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을 위한 발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연구

        홍지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노인의 체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발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체력 증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작 요소, 음악 요소, 창의 요소를 기반으로 발레를 응용한 노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인복지관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적용시켰다. 연구의 대상자는 노인복지관 회원 중 발레 프로그램을 경험한 적이 없는 65세 이상 85세 이하의 노인 17명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게 프로그램을 실시 전, 후 인바디 및 뇌파, 맥파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체구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임피던스 체지방 측정기(H20)를 사용하였으며 하위요인은 체중, 체지방, 내장지방, 근육량으로 분류하였다. 뇌파와 맥파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뇌파(EEG:Electroencephalogram) 맥파(PPG:Photoplethysmogram) 스트레스 진단기 (Omnifit Mindcare)를 사용하였으며 대응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피던스 체지방 측정기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비교 분석한 결과 체중에 감소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골격근의 차이는 있었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며, 체지방은 감소하여 유의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내장지방 역시 감소하여 유의미한 결과로 이는 발레 응용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중, 체지방, 내장지방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뇌파 맥파 스트레스 진단기를 이용하여 발레 응용 프로그램을 전, 후 노인의 뇌파 검사 결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와 뇌파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뇌파 맥파 스트레스 진단기를 이용하여 노인의 맥파를 발레 응용 프로그램 사전, 사후 검사 차이를 분석한 결과 맥파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만족도 조사 결과 신체적 정신적 능력 감소를 겪는 노인들에게 발레 응용 프로그램은 일상생활 동작 및 신체적인 건강 회복에 긍정적 대답을 얻었으며, 집단 신체 활동을 통해 유대감 형성에도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노인 대상 발레 응용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 노화에 체중과 체지방 및 내장지방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 청소년의 바른 식생활을 위한 식품첨가물 관련 영양교육의 필요성

        홍지현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위해정보전달을 촉진하여 청소년들이 식품첨가물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갖고 바람직한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식생활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사회가 산업화되고 발달하면서 다양한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수많은 가공식품이 생산되어 섭취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공식품 생산에 필수적인 식품첨가물들이 우리나라에서도 600여종 이상 허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식품첨가물은 식품의 품질을 높이고 보존성과 기호성을 향상시키며 식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식품첨가물을 사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소비자들은 동시에 가공식품에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우려와 안전성에 대한 불신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바른 먹을거리와 건강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식품첨가물은 인위적으로 첨가한 화학적 성분이라는 것 때문에 몸에 해로운 것은 아닌지 자신이 안전한 양을 섭취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궁금증과 우려를 갖고 있다. 물론 무분별한 사용이나 섭취 또는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무허가 제품의 사용은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것이다. 그러나 실제 국가에서 일련의 안전성 평가과정을 거쳐 안전성이 입증된 것들만 식품첨가물로 허용되어 관리되고 있고, 각 첨가물별로 안전기준이 설정되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상황과 소비자 인식 간에는 큰 격차가 존재하여 다수의 소비자들은 식품첨가물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으며 바른 식품 선택이나 식생활 영위에 장애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식품첨가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러한 왜곡된 인식은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한 충분한 정보의 부족에서 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최근 TV 등 대중매체에서의 걸러지지 않은 편향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는 소비자의 심리를 이용하여 식품산업체들이 마케팅 전략으로 식품첨가물이 전혀 들어가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여 홍보함으로써 식품첨가물 자체가 위해한 물질이라는 인식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근래 식품첨가물의 인허가 및 안전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식품첨가물의 소비 및 안전성 평가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오면서 인공감미료나 아황산아질산 등 기능별 식품첨가물에 대한 교육홍보 매체의 개발 노력이 이뤄져 왔으나, 소비자들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바로 잡고 소비자들이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공신력 있는 정보매체 개발과 이를 활용한 교육홍보 노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과자, 캔디, 청량음료 등 가공식품 섭취 경향이 높은 청소년들은 일상생활 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에 있고 실제 자신의 간식을 직접 선택하여 구매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안전한 식품선택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된다면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식품선택 행동이 형성 될 것이다. 따라서 학부모 뿐 아니라 청소년들에게도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이 올바른 식품 구매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막연한 불안감에서 벗어나 자신의 안전한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필요가 있다. 어릴 때의 식품에 대한 경험은 식품섭취와 관련된 식품기호 및 식사행동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장기의 그릇된 식사행동으로 인한 질병은 성인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어 커다란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가공식품의 이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식품첨가물의 섭취는 피할 수 없는 실정이 되었다. 이에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지식을 전달해 줄 수 있는 정규 수업시간의 교육과정이 제공되어 올바른 인식으로 학생들의 식생활에 도움이 되고, 언론이나 주변 사람들을 통해 습득하는 무수히 많은 정보 중 올바른 사실들을 식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중심단어 : 청소년, 식품첨가물, 위해정보전달, 가공식품

