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기초교육정보화 현황과 특징

        박성일,박정환,정동욱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중국의 교육정보화도 세계의 정보화추세와 중국 내의 경제, 사회발전에 힘입어 성황리에 추진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사회정보화의 일환으로 교육정보화에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초교육정보화로 교육의 현대화와 교육의 평준화 및 미래 정보화 사회에서의 국가적 도약을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기초교육정보화를 위한 기반시설 구축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정보화 추진을 위한 법규와 제도 마련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 뿐 아니라, 정보화교육을 위해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중국의 기초교육정보화는 짧은 기간 내에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기초교육정보화는 수많은 인구의 교육 부담과 넓은 지역 및 낙후된 경제기반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보급에 따르는 어려움을 극복해야 하고, 질적·양적 측면에서 교사의 적극적 노력이 요구되며, 정보기술과 교육의 긴밀한 접목을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교육정보화, 특히 기초교육정보화는 결국 정부의 행위에 많이 의존하기 마련이다. 정부의 법률적, 제도적 및 조직적 노력으로 교육정보화는 그 발전 속도를 배가할 수 있으며, 바로 중국 정부의 경험이 이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중국의 기초교육정보화의 체제적 추진방식, 정부와 기업체 및 금융업체의 협동적 추진 방식, 중국식 정보화 표준화, 격차해소를 위한 현실적 해결책 등은 선진국이나 선진국을 향해 가는 나라들이나 모두 참고할만한 중요한 경험이라고 본다. Educational informatization in China is being moved ahead successfully that keeps pace with the global trend of informatization and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Chinese government is going to have great efforts in educational informatization as a part of social informatization and so expects educational modernization, educational equalization, and national leap in the future informatizational society. For these expectations, the Chinese government is going to invite capital 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or the fundamental education informatization and have efforts in establishment of laws and regulations as well as in education of informatization. Thanks to these efforts, the China`s fundamental education informatization is going to make rapid progress for short period. But, it is true that the China`s fundamental education informatization have many problems because of the education load according to the great population, the broad area, and the backward economical foundation, and so on. So, it is needed to overcome the problems on the supply of computers and Internet, expected rapid progress of teachers in both side of quantity and quality and needed to have more efforts for graft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education. The China`s experiences such as systematical driving method of fundamental education informatization, cooperative driving method among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financial agencies, china`s own unique standardization for informatization, and solutions for abolishing the informatizational differentials, etc. are very considerable to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 KCI등재

        SWOT 분석을 통한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발전 전략 연구

        신승용 ( Seung Young Shin ),이문호 ( Moon Ho Lee ),김상연 ( Sang Yon Kim ),이신희 ( Shin Hee Lee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자 SWOT 분석을 시행하였다. SWOT 분석은 해외 사례 분석과 전국 713명에 이르는 교사와 각 시도 교육청별 교육정보 공유체제 관리자를 중심으로 한 설문과 협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해외 사례 분석을 위해 iTunes UK-12외 6개에 이르는 주요 교육정보 공유 사이트들의 우수사례를 교육정보 수집, 공유 분배 등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고, 교사와 관리자 중심 설문과 협의회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정보 공유체제를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를 근거로 현행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 및 개인 미디어의 확산, 소셜태깅기술의 대두를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개선 기회요인으로 제시했고, 저작권에 대한 낮은 인식과 수동적 교육정보컨텐츠 소비층, 중앙집중적 교육컨텐츠 관리방식을 위협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안정적 확산을 위해 기술의 변화와 더불어 개방, 공유, 소통 및 참여의 키워드 수용, 콘텐츠의 일방적 제공, 관리체제에서 공유와 협력으로의 인식 전환, 콘텐츠 증가에 따른 원활한 소비 유통을 위한 저작권 문제 등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SWOT analysis for the purpose of seeking a developmental strategy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Korea. SWOT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survey and consultation centering around analysis on the foreign cases, 713 teachers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administrators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roughout the nation. As for the analysis of foreign cases,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n the excellent cases of 6 main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ites including iTunes UK-12 in accordance with phases of collection, sharing and distribution and analyz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and conference conducted focusing 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drawn from the foregoing, this study produc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Meanwhile, this study suggested expansion of digital textbook and personal media, and the rise of social tagging technology as opportunity factors for improve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but suggested low understanding of copyright, passive consumers of educational information contents and centralized management method of educational contents as threat factor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opening, sharing, cooperation and acceptance of participatory keywords, unilateral supply of contents, conversion of understanding from management system into sharing and cooperation and the problem of copyright for smooth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contents tasks to be solved on the preferential basis for stable expans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 활용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서준일 ( Joonil Seo ),장경원 ( Kyungwon Ch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3

