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미용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만족, 전공만족이 진로결정,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2년제, 4년제 미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황수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find out how field practice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satisfaction affect career path determinat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of beauty majors, and to establish a systematic direction for cultivating professional beauty workers at the university concerned.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f-controlling questionnaire to students of two-year and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data analysis collected was used by SPSS Ver. 24.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showed that the two-year system was female for gender, first grade for grade, middle grade for grade, hair for major,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was four to five weeks,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for the second grade for the first semester, The four-year system was followed by women in gender, third grade in grade, middle grade in grade, and hair in major,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was four to five weeks, and the most suitable field practice period was the first semester in grade 2. Second, based on the survey of the surveyors' field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field satisfaction is based on two factors: satisfaction with hands-on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hands-on training, Major satisfaction is due to three factors: 'textbook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wareness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is due to 'planning', 'purpose' and 'researchability', Job preparation activities were classified as two factors: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y' and 'self-improvement activity'. Third, the impact of field satisfaction on career path determination in the survey target is defined as the two-year system is defined as the lower the factors of on-site pract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on-site practical experience satisfaction, and the more the factors that satisfy the practical training, the more the planning factors, the lower the on-course decision, Field exercise satisfaction is not related to the purpose and impact of career decisions,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hands-on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hands-on training, the more the factors of studyability, the more factors that are subordinate to career decisions, were identified as the relation of the definition, The four-year system is defined as an increasing number of planning factors, which are sub-factory factors for fieldwork satisfaction, that are sub-factor of course determination,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laboratory experience satisfaction factor, which is a sub-factory factor of the on-site pract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relevance factor, which is the sub-factory factor of the career decision, The higher the propensity of the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factor, the lower the field experience satisfaction factor, the more the studyability factor, was found to be the relation of the definition. Fourth, the impact of fieldwork satisfac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of the survey subjects was found to be due to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which is a sub-factory factor of field practice satisfaction, and the tendency of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factors of both two and four-year system, The two-year system was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a sub-factor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s the propensity for the on-site practical experience satisfaction and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factors increased, The four-year system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an increasing number of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a sub-factor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s the propensity for satisfaction factors in practical education, a sub-factor of on-site practical satisfaction. Fifth, the impact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path determination by the survey target is defined as the two-year system has a higher tendency toward curriculum satisfaction factors, which is a sub-factor of major satisfaction, and the more planning factors, which are the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The purpose,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is not related to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endency of the factors of curriculum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wareness satisfaction, which are lower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the more research factors that are lower factors of career decision, were found to be the relation of the definition, The four-year system is defined by the definition that the lower the factors of the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endency of the factors of curriculum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wareness satisfaction, the more the factors of planning, the lower the factors of career decision, Objective,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has no influe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propensity for curriculum satisfaction factor, the more research factor was found to be. Sixth, the impact of the major satisfac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of both the two and four-year system was found to be due to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which is a sub-factor of the major satisfa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The two-year system is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which are lower factors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higher the tendency of the curriculum satisfaction factors, which are lower factors of the major satisfaction, The four-year system has been shown to be the definition of an increasing number of self-improvement behavioral factors, a sub-factor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s the tendency toward relationship satisfaction factors, a sub-factor of major satisfac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o combine practical training contents and theoretical background before field practice, On the problems you might encounter in the hands-on lab, you should draw up a textbook for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How to send students to the most suitable practitioners based on a questionnaire that students can find out about the desired occupational groups and the basic information they want to support and the surveyors they are interested in, To help students with uncertainty about their majors, they should suppor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ptitude tests for their majors and desired occupational groups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In the case of social beginners, only students who want to be guided based on problems caused by employment and who want to be certified by the vocational group during the vacation will be provided with the Diploma education, Lastly, when preparing the curriculum, it suggests guiding students to become more knowledgeable about the subject in depth by ma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advanced classes of the subject,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beauty care.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실습만족과 전공만족이 진로결정과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관련학과의 대학에서 전문적인 미용산업 종사자를 배양하기 위한 체계적 방향을 정립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는 서울·경기 지역의 2·4년제 대학교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연구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2년제는 중간성적의 1학년 여학생, 전공은 헤어, 가장 적당한 현장실습 기간은 4∼5주, 가장 알맞은 현장실습 실습시기는 2학년 1학기 순으로 나타났고, 4년제는 중간성적의 3학년 여학생, 전공은 헤어, 가장 적당한 현장실습 기간은 4∼5주, 가장 알맞은 현장실습 실습시기는 2학년 1학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본의 현장실습만족, 전공만족, 진로결정, 취업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을 알아본 결과 현장실습만족은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2가지 요인으로 전공만족은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3가지 요인으로, 진로결정은 ‘계획성’, ‘목적성’, ‘연구성’ 3가지 요인으로, 취업준비행동은 ‘정보수집활동’, ‘자기계발활동’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조사대상의 현장실습만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2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각각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4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목적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의 현장실습만족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2·4년제 모두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정보수집활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2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경험 만족,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4년제는 현장실습만족의 실습교육 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의 전공만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2년제는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4년제는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계획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의 연구성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사대상의 전공만족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2·4년제 모두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정보수집활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2년제는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4년제는 전공만족의 관계만족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의 자기계발행동 요인이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장실습 전 실기 위주의 교과 내용과 이론적 배경을 접목한 교육과, 실습 시에 대면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학과의 교과 편성, 학생들에게 희망하는 직업군과 지원하고자 하는 실습업체 및 해당 실습업체에 관련하여 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기초정보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설문지를 토대로 가장 알맞은 실습업체에 파견하는 방법, 자신의 전공에 대하여 불확실성을 가지는 학생들에게 개인의 특성 및 전공과 희망하는 직업군에 대한 적성검사를 지원하여 학생들의 전공만족 개선, 사회초년생의 경우 취업 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토대로 지도하고 희망하는 학생들에 한하여 방학 중 해당 직업군에 필요한 자격증 외에 디플로마 교육, 마지막으로 교과편성 시 해당 전공의 초급반부터 고급반까지의 차이를 둬 보다 해당 전공을 심도깊게 숙지할 수 있게끔 지도하는 것을 제시하며, 미용학과의 학생들을 위한 전공만족 및 취업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 朝鮮時代 鄕校와 書院의 空間構成과 風水立地에 관한 硏究 : 地域別 주요 鄕校와 書院을 중심으로

