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관한 고찰: 일본 북해도 청소년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하경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2

        This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 of educ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on 2010, studied about how to understand and suggest selected Korean traditional music as Japan'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as Japan'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has the ease of Japanese teenagers being able to have a closer and easier approac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rouse interest and systematic education effect through performance, viewing, and practice. In other words, field of performance and viewing can lea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rough selecting different repertories such as dance with theme or singing with lyrics. Field of education and practice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samulnori and kayagem experience. Also, by using various references, it will be a chance for Japanese teenagers' systematic and deep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is education example of Japan, provides bright future and directivity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Due to this paper,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expected to become a successful ca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by enforcing specialized education with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form. 본 논문은 2010년 실시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 사례를 토대로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한국전통음악을 어떻게 이해하고 선별하여 체계적으로 다룰 것인가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한국 전통음악은 다른 나라의 음악에 비해 일본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비교적 쉽고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용이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국 전통음악의 교육은 공연 및 감상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 및 실습을 통하여 체계적인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공연 및 감상 영역은 테마가 있는 무용과 가사가 담긴 병창 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정하여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유도할 수 있다. 교육 및 실습 영역은 사물놀이와 가야금 체험학습을 통하여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일본 청소년들에게 보다 폭넓은 다문화 음악교육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일본의 교육 사례는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밝은 미래와 방향성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 전통음악교육은 앞으로 이와 같은 현장 교육 경험을 토대로 좀 더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를 갖추어 전문적인 교육을 실시한다면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성공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진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research methodology of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presum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al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categorized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in music education and classified research articles(N=112) published in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JMES) of Korea by the research methodological category since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ost of Korean publications in JMES were review articles (n=96; 85.7%), and the small numbers of articles took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n=16; 14.3%) relatively, while majority of American music education studies i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JRME) produced results b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78.3%). In conclusion, stud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needs to balance research methodological procedure with producing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more for the future of Korean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에 관련된 학술적 연구들의 유형을 과학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류하고, 현재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유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음악교육의 현황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나은 한국 음악교육의 미래를 위하여 음악연구의 방법론적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과 관련한 연구방법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현황을 알기위하여, 음악교육 공학회에서 발간하는 음악교육공학에 출간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삼아 유형을 분석하여(N=112) 미국의 JRME에 출간된 음악교육연구유형(Yarbrough 1996)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가 대부분 양적연구방법인 실험연구와 조사연구(78.3%)인데 반해, 한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는 대부분 질적연구방식에 속하는 메타분석(Meta-Analysis)을 사용한 문헌연구(Review Article) 방식(85.7%)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국에서 양적연구에 치우친 음악교육계가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연구방법의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처럼, 한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한 현장중심의 양적연구들이 많이 나와서 한국의 음악교육이 발전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 중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성요인 탐색

        이상수,김대현,이유나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현상이 갖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공동체적 접근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기존 교육공동체적 접근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새로운 공동체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즉 외국 공동체 이론이 아닌 한국형 교육공동체,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교육공동체,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대립이 아닌 조화를 추구하는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 그리고 내부 구성원들의 인식에 기초한 공동체 탐색 등 네 가지 방향성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들 방향성에 기초하여 한국인 의식의 특성에 대한 연구와 공동체에 대한 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새로운 교육공동체 모습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중등학교 학생과 교사 총 1271명을 대상으로 따뜻한 공동체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 기초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격적 관계, 민주적 참여구조, 공유된 비전과 목표, 협력, 헌신, 그리고 정서적 유대감 등 여섯 개의 요인이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설명할 수 있는 구성요인들이 추출되었고 각 요인별로 세 개에서 여덟 개의 문항들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제시된 따뜻한 교육공동체는 한국인의 전통 의식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하고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한국형 교육공동체의 모습을 제시한다는 관점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Automatic Fracture Detection in CT Scan Images of Rocks Using Modified Faster R-CNN Deep-Learning Algorithm with Rotated Bounding Box

        Chuyen Pham(추엔 팜),Li Zhang(장리),Sun Yeom(염선),Hyu-Soung Shin(신휴성) 한국암반공학회 2021 터널과지하공간 Vol.31 No.5

