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임신과 남편의 사회적 지지가 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홍지현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임신과 남편의 사회적 지지가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아산시보건소를 이용하는 임산부 120명, 정상대조군으로 일반 주부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로는 개인이 얼마나 정서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가를 알기 위하여 김정희(1991)가 제작한 검사로 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SES)를 백혜원(1993)이 번안하여 표준화시킨 척도로 하였다. 우울증 척도는 Zung(1970)의 우울증 자가 측정표를 가지고 우울 정도를 측정해 보았다. 자료 분석에서는 임신유무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고, 임신 여성 집단과 비임신 여성 집단 각각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의 상관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각 집단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계수가 차이가 있음을 알아보기 위하여 Fisher의 z 값으로 변환해 상관차이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인구 통계학적 변인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를 독립변인으로하는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임신과 사회적 지지가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결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임신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임신은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경우에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임신유무와 직업유무, 소득정도, 결혼기간의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 결과, 임신 중에는 전업주부로 생활하는 여성이 자아존중감이 높고, 우울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신 중일 경우에는 소득이 적다고 하여 더 우울하거나 자아존중감이 낮아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혼 1년차 여성들이 임신한 경우 가장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며 낮은 우울정도를 지닌다. 그러나 비임신의 경우 결혼 1년차 여성들이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없으나, 우울정도 경우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20 pregnant women who used the Asan Health Center, with 120 common housewives as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empirically determine effects of pregnancy and husband's social support on women's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 tool used for data collection was the test manufactured by Kim (1991) to determine how much individuals perceive emotional support given to them. As for a self-esteem scale, the translation and standardization of Rosenberg's (1965) Self-Esteem Scale (SES) by Baek (1993) was used. And as for a depression scale, Zung's (1970) Depression Self-Assessment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to measur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relation to pregnancy; correlat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each of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groups; and correlation differences were tested after the transition into Fisher's value of z in order to determine if correlation coefficients vary in terms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each group. Besides, two-way ANOVA was carried out with each of demographical variable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resultant interactive effects. After the procedure mentioned above, an analysis was made for the effects of pregnancy and social support on women's self-esteem and depression, consequently obtain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and husband'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nd depression. That is, pregnancy has no effect on women'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Second,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hus, social support affects self-esteem.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among pregnancy, employment, income level, and length of marriage; so interactions were considered among them. As a result, women as a housewife showed high self-esteem and low depression during pregnancy while lower income never resulted in higher depression or lower self-esteem during pregnancy. Women who have been married for one year showed the highest self-esteem and low depression. In case of non-pregnanc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esteem of those women who have been married for a year but they showed the highest depression.

      • 집단미술치료가 소년수형자의 자기지각·가족 및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영의 湖西大學校 女性文化福祉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research in this report suggests that group art therapy among juvenile inmates improves self confidence and understanding of each other, which is essential for rehabilitation and can also be applied to family life, self esteem and personal relationships. Juvenile inmates commented favorably about using group art therapy as a means of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and ideas instead of concealing these emotions within only themselv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group art therapy improves self esteem among juvenile inmates. Personal growth, self image, motiv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so forth, are the main features taught in this program for independent thinking. Self evaluation during this process prevents inmates from acquiring an over inflated image of themselves(KHTP). Inmates who participate in group art therapy were found to have a more honest understanding of who they actually are. Second, group art therapy improves reconciliation between inmates and their family members. In their own personal evaluation, the difference between formal and informal groups, inmates described their feelings toward their family as a negative emotion, complaining that their family is resentful and unsympathetic. Yet these conflicts were resolved through group art therapy during which inmates expressed having positive feelings toward their parents and even stepparents and half siblings. Third, group art therapy improves the ability of inmates to cultivate personal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this subject, there is a wide range of differing opinion. For example, the study of Zimbardo et al (1973) revealed that most juvenile inmates have a tendency to put themselves first, having little concern or no consideration for others. But group art therapy provides a chance for inmates to think about the victim and be aware of their actions and not only think about themselves. This process shows that inmates can learn and connect positively with their piers through understanding of their behavior. These findings show that group art therapy is an effective program that is accepted and understood by parents for their personal involvement in preparing juvenile inmates for return to societ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emotional well being of inmates cannot be confirmed until their release from prison and return to society. Emotional conflicts must be resolved so inmates do not re-offend if confronted with the same set of circumstances. Supervision is needed after release from prison but providing group art therapy outside of prison represents a significant management challenge. With the exception of juveniles returning to prison for a second time, it is not likely that group art therapy will be available to prevent ex-convicts from committing another crime. Therefore a group art therapist must provide a program to make juvenile control their emotional conflicts. Second, group art therapy must make limited use of dangerous materials. This is the case because if many tools are available in this program juvenile inmates may make use of them as weap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ograms with resources that are safe to use by inmates. Third, group art therapy is restricted by time. The length of time spent in prison will determine the education and training benefit at school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short term programs rather than long term curriculums.