        허태호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시대 교육과 배향 기관인 향교와 서원이 지닌 풍수적 입지상의 특성을 분석하며, 이의 연장선상에서 교육과 문화관광의 측면에서 이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조선은 유교이념이 사회운영의 제반원리로 작동하는 유교국가 체제이다. 국가적 차원에서도 유교국가 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지방민을 교화할 목적으로 향교를 모든 군현에 설립하였다. 향교를 통해 유교 중심의 교육과 문화를 강화, 확대하려는 의도였다. 한편 서원의 등장은 조선사회의 정치변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조선 중기 사림정치의 도래 이후, 서원은 사림들의 활동 근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향교와 서원은 유교와 풍수사상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유교의 위계질서와 절제미를 표출하고 있으며, 풍수적 지형을 통하여 인재 배출 통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입지와 배치의 측면에서도 산줄기를 타고 오는 지기地氣를 온전히 받도록 하는 풍수지리의 요소를 중요하게 적용한다는 공통점을 지니면서도, 기능의 중요성에 따라 차이점을 보였다. 본 논문은 여덟 곳의 향교와 다섯 곳의 서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향기능과 강학기능 그리고 이와 연계된 공간배치, 풍수적 입수와 혈의 결지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능과 그 중요성에 따라 공간 구성의 차이를 보였다. 첫째, 기능의 중요성에 따른 우선순위의 차이이다. 향교는 선현에 대한 제향, 강학, 사회교화 등이며, 서원은 강학과 제향, 그리고 풍류와 지역사회의 도서관 역할 등이었다. 둘째, 향교와 서원의 배향대상과 공간구성의 차이이다. 향교는 배향대상으로 중국을 포함시켰다. 반면, 서원은 중국을 제외시켰으며, 서원의 학맥을 대표하는 사람 1인을 배향하였다. 따라서 향교는 배향인물이 많았기 때문에 대성전⦁동무⦁서무에 나누어 배향하였다. 서원은 사당에 배향을 하였다. 다음으로 건물 배치의 차이이다. 향교는 배향공간의 대성전과 강학공간의 명륜당을 중심으로, 전묘후학⦁전학후묘⦁좌묘우학⦁우학좌묘 등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선현을 배향하는 대성전을 위계상 우선시 하였다. 서원은 배향 인물이 적어 전면으로 나오지 못하고 가장 깊숙한 곳에 배치하고 있다. 규모도 작았으며, ‘사당’이라고 명명하였다. 셋째, 강학기능과 배향기능의 공간구성에 있어서 위계질서를 엄격하게 구분하였다. 강학공간은 유학의 가르침을 직접 주고받는 공간이며 배향공간은 제사를 통해 선현들의 가르침을 되새기는 수양공간으로 제례행사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건물의 배치 위치나 높이도 위계상으로 대성전이 명륜당보다 높고 크다. 명륜당의 단과 건물의 높이는 대성전보다 낮아야 하며, 건물의 규모도 대성전 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넷째, 향교와 서원의 입수 영역이다. 향교는 지방의 관부에서 읍성 밖으로 1리 혹은 3리 이내에 배치되었으며, 관부의 남쪽에 배치되지 않았다. 이것은 관부가 자좌오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간섭하지 않기 위함이었다. 향교는 관부의 동쪽 혹은 서쪽에 별도의 지맥을 잡아 배치하였으며, 굳이 자좌오향을 고집하지 않았지만 특이한 점은 대성전이 혈처에 배치한 곳이 많았던 것이다. 반면 서원은 관부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좌향은 자좌오향이 대부분이었으며, 강당을 혈처에 배치하였다. 이것은 사림이 자좌오향을 선호하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혈처에 강당을 배치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강학기능을 중요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향교와 서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시점에서 향교와 서원을 조선시대의 교육기관과 같은 역할로서 기대할 수는 없지만, 점점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전승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쉽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향교, 서원, 강학, 배향, 대성전, 명륜당, 청룡, 백호, 풍수입지, 사당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two majo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Joseon dynasty, played roles to demonstrate order and moderation of Confucianism and to develop talents by Feng Shui topography as the coexisting space with the perspectives of Confucianism and Feng Shui. Hence, with respect to the locations, orientations, and architectures of two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how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were expressed differently with the selection criteria of Feng Shui topography for local officers and noblemen to receive the wisdom from the mountain range; to seek the utilization status and plans of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that had maintained their position as serving places of ancestors for some scholars; and to find out the useful implications of the architectures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To do so, 8 Confucian schools and 5 Seowons in the local administrative cities were investigated as the study subjects including Confucian schools in Seonggyungwan, Naju, Jeonju, Sangju, Gyungju, Cheongju, Chungju, and Chuncheon; and Sosoo, Dosan, Byungsan, Pilam, and Museong Seowons, respectively. They were divided by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firs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spatial functions, organization, and Feng Shui location were reviewed for both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Differences were also reviewed and lastly, their utilization status and plans were approach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Confucian schools and Seowons was the organizer, either public or private. With respect to the foundation period, Confucian schools had been originated from the Goryeo dynasty and they were established at the local counties in King Seongjong, the Joseon dynasty while Seowons were originated in the 16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Main functions of Confucian schools were memorial service for the ancestors as a top priority followed by pursuit studies and reforming society. Seowons functioned pursuit studies first followed by memorial service for the ancestors and they played roles as public libraries for the communities. In terms of locations,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in downtown near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while Seowons were located in the uncrowded areas with good scenery. Second, with regard to differences of the function of serving the past scholars and space, Confucian schools prioritized serving the past scholars including Confucius, 4 Wes, 10 Cheols, and national 18 Hyuns while Seowons served one scholar representing their schools. Therefore, Confucian schools served separating them into Daesungjeon, the East, and the West since the ancestors were many, and Seowons served them in the shrine. With respect to the allocations of architectures, there were allocation criteria in Confucian schools including Jeonmyowhohak, Jeonhakwhomyo, Jwamyowoohak, and Woohakjwamyo based on Daesungjeon and Myungryundang as the spaces for ancestor service and studies, respectively, and they prioritized Daesungjeon to serve the ancestors. Since the number of ancestors to be served in Seowons was not many, the shrine was located deep inside without exposure in front. Third, the hierarchical order was strictly divided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lecture function and orientation function. The Ganghak space is a space for directly exchanging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and the Orientation space is a training space that reflects the teachings of the predecessors through rituals. Fourth, related to the locations,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within 1 to 3 Ri out of fortress from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nd they were not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overnment office. This was not to interfere each other since the government office was located as Jajwaohyang. Confucian schools were located in the east or west of the government office following separate vein, and they did not follow Jajwaohyang with clean area of Daesungjeon. On the other hand, Seowons were located in the calm and noncrowded areas without affecting the government office following separate vein, and they followed Jajwaohyang, reflecting its preference by scholars in Joseon. Allocation of auditorium in Seowons at the caves implicated they empathized pursuit studies. Fifth,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s of utilization status as the cultural tourism, Confucian schools were designated as ‘treasures’ or ‘local cultural properties,’ while 9 Seowons were enlisted as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s’ in 2019. In terms of education, both institutions focused on personality education commonly, while the students were children and general public for Confucian schools and multiple targets were for Seowons including children, adolescents, adults, foreigners, and so on connecting with cultural tourism. For future development plans, Korean Seowon Integrative Conservation Management Corps took the initiatives for succession of Seowons. There is Union of Confucian schools for Confucian schools, however, they showed ununified features with loud voices from each scholar, separately, which made the investigator depressed. They should develop educational and playing programs integrating th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o as for the youth to approach them easily without burden. Keywords: Confucian School, Seowon, Pursuit Studies, Serving the Past Scholars, Daesungjeon, Myungryundang, Blue Dragon, White Tiger, Feng Shui, Shrine.

