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敎育 大學院 音樂 敎育과 敎育 科程의 比較 分析 : 11개 대학원을 중심으로

        김정숙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9695

        우리나라에서는 解放이후 일반 대학원의 設立을 시작으로 特殊 대학원, 專門 대학원 등으로 發展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그 동안 內的, 外的으로 많은 補强과 變遷 發展을 해 왔으나 아직도 是正 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內在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本 硏究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 중에서 指導者的 資質과 人格을 갖춘 專門敎育家를 排出하는데 있어서 是正 補完되어야 할 要素들을 찾아 보았다. 그 중에서도 音樂 敎育의 가장 根本的인 것이 교육 과정이라 생각 되어 音樂 敎育科가 있는 國內 11개 大學院을 任意로 選定하여 그 교과과정을 比較․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事項을 發見하게 되었다. 1. 1987年度까지의 교과 과정은 選擇과 必修가 區分되어 있었으나, 이화 여 자 대학교와 관동 대학교를 除外한 대다수의 나머지 9개 학교가 選擇과 必修를 따로 區分하지 않고 있어, 요즘의 近況은 選擇과 必修를 따로 區 分하지 않는 趨勢로 가고 있다. 2. 혹 選擇이 있어도 실제 運用에선 학생의 自律的 선택보다는 學校當局의 일방적인 교과 과정 아래 교육이 施行되는 境遇가 많다. 3. 開設 科目數를 比較해 본 결과 平均的으로 24.8%科目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한양 대학교의 最高 35과목에서 最低 숙명 여자 대학교의 15과목수 의 학교별 차이는 學校 當局에 따른 자유로운 敎育 政策만으로 解析하기 에는 問題가 있다고 分析된다. 4. 同一 科目을 비교해 본 결과 實技 교육의 平均 比例가 5.5%로 대단히 低調하게 나타났다. 5. 國樂 理論 및 實技 敎育의 비중을 比較해 본 結果 14.5%로 국악 교육의 병행화가 施行되고 있는 요즈음의 政策에 부합 되지 않는 것으로 分析된 다. 6. 敎職 교육 과정은 일정하지는 않으나 開設 과목수가 계명대학교와 성신 여자 대학교를 除外한 대부분의 학교가 良好한 편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選擇의 機會가 많이 넓어지고 있다. 위와 같은 結果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학교별 개설 교과목수 및 配當 學點의 격차가 散發的인 現況이며, 전 체 교육 대학원의 均衡性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2. 選擇 科目이 있으나 사실상 학생의 自律的인 學科 選定이 不可하고, 학 교 당국의 一方的인 計劃에 의하여 교육이 시행되는 경향이 많다. 3. 實技 敎育이 低調하고, 현장 연구를 통한 교육 실제 경험이 不足하다. 위와 같은 이유에서 專門 音樂人의 훌륭한 소양과 자질을 갖춘 人力을 배출하기란 어려운 狀況이다. 끝으로 本 硏究가 抽出해낸 문제점들과 결과가 앞으로 많은 學究들의 具體적이고, 體系的인 연구가 되어 보다 나은 우리 나라 敎育 大學院 음악 교육의 발전에 日照를 기대해 본다.

