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가치교육 내용 및 방법 인식에 대한 성별, 급간별 차이 연구: IPA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이은배,김찬미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1

        The movement to increase the awareness toward the public interest and community development by educa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social values is recently observ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how students perceive social value education before including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electing social values prioritized by gender and school level by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value educ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and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on social value ordinances perceived by students on a Likert scale. According to IPA classification, “keep up the good work,” “concentrate here,” “low priority,” and “possible overkill” of social value education contents were identified per gender and school level. In addition, preference on a method appropriate for value education was compared by gender and grade level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Value education methods included were the traditional approach such as lecture; the cognitive approach including debate, problem-based learning, and reflection on social problems; and the emotional-behavioral approach including simulation, role play, and project-based learning. Overall, female students perceived more highly of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value education than male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veral items of social value educatio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tection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human rights,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the top-priority contents. For male high school students, job creation and safe work environment emerged as priorities. Regarding the value education method, male students most preferred the cognitive approach, specifically debate, and female students preferred an emotional-behavioral approach, namely simulation. By select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value education based on empirical evidence, it is hoped to cultivate students' bearings of social value and responsibility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making sustainable communal well-being. 최근 중고등학생들에게 사회적 가치를 교육하여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 사회적 가치 교육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는 등 사회적 가치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가치 교육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기에 앞서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실증적 연구가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성별, 학교급별로 비교 분석하여 성별 및 학교급에 적합한 사회적 가치를 교육과정에 편성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서울특별시 소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개별 사회적 가치 조례의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얼마나 교육이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수행도를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실시하여 우선순위와 현상유지, 과잉노력지양, 후순위 가치를 분류하였다. 더불어 가치 교육에 적합한 방법으로 전통적 접근 방식인 강의식, 인지적 접근 방식인 찬반 토론, 문제기반학습, 사회문제 성찰과 정서행동적 접근 방식인 가상체험 시뮬레이션, 역할극, 프로젝트 기반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를 성별, 급간별로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사회적가치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여중생에게는 사회적 약자와 인권 보호, 지역경제 공헌, 민주적 의사결정과 참여 등에 관한 내용이 우선적으로 교육되어야 할 내용으로 나타났고, 남고생에게는 노동권과 안전한 근로 생활, 보건복지,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에 관한 가치 교육이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더불어, 사회적 가치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남학생의 경우 인지적인 방법인 찬반 토론을, 여학생의 경우 정서행동적 접근 방식인 가상체험 시뮬레이션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사회적 가치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학생들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책임감을 높이고 사회문제의 협력적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학교혁신의 주요 영역 및 중점과제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 분석

        이은배,강지혜,이지연 한국교육공학회 2019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9 No.1

        본 연구는 단위학교별 학교혁신 현황 및 과제를 진단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통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교육 및 학교혁신과 관련된 문헌분석,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방문조사 및 교사간담회, 혁신미래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전문가 초청 간담회 등을 통해 학교관계자의 요구와 단위학교의 현실적 맥락을 고려하여 7대 영역(거버넌스, 조직운영, 교육과정 및 평가, 교수방법, 학생자치, 외부환경)으로 개발된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인천광역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1,31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결과를 토대로 학교혁신의 주요 영역 및 중점과제별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응답자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관계자 모두 본 연구의 진단도구에 제시된 7대 영역(거버넌스, 조직운영, 교육과정, 교원전문성, 교육공간 및 테크놀로지, 학생자치, 외부환경)을 학교혁신의 주요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혁신영역의 중점과제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본 결과, ‘연수 및 연구활동 지원’과 ‘교육과정 및 수업연구·개발’를 제외한 모든 과제들에 있어서 혁신학교 응답자들이 인식한 중요도가 일반학교 응답자들이 인식한 중요도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혁신학교의 확산과 일반학교의 혁신에 있어 학교관계자의 인식과 요구가 반영된 혁신의 방향과 주요과제를 파악하고 단위학교별로 혁신의 노력을 차별화, 구체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University Instructors Beliefs and Practices Toward Student-Centered Learning : 대학 교수자의 학습자 중심 수업 관련 신념과 실천

        이은배(Lee, Eunbae)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7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 수업에 대한 대학 교수자가 말하는 교수 신념과 행위를 탐색한다. 다양한 분야의 미국 학부 과정 교수자 네 명과의 심층 인터뷰에 대한 주제 분석을 통해 학부 교수자의 교수자와 학생의 역할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 학습에 대한 신념과 행위, 학습자중심 수업을 실천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인터뷰 참여자를 대상으로 성인학습원리척도를 적용하여 학습자중심 수업에 대한 교수 스타일을 측정하고 명시된 신념 및 실천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학습에 관한 진술된 신념, 이해 및 실천의 불일치, 학습자중심 수업을 방해하는 요소를 발견하였다. 교수자들은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믿었고 학생들의 개인적인 관심과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하였다. 또한, 편안하고 협력적인 학습 커뮤니티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그들은 학습 과정과 평가에 학생들을 포함시키는 교수 행위는 부족했다. 이 밖에도 초심자와 경력자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는 학부 수업이 교수자중심에서 학습자중심으로 전환되는 데 있어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것이라 기대되어진다. This study explores undergraduate course instructors’ stated beliefs and practices toward student-centered learning.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undergraduate course instructors in a variety of disciplines in the United States revealed their beliefs about the role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as well as student-centered learning. Also, the instructors’ teaching styles a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ir stated beliefs and practices. Through thematic analysis and deductive and inductive coding, this study identified incongruity in stated beliefs, understanding, and practices of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the reasons impeding SCL. Instructors believed that student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ir own learning and they practiced to provide choices to address diverse students interests and needs. They made an effort to create a suppor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communities. However, they lacked in including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assessment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novice and expert instructors are highlighted. Findings from the study should inform the movement of shifting undergraduate classrooms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 KCI등재