      •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가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최영재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how the values of college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influence the career-decision making style,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career 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to become a professional person. To achieve this aim, a survey was carried out on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hair, skin esthetic, make-up, nail art) in colleg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between April and June 5, 2014, and 332 copies among them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 of analysis. Collected data was used for SPSS 18.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the majority with 309 persons (92.0%), 99 respondents among them were senior students (29.5%), and 235 students (69.9%) responded that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beauty art major was ‘because they had interest and aptitude’, implying that large percentage of students give priority to their interest and aptitude in selecting their major. Yet 181 students (53.9%) answered that ‘I did not take an aptitude test upon entering the college’, implying that still there are more colleges that do not administer an aptitude test. Presently, the skin esthetic was taken up by most students as a detailed major, with 181 students (53.9%), followed by majors of Make-Up, Hair, and Nail Art. Most desired field of employment after graduation was opening a personal shop or franchise shop, with 145 respondents (43.2%), followed by working at a hospital,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department store or goods corporation. Sightly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187 students (55.7%), said that they obtained esthetic-related national certificate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factors for values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were values of material orientation, ego-realization orientation, practicality orientation, emotion-orientation, social-relation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of-others orientation.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major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included satisfaction with subjects, class, relation, and awareness; and factors for career maturity were purposefulness, decisiveness, preparedness, confidence, and independence. Factors for career decision-making were rationality, intuitiveness, and dependence. Third,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howed distinct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for values, except for material-oriented and emotion-oriented values; and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nd their career maturity showed distinct corelation in terms of all factors for values. Gratification with major of beauty art students and career maturity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except fo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career maturity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career maturity also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all factors. Fourth,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tudents in upper grades showed higher values of material orientation and ego-realization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of-others orientation, and students in lower grades showed higher social relation-oriented values and emotion-oriented values. With regard to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specific major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material-oriented values and ego realization-oriented values were high in majors of skin esthetic, and social relation-oriented values and practicality-oriented values were high in majors of hair. Students who want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material orientation, ego-realization orientation, and social relation-orientation. With regard to the different satisfaction with maj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students of skin esthetic or hair major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different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howed high career maturity, and students of skin esthetic or hair major showed high preparedness, and students who want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showed high career maturity. With respect to different career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kin aesthetic majors, and students intending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s showed high rationality in decision making. Fifth,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fluence between values, satisfaction with major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re as follows.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were turned out to influence every factor for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maturity, especially the values of ego-realization orientation showed the biggest influence.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influence every factor f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Satisfaction with majors by beauty art college stud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and it was analyz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every factor f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is research outcomes are significant in that it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 rational decision making concerning the career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impact of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rough this research, a career educational course for the right and accurate career decision-making by beauty art students, as well a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미용전공대학생이 전문직업인으로 나아가기 위한 진로지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14년 04월부터 06월 05일까지 수도권 지역의 미용전공대학생(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 대상으로 332부를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의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은 여학생이 309명(92.0%)으로 높았으며, 학년은 4학년이 99명(29.5%)으로 나타났고 미용전공을 선택한 동기는 ‘관심과 적성이 있어서’가 235명(69.9%)로 나타나 학생들이 전공 선택 시, 자신의 관심과 적성을 고려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입학 시 ’적성검사를 받은 적이 없다’가 181명(53.9%)으로 아직 적성검사를 하지 않는 학교가 더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세부전공은 피부가 178명(53.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크업, 헤어, 네일 전공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취업희망분야는 개인 샵 또는 프랜차이즈 샵이 145명(4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 백화점 또는 제품회사의 순으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관련 국가자격증을 취득하였다는 187명(55.7%)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요인은 물질지향 가치관, 자아성취지향 가치관, 실용지향 가치관, 감성지향 가치관, 사회관계지향 가치관, 타인의식지향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요인은 교과만족, 수업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으로 나타났으며, 미용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요인은 목적성, 결정성, 준비성, 확신성, 독립성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사결정유형 요인은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간에는 물질지향, 감성지향가치관을 제외한 모든 가치관 요인과 뚜렷한 상호관련성을 보였으며, 가치관과 진로성숙도간에는 모든 가치관 요인과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가치관과 진로의사결정유형 간에도 모든 가치관 요인과 상호관련성을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 간에는 수업만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간에는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나타냈다.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간에도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넷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고학년일수록 물질지향, 자아성취지향, 타인의식지향 가치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학년일수록 사회관계지향, 감성지향 가치관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물질지향과 자아성취지향 가치관은 피부전공이 높았으며, 사회관계지향과 실용지향 가치관은 헤어전공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은 물질지향, 자아성취지향, 사회관계지향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는 고학년일수록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헤어·피부 전공학생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는 고학년 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나 헤어전공학생이 다른 전공학생에 비해 높은 준비성을 보였으며,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의 차이는 고학년과 피부 전공자,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에게서 합리적 의사결정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진로의사결정유형간의 영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장 많은 영향력을 보인 것은 자아성취지향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용전공대학생의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전공대학생의 바르고 정확한 진로결정을 위한 진로교육과정 개발과 향후 전문직업인으로써 직무만족 향상 및 자부심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미용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남성의 사회적 이미지 형성을 위한 눈썹 형태와 추구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20〜30대 남성을 중심으로- : 한국과 중국 20〜30대 남성을 중심으로