      • 노년기 자원봉사활동참여와 참여만족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성차를 중심으로

        장선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노년기 자원봉사활동 참여와 참여 만족여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에 따른 차이에 주목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 124명과 자원봉사를 하고 있지 않은 노인 310명, 총 434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원봉사관련 특성을 조사하고, 정신건강의 지표로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자기숙달감, 행복감, 심리적 안녕감,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체 응답자의 28.5%에 해당하는 노인들이 현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보다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 중 99.2%가 이타적인 이유로 자기의 삶에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노인의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기 위해 여성 노인, 남성 노인을 구분하여 자원봉사활동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성 노인의 경우 자원봉사활동 참여자가 미참여자보다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자기숙달감, 행복감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노인의 경우는 자원봉사활동 참여자가 미참여자보다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자기숙달감, 행복감, 심리적 안녕감 수준이 더 높고, 우울감 수준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만족여부가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여성 노인과 남성 노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자원봉사활동에 만족하고 있는 여성 노인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만족하고 있지 않은 여성노인들에 비해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행복감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성 노인의 경우에는 자원봉사활동에 만족하는 남성들이 만족하고 있지 않은 남성노인들에 비해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행복감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도적으로 노년기 자원봉사활동 참여 자체를 증진시키는 것뿐 만 아니라 노인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Focusing on the gender difference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olunteering on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Both positive and negative dimension of mental health were assessed. Positive dimensions of mental health were measured by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ness, self-mastery, life-satisfaction, and sense of happiness. Negative dimension was measured by depression. Data from N=434 persons aged 60 or over who were living in Choong Chung Province were used for the analys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8.5% of the respondents(N=124) was participating in volunteer work. The rate of older women was higher that of old men. 99.2% of them was volunteering with altruistic motives. Second, older men who were participating in volunteer work report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ness, self-mastery, life-satisfaction, and sense of happiness than did those who were not participating in volunteer work. But there is no evidence that volunteering was associated with depression for older men. For older women, volunteering was associated with beneficial effects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dimensions of mental health. Third, older women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volunteer work report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life-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ness, and sense of happiness than did those who were not satisfied. Older men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volunteer work report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sense of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ness than did those who were not satisfied.