        본 논문에서는 암석시료의 CT 촬영 이미지상의 균열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새로운 인공지능 딥러닝 기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 기법은 2단계 딥러닝 객체인식 알고르즘인 Faster R-CNN을 기반으로 회전 가능한 경계박스(bounding box) 개념을 도입하여 알고리즘을 개조하였다. 회전 경계박스의 도입은 관심 균열 영역 밖의 배경의 불균질성 및 균열의 크기와 형태에 영향을 받는 딥러닝 객체인식기법 상의 고유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핵심 역할을 한다. 본 회전형 경계박스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상 수평 축과 평행한 경계박스 사용의 경우와 비교하여 긴 형태의 균열 형상 특성에 매우 잘 부합된다. 즉,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경계박스 내 균열 이외 배경영역의 비율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회전 경계 박스의 추가적인 이점은 인식된 균열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여 추론되는 경계박스를 통해 균열의 방향과 길이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제안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미지상에서 매우 불균질한 화강암 시료에 인공적으로 균열을 발생시킨 다수의 암석시료 영상을 딥러닝 학습에 사용하고 추론 성능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외에도, 동일 조건에서 사암과 셰일 암석 시료에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기법을 통해 균열 객체 인식의 평균 추론정확도(mAP)값이 0.89 정도 수준의 우수한 추론 성능을 보였으며, 기존 기법에 비해 추론된 경계박스 내 균열과 배경 영역의 비율 측면에 서 배경의 비율이 획기적으로 최소화되는 유리한 추론 검증 결과를 보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approach for automatic fracture detection in CT scan images of rock specimens. This approach is built on top of two-stage object detection deep learning algorithm called Faster R-CNN with a major modification of using rotated bounding box. The use of rotated bounding box plays a key role in the future work to overcome several inherent difficulties of fracture segmentation relating to the heterogeneity of uninterested background (i.e., minerals) and the variation in size and shape of fracture. Comparing to the commonly used bounding box (i.e., axis-align bounding box), rotated bounding box shows a greater adaptability to fit with the elongated shape of fracture, such that minimizing the ratio of background within the bounding box. Besides, an additional benefit of rotated bounding box is that it can provide relative information on the orientation and length of fracture without the further segmentation and measurement step. To valid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we train and test our approach with a number of CT image sets of fractured granite specimens with highly heterogeneous background and other rocks such as sandstone and shale.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our approach can lead to the encouraging results on fracture detection with the mean average precision (mAP) up to 0.89 and also outperform the conventional approach in terms of background-to-object ratio within the bounding box.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실습체제 비교연구: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정재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2 음악교육공학 Vol.- No.1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 teaching practicum program for music teachers in middle school emphasizing on the system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nally this study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student teaching practicum program in Korea. For this purpos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10 teacher's college in Korea and 4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 teaching progra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is more systematic and various than that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and has more strict standards to take student teaching practicum program. Based on this result, five dimensions of suggestions were mention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 teaching practicum program in Korea. First of all, the extension of the period of student teaching and increase of the credits for student teaching is needed.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observati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is needed before performing the student teaching. The orientation, on-going education, and post-education for the effective and systematic student teaching program are demonstrated in detail. In addition, the requirement for the taking student teaching and teaching certification has to be fortifi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open line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o-op teacher and the university supervisor regarding the student.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사 교육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확장시켜줄 수 있는 교육실습 내용 및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음악교사 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출발하며, 이를 위하여 주(state)마다 다양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미국의 교육실습 내용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 예비음악교사 교육실습프로그램의 개발에 방향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의 대표적인 중등음악교사 양성기관인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실습체제 및 운영 실태를 비교하고, 다양성으로 대표되는 미국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실습체제 및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 개선을 위한 방향을 첫째, 교육실습 기간의 연장과 실습학점의 증가의 필요성, 둘째, 교육실습 전 현장을 경험할 수 있는 관찰 및 참관수업 관련 과목의 개설, 셋째, 체계적인 교육실습을 위한 사전교육, 실습중 교육, 사후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의 확립, 넷째, 교육실습 자격 요건의 강화, 다섯째, 협력학교 교사와 대학전공교수, 그리고 예비음악교사와의 밀접한 관계의 형성으로 제시하였다.

      • 예비교사의 시각에서 본 한국과 핀란드교육의 특성

        허희옥,이옥화,( Irja Leppisaari )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과 핀란드 교육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교의 교수-학습 과정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대한 교육공학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 교실 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이의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3년에 걸쳐, 학교 교 육실습에 참여한 한국과 핀란드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일지의 내용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총 15명이었다. 교육실습은 매년 가을 학기에만 이루어 졌는데, 참여 학생들은 그 기간 동안에 상대국에서 교환학생 자격으로 수학하였다. 교육실습 기간 동안에는 수업 관찰, 직접 교수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고, 예비교사들은 매번 실습 일지를 작성하도록 요구되었다. 이 자료들은 주제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자들이 각자 개별적으로 분석한 후, 논의 과정을 통하여 재분석하고 통합하였다. 그 결과, 수업 상황의 유연성, 학습 내용과 활동의 실제성, 교사-학생의 역할과 관계, 평가의 역할 과 이에 대한 인식, 학습자 참여, 학습자 웰빙 등의 측면에서 두 나라의 교육에 대한 특성이 정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측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음악전공자의 유학 후 실태와 새로운 유학모델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조부환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3