        왕아정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20∼30대 남성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눈썹 형태와 추구하는 이미지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추론하고, 이를 통해 남성의 사회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있어 추구이미지에 따라 인상 형성에 주요 변인이 되는 눈썹 형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 및 통계에 의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한국 남성의 일반적 특성의 경우 ‘26∼30세’, ‘미혼’, ‘애인 없다(미혼)’, ‘사무/관리직’, ‘대학교 재학 및 졸업’과 ‘고등학교 졸업’ 순이었고, 중국 남성의 경우는 ‘20∼25세’, ‘기혼’, ‘애인 없다(미혼)’, ‘생산/기술직’, ‘대학교 재학 및 졸업’, ‘대학원 재학 및 졸업’ 순이었다. 이를 통해 같은 연령대의 중국 남성이 한국 남성에 비해 일찍 결혼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직업도 한국은 ‘사무/관리직’이 많은 반면, 중국은 ‘생산/기술직이 많았으며, 학력에 있어 중국 남성들의 대학원 진학이 한국 남성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한국 남성의 경우 ‘표준형’, ‘일자형’, ‘아치형’, ‘상승형’, ‘각진형’ 순이었고, 중국의 경우는 ‘표준형’, ‘아치형’, ‘각진형’, ‘상승형’, ‘일자형’ 순이었다. 이를 통해 한국과 중국 남성의 가장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표준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가장 선호하지 않는 눈썹 형태는 한국은 ‘각진형’, 중국은 ‘일자형’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 남성들이 가장 선호하지 않는 ‘각진형’ 눈썹을 중국 남성들이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 중국 남성들이 남성적인 이미지를 보다 많이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과 중국 남성 모두 가장 추구하는 이미지는 ‘자연스러운’ 이미지였고, 가장 추구하지 않는 이미지는 모두 ‘귀여운’ 이미지였다. 그러나 한국 남성들의 추구이미지에서 중·하위권에 차지하는 ‘품위 있는’, ‘남성적인’, ‘역동적인’, ‘강인한’ 이미지가 중국 남성들에게는 상위권에 추구하는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중국 남성들에서 하위권을 차지한 ‘부드러운’ 이미지가 한국 남성들에서는 상위권을 차지하여, 추구 이미지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남성들이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을 하는 데 있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것 보다는 원만한 관계 형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중국 남성들은 한국 남성들과 비교해 남성적인 이미지를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적인 강인함을 드러내는 것을 좋아하는 성향이 있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추구 이미지는 고학력일수록 높게 나타나 중국의 사회적 이미지 추구에 있어서 ‘직업’보다 ‘학력’이 우선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의 추구이미지에 따른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한국 남성의 경우 ‘부드러운’ 이미지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표준형’ 눈썹을 가장 선호한 반면, 중국 남성의 경우 ‘자연스러운’, ‘품위 있는’, ‘지적인’, ‘강인한’, ‘발랄한’, ‘남성적인’, ‘도시적인’ 이미지에 모두 동일한 ‘표준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국 남성들은 추구하는 이미지와 눈썹 형태가 갖는 일반적인 이미지가 서로 부합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과 중국이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남성들의 성향이나 인식의 차이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에 비해 중국 남성들이 눈썹 형태가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과 외모를 통해 자신의 사회적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인식이 아직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가 중국 남성들의 외모와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사회적으로 더욱 성숙한 남성상을 만들어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적용한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이 고객 감정 반응, 구매 행동 의도, 정보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아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In the 21st century, networking services and digital technologies have considerably developed. As a result, new content has been produced, and communication has changed with the emergence of smartphones and tablets. Previously, information was mostly acquired from customers’ purchase experience, advice from family members or acquaintances, catalogs, and sales clerk explanations. Now, such information searches first occur at the customer’s decision-making stage, and consumers tend to search for reliable information by eliminating uncertainties. They share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with other consumers by posting online reviews. Consumers anticipate the highest values from products and services. Their expectations are maximized according to product/service-related search costs, limited information and experiences, knowledge, accessibility, and income level. They enjoy such senses and experience an increase in their tendency to purchase the values they seek, significantly influencing purchase processes, such as additional treatments, styling products, and treatment ticket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online reviews and examined their influence on customers. It also targeted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reviews when choosing a beauty salon and ascertained what channels are used to get the information they want. The goals are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ustome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elaboration likelihood and suggest how online reviews should be constructed based on understanding how they are used in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For a sample survey, a Naver Forms survey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ere performed against adult men and women who have previous experience referring to online reviews. A total of 354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in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women’, ‘20s’, and ‘single’ were the highest in terms of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respectively. When asked about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college graduate’ and ‘student’ were the most common responses, respectively. When asked if consumer reviews influenced their selection of a beauty salon and if they ever visited a beauty salon after reading consumer reviews, ‘Yes’ was higher than ‘No’. Secon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reliability, usefulness, timeliness, and rightness) were derived in the central route, while two factors (expertise and) popularity) were obtained in the peripheral route. In the customer emotion responses, ‘positive emotional respons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 were derived, while a single factor was obtained in the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nd information-sharing intention. Thir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reviews, customer emotion responses,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nd information-sharing intention. Fourth,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reviews on customer emotion responses, usefulness, reliability, and accuracy in the central route and expertise and popularity in the peripheral route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while reliability, accuracy, usefulness, and timeliness in the central route and expertise and popularity in the peripheral rout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Fifth,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reviews on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timeliness, usefulness, and