        스마트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개별적 맞춤형 교육으로, 자기주도학습과 협력학습을 지향하는 교육체제 전반의 혁신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체제이다. 이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스마트교육에 대한 국·내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816편의 국내 논문과 329편의 국외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분석 대상 논문들의 제목에 사용된 주요 개념을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는 ‘활용’, ‘교육’, ‘분석’, ‘중심’, ‘학습’, ‘효과’ 등을 주요 단어로 사용하였고, 매체 활용과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였다. 둘째, 스마트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는 ‘learning’, ‘system’, ‘environment’ 등을 주요 단어로 사용하였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교육의 기본 본질을 전제로 한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였다. 따라서 향후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는 스마트교육을 위한 매체 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스마트교육의 본질을 추구할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 및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인 팀기반학습, 토의와 토론, 프로젝트학습 설계 및 운영 전략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디지털교과서의 성과에 대한 연구, 학생들의 역량 및 인성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mart education is the support system of teaching and learning to bring about innovation throughout the education system.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researches on smart education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aims to propose the policy task and direction for the activating smart education. For this, 816 domestic research papers and 329 foreig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05 to 2015 were selected, and the key words of the research titles were analyzed with three methods being used i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hich are centrality analysis and cluster dendrogram. The main conclusion drawn from ou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our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es on smart education, we found that domestic researches had been used key words such as ‘using’, ‘education’, ‘analysis’, ‘centered’, ‘learning’, ‘effectiveness’ and so on. Futhermore, domestic researches had been carried out the study on smart media usage and proof of effectiveness. Second, according to our analysis of foreign researches on smart education, we found that foreign researches had been used key words such as ‘learning’, ‘system’, ‘environment’ and so on. Futhermore, foreign researches had been carried out the study on educational prerequisites to maximize educational effectiveness on smart education. Therefore, researches on smart education will be carried out the study on lesson design and operational strategies for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team-based learning, discussion and debate, project using smart devices and online contents to pursue educational prerequisites. Furthermore, researches will be carried out the study on the effect of digital textbook and student’s competency.

      • KCI등재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의 과학태도, 과학흥미, 만족도 및 과학성취도에 대한 효과성 검증

        박남수 ( Nam Su Park ),김동심 ( Dong Sim Kim ),이은율 ( Eun Yul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2

        박물관은 과거 소장품을 보존 및 전시하는 장소에서 현재 관람객의 교육을 위한 장소로 변모하고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에서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기존의 활동지를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과 성과와의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인과학흥미, 과학태도,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A자연사 박물관의 기획전시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7-10세의 참가자 4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전시 관람을 돕는 교육활동 자료로 기존의 활동지와 스마트워치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각 집단의 과학흥미, 과학태도,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와 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Cronbach의 α를 구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과학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과학흥미, 박물관교육 만족도와 성취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현재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 및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활동 자료로 활동지, 전시안내 해설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스마트워치의 매체적 특성을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이 박물관교육에서 의미 있는 교육 효과를 보여줄 수 있으며, 또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의 방법의 다양성과 가능성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향후 박물관교육에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시 관람을 돕는 교육자료로 스마트워치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활용은 관람객의 학습 성과는 물론 학습역량 강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스마트워치 적용을 위한 실행 방안과 통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Museums are being transformed from the place where past collections were stored and displayed into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visitors. In this study, by conducting comparative study between museum education programs that utilize smartwatch and that utilize previous activity paper. We aimed to verify effectiveness on the museum education program’s outcomes(science interest, science attitud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We have divided 46 participants ages ranging from 7 to 10 who participated in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of A natural history museum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and proceeded with the programs that utilize both smartwatches and existing activity papers that act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museum exhibition. By this method, we measured the science interest, science attitud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o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of each group. We used SPSS as a research method and measured Cronbach’s alpha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Also, w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whi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cience attitude,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ce interest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o the education program. Currently, various museum educational programs are being developed and operated. Also, activity papers, exhibition guide, and mobile applications are being utilized as museum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believe that the museum program that utilizes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smartwatch can have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s in terms of museum education and shows its potential and diversity regarding methods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we suggests that concrete action plans and integrated research in regards to the smartwatch is required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 분야의 연구 동향과 과제