        The present music education system reveals numerous problems and limitation. These problems raise the performance cost higher and higher. But the high cost in performance never returns with high income because public audience(buyers) do not intend to pay a lot for such public goods(concerts). This is really a vicious circle in present music society.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reality and solve the problem, young students go abroad to practice and study more for better musical quality, proper high degree. In doing so, they expect to achieve better opportunity in performance and education and of course higher social position with better income. But the statistic shows musicians who have studied abroad in European or American countries , traditionally so-called elite musicians, do not guarantee themselves a good social status. A deep infra-structural problem and closed system in music society are making the situation even worse. Music major students simply pay a lot during their studyng abroad period but still earn little after their expensive study. Here we need a new paradigm for advanced music education with lower cost and better quality. A joint degree program between Korean and Germany which has been launched 5 years ago would be a alternative way for traditional expensive educational system. With some practical difficulties in 5 initiative operating years, the joint degree program has successfully been growing and expecting more participants. 현재 한국의 음악교육 시스템과 음악인이 처한 사회적 지위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고 판단된다. 사회의 엘리트 구성원으로서의 음악인에 대한 인식은 높으나 그에 따르는 경제적 보상은 상당히 낮다. 연주력이 높은 경쟁 음악인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자신의 음악을 관객에게 들려주기 위한 공연비용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공연비용의 상승은 음악인들의 수입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관객(소비자)이 그러한 공공재(공연)에 높은 대가를 지불하려는 의사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현 우리 음악계의 가장 심각한 악순환 구조이다. 이러한 현실을 피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젊은 음악학도들은 더 좋은 환경에서 더 좋은 교육을 받고 상위의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유학을 떠나고 있다. 그들은 유학을 통해 더 좋은 공연과 교육 기회, 그리고 나아가 귀국 후에 사회적으로 더 나은 대우와 수입을 기대한다. 그러나 조사에 의하면 유럽이나 미국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온 음악인들, 즉 엘리트 음악인들이 사회적으로 상위의 지위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 수많은 음악전공자들이 연주력 상승과 학위의 취득 그리고 귀국 후 더 나은 처우를 위해 해외 특히 미국과 유럽으로 유학을 떠나고 이를 위해 상당한 규모의 비용을 지불하지만 유학 후의 수입과 대우는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이므로 저비용으로도 고급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개념과 형태의 대안적 유학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과 외국의 교육기관 간의 복수학위 운영 프로그램이 바로 그 예인데, 전통적인 방식의 고비용 유학교육시스템을 대체할 교육체제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대안적 교육기관을 실제로 운영하는 데는 약간의 어려움이 없지 않지만, 한국과 외국 유수 대학 간의 복수학위 운영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하고자 하는 수요는 대안적 교육으로 차츰 증가하고 있다.

      • CQI 정성데이터 분석을 통한 메타 평가 사례

        이정은,심현애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교육과정의 품질 관리와 개선은 교육과정의 주기적 평가와 결과환류 및 수정보완을 통해 학습 수월을 제고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는 학습자평가, 교과목평가, 학과/부의 교육과정평가, 학교 차원의 교육과정평가 등의 다양한 형태로 수행되며, 각 평가결과에 따라 교과내용 및 방법의 개발, 편성, 실행이 진행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교육과정 평가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분석 및 메타평가 시도는 많지 않았다. 그 이유는 많은 양의 정성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어렵기 때문이었다. 반면에 최근에 시도되는 워드클라우드나 네트워크 분석과 같은 빅데이터 분석 방법은 정성데이터의 기계적 처리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과정 환류보고서에 포함된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평가 적절성을 확인하는 메타평가를 실시하고, 기계적인 메타평가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s대학의 43개 학부/과의 2,216과목을 대상으로 2015학년도 2학기부터 2016학년도 1학기 개설 과목의 교과목 CQI, 교육과정 CQI, 대학본부 CQI를 갖춘 8개 학과의 정성적 데이터를 대상으로 워드클라우드를 활용한 키워드 추출 및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정량적 데이터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과목 CQI의 평가점수는 학습자의 강의평가 점수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교과목 CQI에 포함된 키워드는 학과별로 달랐다. 대부분의 학과에서는 2015-2학기에는 다양한 키워드들이 출현하였으나 2016-1학기에는 키워드들이 특정 단어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 키워드들은 개선실적을 중심으로 운영평가 및 성과평가와 연결되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과정 CQI는 운영성과 및 개선실적이 특정 단어를 매개로 네트워크를 이루는 경향을 보였다. 본부차원 CQI는 교과목 CQI 및 교육과정 CQI의 요청사항 키워드와 네트워크를 이루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품질관리를 방안으로 메타평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키워드군 분류 및 네트워크 매개 단어의 의미 분석 등의 방법론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