      •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교수경험을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영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thre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undergo professional development while participating in graduate school study and different teaching practices. It illustrates thre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stories through narrative inquiry. The main voice of the stories is J(I,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J's school fellows L and K have accompanied her during the journey─our lives from the time when the participants decided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til toda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are posed as follows. First, what did English education graduate students experience while they carried out the curriculum? Second, how do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teaching experiences affect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Upon reaching a destination in this journey, J came to firmly believe that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s helped develop expertise as a pre-service English teacher because of the following four reasons. Firstly, the participants have gained the ability to use communicative language English teaching while making an effort to apply newly learned pedagogical knowledge in their working field. For example, J applied total physical response to her English play class. Also, in order to perform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it became natural for them to analyze learners' needs and consider these needs when selecting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ir conversations, the participants all agree that it was a great advantage to acquire new professional knowledge because the knowledge has improved their teaching skills, despite the difficulty with working and learning at the same time. Secondly, during the journey, three pre-service teachers became aware of new values of education through the courses such as 'educational philosophy', 'educational sociology' and 'educational psychology'. In particular, these courses let the participants recognize and discuss the issues such as students lacking learning skills, or having poor family background, classes divided into levels of student, and private education. It means that, by applying what they learned from the courses to teaching experience, the participants started to have new perspectives about students and educational issues. In other words,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s affect the pre-English teacher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English education. The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thirdly realized that cultivat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is a very crucial factor in conducting a successful class, It was also found that the even conflicts with students became the opportunity to be a mature teaching processionals. Therefore teaching experiences affect pre-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because they provide us with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Lastly, all three participants believe that they have gained a new identity of a competent English teacher. Before the graduate study, they expected that the graduate study would empower them with a English teacher certificate for secondary school. However, as their graduation is getting closer, they all agree that becoming confident and responsible as an English teacher is as important as receiving the certificate. While talking about each other's life, most of all, J had opportunities to reflect her past and present. This opportunity has also made her build the ways of making her life more meaningful and valuable. In Korea, there might be man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having similar experiences lik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 hope that this story will inspire some of them to look back on their experience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과 교수경험이 예비영어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세 명의 예비영어교사의 삶의 이야기를 내러티브 탐구로 보여준다. 이야기의 중심적인 목소리는 본 연구자 J이며 동기생 L, K가 내러티브 탐구로의 여행에 동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우리의 삶을 대학원을 입학을 결정할 때부터 졸업을 앞두고 있는 현재까지를 내러티브 탐구로의 긴 여행으로 바라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동안 어떤 경험을 하였는가? 둘째 영어교육전공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교수경험은 예비영어교사들의 전문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여행의 목적지에 도달하면서 본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교수경험은 예비영어교사들이 전문성 발달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 첫째 우리는 새롭게 배운 교육지식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동안 의사소통 영어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예를 들어 연구자 J는 전신반응교수법을 영어연극수업에 적용해 보았고, 우리는 학생들을 위해 더 효과적인 교수법을 수행하기 위해 학생들의 요구를 분석하고 교육 자료를 선택하는 일을 당연하게 여기게 되었다. 