      • 대중매체 영양정보와 건강기능식품 구매의 상관성 연구

        홍지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people pay more attention and have more interest in health recently, the demand on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health is increasing and more and more people get to pay attention to health functional food. With the increased attention, mass media are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on health and nutrition and nutrition information that mass media provide mak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the future purchase of health functional food associating with the interest in health.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nutrition information mass media provide and the purchase of health functional food by analyzing the purchase and the satisfaction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with the most interested nutrition information, nutr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frequency, interest and reliability and the kind of the mass media which they get nutrition information mainly. The subjects were 568 adults in large cities such as Seoul, Daegu and Ulsan. When analyzing mass media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al variables, we found the followings; with the increased age and monthly average income, they tended to acquire nutrition information through TV, newspaper and magazine, had interest in nutrition information regarding disease prevention and cure. Those who are younger and have less monthly income tended to get nutrition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and have more interest in cosmetics and weight control(p<0.05). Male subjects tended to have interest in the recovery from tiredness and prevention and remedy from the disease, while female subjects tended to have higher interest in cosmetics and weight control(p<0.05). As they became older, they had more interest in nutrition information that mass media provide and acquired it more frequently. Female subjects showed higher interest and reliance on the nutrition information that mass media provide,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enders(p<0.05). From the analysis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and satisfaction rate according to mass media related variables, we could find that those who have more interest in disease prevention and remedy, and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had significantly more experiences i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Those who have more interest in cosmetics and weight control had significantly less experiences i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p<0.05). Those who have more interest, are more reliance on and acquire nutrition information more frequently had significantly more experiences i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p<0.05). The number of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according to the mass media from which they get nutrition information was 8.59 for others (including specialized books), 8.32 for the newspapers and the magazines, 7.61 for TV and 6.12 for internet(p<0.05). It shows the more they have interest in nutrition information and the oftener they acquire nutrition information, the more health functional food they buy. As the interest and reliability grows, the satisfaction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grows together(p<0.05). From th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ose who have more interest in nutrition information and acquire nutrition information more frequently have more purchase experiences and buy mor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the accuracy and expertise of the nutrition information to be delivered to the consumers through mass media. With this, we need to educate consumers so that they can judge the right and wrong of the nutrition information that mass media provide and how to select the right health functional food.