      • 노년기 지원제공활동과 성공적 노화 : 공식적·비공식적 지원제공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김희순 湖西大學校 女性文化福祉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공식적·비공식적 지원제공 활동을 통한 사회참여가 노년기 성공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노인들의 성공적 적응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공식적·비공식적 지원제공이 노인 개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현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 80명과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지 않은 노인 81명, 총 16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원봉사참여정도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그리고 자녀, 형제자매·친척, 친구·이웃 등에 대한 비공식적 지원제공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공식적·비공식적 지원제공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공적 노화의 지표로 자아존중감, 자아통합감, 심리적 복지감, 자기숙달감, 우울감 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식적 지원제공활동(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노인의 과반수이상이 최소 일주일에 한 번 이상 활동을 하고 있고 개인적으로 봉사를 하는 경우보다는 그룹으로 혹은 봉사단이나 종교단체에 소속되어 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노인들은 대다수가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만족스럽게 여기고 있었고, “삶의 보람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최고의 가치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공식적 지원제공 활동과 관련된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제공되는 지원의 형태(정서적 지원·도구적 지원)에 상관없이 우리나라 노인들은 자녀에게 지원제공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공식적 지원제공활동(자원봉사활동) 참여 여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 교육수준, 종교 유무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젊은 노인층이, 교육수준에서 고졸 이상 고학력 노인층이, 종교를 갖고 있는 노인층이, 70대 이상의 노인층, 중졸 이하의 저학력 노인층, 종교를 갖고 있지 않은 노인층보다 노년기봉사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노년기 비공식적 지원제공경험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연령과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60대 노인이 70세 이상의 노인보다, 그리고 건강상태가 ‘보통이다’나 ‘아주 좋다·좋다’라고 응답한 노인들이, ‘아주 나쁘다·나쁘다’라고 응답한 노인들보다 자녀, 형제자매·친척, 친구·이웃 등에게 지원을 더 많이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원봉사 참여 유무, 자원봉사 만족도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원봉사 참여 유무의 경우 노년기 자원봉사활동에의 참여는 자존감과 자아통합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만족스럽게 느끼고 있는 노인들은 그렇지 않은 자원 봉사노인들보다 자아통합감을 더욱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노년기 비공식적 지원제공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비공식적 지원제공은 자아통합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비공식적 지원을 많이 제공하는 노인일수록 자아통합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공식적 지원제공은 우울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비공식적 지원을 많이 제공하는 노인일수록 우울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interest in defining elements of successful adaptation to aging has stimulated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social integration) and well-being in older adulthood. Much of the past research on social relationships (social integration) in later life has focused on the effects of receiving help from other people on enhanced well-being of older adults, reflecting the stereotype of older adults as burdensome and needy dependents. However, following a gradual recognition that older adults have the capacity and ability to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others and society, providing help to others in older adulthood has begun to receive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providing formal/informal support to others and multiple dimensions of successful aging, and to identify older adults'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roviding formal/informal support. The respondents were 161 persons aged 60 and over residing in the community and in institutions(volunteer, N=80; non-volunteer, N=81). Successful aging was measured with self-esteem, self-integration, psychological wellness, self-mastery, and depression.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F-test, χ2,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Major findings are (1) among elderly providing formal support, more than a half of them are volunteering more than once a week, and most of elderly volunteers are satisfied with their work, (2) among elderly providing informal support, not only giving support to children but also giving support to siblings and friends is very prevalent. (3) Providing formal support was higher for older adults with more education, of younger age, and in better health. (4) Providing informal support was higher for older adults of younger age and in better health. (5) Providing support had an association with successful aging. Specifically, providing formal suppor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and self-integration. (6) Providing inform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self-integration and depression.

      • 노년기 경제활동 참여와 참여만족여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성차를 중심으로

        김민정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노년기 경제활동 참여와 참여만족여부와의 관련성을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성차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충남에 거주하고 있으며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 113명과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은 노인 321명, 총 43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충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434명을 대상으로 하여 경제활동 참여 노인들의 취업관련 특성과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는 노인들의 취업관련 욕구를 조사하였다.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남성노인 집단과 여성노인 집단으로 구별하여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경제활동 참여와 정신건강과의 관계가 심리적 변수에 의해 매개되는 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경제활동참여의 동기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과반수 정도가 경제적인 이유로, 즉 돈이 필요해서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고, 경제활동 참여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과반수 이상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과 관련해서 만족스럽지 못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다섯 명 중 두 명의 노인은 본인이 받고 있는 임금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는 노인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관련 욕구를 조사한 결과, 다섯 명 중 네 명 가량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는 이유는 일자리가 없어서가 46.6%, 건강이 좋지 않아서가 24.5%로 나타나, 대다수의 미취업 노인들이 본인들의 의지로 미취업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여건이 허락하지 않아서 취업을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경제활동 참여여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노인의 성별에 따라, 그리고 정신건강의 차원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노인들의 경우 경제활동 참여는 부정적 차원의 정신건강(우울감) 수준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여성 노인이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는 여성 노인보다 우울감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활동 참여가 긍정적 차원의 정신건강(자존감, 생활만족도, 숙달감, 행복감,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남성 노인의 경우에는 정신건강의 긍정적 차원과 부정적 차원 모두에서 경제활동 참여여부와의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남녀 노인 모두에게서 경제활동 참여에 대한 만족여부는 노인의 정신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에 만족하고 있는 여성 노인이 경제활동에 만족하지 않는 여성노인보다 우울감 수준이 더 낮고, 생활만족도, 숙달감, 행복감 수준은 더 높았다. 한편 경제활동에 만족하고 있는 남성 노인이 경제활동에 만족하지 않는 남성 노인보다 생활만족도, 숙달감, 행복감 수준은 더 높았으나 우울감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on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influence of economic activities varied due to gender differenc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dimension of mental health were assessed. Positive dimensions of mental health were measured by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ness, self-mastery, life-satisfaction, and sense of happiness. Negative dimension was measured by depression. Data from N=434 persons aged 60 or over who were living in Choong Chung Province were used for the analys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6% of the respondents(N=113) was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About half of them had jobs for financial needs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Second, four out of five older adults who were not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were found to want to take part in economic activities. Most of them were not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because they could not find a job(46.6%) or were not in good health(24.5%). Third, the influence of economic activities was found to vary due to gender differences and differences in the dimension of mental health. For older women,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was associated with beneficial effects on negative dimension of mental health. That is, older women who we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reported lower level of depression than did those who were not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However, there was no evidence that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d effects on the positive dimensions of mental health. For older men,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didn't have any effects on either positive or negative dimension of mental health. Fourth,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of both older women and older men. Older women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activities reported lower level of depression and higher level of life-satisfaction, self-mastery, and sense of happiness than did those who were not satisfied. Older men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activities reported higher level of life-satisfaction, self-mastery, and sense of happiness than did those who were not satisfied.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hat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was associated with depression for older men.