이야기를 하는 동안 우리는 새로운 이론적 지식을 통해 우리의 가르치는 기술이 향상될 수 있었다고 말하며, 일하고 공부하는 것을 동시에 하기가 힘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전문적 지식을 획득하는 것이 큰 기쁨이었다고 했다. 둘째, 여행을 하는 동안 우리는 교육철학, 교육심리와 같은 교직과목 이수를 통해 우리가 새로운 교육관을 가지게 되었다. 인터뷰를 하는 동안우리는 전에는 그렇게 관심을 두지 않았던 학습력이 부족하거나 불우한 가정배경이 있는 학생들, 수준별 학습, 사교육의 문제점과 같은 다양한 교육문제에 관해 자주 이야기하였다. 이것은 우리가 학생들에 대한 새로운 면이나 교수경험 속에서 찾은 교육문제 등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과 교수경험이 예비영어교사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셋째, 우리는 수업 중 학생에게 화를 내었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교사와 학생간의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성공적인 수업을 이끄는 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우리는 전문적인 대화와 개인적인 저널을 통해 학생과의 갈등에 대해 스스로를 반성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교수경험은 예비영어교사들에게 사제관계라는 새로운 인간관계를 배워가는 기회를 제공해주므로 전문성을 발달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세 명의 예비영어교사들은 이제 영어교사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다. 교육대학원에 입학하기 전에 우리는 교육자로서 또는 직업을 찾는 사람으로서 열등감을 가지고 교육의 전문성을 인정해주는 교사자격증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졸업이 가까워 올수록 우리는 교사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는 사실보다는 교사로의 새로운 정체성과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고 이야기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세 명의 예비영어교사들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서 배운 교육지식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려고 노력하고 반성하면서 예비영어교사로서 전문성을 확보하였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는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는 동안 그 안에서 과거를 회상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가지며 자신의 삶을 의미 있고 소중하게 다루는 법을 배웠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수많은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이 예비교사가 되기 위해 연구자와 비슷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내러티브 탐구를 마치며 이 연구가 미래의 예비교사들에게 간접적으로 현장을 체험하면서 의미를 갖고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의 연계성 분석

        염지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의 교육과정과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영어과 시험 문항을 분석하고, 둘 사이의 연계성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양성과 임용이 얼마나 적절하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6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의 4대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출제 비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1차 시험 문항을 위와 같이 4대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출제 비율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1차 시험 문항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교원양성기관 전공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교육전공 평가에서 A등급, B등급, C등급을 받은 교원양성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을 각각 2개씩 선정하여, 각 학교별로 교육과정 전공과목을 4대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별 비율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을 A, B, C등급으로 분류하여 등급에 따라 영역별 평균 비율을 분석한 후, 6개 교육대학원의 영역별 비율의 전체 평균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6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 전공과목의 비율을 등급별로 분석한 결과, 우수하고 전문성 있는 영어교사를 양성하기에 비교적 적합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은 A등급 교육대학원이라고 할 수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각 등급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는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차이에서 온 결과이기도 하겠지만, 그보다는 교원, 교육성과, 시설 및 행․재정, 발전노력 및 특성화 등의 다른 평가항목의 차이에서 온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6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영역별 전체 평균 비율을 분석한 결과, 영어교육학(45.2%), 영어학(22.7%), 영문학(18.6%), 일반영어(13.5%)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교육과정에서 전공과목이 영어교육학 영역에 다소 편중된 모습을 보이고 일반영어 영역은 낮은 비중을 보여, 표면상으로는 영역 간에 다소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교육대학원의 입학 자격 요건과 그에 따른 학생들의 학사학위 전공 및 영어능력 수준 등 교육대학원의 특수한 여건, 영어교육에 있어서의 각 영역의 중요도 등을 고려하여 볼 때, 교육대학원이 교육과정을 대체로 적절하게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2009학년도부터 2012학년도까지 최근 4년간 실시된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1차 시험 문항을 연도별로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의 4대 영역으로 출제 비율을 분석하여 4개년의 평균 비율을 산출한 결과, 일반영어(36.9%), 영어교육학(35.3%), 영어학(18.3%), 영문학(9.5%)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이 일반영어 영역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출제되고 있는 모습을 통하여, 임용시험이 현시대가 요구하는 영어교사의 자질 및 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제7차 및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신장하는 것에 가장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어구사력이 우수한 교사의 확보가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임용시험 문항의 영역별 출제 비율에서 일반영어 영역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모습은 임용시험이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된 교사의 역할을 평가에 잘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영어교육학 영역도 일반영어 영역과 비슷하게 높은 출제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임용시험이 영어교사의 자질과 능력을 평가함에 있어서 영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교수 능력을 강조함으로써, 영어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임용시험 제도가 개편된 2009학년도부터 출제 영역별 비율을 정해놓음으로써 그 비율이 비교적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었다. 