        박물관 디지털학습 설계를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설계 모형 개발 연구

        이은배 ( Eunbae Lee ),최서연 ( Seoyeon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1

        박물관 교육에서 관람객의 개별화된 수요에 맞춘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는 디지털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중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박물관 교육자들이 디지털 학습을 설계해야 하는 필요성이 높아지는 반면, 비교수설계자가 쉽고 재미있게 체계적으로 박물관 디지털 학습을 설계할 수 있는 모형이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박물관 교육자들이 디지털 학습을 설계하는 데 유용한 설계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 맥락적 학습모형, 자기결정성이론, 게이미피케이션, 체제적 교수설계 이론과 연구를 종합하여 설계 원리와 모형,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교육자 두 명이 설계자와 학습자의 역할로 보드게임을 하며 Define-Decide-Design 3단계에서 상호작용을 반복하며 디지털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박물관 교육자를 대상으로 4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설계 모형과 도구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타당성(M=3.42, SD=.67), 유용성(M=3.75, SD=.45), 보편성(M=3.33, SD=.49), 용이성(M=3.33, SD=.49)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첫째, 박물관 디지털 학습 설계를 위해 정의하기, 선택하기, 설계하기의 과정을 거치면서 설계자와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수정해 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점, 둘째, 게이미피케이션을 교수설계과정에 적용함으로써 게이미피케이션의 확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 셋째, 박물관 교육에서 디지털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이해가 주요한 역량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museum to expand digital education that integrates smart technologies to meet the individualized needs of visitors. As a result, museum educators are expected to design digital learning programs, while they may lack knowledge and experience in instructional design and digital technolog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ystemic design model for museum digital learning. Drawing from gamification, constructivism, constructionism, contextual learning model,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systemic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prior research, this study suggest ten design guidelines. We applied gamification to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to enhance access and motivation and provided premade digital learning activities per competency and theme. In this model, two museum educators play roles of an instructional designer and a learner and repeat the interaction of diverging ideas, providing feedback, and making decisions through the stages of Define-Decide-Design. The result of usability testing using a four-point Likert scale indicates that validity (M = 3.42, SD = .67) and usefulness (M = 3.75, SD =. 45), universality (M = 3.33, SD = .49) and ease of use (M = 3.33, SD = .49) were all positive. This study poses three significances. First, it is important to interact between the designer and the learner and repeatedly modify instructional decisions through the process of defining, deciding, and designing. Second, applying a gamification model shows a great potential to instructional design. Third,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o education is a prerequisite for those who design museum digital learning.

      • 망 분리기반의 정보보호에 대한 고찰

        이은배(Eunbae Lee),김기영(Kiyoung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0 情報保護學會誌 Vol.20 No.1

        정보 통신의 발전으로 인하여 모든 장소에서 인터넷, 인트라넷을 적용하여 외부와의 업무 연속성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은 계속적인 기업 내의 정보 유출에 대한 위험으로 내부 정보보호를 위해업무 영역과 개인 영역으로 구분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를 위한 망 분리는 IT기술의 발전으로 물리적인 망 분리에서 가상화를 접목한 논리적 망 분리가 제시되고 있다. 업무 환경의 보호를 위한 망 분리에 대한 다양한 방안과 그 에 대한 장단점을 소개하도록 한다.