reliability in the central route and expertise and popularity in the peripheral route. Sixth,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reviews on information-sharing inten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in timeliness and reliability in the central route and expertise and popularity in the peripheral route. Seventh, in the influence of customer emotion responses on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Eighth, in the influence of customer emotion responses on information-sharing inten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The above results show that contemporary customers do not rely on information provided by beauty salons. Instead, they get positive or negative reviews on beauty salons and divers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reviews and likes, through diverse online channels. Based on such information, they visit a beauty salon or make a reservation. They also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others and exercise their market pow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online reviews are a key factor to closely watch and monitor to attract new customers and increase sales.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적용한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이 고객 감정 반응, 구매 행동 의도, 정보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21세기를 맞이하면서 네트워크 서비스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콘텐츠가 생성되고,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도입으로 소통 문화가 바뀌면서 과거 정보 탐색은 구매자의 구매 경험, 가족과 지인의 조언, 카탈로그, 판매 원의 설명 등이 대부분이었으나, 소비자가 구매 의사를 결정하는 단계에 서 정보 탐색은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단계가 되었고, 소비자는 의사 결정 단계에 불확실성을 줄이는 과정으로 공신력 있는 정보를 탐색하고자 하며, 온라인 리뷰를 통해 제품 및 서비스의 다양한 경험과 의견을 소비자와 공유 한다. 소비자들은 어떤 제품 및 서비스가 최고의 가치를 제공할 것인가를 기대 하고 있기에 스스로가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탐색 비용, 한정된 정보 및 경험, 지식, 접근성, 소득의 수준 등에 따라 기대치를 극대화하고, 감정 적인 부분에서 느끼는 감각을 즐기며,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구매하고 자 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나면서 미용실에서의 추가 시술, 스타일링 제품, 시술권 등 모든 구매의 전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의 유형은 고객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고객이 미용실을 선택할 때 의존하는 리뷰 정보 특성은 무엇인가, 어떤 경로를 통해 정보는 얻는가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온라인 리뷰에서 보이는 다양한 요인을 정교화 가능성 정도에 따라 고객의 설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중심 경로와 주변 경로의 어떤 신호로 작용하는지 이해하여 온라인 리뷰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한 표본 조사는 미용실 온라인 리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네이버온라인폼과 자기기입식 설문지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을 사용하여 직접 연구의 대상자가 작성하였으며, 354부가 최종 자료로 사용 되었으며, 통계 프로그램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 통계 분석, 일원 변량 분석(One way ANOVA), 독립표본 t-test, 사후 검증 Duncan test, Pearson 상관관계 분석, 회귀 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성별은 ‘여자’, 연령은 ‘20대’, 결혼 여부는 ‘미혼’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최종학력은 ‘대학 졸업’, 직업은 ‘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용실 선택 시 다른 이용자의 리뷰에 영향을 받는지는 ‘예’, 평소 온라인 리뷰를 보고 미용실 방문 여부를 결정한 적 있는지는 ‘예’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의 요인 분석 결과 미용실 온라인 리뷰의 중심 경로는 ‘신뢰성’, ‘유용성’, ‘적시성’, ‘정확성’의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주변 경로는 ‘전문성’, ‘인기성’의 2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고객 감정 반응은 ‘부정적 감정 반응’, ‘긍정적 감정 반응’의 2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구매 행동 의도와 정보 공유 의도는 단일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 고객 감정 반응, 구매 행동 의도, 정보 공유 의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이 고객 감정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본 결과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의 중심 경로 하위요인인 유용성, 신뢰성, 정확성 요인과 주변 경로의 하위요인인 전문성, 인기성 요인이 고객 감정 반응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감정 반응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의 중심 경로 하위요인인 신뢰성, 정확성, 유용성, 적시성 요인과 주변 경로 하위 요인인 인기성, 전문성 요인이 고객 감정 반응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감정 반응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이 구매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의 중심 경로 하위요인인 적시성, 신뢰성, 유용성 요인과 주변 경로 하위요인인 인기성, 전문성 요인이 구매 행동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이 정보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실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의 중심 경로 하위요인인 신뢰성, 적시성 요인과 주변 경로 하위요인인 전문성, 인기성 요인이 정보 공유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고객 감정 반응이 구매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고객 감정 반응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감정 반응, 부정적 감정 반응은 구매 행동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고객 감정 반응이 정보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고객 감정 반응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감정 반응, 부정적 감정 반응은 정보 공유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오늘날 고객들은 더 이상 미용실에서 제공하는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고, 온라인 매체를 통해 미용실에 대한 기본 적인 정보 또는 리뷰 수, 좋아요 수 등에 대한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긍정적 이거나 부정적인 리뷰를 접하여 미용실 방문 또는 예약을 진행하고 각자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미용 시장 지배력을 행사하기도 하며, 온라인 리뷰는 관심을 두고 집중해야 할 핵심 과제임을 인식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신규 고객 확보 및 매출 증대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뉴 실버세대의 공연예술관람 만족도 분석 연구

        허지수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According to the tally from the 2017 Population and Housing Survey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in August 2018, 7.12 million people aged 65 or older entered the "aged society" for the first time. As Korea ages rapidly compared to other advanced countries, the silver industry targeting these generations is also drawing attention. Therefore, as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distribution to the Silver generation increases year by year, it is said that the current stage of marketing strategy based on satisfaction is necessary for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by identifying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performing arts viewing to promote cultural and artistic flavor. This study analyze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erformance viewing in order to develop measures for revitalizing consumption related to performing arts in the New Silver Generation, which is active in leisure activities and consumption life based on the economic level higher than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in the past. The typic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are viewing partners, frequency, motivation, whether or not to visit a concert hall in a residential city, whether or not certain concert halls are preferred and based on the marketing mix of 5pThe types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person-to-person performance work, price, promotion, performance hall, and human service, and which of these factors affected performance audience satisfaction.