따라서 2009학년도에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제도가 새롭게 개편된 이후로 그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문항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영어학 영역과 영어교육학 영역은 비교적 연계성이 높은 편이었으며, 영문학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은 연계성이 낮은 편이었다. 이는 교육대학원 등급별 비율과 임용시험 출제 비율 간의 분석, 그리고 교육대학원 전체 평균 비율과 임용시험 출제 비율 간의 분석에서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수치상으로만 분석한 것이므로,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교육대학원의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하고 전문성 있는 교사의 양성과 임용을 위하여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과 둘 사이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일반영어 영역의 심화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영문학 영역에서 순수학문이나 이론 위주의 교과목들의 비중은 낮추고 영어교육 현장과 연계되는 교과목들을 제공하여, 영어영문학전공 교육과정과 차별화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임용시험의 영문학 영역과 영미문화 영역에서는 각 영역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풀 수 있는 문항, 그리고 타 영역의 문항과 구별되는 독창성을 지니는 문항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일반영어 영역에 있어서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의 연계성을 직접적으로 높이고자 한다면, 임용시험 2․3차 시험에 대비하는 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 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에서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임용시험 특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도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의 연계를 꾀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제언이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에 반영된다면 보다 바람직한 교원 양성과 선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them. It ultimately aims to evaluate how well educating teachers and selecting teachers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progress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elected the English Education Major of six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give the students a teacher’s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for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in 2010 and 2011. The curricula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four domains, which are English Pedagogy, English Linguistics, English Literature and General English. Second, the 160 examination items for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from 2009 to 2012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o the same four domains as above, and then each domain was divided into subcategories. Lastl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six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average of the percentages according to each domain of the curricula and the examination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nglish Pedagogy domain had the highest average percentage(45.2%) of the four domains when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ere analyzed. This means the curricula reflected well specialization and professionalism of the English Education Major as a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On the other hand, General English domain had the lowest average percentage(13.5%), but that resulted from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example, the fact that most graduate students already took a lot of General English courses during their undergraduate studies. Second, General English domain had the highest average percentage(36.9%) of the four domains when the examination items for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rricula reflected well the goals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teacher’s qualities currently required. Also, English Pedagogy domain had the second highest percentage(35.3%) by a narrow margin over General English. This means the examination continues to lay importance on theoretical knowledge and teaching ability as well as English language ability when the teacher’s qualities are evaluated. Lastly, the curricula and the selection examin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Pedagogy domains, but they were not closely connected in the English Literature and General English domains when connections between the two were analyzed. However,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curricula and the selection examination tend to be properly correlated on the whole if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considered as mentioned above.