      • KCI등재

        체제적 학교혁신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은배 ( Eunbae Lee ),강지혜 ( Jihye Kang ),이지연 ( Ji-yeo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관계자들의 인식과 요구를 토대로 체제적 학교혁신의 주요 영역을 구체화하고, 단위학교별 학교혁신 현황 및 과제를 진단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교육 및 학교혁신과 관련된 문헌분석,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방문조사 및 교사간담회, 혁신미래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전문가 초청 간담회 등을 통해 학교관계자의 요구와 단위학교의 현실적 맥락을 고려하여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는 거버넌스, 조직운영, 교육과정 및 평가, 교원전문성, 교육공간 및 테크놀로지, 학생자치, 외부환경의 7대 혁신 영역과 31개의 영역별 과제들로 구성되었으며, 인천광역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1,317명의 관리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진단도구로서의 신뢰도와 타당성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진단도구는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에서 모두 적용가능하며, 혁신의 주체인 단위학교 관계자의 인식에 기초하여 체제적이고 미래지향적 학교혁신을 위한 발전방향 및 운영과제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assess the current state and identify critical areas of school innovation that represent the needs of faculty and to drive systemic change.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visits,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principals, and superintendents; expert consultations; and discussions among the researchers, we identified seven domains (school governance, organizational management, curriculum and assess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learning space and technology, student autonomy, and community relations) and 31 corresponding items. We administered the survey to 1317 school personnel (from both traditional and innovative pilot schools)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ith the second-order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strument can serve as an alternative to assess the state of innovation for both traditional and innovative pilot schools of all grades. Perceptions and opinions of school personnel, who are expected to play a leading role from the needs assessment stage, can be revealed through the instrument. To cultivate systemic change in schools, it is imperative to identify needs in all seven domains, including learning space and technology, which have been previously neglected. The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using the instrument for systemic school innovation and future schools.

      • KCI등재

        FCAW 용접부의 인성에 미치는 Root Gap의 영향

        한종만,이은배,안성철,한용섭 대한용접접합학회 1991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9 No.4

        Both impact and fracture toughnesses were investigated with root gaps in FCAW weld metals at room temperature and 0.deg.C. The maximum impact value was obtained at the root gap of 16mm for 1G position weld metal, and the impact value of 3G position weld metals also showed the maximum impact value at the root gap of 12mm. However, the fracture toughnes(CTOD)values ten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root gaps at both temperatures in 1G weld metal. Bending test also showed satisfactory results with all of root gaps investigated. Based on this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apply wide root gaps in real projects in both aspects of toughness and bending resistance.

      • KCI등재

        APEC 국제교육협력사업을 위한 교육정책가의 교육정보화 역량모델 개발 연구

        이지연,이은배,윤헌철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2

        The current study aim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that systematically defines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education policymakers responsible for ICT in education policies in APEC member countries. The study employs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competency models and a survey of APEC national education policymakers.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y model, two rounds of expert review were undertaken. The final draft of the competency model for ICT education policymakers derived from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mmon competency, informatization competency, and education informatization competency, each composed of subcompetencies. Common competencies include thinking, executive, and affective skills needed to perform public duties. Informatization capabilities consist of strategic planning for informatization, managing informatization, and informatization acceptance and diffusion. education informatization competency is divided into strategic planning for education informatization, building infrastructure for education informatization, promoting its acceptance and diffusion, and ICT integration for education informatization, overarching tasks that span from policy establishment to close cooperation with practitioners. It is expected that the competency model for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makers developed from this study could be employed in hiring processes,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job competencies, the allocation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현재 포스트 코로나, 4차 산업혁명, 디지털 대전환을 동시에 겪고 있는 격변기에 국가의 교육정보화 정책 수립 및 지원을 주도하는 교육정책가의 역할과 책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정보화 정책을 담당하는 교육정책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체계적으로 정의한 역량모델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역량모델 관련 선행연구 문헌조사와 APEC 회원국 교육정책가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발한 교육정책가 교육정보화 역량모델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육정책가 교육정보화 역량모델 최종안은 크게 교육정책가가 갖추어야 할 공통 역량, 정보화 역량, 교육정보화 역량의 세 범주 및 범주별 세부역량으로 구성되었다. 공통역량은 공직자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사고력과 실행 능력, 인성을 포함한다. 정보화 역량은 정보화 기획 및 예측, 정보화 관리 및 추진, 정보화 수용 및 활용으로 세분화된다. 교육정보화 역량은 비전 수립, 인프라 구축, 수용 및 확산, 교육 현장의 ICT 통합으로 구성되며 정책 수립부터 교육 현장과의 긴밀한 협력까지를 직무를 아우른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정책가 교육정보화 역량모델은 향후 교육정보화 정책수립 및 시행을 위한 전문성을 갖춘 교육정책가 선발 및 평가,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조직과 업무 분할, 성과평가의 기준을 제시하는 등 인적자원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 KCI등재

        스테인리스강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후열처리의 영향

        한종만,한기형,이은배,허만주,한용섭 대한용접접합학회 1996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14 No.3

        In this paper the influence of postweld heat treatment on mechanical properties of SMAW and FCAW stainless steel weldments was examined and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amount of $\delta$-ferrite formed by SMAW and FCAW proc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holding temperature and time in post weld heat treatment(PWHT), and it was found that the reduced ferrite was transformed into sigma phase after $800^{circ}C{\times}50hr$ PWHT. This sigma phase, even though it was very small, resulted in brittleness of dissimilar weldment between carbon steel and stainless steel in bending test, however in similar weldment between stainless steel and stainless steel was not occured. (2)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igma phase was measured to 28-30%Cr, 7-9%Mo, 4-6Ni in 316L weldment, and also 35-37%Cr, 0.9-1.0Mo, 6-8%Ni in 309L weldment by EDS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