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consumption behavior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mainly analyzed the Internet and the club as the channels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viewing performing arts. This means that despite the high age group, the New Silver generation uses the Internet comfortably and has high utilization rates, unlike the older generation. Therefore, the Internet is an important medium for promoting not only the young but also the future silver generation, and new online services and systems based on vivid colors and easy interfaces should emerge for them. Secon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ttended the concert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members of the club suggested another important view of marketing positioning in that the New Silver generation actively promotes the club as a social activity and collects information on performing arts. Third, when asked if they preferred only certain venues, only 10 percent said yes. This means that there are still not enough theaters in Korea that can be uniquely identified by the New Silver generation, so they will have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s that will not only be used for general viewing but also for viewing. Fourth, among the 5p marketing mix factors, performance works and human service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performance viewing satisfaction. This can be inferred that the New Silver generation puts the quality of its performance ahead of price, as the younger generation does, based on its high economic level. In addition, human-service factors were the least influential factor in satisfaction in existing research on the younger generation, but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in the New Silver generation. This means that the kindness of the staff at the concert hall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refore, it is said that more aggressive marketing measures are needed regarding human services so that housekeepers at the concert will come out a little earlier than the present time to provide performance-related services or lead to continuous viewing. <Key words> New silver generation, Performance satisfaction, Determinants of performance 2018년 8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전수집계결과에 의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712만 명으로 한국이 사상 처음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급속하게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들 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실버산업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실버세대에 대한 인구분포 비중이 해마다 높아지는 만큼 이들의 문화예술 향유 활성화를 위한 일반적인 공연예술관람 소비특성을 규명하고 만족도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이 현재 공연예술계에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노인세대보다 높은 경제수준을 바탕으로 여가활동과 소비생활에 적극적인 뉴 실버세대의 공연예술관련 소비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공연관람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뉴 실버세대들의 일반적 소비특성으로 관람 동반자, 관람 빈도, 관람 동기, 주거 도시 내 공연장 방문 여부, 특정 공연장 선호 여부와 마케팅 믹스 5p를 바탕으로 정한 관람 결정요인인 공연 작품, 가격, 홍보, 공연장, 인적 서비스 요인 5가지로 유형을 구분했으며 이들 중 어느 요인이 공연 관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앞서 제기했던 연구문제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 실버세대의 소비행태를 분석한 결과 주로 공연예술 관람 정보를 얻는 경로로는 인터넷과 동호회로 분석되었다. 이는 뉴 실버세대들이 연령대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노인세대와는 달리 인터넷을 편하게 사용하고 활용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이 젊은 층만이 아닌 앞으로의 실버세대들에게도 홍보를 위한 중요한 매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들을 위한 선명한 색채와 쉬운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한 새로운 온라인 서비스와 시스템이 나타나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공연 관람 동반자로 가족과 동호회의 구성원과 함께 관람한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뉴 실버세대들이 사교활동으로 동호회를 활발히 하며 이를 통해 공연예술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는 점에서 마케팅 포지셔닝에 대해 또 하나의 중요한 관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셋째, 특정 공연장만을 선호하냐는 질문에는 10%의 응답자만이 “예”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국내 공연장 중 아직 뉴 실버 세대들에게 특색 있게 각인될만한 공연장이 부족한 것으로 사료되므로 공연장들은 작품 해설 서비스나 로비공간을 활용해서 일반적인 관람만이 아닌 공연장이 각인될 수 있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넷째, 마케팅믹스 요인 5p 중 공연 관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연작품과 인적서비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뉴 실버세대는 높은 경제수준을 바탕으로 젊은 세대처럼 가격보다 공연작품의 질을 우선시한다고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인적서비스 요인은 기존의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만족도에 가장 영향력이 낮은 요인이었지만 뉴 실버세대에서는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공연장 직원들의 친절도가 뉴 실버세대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공연장의 하우스 어셔들이 현재보다 조금 더 이른 시간에 나와 공연 관련 서비스들을 제공하거나 지속적인 관람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인적서비스에 관련해 더 적극적인 마케팅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핵심어> 뉴 실버세대, 공연 만족도, 공연 관람 결정요인

      • 졸업앨범 작품분석 : 백승현의 자작곡 ‘Hi’, ‘구름’, ‘꽃타령’의 음악 분석을 중심으로

        백승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백승현의 자작곡 ‘Hi’, ‘구름’, ‘꽃타령’ 3곡의 작품 분석을 통해 곡에 사용된 작곡 기법을 연구하고 곡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문의 구성은 제1장 서론, 제2장 본론, 제3장 결론으로 구분한다. 본론은 3개의 절로 나뉘며 각각 한 곡에 대한 분석을 다룬다. 곡에 대한 분석은 작품 배경, 형식 구조, 화성 분석 및 선율 전개, 악기의 구성 및 편곡 구조로 이루어진다. 곡마다 특징은 서로 상이하지만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 연구한다. 분석 방식을 세부적으로 나누면 작품 배경에서는 곡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주요한 아이디어를 설명하고, 형식 구조에서는 곡의 조성(Tonality) 조성(Tonality) : 악곡 전체 또는 일부에 설정된 토닉(으뜸음)을 중심으로 한 음의 조직과 그 영향력을 가리키며, ‘토낼리티’라는 용어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일반적인 악곡에서 토닉의 영향력은 일종의 심(芯)과 같이 느껴지는데 이를 조성감(調性感)이라고 하며, 조성감의 유무에 따라 조성 음악과 무(無)조성 음악으로 구분한다. 조성의 중심은 토닉 코드(으뜸 화음)에 둘러싸인 토닉으로, 그 주변에는 도미넌트(딸림음)와 서브도미넌트(버금딸림음) 등을 조합하여 코드로 배치한다. (후략..)(파퓰러음악용어사전, 삼호뮤직, 2002년) , 박자(Time signatures), 음악의 형식 구조와 가사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성 분석 및 선율 전개에서는 각 곡에 쓰인 화성(Harmony)을 분석하며 특징적인 코드 진행(Chords Progression)을 사용한 이유와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선율(Melody)에 쓰인 각 동기(Motive) 모티브(Motive) : 음악의 주제를 형성하는 멜로디의 최소 단위를 모티브(동기)라고 한다.(파퓰러음악용어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91년) 가 어떻게 반복, 발전하는지 설명한다. 악기의 구성 및 편곡 구조에서는 곡에 사용된 악기의 종류와 연주 기법, 전개방식을 분석하여 설명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각 작품들에 사용된 작곡 기법과 화성 이론, 가창법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ing and to analisys the work of three original song ‘Hi’, ‘Cloud’, ‘Flower Taryeong’. This thesis is divided into three chapter, Introduction, Main subject, Conclution and Main subject is diveded into three part of anaisys of each songs. Each song analized by the following methods, which are the background, the formal structure, the harmonic analisys, melody development, composi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structure of arrangement. Three songs analyzed same method although each song is different with the others. In detail, the background explains what is motive of each songs and how each song was created. The formal structure describes the tonality, time signatures, the structure and the lyrics of the song. The harmonic analisys and melody development is to analize every characteristic harmonic progression, the effect that progress makes and theory of composing melody. The composi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structure of arrangement describes what musical instruments were used and how and why they used in each so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elp to understand the work of three original songs for the graduation album.

      •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기대수준이 이용경험과 지각된가치에 미치는 영향

        이민선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31