      • 대학생의 가족체계,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간의 관계

        김미혜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와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남 소재 H대학교 기숙사 학생들 가운데 무선 표집한 355명(남:182, 여:173)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Olson 등(1985)이 개발한「가족응집성 및 적응성 척도」FACES(Family Adaptability and Cohension Evaluation Scale)Ⅲ, Rosenberg(1965)가 제작한 「자아존중감 척도」SES(Self- Esteem Scale), 그리고 Schien 등이 개발한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AS 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Stepwise lisrel 8.30)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가족체계유형,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하위요인 중 만족감, 의사소통, 개방성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체계와 대인관계 전체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가족응집성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가족응집성 수준이 매우 연결될수록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수준은 높아졌다. 셋째, 가족적응성 수준별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 하위영역별 수준도 민감성의 영역을 제외하고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가족적응성 수준이 매우 융통적일 때 자아존중감 수준과 대인관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극단가족에서 균형가족 체계유형으로 갈수록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가족체계유형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경로 분석을 한 결과,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에서 자아존중감으로 가는 경로, 자아존중감에서 대인관계로 가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족응집성·가족적응성과 대인관계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응집성이나 적응성에서 대인관계로 가는 경로도 유의하여 자아존중감이 가족응집성이나 가족적응성과 대인관계사이의 관계를 완전히 매개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 및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게 해주며 대학생의 대인 갈등시 가족체계적 관점에서 상담의 접근 필요성을 제기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system,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it showed how college students perceived family system and self-esteem as factors i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pproximately, 355 colleage students(male 182, female 173) were used as subjects. The measurement scales used were FACESⅢ(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and Evaluation Scale) by Olson (1985), SES (Self-Esteem Scale) by Rosenberg (1965), and Schien's Relationship Scal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AS 8.0 program,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path analysis, and Stepwise lisrel 8.3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family organization, and self-esteem in gender differentiation.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s between the genders in terms of self-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in the subordination of self-esteem.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family syst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gender. Second,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adaptability in terms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ird, statistically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esteem and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level of family adaptability. The level of subord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except the realm of sensibility also appeared to hav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Furthermore, the level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 score were higher when family adaptability was more accommodative. Fourth,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lf-esteem and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 system. That is, it was higher in the balanced family structure than the unbalanced family. Fifth, that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type of family system, and self-esteem affected th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foremost variable factor of college student's personal relation was self-esteem, and next was family cohesion. Sixth, the result of path analysis to prove the cause and effect in the student-perceived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self 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was from family cohesion, and family to self esteem to personal relationship. Results showed that affection was a factor in developing self-esteem among the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But the path from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to interpersonal relation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Thus, self esteem cannot fully be a mediating factor betwee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t just partially.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factors, family structure and self-esteem are predi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that in dealing with personal related conflicts among college students, there is a necessity to approach them with counseling in the view point of family system.

      • 부모양육태도 및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과 남자 중학생 자아분화 수준과의 관계

