in the foundation of a historic sitet preservation society at that time, its foundation was affected by the Government-General’s policy of historic site preservation. However, in some subareas, the local residents’attachment to the areas and their respect for forefathers also had grea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s activities.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in the Gyeongnam area have such characteristics that one can find the trends of various such societies founded in the Japanese Imperialist era from it one fell swoop. Furthermore, the society has certain amount of significance in that it was based on the residents’ respect for their forefathers and national heroes and their attachment to the area. With this recognition,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foundation of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in the Gyeongnam area through changes in the Government-General’s policies for historic sites in the Japanese Imperialist era. And, based on this, it also tries to explic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by looking at the aspects of its substantial existence in the Gyeongnam area. Consequently, through this paper, I can understand the society’s characteristics as having propensities of official sources, civilian and official collaboration, and the nation, and it can be said to be based on civilian-official collaboration in that civilians and officials participated in its activities. However, the propensities were different from area to area, and Namhae and Tongyeong had more national tendency. In addition, in the activities led by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ies in the areas with strong national propensities, the participators did not remain at their original areas, but had active relationships with neighborhood figures. To judge on the basis of these points, though it was influenced by the Imperialist Janpan’s historic site policies,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in the Gyeongnam area had strong national propensities on the basis of the area’s historic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