        허희옥 ( Hee Ok He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2

        이 글은 국내의 교육정보미디어연구 분야의 성과를 알아보고 미래 발전을 위한 과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우선, 교육정보미디어 연구의 성과는 전문학술지의 연구논문과 전국규모 학술대회의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이 분야는 명칭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대부분의 연구가 미디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적성·처치 상호작용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가 대체로 미시적 제한적 관점으로 분석되고 이해되었다면,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거시적인 연구 관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현대 철학의 주류를 이루는, 대립적 이원론의 통합과 매체해석학적 관점을 소개하고,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같은 새로운 미디어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근대철학을 바탕으로 제기되었던 대립적 이원론이 자아와 세계, 주체와 객체, 이론과 실제 등의 분리된 관점을 중심으로 현상을 이해했다면, 현대 철학은 이러한 이원론의 통합을 주장하면서,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교정미 연구가 거시적 총체적 관점으로 현상을 해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또 다른 발판을 마련할 것이다. 또한, 매체에 대한 연구의 동향과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속성을 논의하면서 교정미 연구의 현주소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현시적인 안목으로 고민해 볼만한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in the era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EIM) based on the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from 1995 through 2005. The 90% of EIM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media bas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al settings, which means educational media research is considered as a main theme in EIM. More specifically, most educational media research generally adopts microscopic perspectives to analyze and to interpret its findings in EIM, which is focused on the effects of media on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subject-matters` features. The main target audience is in k-12 and university levels. It indicates that EIM research takes deep considerations on various research paradigms and target audiences in terms of its aims and new educational demand. For further directions of EIM research, some post-modern conditions on human, knowledge, media are introduced. Cur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start from the denial of such dualism as self-world, subject-object, body-mind, theory-practice etc., and provide the unified perspectives about them. Informations-hermeneutics also indicates various interpretation about media, human, and world in the macroscopic, holistic approach. Moreover, new media such as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should be considered for further studies in EIM. Finally, several considerations on the future directions on EIM research are suggested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SNS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효과: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준 ( June Lee ),구양미 ( Yang Mi Koo ),이윤옥 ( Yun Oug Lee ),김지경 ( Ji Kyoung Kim ),임진숙 ( Jin Sook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1

        SNS는 인터넷상에서 친구, 동료 등 지인과의 의사소통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인맥을 형성함으로써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로서 학령기 학생들의 상당수가 SNS를 이용함에 따라 최근 학교 현장에서도 활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교육이 기본적으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의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때, SNS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새로운 의사소통의 도구로서 학교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검토될 수 있다. 하지만, 본래 교육 목적으로 개발되지 않은 SNS가 공교육의 질을 제고하는데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학교 교육에 이용되고 있는 방법과 교육적 효과 및 역기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SNS는 적절하게 사용될 경우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의 면대면 의사소통의 장을 확장하고 상호작용의 빈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전문가나 타 학교 학생 등 외부 인적 자원과의 교류를 촉진함으로써 교육의 기회 및 다양성을 확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NS는 수업 외에도 알림장 사용과 같이 학급경영을 효율화하는 등 교과교육 외의 영역에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수준은 아니지만 SNS가 학생들의 불건전 정보접촉이나 상호비방, 교사의 업무 과다 등 역기능적 측면의 활용도 일부 드러났다. 따라서, 교사의 지도하에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활동으로 활용 범위를 제한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number of people who use SNS has increased in K-12 school recently.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research studies, it is not obvious whether the use of SNS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using SN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for teachers and students who used SNS in elementary school.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s of SNS,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improved and their interest in learning also increased. In addition, SNS was helpful for recording learning processes, providing instant feedback, expanding the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and creating an positive classroom atmosphere. During interviews, teachers acknowledged that SNS was an effective tool for review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Moreover, students admitted that sharing ideas and learning material were positive sides of using SNS. However, certain adverse effects of using SNS were found such as slandering other people, accessing obscene contents, increasing teachers` burden, and disturbing students` studies.