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curriculum, the selection examina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five concrete suggestions are made: First, more advanced and intensive courses in General English need to be developed.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pure literature subjects need to be reduced, and more practical subjects which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field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instead. Third, the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needs to offer original items which require specialized knowledge in the English Literature and English Culture domains. Fourth, the courses which prepare for the second or the third examination in the teacher selection process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Lastly,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an open a special lecture series on the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during vacations. Educating teachers and selecting teachers can be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if the suggestions in this thesis are reflected in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 교육대학원 과정을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전문성 성장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혜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세 명의 예비영어교사가 교육대학원 과정과 그 과정 중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수 경험을 통하여 어떻게 성장하는지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본 연구는 2차에 걸쳐 실시되었다. 1차는 2010년 9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총 9개월 동안이며 연구 자료는 개인저널, 교수일지, 대화 및 인터뷰 녹취록 등을 포함한다. 2차는 2015년 7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자료는 본 연구자가 다른 연구자들에게 교육대학원 이후 경험에 대한 현장 텍스트를 추가로 요청하여 그에 대해 작성한 개인 저널이 기준이 된다. 이 자료를 통하여 해결 하고자 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을 통하여 어떤 경험을 하였으며 그를 통해 교사전문성에서 어떻게 성장하였는가?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 과정 중 가졌던 교육실천의 기회를 통해 교사전문성에서 어떻게 성장하였는가?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 과정 이후의 교직경험을 통해 교사전문성에서 어떻게 성장하였는가? 본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대학원 과정과 교수경험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다음과 같은 성장을 이루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 수업을 통해 영어이론지식을 갖추게 되면서 이제는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주변사람들에게 영어와 관련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자신감도 가지고 되고, 교육 현장에서 궁금한 것이 생기면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조사할 수 있는 능력도 키울 수 있었다. 또한 교직수업을 통해서 수준별 학급편성의 장단점, 공교육과 사교육의 차이점, 사회계층별 교육 현황 등 다양한 교육 문제에 관하여 자주 이야기하였는데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그동안은 교수경험 속에서 간과했던 교육문제를 발견해내고 함께 생각을 나눌 수 있는 힘이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새롭게 배운 이론적 교육지식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들은 가르치는 사람으로서의 내적 자신감을 갖고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키워나가게 된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 과정 중 가졌던 교육실천의 기회를 통해 교육대학원에서 배운 영어교육지식을 현장에 적용해보며,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진행하고자 교재 추가·재구성, 적절한 멀티미디어 사용, 역할놀이 활용 등 다양한 시도를 하며 그 과정 속에서도 배움을 얻게 된다. 또한 교수경험을 이야기하면서 교사로서 풍부한 교과지식을 갖추고 있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도 존중해주면서 교사와 학생간의 좋은 관계를 형성해나가는 것이 수업을 이끄는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 그러므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실천의 기회는 예비영어교사들에게 실천적 지식을 알게 하고 사제관계라는 새로운 인간관계를 배워가는 기회를 제공해주므로 전문성을 발달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교육대학원 졸업 이후 시간을 따라가 봄으로써 교육대학원에서의 이수 경험과 교수 경험이 가르치는 사람으로서의 새로운 경험에도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교육대학원을 통해 신장된 전문성을 꾸준히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교사가 스스로 수업을 반성, 재구성해보고 수업에 대한 고민을 하는 등 계속적인 자기계발 및 공부가 필요함을 현장에서 더더욱 느끼게 된다. 본 연구자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과거를 회상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가지며 그동안 흩어졌던 작은 경험에도 의미를 부여하게 되는 법을 배우게 되었다. 소수의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적 경험이지만 교육대학원과 다양한 교수경험을 통해 어떻게 영어교사로 성장해 나갔는가에 대한 이번 이야기는 멀지 않은 미래에 교육자의 길을 가고자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려는 사람들에게 교육대학원을 미리 보여주는, 하나의 길잡이 역할을 하며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 분석 연구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학 논문을 중심으로

        길덕석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9679

