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쌀 도정도에 따른 식미의 품종간 차이

        이점식,원용재,조준현,이종희,박향미,이정희,윤미라,곽지은,천아름 韓國作物學會 2014 한국작물학회지 Vol.59 No.1

        도정도에 따른 식미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우선 식미 관능평가를 통해 상, 중, 하로 구분하여 각각 3개 품종씩 총 9개 품종을 이용하였다. 9개 품종들은 도정도 5.5∼13.5%별 이화학특성 및 식미 관능평가를 분석하였다.식미 관능검정에 의한 식미총평은 도정도 90.5%와 88.5%에서 가장 좋았다. 품종별 식미총평이 도정도 90.5%에서 높은 A 유형과, 88.5%에서 높은 B 유형, 그리고 90.5%와 88.5%에서 유사한 C 유형과 같이 3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되었다. 식미총평이 상인 일미벼, 고시히까리는 도정도 90.5%에서, 중인 추청벼, 동진벼 등은 88.5%에서 최고식미를 보였던 반면, 식미가 하인 팔공벼, 농호벼는 90.5%와 88.5%에서 모두 최고식미를 보여 도정도에 따른 식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3가지 유형별 식미총평과 이화학특성과 상관분석 결과, A유형은 Mg 함량이, B유형은 단백질 함량이, C유형은 K 함량이 상관의 유의성의 높았다. 유형별 식미총평과 관능평가 5가지 항목과의 상관 분석 결과, A유형은 찰기, B유형은 밥맛, C유형은 외관모양이 상관의 유의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유형은 Mg 함량에 따른 밥의찰기와, B유형은 단백질 함량에 따른 밥맛과, C유형은 K 함량에 따른 밥의 외관모양에 각각 영향을 준 것으로 고찰 된다. Varietal difference of eating quality by milling degree was investigated for total nine rice varieties comprised of three varieties each as excellent, good, and normal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cooked rice. Nine varieties were analyzed for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or the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five different degree of milling(5.5∼13.5% based on brown rice). Overall score obtained through sensory evaluation was found the best in the milling degree at 9.5% and 11.5%. The overall score by rice variety was categorized into type A that showed high score at milling degree 9.5%, type B at milling degree 11.5%, and similar type C at both milling degrees 9.5% and 11.5%. The best eating quality was observed in Ilmibyeo and Koshihikari having overall eating quality excellent at milling degree 9.5% and in Chucheongbyeo and Dongjinbyeo having overall eating quality good at milling degree 11.5%. While, Palgongbyeo and Nonghobyeo having eating quality normal showed the best eating quality at milling degree 9.5% and 11.5%.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verall sco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ive sensory evaluation items by three types of rice showed that Mg content and stickiness of type A, protein content and taste of type B, and K content and appearance of type C were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on overall score by panel test. Therefore, Mg contents might have affected on the stickiness of cooked rice in type A, protein contents on the taste in type B, and K contents on the appearance in type C, respectively.

      • KCI등재

        쌀 수량이 평년수준인 2000년 대비 10% 증가한 2001년의 식미 및 이화학특성 비교

        이점식,이정희,윤미라,곽지은,모영준,천아름,김정곤 韓國作物學會 2013 한국작물학회지 Vol.58 No.3

        쌀 수량이 많은 연도에는 밥맛도 좋아 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본 연구는 일교차와 일조시간에 의해 평년 대비 쌀 수량이 약 10% 증가한 년도의 식미 및 이화학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지난 20년간(1993~2012) 쌀 수량을 분석한 결과, 연차 간에 쌀 수량이 약 10% 차이가 나는 년도는 1993년과 1994년, 2009년과 2010년 등 총 6번 이었다. 그 중에서 일교차와 일조시간에 의해 평년수준의 쌀 수량은 2000년과 쌀 수량이 9.8% 증가한 2001년이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년도이었다.기상조건은 2000년 대비 2001년은 등숙기 평균기온은 비슷하였으나, 일교차가 컸고, 일조시간이 많았다. 수량구성요소는 2000년 대비 2001년이 주당 수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당 립 수가 많았고, 등숙비율 또한 높아 수량이 증가하였다.쌀의 화학적 성분 함량은 2000년 대비 2001년에는 아밀로스함량은 증가하였으나, 단백질, Mg 및 K 함량은 감소하였다. 반면 Mg/K 당량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쌀 전분의 물리적 특성은 2000년 대비 2001년에 최고점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저점도 및 최종점도는 높았다.관능평가와 기계적 식미측정값과 단순상관계수가 0.82**~0.89**(n=27~30), 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연차 간 밥맛의 차이를 기계적인 측정값으로 간접 평가한 결과 2000년 보다 2001년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이상의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일교차와 일사량에 의해 평년수준인 2000년 대비 쌀 수량이 약 10% 증가한 2001년도에는 밥맛도 좋았을 것으로 추론된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in the year, when there was 10% increase in yield compared to normal year due to daily temperature range and sunshine hou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ice yield over the last 20 years (1993-2012) showed 10% difference between the yield in 2000, which was normal, and that in 2001. With regard to the crop weather condition during the ripening period in 2001 compared to 2000, the daily range and sunshine hours were higher, but the mean temperature was similar. The rice yield in 2001 was 9.8% higher than that in 2000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s and ratio of ripened grain. In terms of chemical traits, protein, Mg, and K contents decreased in 2001 compared to 2000, but amylose content increased. Trough and final viscosity assessed with a Rapid Visco Analys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001 than 2000. The quality of cooked rice was measured through the Toyo Mido Meter Glossiness Value (TGV) instead of a palatability score because a sensory test produces relative comparison values rather than absolute valu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ensory evaluation parameters and the TGV in several rice materials harvested in two year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81 ** -0.89 ** , n=27-47). TGV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2001 than in 2000.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alatability of cooked rice was good in 2001 with about 10% increase in rice yield compared to normal year in 2000 due to daily temperature range and sunshine hours.