        유혜경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이 지각한 자아 문화와 부모 양육 태도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대상은 천안시에 소재한 C남자 중학교 387명으로 하였고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조 척도,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척도, 자아 분화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Win 10.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F검증과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중학생 자아분화수준은 자아분화의 하위요인 중 가족퇴행이 가장 높으며 자아의 통합이 가장 낮았다. 둘째, 부모 양육 태도와 자아분화 수준의 관계는 아버지의 온정 수용 행동은 자아분화의 모든 하위 요소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아버지의 허용 방임 행동은 정서적 단절 및 가족 퇴행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아버지, 어머니의 거부 제재 행동은 자아의 통합을 제외한 자아분화 모든 하위요소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 어머니의 온정 수행 행동은 자아의 통합을 제외한 자아분화 하위 요소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허용 방임 행동은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 정서적 단절 가족퇴행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아분화와의 관계는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자아통합의 상관을 제외한 자아 분화 하위요소 전체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아버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자아의 통합을 제외한 자아분화의 모든 하위 요소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 가족퇴행, 가족투사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정서적 단절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부모 양육태도가 온정 수용적 일수록 자아분화가 높게 나타났고, 거부 제재가 많을수록 자아분화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자아분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의 자아 분화 발달에 대한 양육환경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대한 기초 자료 제공의 의미가 있으며 또한 남자 중학생의 인성지도와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differentiation of male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parents' nurtur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tudy subjects are 387 male students of C middle school in Cheonan and the scales of parents' nurturing attitud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a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is executing average, standard deviation, F verification, and Person's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y using SPSS program (Win 10.0).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self-differentiation level of male students in middle school was highest in family retrogression among the subcategory 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but lowest in self-integr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urturing attitude and self-differentiation level, father's warmth-acceptance behavior shows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subcategory 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while father's permissiveness-noninterference behavior shows nega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break and family retrogression. The rejection-restriction behavior of parent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subcategory 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except self-integration while mother's warmth-acceptance behavior display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category 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except self-integration. Regarding recognition function and emotional function, emotional break, and family retrogression, the negative correlations are shown in mother's permissiveness-noninterference behaviors. Thir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the open communication of parents with children displays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category 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except mother's open communication and self-integration. The father'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how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subcategory 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except the self-integration. Mother'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has its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function and emotional function, family retrogression, and family projection but it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break. Fourth, the self-differentiation level gets higher as parents nurturing attitude has warmth-acceptance more, while it became lower as they have rejection-restriction behavior more. Also, parents' open communication is appeared to have the positive effect on self-differentiation. This study has its meaning to offer the fundamental data on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nd nurturing environment regarding the self-differentiation of mal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and useful data for parents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for male students in middle school.

      • 게임중독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조옥자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679

        우리나라 인터넷 사용 인구 10명 중 9명 이상이 게임을 즐기고 있으며, 인터넷은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문화의 장을 제공하면서 즐거움과 흥미, 도전정신을 길러준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게임중독 등의 부작용을 낳고 있다. 또한 청소년 비행과 범죄가 급증하게 되고 폭력 행동의 정도도 이전보다 더욱 심각해져 주요한 사회 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서 폭력과 관련된 청소년의 비행의 원인들은 여러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컴퓨터 게임이 청소년의 공격성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급속하게 변화하는 인터넷 게임과 청소년의 모습을 비췄을 때 현 시점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여겨진다. 그래서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에 초점을 둔 중학생용 게임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게임사용의 완화와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소재하는 중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3학년으로 실험군 22명과 대조군 22명이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한국게임산업개발원(2004)에서 개발한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게임중독 완화와 공격성 감소에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해 강원도청소년종합상담센터(2004)와 충청남도청소년종합상담센터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재구성 하였다. 조사도구는 김유정(2002)과 이형초(2002)의 도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재구성한 게임중독 척도와 민귀식(2001), 정영숙(2000)의 도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재구성한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사전조사와 사후조사의 2단계를 거쳐 실시되었다. 사전조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게임중독 척도와 공격성 척도를 측정하였으며, 사후조사는 실험처치 이틀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전조사와 같은 내용의 척도 측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동질성 검정은 x²-test와 t-test로 산출하였고, 가설검정은 t-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P값 0.05수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게임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비실시 집단보다 게임중독 가능성이 낮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으므로(t=-4.06, P=0.0003), 중학생의 게임중독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게임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비실시 집단보다 공격성 감소 정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도 지지되었으므로(t=-5.54, P=0.0001), 중학생의 공격성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중학생의 게임중독 가능성 완화와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짐으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As for the population of using internet in our country, 9 persons out of 10 are enjoying a game, and the internet has even a positive aspect that nurtures pleasure, interest, and the challenging spirit while offering a place of new culture to adolescent, but is bringing about the side effect such as game addiction that cannot be controlled itself. Also, in a real situation that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 come to rapidly increase, and in addition, the degree in the violent behavior becomes more serious than before, thereby being emerged as one of major social problems, it can be found the causes for juvenile delinquency from various aspects, but it is regarded that the computer game even among them is related to adolescents' aggression. Therefore, in light of the rapidly changing internet game and adolescents' looks, it is thought to be required this program that was seen from new sight. So, by developing the game-addiction protection program for middle-school students, which focused on preventing the internet game addition, it verified the effects having on the alleviation in the use of a game and on the reduction in aggression. The research subjects were 22 person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22 persons in the control group, as the 2nd graders and 3rd graders who are in middle school of asan city, Chungcheongnamdo.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introduced and reconstituted the program that was developed by Gangwondo Youth Counseling Center (2004) and Chungcheongnamdo Youth Counseling Center, in a bid to effectively intervene in the alleviation of game addition and in the reduction of aggression, based on the 'Juvenile game-addiction protection program.' In terms of a research tool, it used the game-addiction scale that a researcher reconstituted on the basis of the tool by Kim Yu-jeong (2002) and Lee Hyeong-cho (2002), and the aggression scale that a researcher reconstituted on the basis of the tool that Min Gwi-sik (2001) and Jeong Yeong-suk (2000) .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ver 2 stage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pre-test was measured the game-addition scale and the aggression scale as 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post-test was attained through the scale measurement of same contents as the pre-test as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wo days of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calculated with an actual number and the percentag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homogeneity test was calculated with x²-test and t-test, and the hypothesis tests was used t-tes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this study was set to the level of 0.05 for P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supported the hypothesis (t=-4.06, P=0.0003) that the group, which conducted the game-addiction protection program, will have lower possibility for game addiction than the group that was not carried out, thus it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to the alleviation of game addiction in middle-school students. And, it was supported even the hypothesis (t=-5.54, P=0.0001) that the group, which conducted the game-addiction protection program, will have higher degree in the reduction of aggression than the group that was not carried out, thus it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to the alleviation of aggression in middle-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seen to be effective to the alleviation in the possibility of game addiction and to the reduction in aggression in middle-school students, thus it is thought to be worthwhile to be applied to the educational site.