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지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심과 비례하여 대중매체는 건강과 영양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며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는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연관되어 향후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매체에서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성인들의 주요 대중매체 급원과 가장 관심 있는 영양정보, 영양정보 습득빈도, 관심도, 신뢰도와 함께 건강기능식품 구매 및 만족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대중매체 영양정보와 건강기능식품 구매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도시(서울, 대구, 울산)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568명을 대상으로 최근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대중매체 관련 변인 분석결과, 연령과 월평균 소득이 증가할수록 TV와 신문?잡지를 통해 영양정보를 취득하고 질병예방 및 치료에 관한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연령과 월평균 소득이 감소할수록 인터넷을 통한 영양정보 취득률이 높고 미용과 체중조절에 관한 영양정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남성은 피로회복과 질병예방 및 치료에 관한 영양정보에 높은 관심을 가지며 여성은 미용과 체중조절에 관한 영양정보에 더 높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 습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와 신뢰도는 여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별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대중매체 관련 변인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구매 및 만족도 분석결과, 질병예방 및 치료와 건강유지 및 증진에 관한 영양정보에 관심이 많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과 체중조절에 관한 영양정보에 관심이 많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 신뢰도, 습득 빈도가 높아질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영양정보를 주로 얻는 대중매체 종류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구매개수는 37종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중에서 기타(전문서적 포함)가 8.59개, 신문?잡지가 8.32개, TV가 7.61개, 인터넷이 6.12개 순으로 나타났다(p<0.05).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 습득 빈도가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개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도와 신뢰도가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영양정보에 대한 관심도, 습득 빈도가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구매경험과 구매개수가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중매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전달되는 영양정보에 대한 정확성과 전문성을 확립하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와 더불어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영양정보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별할 수 있는 안목과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선택에 대한 소비자 교육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지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 수준별, 무용 능력별, 무용 경력별에 따라 무용멘토링,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무용 수준별(고등학생, 대학생), 무용 능력별(콩클 안나감,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수상함), 무용 경력별(1-5년 미만, 5년 이상)에 따라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수행지도,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무용멘토링 하위요인(역할모델, 수행지도,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예술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층집락 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소재한 3개의 예술 고등학교와 3개의 대학무용학과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설문검사지법을 실시했다. 총 472명을 대상으로 무용 수준별 분포는 고등학생 223명, 대학생 249명, 무용 능력별 분포는 콩클 안나감 103명,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221명, 수상함 148명이다. 또한, 무용 경력별 분포는 1-5년 미만은 225명, 5년 이상은 24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들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 적합성이 증명되었으나 기술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토 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 SPSS 18.0을 이용한 M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수준별 집단(고등학생, 대학생)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 수준별에 따른 무용멘토링은 역할모델,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 수행지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수준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자기평가의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수준별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은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 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2.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능력별 집단(콩클 안나감,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수상함)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1) 능력에 따른 무용멘토링 사후분석(Scheff) 결과 역할모델, 정신적 지원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들이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평균점수상으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지원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하지 못한 무용수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수행지도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2) 능력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별 평균에서는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자기평가 요인에서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3.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경력별 집단(1-5년 미만, 5년 이상)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

      • 형태재인과 스캠퍼를 활용한 특성화고등학교 심벌마크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연구