      • KCI등재

        식미 증진을 위한 최적 도정도 구명

        이점식,박노봉,이종희,조준현,원용재,박향미,천아름,장재기,곽도연,송유천,하운구,이기환,여운상 한국작물학회 2012 한국작물학회지 Vol.57 No.4

        본 연구는 도정도 5.5%(현백율 94.5%, 7분도)~13.5%(현백율 86.5%, 17분도)별 식미 및 이화학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식미 증진을 위한 최적 도정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화학특성은 도정을 많이 할수록 백도와 아밀로스함량, 강하점도, 밥의 부착성은 증가하였으나, 반면 단백질함량, Mg/K 당량비, 지방함량, 취반점도, 밥의 경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식미관능평가에 의한 식미총평은 도정도 9.5%와 1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현미를 도정하여 남는 쌀의 수율을 고려 할 때 식미총평이 좋은 최적 도정도는 9.5%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이론적인 도정도 8%나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쌀의 도정도 9% 보다 더 많이 도정한 것이다. 식미와 이화학특성과의 관계는 단백질함량, 아밀로스함량, 취반점도 및 밥의 경도는 부의 상관이, Mg/K 당량비, 강하점도, 밥의 부착성은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정을 많이 할수록 식미와 부의 상관이 있는 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반면, 아밀로스함량은 증가 하는 등 이화학특성들 간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정도 9.5%~11.5%에서 식미총평이 가장 좋았던 것은 이들 이화학특성들 간에 적정수준의 균형을 이루었기 때문으로 고찰된다. We conducted this study to identify the optimal milling degree for improving sensory quality of cooked rice and minimizing yield loss.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ies using five different degree of milling(5.5~13.5%, based on brown rice). With increasing of milling degree, amylose content, breakdown, adhesiveness of cooked rice increased, whereas protein content, Mg/K equivalence ratio, fat content, setback and hardness of cooked rice decreased. In sensory quality test, the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9.5% and 11.5% milling degree. However, considering the yield of milled rice, the optimal milling degree for improving sensory quality of cooked rice was 9.5%.

      • KCI등재

        흑미의 종자 발달에 따른 색소발현 양상

        이점식,장재기,천아름,정명근,김혜원,오세관,이정희,윤미라,김대중,송유천 한국작물학회 2012 한국작물학회지 Vol.57 No.2

        본 연구는 흑미의 종자 발달에 따른 색소발현 현상을 조사하여 품종육성 및 재배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최초 어느 시기에 색소가 발현하고, 이러한 색소의 발현순서와 종자 내에서 색깔의 차이가 나타나는 부위에 대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초 색소발현은 개화 후 5일경에 종자의 정단에서 연한적자색을 관찰 하였으며, 이때 색소가 발현된 정도는 종자의 총 단면적 대비 0.08%였다. 색소발현 순서는 종자의 정단에서 기부로, 그리고 배면에서 마지막에는 복면 순이었으며, 색소가 종자 전체에 발현된 시점은 개화 후 25일 경이었다. 그 이후는 색이 적자색에서 흑자색으로 진해지는 시기였다. 수확 후 가시적인 종자 간 및 종자 내 색소발현이 불균일한 것을 골라 조사한 결과, 종자 내 복면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한 적자색을 띠었으며, 종자의 색소발현이 불균일한 부위는 복면 부위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nges in expression of pigments in black rice during kernel development, which were sampled at 2~3-day intervals to the 40th day after flowering. The first expression of pigment on kernels was observed on the seed coat about 5 days after flowering. At that times, the ratio of pigment expression was 0.08% of total area. The order in expression of pigments in black rice during kernel development was top first, followed by bottom, dorsal side, then ventral side. Maximum percentage of the total colored area in kernel was about 25 days after flowering. After that, the color has changed to dark purple from pale purple during kernel development after flowering. After harvesting, the non-uniform color kernels were observed. As a result, the ventral side in a kernel was a position of the non-uniform color such as a mixture of pale purple and dark purple. Also, we could be concluded that patten of pigment expression was similar in kerne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