        ‘지식’과 ‘서비스’가 세계경제성장의 이슈로 급부상하면서 우리나라도 경쟁우위를 위한 확실하고 지속가능한 자원이라는 지식과 서비스업에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다. 대표적인 서비스업 중 하나인 미용산업은 인적자원의 비중이 매우 큰 편인데 최근 흐름에 맞춰 기술과 지식을 겸비한 학문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고학력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현 상황에서 과연 고객들은 헤어디자이너의 학력과 경력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이에 따른 기대는 어떠한지 궁금증을 유발한다. 미용산업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으며 최근에는 공급과잉으로 인해 고객유치와 만족이 모든 미용실에 중요사안이 되고 있다. 고객은 구매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기대라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만족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이 되고 고객의 일련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미용실을 이용하는 모든 과정에서의 좋은 감정과 경험은 고객재유치로 연결되는 중요한 요소가 되며 기대한 바에 비해 지각된 가치의 높낮이에 따라서도 고객의 만족을 알아볼 수 있다. 그러나 기대, 이용경험, 지각된가치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의료관광, 호텔과 같은 타 서비스 산업에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며 미용산업에서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헤어디자이너의 학력과 경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후 헤어디자이너의 발전과 학습의 방향을 유추하며, 기대수준의 요인들이 이용경험과 지각된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의 기대수준을 조절하고 긍정적으로 유지·관리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론체계를 정립하고 그 결과를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최종 646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인식에서는 학력보다는 경력이 높아야 전문성이 높다고 인식하며 실질적인 테크닉이 높은 헤어디자이너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수준이 이용경험에 미치는 영향에는 신뢰에 대한 기대는 인지적·관계적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미지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인지적경험은 낮아지며 관계적 경험은 높아져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에 대한 기대는 관계적·행동적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신뢰와 전문성을 노출시켜 고객유치와 지속적인 방문을 유발해야 할 것이지만 이미지에 대한 기대는 무조건적인 긍정적인 이미지의 투사가 오히려 불일치의 차이지각을 더욱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대수준이 지각된가치에 미치는 영향에는 신뢰에 대한 기대는 감정적·기능적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전문성에 대한 기대는 기능적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행복한 감정의 지각을 위하여 신뢰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켜야하며 지불한 비용과 시간에 대한 합리적인 충족감을 위해서는 기대 뿐만 아니라 전문성에 대한 노출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에 따른 개선점 제시로는 첫 번째, 미용 대학에서 의사·간호사의 교육방침처럼 필수 이수학점·실습시간을 구축하고 트레이닝하여 해당 대학 졸업자에 대한 신뢰·전문성의 기대를 높이고 두 번째, 미용실의 수준을 알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를 만들어 고객이 직접 원하는 수준의 미용실을 선택하여 신뢰·이미지·전문성의 기대수준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세 번째로는 헤어디자이너 마다 직접 시술한 전·후 스타일 사진을 모아 길이, 모질, 화학시술, 스타일 등을 나누어 꾸준히 업그레이드하고 이것을 통해 고객과 상담이 이루어진다면 있는 그대로의 이미지·신뢰·전문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적인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조사대상자의 연령대가 비례하게 조사되어지길 바란다. 또한 고객의 소비성향이라는 변수를 이용경험과 지각된가치와 연관지어 연구한다면 디자이너가 상담 시 권유 방향을 제시하기 수월하며 객단가를 높일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With the terms ‘knowledge’ and ‘services’ rapidly emerging as the issue of global economic growth, Korea is also growing i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nd the service industry as clear and sustainable resources for securing competitive edges. The beauty industry, one of the leading service industries, puts a large proportion on human resources. As it has been taking a stable stance as an academic field combined with technology and knowledge in line with recent trends, the number of highly educated people is pouring in the industry. Under the circumstances, there is a question arising as to how customers are viewing hair design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along with subsequent expectations to follow. The beauty industry has seen a stead growth, and over recent years, all beauty salons are putting customers attraction and their satisfaction on a priority due to the oversupply. Customers go through the process of so-called the expectation in making purchase decisions, which works as an assessment basis for determining satisfaction and affects a set of customer behaviors. Good feelings and experience in every process of using beauty salon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leads to customer attraction. Plus, it can help identify customer satisfaction also based on the ups and downs of the perceived value over their expectations. However, a look into prior research on expectations, experiences of service use and perceived value shows that most of the studies are related to other service industries, such as medical tourism and hotels, while showing a long way to go in the beauty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hair design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followed by inferring which direction hair designers should go for their improvement and learning. It also looks at the impact of factors related to expectation levels on experience and perceived value. After all, the study aims to let the service provider provide data needed to adjust customers’ expectation levels, as well as maintaining them in a positive manner. This study established the theoretical system by analyzing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and built a research model and a research theory through the findings. 646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finally collected from the peopl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n who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findings and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hair designers, they consider that their career should go above their academic background to make them more professional. It turned out that they preferred practically-skillful hair designers. When asked about the impact of the expected level on the service experience, they responded that the expectation of tru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gnitive and relational experience. The higher, the expectation of images gets, the lower, the cognitive experience becomes and the relative experience gets higher, which in part had a significant impact. The expectation of professionalism turned out to hav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al and behavioral experience. Thereby, it was necessary to expose trust and expertise to attract customers and continuous visits. However, regarding the expectation of an image, an appropriate alternative is considered to be brought in, as the projection of unconditional positive images, conversely, may increase the perception of the difference in inconsistency. When asked about the impact of expectation levels on perceived value, findings showed that expectations of tru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and expectations of professionalism on functional value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expectation of trust should be met in order to have a happy feeling perceived.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not only expectations but also ways to expose professionalism are needed in order to have a reasonable sense of fulfillment for paid expense and time. The following are improvements presented based on conclusions. Firstly, it is to establish and train the required number of credits and practice hours, as the education policy for doctors and nurses at a beauty college, so as to increase the expectation of trust and professionalism on graduates of the corresponding university. Secondly, it is about creating objective indicators of the level of a hair salon, for a customer to choose the desired level of the hair salon, on his/her own. This leads to the ability to help adjust the expected level of trust, image, and professionalism. Thirdly, each hair designer is to collect before-and-after style photos of hair treatments they themselves practiced, before dividing them by length, hair quality, chemical treatment and style and continuing to upgrade. If this process is combined with a consultation with customers, it will represent image,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just as it is. It is thought that future research will require results that can be generalized by collecting nationwide survey data.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age group of those surveyed will be investigated proportionately. In addition, it will be easier for designers to present directions of recommendation during the consultation if the variables, so-called customer's propensity for consumption are studied in connection with their experience and perceived value. And this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 study in that the proposal will serve as data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 졸업앨범 작품분석 : 졸업앨범 김만영의 자작곡 “준비됐나요” ,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를 중심으로