        홍지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를 통해 현재까지 시각언어는 우리의 생각과 사상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어 왔다. 특히 시각언어 가운데서도 심벌마크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으로서 중요한 존재의의를 가지고 있다. 심벌마크는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즉각적이고 정확한 이미지로 의미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공공기관이나 단체, 그리고 개인을 위한 차별화된 시각적 표현으로 대내외적으로 빼놓을 수 없는 홍보매체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시각은 인간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감각기관중 하나이며, 눈으로 본 이미지는 인간의 지식과 기억, 경험 등의 잠재의식과 반응하여 재해석된다. 즉, 시각형태의 구성은 인간의 심리와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 디자인 중에서도 심벌마크 디자인 수업에 인지심리학의 한 영역인 형태재인의 개념을 아이디어를 시각적 형태로 구성하는 스케치 단계에 접목함으로써 사물의 형태를 구조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우고, 이를 통하여 창의적 디자인 형태로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체계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필요성과 내용, 방법 및 연구의 제한 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심벌마크 이론과 형태재인 및 스캠퍼 기법 이론을 문헌자료와 논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형태재인 및 스캠퍼 이론의 분석 및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다섯째, 앞서 살펴본 이론과 현재 디자인 교육 상황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형태재인이론과 스캠퍼를 활용한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형태재인 이론 중 RBC 이론과 스캠퍼 기법을 연관시킨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였고, 각 단계별 학습내용은 크게 "이론-형태재인 학습-디자인소재 형태분석-스캠퍼를 활용한 형태변환-발표 및 평가"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 이론학습 단계는 심벌마크 디자인 실습에 앞서 관련이론 학습으로 구성하였으며, 2단계 형태재인 학습단계는 형태재인 및 RBC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한 형태구조화 실습으로 이루어졌다. 3단계 디자인소재 형태분석단계는 본격적인 디자인과정에 앞서 디자인 소재를 선정하여 형태를 분석하는 형태구조화 실습의 응용과정이며, 4단계 스캠퍼를 활용한 형태변환단계는 실제적인 디자인과정으로 앞서 분석한 소재를 스캠퍼 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심벌마크 디자인을 완성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5단계는 발표 및 평가 단계로 자신의 디자인 결과물을 발표하고 상호의견을 교류하여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특성화 고등학교의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본 학습지도 방안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어진다면, 학습자들의 인지기억 속에 재인된 형태를 구조적으로 시각화하는 기초적인 형태감각 뿐만 아니라 디자인 아이디어 전개능력 및 표현능력을 향상시키고, 창의적인 심벌마크 디자인 형태표현에 관한 문제해결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 경기혁신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홍지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혁신교육에 대한 현직 교사들의 인식을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경기혁신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향후 경기 혁신교육 정책 및 운영 방향을 제언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혁신교육과 경기 혁신교육의 개념, 철학, 특징, 성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경기도 초·중·고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총 122명을 대상으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교 교사 중 혁신학교 경험자들의 혁신학교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들의 혁신학교 재직 경험은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을 제고하고, 학교 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혁신학교의 확대는 필요하다. 경기혁신교육 실시 이후 가장 큰 변화로 혁신교육의 가장 중요한 학교교육과정의 방향(목적) 공유, 학교 교육 철학(비전)을 교육 주체들 간 공유하고 논의하게 되었으며, 교사 간 소통하고 협의 하는 문화 조성,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 의견 반영 정도, 학부모 참여 활성화 정도, 교사 교육과정 권한 위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활성화와 자발적 참여 정도를 높이고,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운영함으로써 학교 내 교사 간 교육활동 중심의 수업 개방 및 나눔의 문화를 정착시킨 점은 매우 의미가 크다. 둘째, 혁신교육의 인식 차이는 학교급별로는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학교 내 교사 간 소통하고 협의 하는 문화 조성, 교육활동에 학생 의견 반영 정도, 지역사회와의 소통 문화 활성화, 학교 안 전문적 학습 공동체에의 자발적 참여, 학교 안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교육과정 연계 운영, 학교 안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교사 간 수업 나눔 연계 운영 및 교육과정 공동 연구 등에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즉, 경기혁신교육의 실시로 구성원 간의 소통과 참여의 학교 문화로 민주적인 학교 운영이 이루지게 되었다. 또한,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과정의 운영으로 학교교육과정 편성 ·운영시 지역 자원 활용 정도,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교육과정(프로그램) 운영, 학교 철학의 학교(혹은 학교) 교육과정 반영 여부, 교사 간 학년(혹은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지속적 운영 차이가 나타났으며, 역시 혁신학교가 일반학교 보다 점수가 더 높게 나타탔다. 교사들의 교육활동은 교사 개인 역량 보다, 학교 공동체 문화에 의해 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교사들이 혁신학교의 경험을 많이 공유하여 혁신학교 문화를 더 확산할 수 있도록 혁신학교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경기혁신교육 실시 후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의 획기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교사, 학생, 학부모 등 교육공동체 모두가 참여하여 학교 철학을 만들고 이를 공유하고 있다. 경기혁신교육 전 학교교육과정은 교육부에서 내려오는 top-down방식이었고, 학교 내에서도 담당 부장 중심으로 편성 운영되었다. 경기혁신교육 실시 이후, 교사, 학생, 학부모 등 모든 교육 주체가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참여하여, 지역별로 학교별로 교육 주체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bottom-up 방식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으로 변화하고 있다.