      • 노인 취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생활만족도와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명예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679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erspective that many old adults are healthy, active, and productive,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mployment on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employment is linked to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Both positive and negative dimension of mental health were assessed. Positive dimension of mental health was measured by psychological wellness, self-mastery, and sense of happiness. Negative dimension was measured by depression. Data from N=434 persons aged 60 or over who were living in Choong Chung Province were used for the analys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6% of the respondents(N=113) was employed. About half of employed older adults had jobs for financial needs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s. Seco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mployment in older adulthood has beneficial effects on the negative dimension of mental health. That is, those who were employed reported lower levels of depression than did those who were not employed. The beneficial effects of employment remained meaningfully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nd age of older adults. Third, the investigation on the mechanism through which employment has their effect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employment on mental health are mediated by self-esteem and life-satisfaction. 본 연구는 많은 노인들이 건강하고 활동적이며 동시에 생산적 존재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여 노년기 취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현재 충남에 거주하면서 취업하고 있는 노인 113명과 미취업노인 321명 총 43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취업 관련 특성을 조사하였고, 정신건강의 지표로 심리적 안녕감, 행복감, 자기숙달감,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또한 노인 취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메카니즘을 분석하기 위하여 심리적 매개변수를 투입하였으며, 매개변수로서 자존감과 생활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첫째, 현재 취업 중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취업 관련 특성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인 이유’로 취업하고 있는 노인들이 가장 많았으며(54.7%), 과반수 이상이 취업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과 관련해서 만족스럽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다섯 명 중 두 명의 노인이 ??임금??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미취업 노인을 대상으로 취업 관련 욕구를 조사한 결과, 다섯 명 중 약 네 명의 노인들이 취업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취업하고 있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일자리가 없어서’가 46.6%, ‘건강이 좋지 않아서’가 24.5%로서 대다수의 노인들이 본인들의 의지로 미취업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여건이 허락하지 않아서 취업을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취업여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본 결과 취업 노인들의 우울감 수준이 미취업 노인보다 더 낮아, 취업은 정신건강의 부정적 차원(우울감)에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성별, 연령)이 고려된 후에도 유의미하게 남아있었다. 넷째, 취업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의 메카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심리적 매개변수로 자존감과 생활만족도를 투입한 결과, 노년기 취업은 자존감과 생활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정신건강(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내 성폭력경험과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및 성태도와의 관계분석

        장명심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1679

        ��遍 The study tri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at school and mental health, sexual Attitudes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ces. A sample of 583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at school and mental health, sexual Attitudes. Results showed that sexual harrassment was the most frequent behavior they experienced at school whereas sexual assault was the behavior related to respondents' mental health the mostly.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score in Obsessive-Compulsive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showing in general female students' lower level of mental health. Also th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at school, expecially experiences of sexual assault, were intensively related to the various areas of students' mental health, expecially among male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