      • KCI등재

        PISA ICT 설문조사 분석을 통한 OECD 국가의 학교 정보화 실태 비교 연구

        김준형 ( Jun Hyu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3

        21세기의 키워드는 정보통신기술(ICT) 이며, 사회전반에 걸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미래인재의 육성을 그 기본 책무로 하고 있는 학교교육은 과거보다 더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도와 ICT 소양을 함양하여야 하는 사회적 요구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시대적 맥락에서 국제사회와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선진국들의 협의체인 OECD는 미래인재들이 그들의 미래를 위해 기본적으로 함양해야할 소양을 정의하고, 2000년부터 매 3년마다 PISA를 통해 OECD 국가들의 15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ICT 설문조사를 시행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ECD 각 국가별로 학교에 ICT가 얼마나 많이 투입되고 활용되고 있는 지 또 연도별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교 정보화 인프라 현황, 수업에서의 ICT 활용 정도, 학생들의 정보소양 및 ICT에 대한 학생태도 등을 지금까지 총 5회 실시된 PISA ICT 설문 결과 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 ICT 교육 추세가 초기의 정보소양교육 위주에서 ICT 활용교육으로 확대 전개되고 있다고는 하나, 2012년 현재, 수업시간에서의 ICT 활용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ICT 활용교육은 예상보다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정보화의 모범국가이었던 한국이, 2012년 현재, OECD 평균이거나 이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본 연구결과가 향후 교육정보화 강화방안에 대한 경고음으로 받아드려져 한국의 교육정보화발전과 교육발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s one of the key words in this 21st Century. It puts great impacts on every corner of societies, and pushes them to change and shift their paradigms. Especially, schools, whose main role is to let their students to prepare their futures, are in the middle of social requests to enhance the school achievements and ICT Literacies of their students. In this context, OECD, which is a consortium of countries that are leading the international societies and economies, has defined DeSeCo,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that every student should bear for his/her future. It also developed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and has executed surveys on academic achievements and ICT questionnaires every three years from 2000 through PISA. In this study, it is compared how much ICT has been deployed and used in OECD schools and what was their trends from 2000. Four main issues are discussed including ICT infrastructure, use of ICT in classes, ICT literacy and attitude toward ICT. It is carried out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five raw data sets gathered by PISA ICT questionnaires from 2000 to 2012. It is shown, at the moment of 2012, that the trends of ICT in schools is expanding from ICT Literacy training to ICT in classes, but that the usage of ICT in classes of the OECD schools are still quite lower than the expectation. It is also shown that status of ICT in schools of Korea are less and worse than OECD averages. We hope that our results are considered as an warning signal for Korean Education.

      • KCI등재

        인지구조에 기반 한 교수전략 연구: 구체성효과 및 주의분산효과를 중심으로

        이현정 ( Hyun-jeong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1

        이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이중 정보의 사용이 이중부호효과나 멀티미디어효과에서는 긍정적인 측면을 중복효과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데, 서로 대립되는 원리를 새로운 시각에서 해석하기 위한 구체성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실험 1에서는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이중정보 제시(시각정보 + 언어정보 vs. 언어정보)와 구체성의 효과(구체적 정보vs. 추상적 정보)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이중정보의 제시는 파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구체적 정보 또한 파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목적은 이중 정보를 사용하여 학습하는 상황에서 학습과제의 복잡성에 따라 정보의 제시방식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실험 2에서는 대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낮은 요소상호작용성의 학습과제에서 정보의 공간적 거리(통합vs. 부분 통합vs. 분리)에 따라 파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분리 집단이 통합과 부분통합보다 낮은 성취를 보여주었다. 실험3에서는 요소상호작용성이 높은 학습과제에서 정보의 공간적 거리(통합vs. 부분 통합)에 따라 내용 이해와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통합집단이 부분 통합에 비해 내용이해와 전이 모두 높은 성취를 보여주었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ncreteness to interpret the opposite principles (dual-coding theory vs. redundancy principle) on the basis of a new perspective. In Experiment 1, 150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dual information (visual information + verbal information vs. verbal information only) and the effect of specificity (concrete information vs. abstra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esentation of dual information positively affected the retention and concrete information positively affected the retention.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how the effect of information presentation is manifested by the complexity of learning tasks in the context of learning using dual information. In Experiment 2, where 115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alyzed the effect of spatial distance (integration versus partial integration versus separation) of information on the phasing in low - element interactive learning task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separation group showed lower achievement than integration and partial integration. In Experiment 3,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spatial distance (integration versus partial integration) on comprehension and transfer of information in highly interactive elementary task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integrated group showed higher achievement on both comprehension and transfer.