      • J.S.Bach-F.Busoni의 Chaconne in d minor BWV.1004에 관한 연구 : A study about Chaconne in d minor Bwv.1004 of J.S.Bach-F.Busoni

        홍지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Ferruccio Benvenuto Busoni(1866~1924), born in Italy,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pianists, composers and arrangers as well as of the greatest neo-classic musicians in Germany. He was brilliant enough to produce numerous works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genres such as vocal pieces, operas, and, instrumental and orchestral pieces. There is no doubt Busoni is a great figure in the history of piano arrangement, who worked some masterpieces of great virtuosos in the past to reclothe them with arrangement in a creative way. Having arranged, especially, the pieces of Johann Sebastian Bach, he was competency of arrangement has highly been recognized as the competent arranger. The piece analyzed in this study is the Chaconne arranged for piano by Busoni in 5th movement of Partita No.2 in D minor, BWV1004 originated by J. S. Bach. His significant work for this is in two aspects. First, some limitations of techniques and textures from contrapuntal polyphony in which violin solo takes the part as melodic instrument in the origin are alternated into the piano which makes each part of its voices distinct. Second, not only faithfulness to the origin, but also enlargement by adding another counter-part into it presents new sound worl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ano, fingering, pedaling, articulation and pedal point, he puts various expressions into the Chaconne with the piano instrument. In oder to know the intension to overcome some limitation of instrument in terms of techniques through the arrangement by Busoni, this study the Chaconne by Bach and arranged Chaconne by Busoni. Besides, it also studied the techniques in order to be helpful for performance, understand the intention of the composer and express properly which is required to any performers. 부조니(Ferruccio Benvenuto Busoni, 1866-1924)는 이태리 태생으로 독일에서 활동한 신고전주의(Neo-Classicism)의 대표적인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편곡가이다. 그는 성악곡, 오페라, 관현악곡, 기악곡 등 다양한 장르의 많은 작품을 남겼다. 또한 그는 과거 많은 대작곡가들의 작품을 창의적인 시도로 편곡하여 피아노 편곡 역사에 있어 큰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특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작품들을 편곡함으로써 그 기량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곡은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 Partita No.2 in d minor BWV.1004> 중 5악장인 샤콘느(Chaconne)를 부조니가 피아노용으로 편곡한 것이다. 작곡가로서 편곡에 대한 그의 큰 업적은 바흐 원곡의 선율악기인 바이올린 독주가 감당해야 했던 대위법적 폴리포니(polyphony)의 양식적, 기술적 한계성을 피아노로 대체하여 성부의 구분을 명확하게 해 주었다는데 있다. 또한 편곡을 함에 있어 원곡에도 충실할 뿐만 아니라 원곡을 더욱 더 확장하여 다른 대선율을 첨가하기도 하였으며 새로운 음향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시도를 위해 곡의 형식(form)과 조성(tonality), 화성(harmony), 리듬(rhythm), 음역의 확대와 축소, 빠르기(tempo), 세밀한 악상 표현, 연주를 위한 손가락번호(fingering), 페달(pedal),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지속음(pedal point) 등을 사용하여 피아노의 특성을 잘 살려 피아노라는 악기가 지닌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부조니의 편곡을 통하여 악기의 기술적 한계성을 극복하려는 의도를 알고자 먼저 바흐의 샤콘느를 살펴보고, 부조니가 편곡한 샤콘느를 연구 분석하였다. 또한 피아니스트들에게 요구하는 작곡가의 연주 의도를 올바르게 인지하고, 표현, 연주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그 연주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연령별 체질량지수에 따른 남녀노인의 혈압과 기능체력의 차이 -국민체력100을 이용하여

        홍지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민체력 100에 참가한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중 2015~2019년도 데이터로 노인의 연령별 체질량지수에 따른 혈압과 기능체력을 분석하였다.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맥압, 평균동맥압을 측정하였으며, 악력, 상대악력,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유연성),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하지근력), 2분 제자리 걷기(심폐지구력), 의자에 앉아 3m표적 돌아오기(평형성), 8자보행(협응력)을 측정하였다. 통계는 SPSS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남성은 이완기 혈압(F=4.296, p<.001), 수축기 혈압(F=3.868, p<.001), 평균동맥압(F=5.14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노인여성은 이완기 혈압(F=1.968, p<.05), 수축기 혈압(F=2.645, p<.01), 맥압(F=2.079, p<.05), 평균동맥압(F=2.421,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남성은 유연성(F=2.637, p<.01), 하지근력(F=2.147, p<.05), 평형성(F=3.609, p<.001), 협응력(F=3.89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노인여성은 악력(F=17.618, p<.001), 상대악력(F=16.047, p<.001), 유연성(F=13.576, p<.001), 하지근력(F=5.931, p<.001), 심폐지구력(F=7.247, p<.001), 평형성(F=7.564, p<.001), 협응력(F=5.70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과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혈압이 높고 기능체력은 낮았으며, 저체중의 경우에도 기능체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노인에게서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노인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후속연구로 신체활동량과 영양소섭취량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ge-related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and functional fitness among BMI in elderly men and women. This study included male and female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Fitness Award from 2015 to 2019. SBP, DBP, PP, and MAP was measured. Functional fitness test included hand grip strength, sit-and-reach, chair stand, 2-min steps, timed up-and-go, and 8-foot up & go. The results indicate that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age and BMI groups was found on SBP, DBP, and MAP in elderly men,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SBP, DBP, PP, and MAP in elderly women.