        김만영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졸업앨범 작품분석 졸업앨범 김만영의 자작곡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세 작품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 최 태 완 음악학과 컨템퍼러리뮤직 전공 김 만 영 본 논문은 서경대학교 대학원 컨템퍼러리뮤직의 석사 과정동안의 함축·함양된 지식에 대한 역량을 입증하는 논문이다. 수록되어진 3가지 작품에 대한 배경과 의도, 작품의 형식, 선율의 형식, 리듬 형식, 화성 형식을 기술하였다.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3가지 작품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석사과정에서의 학습내용을 작품 가운데 도입하였다. 그에 따른 분석의 입체감을 더하기 위해 감성적 서술 또한 더하여졌으며 리듬, 화성, 멜로디라는 재료와 편곡적 요소가 자연스레 도입됨으로써 작품들을 창작하였고 완성하여 나갔다. 필자는 작품의 대중성을 추구하는 바이기에 억지스럽지 않은 화성과 선율의 자연스러움에 주안점을 두었다. 3가지 작품의 악기편성은 Drum, Bass, Guitar 의 밴드적 구성을 근간으로 하여 장르의 세분화와 음악적 공간감의 부여, 음색의 다채로움을 더하기 위하여 Rhodes Piano, Egg shaker, chime bell 등을 도입하여 편곡의 다양성을 추구 하였다. 수록되어진 작품들은 전음계(Diatonic Scale)를 기반으로 하여 창작에 임하였으며 전위화음(Inversion Chord),차용화음(Modal Interchange)등의 적용, 전조(Key Change) 등의 도입으로 역동성과 편곡의 풍성함을 추구하였다. 본 논문은 필자가 음악인으로의 입장으로써는 우리의 삶 가운데 “음악의 역할이란...”에 대한 고뇌와 “음악은 어떠하여야 하는 가” 에 대한 고뇌 가운데 창작되어진 작품들이며 또한 음악인과 동시에 학도로써 음악의 학문적 객관성과 편곡의 배치에 대한 이유의 타당성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즉 작품·음악 가운데 모든 배치와 생략에 대한 고찰을 기술하였으며 이에 대한 객관성을 논문을 통하여 드러내려 하였다. Abstract Interpretation of the Master Thesis Kim Man Young Contemporary of Music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This thesis was written to prove the knowledge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implied during the Contemporary Music master’s course at Seokyeong University. I have included the three works’ background, purpose, structures, melodic form, rhythmic form, and harmonic form. 1. Are You Ready 2. When I Think of You Again 3. My Love as Music to You The thesis is composed of the three pieces above, and the learning content of the master’s course is introduced in the middle. To add the three dimensional effect to the analysis of the three pieces, emotional description has been added as well. The main elements: rhythm, harmony, and melody were introduced naturally and the arrangement helped to create and complete the pieces. Since the writer had sought after the popularity of the pieces, he focused on the naturalness. The instruments played in the three pieces consist of the drums, guitar, and bass guitar which are the basis for the band’s setup. The Rhodes Piano, Egg shaker, and chime bell have been added to express the segmentation of genres, the sense of space, and colorful tone. The pieces contain the Diatonic Scale as the basis, and the Inversion Chord, and Modal Interchange also appear. There are 9th, 11th, 13th notes that apply tension, and a key change that pursue the fullness of dynamics and the arrangement. The writer has written this thesis in the point of view of a musician. The three pieces were composed while thinking about “What is the role of music in our lives,” and “What the music should be?” Furthermore, the writer wanted to argue about the academic objectivity of music, and the logic behind the arrangement placement. In other words, the writer wanted to consider all the arrangements and omissions in all the pieces, and wanted to show the objectivity through this thesis. [국문초록] 졸업앨범 작품분석 졸업앨범 김만영의 자작곡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세 작품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 최 태 완 음악학과 컨템퍼러리뮤직 전공 김 만 영 본 논문은 서경대학교 대학원 컨템퍼러리뮤직의 석사 과정동안의 함축·함양된 지식에 대한 역량을 입증하는 논문이다. 수록되어진 3가지 작품에 대한 배경과 의도, 작품의 형식, 선율의 형식, 리듬 형식, 화성 형식을 기술하였다.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3가지 작품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석사과정에서의 학습내용을 작품 가운데 도입하였다. 그에 따른 분석의 입체감을 더하기 위해 감성적 서술 또한 더하여졌으며 리듬, 화성, 멜로디라는 재료와 편곡적 요소가 자연스레 도입됨으로써 작품들을 창작하였고 완성하여 나갔다. 필자는 작품의 대중성을 추구하는 바이기에 억지스럽지 않은 화성과 선율의 자연스러움에 주안점을 두었다. 3가지 작품의 악기편성은 Drum, Bass, Guitar 의 밴드적 구성을 근간으로 하여 장르의 세분화와 음악적 공간감의 부여, 음색의 다채로움을 더하기 위하여 Rhodes Piano, Egg shaker, chime bell 등을 도입하여 편곡의 다양성을 추구 하였다. 수록되어진 작품들은 전음계(Diatonic Scale)를 기반으로 하여 창작에 임하였으며 전위화음(Inversion Chord),차용화음(Modal Interchange)등의 적용, 전조(Key Change) 등의 도입으로 역동성과 편곡의 풍성함을 추구하였다. 본 논문은 필자가 음악인으로의 입장으로써는 우리의 삶 가운데 “음악의 역할이란...”에 대한 고뇌와 “음악은 어떠하여야 하는 가” 에 대한 고뇌 가운데 창작되어진 작품들이며 또한 음악인과 동시에 학도로써 음악의 학문적 객관성과 편곡의 배치에 대한 이유의 타당성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즉 작품·음악 가운데 모든 배치와 생략에 대한 고찰을 기술하였으며 이에 대한 객관성을 논문을 통하여 드러내려 하였다.

      • 코로나-19 시대에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습자 특성과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 몰입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송이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에 미용 실기교육과 관련하여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습자 특성과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 몰입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학습 몰입과 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온, 오프라인 미용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실증조사는 2020년 12월 22일부터 2021년 1월 14일까지 서울·경기 지역 미용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종 413부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자, 나이는 만 19세 이상∼21세이하, 학년은 2학년, 대학 유형은 2~3년제 전문대학교, 전공은 헤어, 전공선택 동기는 적성, 흥미, 졸업 후 희망 진로 유형은 취업, 전공 만족도는 중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습자 특성, 블렌디드 러닝, 학습 몰입, 교육 만족도의 요인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은 학습 가치, 학습 효능감, 학습 애착 3가지 요인으로, 블렌디드 러닝은 수업 내용, 의사소통, 인지도, 암기적 특성 4가지 요인으로, 학습 몰입은 학습 집중, 학습 흥미 2가지 요인으로, 교육 만족도는 교육 효과, 교육 내용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학습자 특성이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에서 학습 가치, 학습 효능감, 학습 애착이 높은 사람들은 학습 집중,학습 흥미의 학습 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 특성이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에서 학습 가치, 학습 효능감, 학습 애착이 높은 사람들은 교육 효과, 교육 내용의 교육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가 블렌디드 러닝으로 학습할 때 수업 내용, 의사소통, 인지도가 높을수록 학습 집중과 학습 흥미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블렌디드 러닝이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가 블렌디드 러닝으로 학습할 때 수업 내용, 의사소통, 인지도가 높을수록 교육 효과가 높아지고, 수업 내용과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교육 내용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결론 및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온라인 교육으로 미용 실기 과목을 무리 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미용업은 현장 경험이 매우 중요한 만큼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디자이너, 산업체 대표들과 협업하여 현재 유행에 맞는 실전 활용 시술 팁,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이사항, 문제점 해결방안에 관련된 교육 영상을 제작하여 교육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은 원활한 의사소통과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수업에서 미처 습득하지 못한 학습 내용을 다른 경로로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환경이 중요하다. 학습 내용을 공유하고 다른 학습자들과도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다양한 SNS를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자와 소통의 부재를 느끼지 않고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미용 실기 과목은 섬세한 교육이 요구된다. 학습자 개개인 특성을 고려한 1:1 멘토와 매칭을 통해 일률적인 학습 관리 방식이 아닌 학습하는 데 있어 다소 뒤처지는 학생 모두 끝까지 학습에 흥미를 잃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받고, 수업 시간 이외에도 부가적인학습 내용에 관한 도움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블렌디드 러닝은 동일한 교사 실재감을 주기에 한계가 있다.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실기 과목 학습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별그룹 활동을 통해 학습 내용을 공유하고, 학습 능력이 각기 다른 학생들로 그룹을 형성하여 각자의 강점을 바탕으로 도와가며 원활한 학습 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이때 각자 본인의 학습 자세를 동영상 촬영하여 교수자에게 지도받는 맞춤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차후 연구를 위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이 서울, 경기 지역 미용학과 학생 대상으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다소 한계가 있으므로차후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지역과 다양한 대상으로 표본 설계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본 연구의 변인인 학습 몰입, 교육 만족도의 요인 구성이 학습집중, 학습 흥미, 교육 효과, 교육 내용으로 구성이 다소 한정적이기 때문에 차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인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코로나-19 시대에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 몰입과 교육 만족도를 높이기위한 다양한 연구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