      • KCI등재

        통합교육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

        정미애 ( Jeung Miae ),최명숙 ( Choi Myoungsoo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음악교과 중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음악 교과 중심의 통합 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를 탐색함으로써 다른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50개의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음악교과 중심 통합교육에 관련된 논문116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후 빈도분석을 활용하여 연도별, 학교급별, 학회지별,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별 동향은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핵심 주제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 교과 중심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2011년부터 시작하여 2015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후 다소 주춤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통합 교육은 주요한 교육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기에 통합 교육의 필요성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학교급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초등, 중등, 대학 순으로 나타났다. 학회지로는 음악교육과 유아교육 관련 학회지에 가장 많이 등재되어 있었으며,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가 양적 연구에 비해 많았으며, 구체적으로 기법과 모형개발이 가장 많았다. 주요 연구주제는 이론적 탐색과 음악교과중심에서 교과와의 통합방식, 통합교육을 통한 효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음악 교과 통합교육 연구에 대한 연구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f integrated education centered on music subjects from 2011 to 2017.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other researches by exploring domestic studies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centered on music subjects. For this purpose, 116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in 50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s analysis subjects and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methodology,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rends. The trends of research themes were analyzed based on core theme words using contents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centered on music subjects is conducted every year from 2011 to 2017. Especially, the most research started in 2011 and the most in 2015, and it shows a tendency to slow down somewhat. However, as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educ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main educational methods, so the need for integrated education is still required. Most of the school-level studies were directed at children, followed by elementary, middle, and college. The most widely used in the Journal of Music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the Journal, and the method of research was more qualitative than quantitative research. The main research themes were divided into theoretical exploration and integration with the curriculum centered on the music curriculum, and the effects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propose a research direction for future integrated research on music education.

      • KCI등재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 개발 연구

        임정훈 ( Jung Hoon Leem ),임병노 ( Byung Ro Lim ),성은모 ( Eun 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본격적인 스마트 시대를 맞아 교육현장에 활발히 보급·확산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양질의 스마트교육용 콘텐츠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를 목적으로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이러닝, 멀티미디어 콘텐츠, 디지털교과서, 모바일러닝과 스마트러닝, 소프트웨어를 위한 평가준거 및 품질인증 관련기준과 해외 품질인증 및 질 관리 기준들을 탐색하여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 초안을 도출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협의회, 타당성 검사와 교육용 앱을 대상으로 한사례 분석을 거쳐 최종 품질인증기준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을 위한 일반 기준으로 내용영역 4지표, 교수학습지원영역 7지표, 화면 및 인터페이스영역 4지표, 관리영역 3지표, 기술영역 3지표 등 총 5영역 21지표 21문항이 개발되었으며, 우수 스마트교육 콘텐츠를 평가할수 있는 스마트영역으로 소셜네트워크 상호작용, 지능적 맞춤화, 자기주도적 창발성, 접근성, 상호운용성 표준, 끊김 없는 서비스, 기술의 혁신성 등 7지표 7문항이 추가로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품질인증기준들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스마트교육 콘텐츠 유형을 고려한 기준 개발, 비형식 콘텐츠들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 발굴, 스마트 콘텐츠 개발 전문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적용가능성탐색, 개발자와 심사자들이 스마트교육 콘텐츠 개발 및 심사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t this smart learning period, Researchers tried to develop quality assurance criteria for smart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advance the quality of smart learning and suggest guidelines for the contents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he preliminary criteria by exploring existing evaluation criteria and QA guidelines of e-learning, multimedia contents, digital textbooks, mobile learning, and smart learning. After several workshops, validity checks, case analysis were done by experts in various areas, final QA criteria for smart learning were developed. As a result, four items in contents area, seven items in teaching-learning support area, four items in screen-interface area, three items in management area, and three items in technical area were suggested. Total 21 items, 21 questions in 5 areas were developed. In addition, we developed 7 special items for the quality contents - social network interaction, intelligent customization, self-directedness, accessability, interchangeability, seamless service, and innovation. For the validation of the QA criteria and items, some considerations should be made such as type-based criteria development, additional criteria development for informal learning contents, applicability tests in diverse areas, and concrete guidelines development for various stake-hol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