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ere observed in flexibility, lower body strength, balance, and coordination by age and BMI groups in elderly men,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hand grip strength, relative hand grip strength, flexibility, lower body strength, aerobic endurance, balance, coordination in elderly women.

      • 임신과 남편의 사회적 지지가 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홍지현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신과 남편의 사회적 지지가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아산시보건소를 이용하는 임산부 120명, 정상대조군으로 일반 주부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로는 개인이 얼마나 정서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가를 알기 위하여 김정희(1991)가 제작한 검사로 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SES)를 백혜원(1993)이 번안하여 표준화시킨 척도로 하였다. 우울증 척도는 Zung(1970)의 우울증 자가 측정표를 가지고 우울 정도를 측정해 보았다. 자료 분석에서는 임신유무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고, 임신 여성 집단과 비임신 여성 집단 각각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의 상관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각 집단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계수가 차이가 있음을 알아보기 위하여 Fisher의 z 값으로 변환해 상관차이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인구 통계학적 변인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를 독립변인으로하는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임신과 사회적 지지가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결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임신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임신은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경우에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임신유무와 직업유무, 소득정도, 결혼기간의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 결과, 임신 중에는 전업주부로 생활하는 여성이 자아존중감이 높고, 우울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신 중일 경우에는 소득이 적다고 하여 더 우울하거나 자아존중감이 낮아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혼 1년차 여성들이 임신한 경우 가장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며 낮은 우울정도를 지닌다. 그러나 비임신의 경우 결혼 1년차 여성들이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없으나, 우울정도 경우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20 pregnant women who used the Asan Health Center, with 120 common housewives as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empirically determine effects of pregnancy and husband's social support on women's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 tool used for data collection was the test manufactured by Kim (1991) to determine how much individuals perceive emotional support given to them. As for a self-esteem scale, the translation and standardization of Rosenberg's (1965) Self-Esteem Scale (SES) by Baek (1993) was used. And as for a depression scale, Zung's (1970) Depression Self-Assessment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to measur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relation to pregnancy; correlat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each of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groups; and correlation differences were tested after the transition into Fisher's value of z in order to determine if correlation coefficients vary in terms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each group. Besides, two-way ANOVA was carried out with each of demographical variable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resultant interactive effects. After the procedure mentioned above, an analysis was made for the effects of pregnancy and social support on women's self-esteem and depression, consequently obtain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and husband'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nd depression. That is, pregnancy has no effect on women'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Second,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hus, social support affects self-esteem.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among pregnancy, employment, income level, and length of marriage; so interactions were considered among them. As a result, women as a housewife showed high self-esteem and low depression during pregnancy while lower income never resulted in higher depression or lower self-esteem during pregnancy. Women who have been married for one year showed the highest self-esteem and low depression. In case of non-pregnanc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esteem of those women who have been married for a year but they showed the highest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