        풍부한 정서와 창조성을 지닌 조화로운 인간 육성을 위하여 음악교육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현실 속에 필요한 논문을 찾고자 할 경우 어떤 논문이 어떻게 나와 있는지 한데 모아진 일관성 있는 자료가 미흡한 실정인 이때에 본 논문은 음악관계를 다룬 문헌과 논문들의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교육 대학원에서 발표된 음악교육 석사 학위 논문들을 대상으로 장르별 통계 분석을 통하여 음악교육의 정보자료로서 이용․검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며, 작성된 총람의 장르별 분석을 통하여 음악 교육에 관한 연구경향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이를 연구하였다. 첫째. 현 교육 대학원의 교육목적, 교육현황, 전국 교육대학원 등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논문을 14개 장르로 나누어 그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1994년 2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제출된 음악교육 석사 학위 논문들을 장르별 분석, 장르별 - 연도별 분석, 장르별 - 학교별 분석, 학교별 - 연도별 분석, 장르별 논제의 접근 경향 분석을 각 각의 표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학의 논문 경향을 분석하였다. 위와 같이 본 연구는 새롭고 선진적인 논문들이 끊임없이 발표되는 현실 속에 본 논문의 자료를 참고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우리 나라 음악교육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더 나 아가 음악연구자 뿐만 아니라 음악에 관심을 가진 모든 사람들을 위하여 도움을 주고자 하며, 우리 나라 음악 자료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 音樂敎師들의 再敎育 機關으로서 敎育大學院의 役割에 對한 硏究 分析

        최영식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9679

        좋은 敎育은 훌륭한 敎師가 있을 때 가능하다. 敎育에 있어서 核心은 敎師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훌륭한 建物과 最新式 敎育器材를 갖추어 놓은 學敎라 할지라도 그것을 敎育的으로 의미 있게 활용할 줄 아는 有能한 敎師가 없다면 좋은 敎育이 이루어 질 수 없다. 따라서 敎師는 學校敎育에서 가장 中心的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또 實際에 있어서 重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敎師가 現職 敎育에서 습득한 知識과 技術이 계속해서 活用될 수 없는 것이고, 또 새로운 敎育內容과 知識이 계속해서 開發되기 때문에 교사들은 再敎育을 통해서 이러한 것을 習得해야 한다. 또한 敎育內容과 방법도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現職敎育에서 아무리 敎育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급속도로 開發되는 새로운 知識과 技術에 익숙하지 못한다면 敎職 임무 수행은 비능률적이고 때로는 敎師가 시대착오적인 過誤를 범하고 말 것이다. 이런 것을 통하여 볼 때 敎師들의 자기 계발과 시대에 부응하는 學習 指導力이 요구되는데 이것을 充足할 수 있는 再敎育 기관으로 敎育大學院을 들 수 있겠다. 敎育大學院의 技能은 주된 敎育 대상이 現職 敎員들이기 때문에 敎育目的도 敎師의 再敎育을 통한 敎職의 專門性 제고와 敎育에 관한 새로운 이론과 方法 및 技術 등의 습득, 硏究결과의 敎育 현장 적용, 敎育改善과 사회봉사 등을 수행하는데 있다고 할 것이다. 즉 敎育大學院은 敎師들의 再敎育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사항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再敎育을 원하는 敎師들에게 아주 많은 보탬을 주고 있다. 현직 敎員들의 再敎育에 관한 問題들을 앙케이트를 통하여 조사를 한 결과, 타 敎育 機關에서는 지나치게 짧은 기간에 체계적이지 못한 , 과다한 人員, 점수에 연연하는 등 비효율적으로 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敎育 大學院에서는 다양한 커리큘럼, 學敎 現實에 맞는 授業 進行 등으로 敎育 大學院의 敎育이 기타 再敎育기관보다 월등히 우수한 再敎育기관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14개교의 大學院의 敎育課程을 파악한 결과 現職敎員들에게 필요한 再敎育의 敎育課程이 다수 設置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再校育을 통하여 學習 現場에서의 活用은 유능한 指導者的 資質을 갖춘 敎育者 또는 敎育 專門家로 양성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敎育 大學院에서는 실제로 學敎 現場에서 勤務하는 敎師들의 목소리를 더 귀기울여 들을 必要性 또한 높다. 학교 現場에서의 學生들과의 授業에 활용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더 많이 擴大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또한 비싼 學費로 인해 많은 敎師에게 幾回 擴大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이 아쉽다 할 수 있다. 敎師의 再敎育을 위하여 政府에서는 敎師들에게 더 많은 再敎育을 위해서 敎師들에게 많은 獎學 혜택을 주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이 論文을 통하여 敎育 大學院 再敎育의 重要性을 알았으며 또한 敎師들은 再敎育을 위하여 끊임없이 연구하며 고급 人力開發을 위해 敎師로서의 專門性을 제고할 수 있도록 부단한 자기노력이 要望된다고 할 수 있다.

      • 비(非)영어교육 전공자의 예비영어교사 되기 : 내러티브 탐구

        김현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비(非)영어교육 전공자가 교육대학원에서 예비영어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을 세 명의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탐구하였다. 자료수집은 같은 시기에 교육대학원에 입학한 세 명의 연구참여자들이 각자 작성해 온 저널 및 개인자료들을 공유하고 정기적으로 만나 저널에 대한 응답을 주고받는 대화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예비영어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5가지로 나타났다. 영어교육 전공을 공부하는 학생으로 돌아감과 동시에 학생과 교사의 중간적 위치를 경험하는 과정, 교사로서의 갖추어야 할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고 그것을 현장에 실천해보는 과정, 교사가 지녀야 할 자질을 스스로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자질을 계발해가는 과정, 영어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기르는 과정, 연구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인지하고 교육연구자가 되어가는 과정이다. 결론적으로 예비교사가 된다는 것은 교사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교사가 지녀야할 자질과 전문성을 기르는 과정이다. 내러티브로 구성한 세 명의 예비교사들의 성장 과정이 교육대학원에 진학을 두고 고민하는 이들에게 실제 교육대학원 학생들이 대학원 과정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어떤 경험을 하는지 예비교사들의 삶을 이해하는 것을 도와주어 그들이 예비교사가 되기를 결정하는데에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교육담당자들에게 수업 및 교육환경에 대한 재학생들의 직접적인 목소리를 전달함으로써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에 관한 연구

        이예리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in commercial high schools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career plan of the students on the suitable of their capabilities and aptitudes in the direction of the reasonable vocational education in line with the current trend. In this study, after having considered theoretical backgrounds of both vocational educations and commercial high schools' educations I conducted a sample survey of the students from the commercial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survey consists of issues such as the career consciousnes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vocational educations. Among total 364 copies of question paper, 350 copies were collected. From them, 324 copi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except for both insincere answers and no answers. At first, this study found the career