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가치교육 내용 및 방법 인식에 대한 성별, 급간별 차이 연구: IPA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Value Education: A Study on Differences by Gender and School Level Using 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01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vement to increase the awareness toward the public interest and community development by educa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social values is recently observ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how students perc...

      The movement to increase the awareness toward the public interest and community development by educa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social values is recently observ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how students perceive social value education before including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electing social values prioritized by gender and school level by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value educ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and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on social value ordinances perceived by students on a Likert scale. According to IPA classification, “keep up the good work,” “concentrate here,” “low priority,” and “possible overkill” of social value education contents were identified per gender and school level. In addition, preference on a method appropriate for value education was compared by gender and grade level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Value education methods included were the traditional approach such as lecture; the cognitive approach including debate, problem-based learning, and reflection on social problems; and the emotional-behavioral approach including simulation, role play, and project-based learning. Overall, female students perceived more highly of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value education than male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veral items of social value educatio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tection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human rights,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the top-priority contents. For male high school students, job creation and safe work environment emerged as priorities. Regarding the value education method, male students most preferred the cognitive approach, specifically debate, and female students preferred an emotional-behavioral approach, namely simulation. By select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value education based on empirical evidence, it is hoped to cultivate students' bearings of social value and responsibility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making sustainable communal well-be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중고등학생들에게 사회적 가치를 교육하여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 사회적 가치 교육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는 등 ...

      최근 중고등학생들에게 사회적 가치를 교육하여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 사회적 가치 교육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는 등 사회적 가치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가치 교육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기에 앞서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실증적 연구가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성별, 학교급별로 비교 분석하여 성별 및 학교급에 적합한 사회적 가치를 교육과정에 편성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서울특별시 소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개별 사회적 가치 조례의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얼마나 교육이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수행도를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실시하여 우선순위와 현상유지, 과잉노력지양, 후순위 가치를 분류하였다. 더불어 가치 교육에 적합한 방법으로 전통적 접근 방식인 강의식, 인지적 접근 방식인 찬반 토론, 문제기반학습, 사회문제 성찰과 정서행동적 접근 방식인 가상체험 시뮬레이션, 역할극, 프로젝트 기반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를 성별, 급간별로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사회적가치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여중생에게는 사회적 약자와 인권 보호, 지역경제 공헌, 민주적 의사결정과 참여 등에 관한 내용이 우선적으로 교육되어야 할 내용으로 나타났고, 남고생에게는 노동권과 안전한 근로 생활, 보건복지,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에 관한 가치 교육이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더불어, 사회적 가치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남학생의 경우 인지적인 방법인 찬반 토론을, 여학생의 경우 정서행동적 접근 방식인 가상체험 시뮬레이션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사회적 가치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학생들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책임감을 높이고 사회문제의 협력적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