consciousnes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vocational education by frequency analysis. Next, a hypothesis was verified whether cognition of the entrance motivation, the career consciousness and the vocational education varied with sex and grade through a cross 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many students choose the present schools because they think that their school can lead them to go to college more easily. Second, students are agonizing about their courses and do not know well their aptitudes and characteristics. Third, most of the students hope to go to a college. In the choice of a occupation and a major, they would chose them based on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but they felt that there was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vocational educations offered by schools. Fourth, students prefer their teachers as a counselor. But a course counseling is hardly achieved therefore, students are dissatisfied with that. Fifth, most of the students felt the poor social recognition about people from the commercial high schools. So they wanted to have better opportunities of being employed or entering into a college.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e efficient career guidance is recommended as follows. First, the systematic and reasonable career guidance should be carried out starting from the elementary school years. Second, in order to find suitable jobs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vocational educations should be offered by their schools. Third, the career guidance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students hoping to enter into a college. Fourth, it is necessary that students have their suitable school educations. Finally, course counseling should be activated by including course counseling in the whole a course of education. 본 연구는 취업과 진학이라는 두 가지 교육현실에 당면하고 있는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과 진로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현 상황에 맞는 진로교육의 방향을 재정립하여 학생 개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진로 교육과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후, 서울 소재 상업계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의식, 진로교육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총 364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어 350부가 회수되었고, 그 중 불성실한 답변과 무 응답을 제외한 324부를 통계처리 자료로 사용하였다. 먼저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전반적인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의 실태를 파악해 보았고, 성별과 학년별에 따라 상업계 고등학생의 진학동기, 진로의식,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가설을 설정하여 교차분석과 T검증, 분산분석(ANOVA)을 통해 검증하였다.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의 실태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진학이 유리하기 때문에 상업계 고등학교를 선택한 경우가 많았으며 상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사전지식이 적은 상태에서 본인 혼자의 결정에 의해 진학한 학생들이 많았다. 둘째,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특성․소질 등에 관해 잘 모르고 있으며 자신의 진로에 대해 상당히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 대부분이 대학 진학을 희망하였고 직업과 학과 선택시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여 결정하겠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학교에서 제공하는 취업정보, 진로정보에 대해 부족함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이 선호하는 진로 상담자는 학교선생님이었지만 학교에서의 진로상담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학생들이 진로상담에 대해 매우 불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다수의 학생들이 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은 인정받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대학진학 지도의 강화와 진학기회의 확대를 원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진로지도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중학교에서부터 진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충실한 정보의 제공을 통해 학생들의 진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실시하여 진학지도를 해야한다. 둘째, 올바른 진로 탐색을 위한 충분한 진로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학교에서는 다양한 진로정보를 신속하게 입수하여 학생들에게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기존 상담실을 진로정보실로 확대하고 기능을 활성화하여 진로정보 수집과 제공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수 있도록 해야한다. 셋째, 대학진학을 위한 진학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 대다수가 대학진학을 희망하고 있으므로 상업계 고등학교에서도 취업지도에만 편중을 두어서는 안되며,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진학반을 편성하여 자신의 능력에 맞게 대학진학에 필요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의 요구에 적합한 취업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이 비싼 학원비를 부담하지 않고도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특기적성교육을 활성화시켜 다양한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 다섯째, 교육과정에 진로지도 시간을 편성하며 상담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학교에서는 진로정보를 접하고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시간을 보유하여 교사와의 적절한 진로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하며, 전교사가 진로 상담자로 나설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원연수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