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장상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of education researches on the housing in Korea and Japan. It was based o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e inquiry, 49 articles(20 from Korea and 29 from Japan) were collected from 1989 to 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articles of housing education was not quantitatively enough compared to the other fields in Korean and Japan. Second, regarding research fields, there were lots of articles about ‘the perception of housing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in Korea. On the other hand in Japan, article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were major fields. Third, the major research topic was ‘overall of the housing education’ in Korea, while ‘living space’ in Japan. Fourth, the major data collecting method were questionnaire surveys and experiments, mostly targeting students and teachers from junior and high school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means were most often used for data analyses. 주제어(Key Words) : 주거교육(housing education), 연구동향(trends of research), 한국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일본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이 연구는 주거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주거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창간 시점인 1989년부터 2006년까지의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회지의 발행 현황은 한국과 일본의 모두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많지 않았는데 일본의 경우가 한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한국에서의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더욱 활발하다. 연구영역은 한국에서는 교과인식과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가 많은 반면, 일본의 경우는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와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주제단원은 한국에서는 주생활 단원 전반이 가장 많았던 반면, 일본은 주거공간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은 한국과 일본 모두 조사연구와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시킨 연구가 상당부분 차지하는데, 한국은 조사연구의 비율이 실험연구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일본은 조사연구와 실험연구의 비율 차이가 많지 않은 편이었다. 연구대상은 한국과 일본 모두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 비율이 높았고 일본의 경우 연구대상의 범위가 다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규모는 한국과 일본 모두 300명대 이하의 연구가 대체로 많은 편이었다. 분석방법은 두 나라 모두 기술통계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실과(기술·가정)교육 분야 연구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이윤정,김은정,김지선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social network among co-authors, focusing o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JKPA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JKHEE), and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JKTE).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was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s and structural attributes of co-author networks, the centrality indices of researchers, and the academic influences and relationships among auth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co-authored works in the three journals was 72.5% through 79.5%, which is relatively high, and the percentage for JKTE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In case of JKPAE, the number of single author works was the highest, yet more two-author works were included in JKHEE and JKTE. Over 60% of the authors were professors in JKPAE and JKHEE, compared to 45.5% in JKTE, which indicates more diverse authors published in JKTE. For JKTE, the percentage of student authors was low, and the percentag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earchers, and others were higher than the other two journals. Second, the three journals’ co-author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nsity and average degree were highest for JKPAE, and lowest for JKHEE. JKHEE had twice as large the number of components than the other two journals,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size over 5 was also larger, with smaller mean distance and mean diameter. Third, the co-authors’ in-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node-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in the network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tial researchers in the fields. There were overlapping authors between JKPAE and JKTE, but not between JKPAE and JKHEE. Also, the influential authors among authors of JKPAE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technology education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more interactions among the researchers are needed in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integrative and collaborative research. 이 연구는 실과(기술․가정)교육 분야의 연구자 간 학술 네트워크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SNA를 활용하여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0년부터 2018년 8월에 발간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기술교육학회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NetMiner 4를 이용하여 공저자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그 구조적 속성과 연구자들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저자의 학술적 영향력 및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학술지의 공저논문의 비율은 72.5%에서 79.5%로 높은 편이었으며, 그 중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공저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는 저자수 1명,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저자수가 2명이 가장 많았다. 특히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8명 이상의 다수 저자가 공저한 논문도 많았다. 학술지 저자의 직업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경우 60%이상이 교수였으나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45.5%로 교수 외의 저자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는 학생의 비율 낮으며,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교사, 연구원, 기타의 비율이 다른 두 학술지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둘째, 세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결과 네트워크의 밀도와 평균 연결도는 실과교육 분야가 가장 높았고 가정교육 분야가 가장 낮았다. 또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경우 컴포넌트의 수는 다른 두 학술지의 2배가 넘었으며, 5개 이상의 노드를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수도 많았고, 평균 거리와 네트워크 지름도 다른 학술지에 비하여 짧은 편이었다. 셋째, 세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의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계산하여 각 연구 분야에서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은 공통저자가 많은 데 비하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과 공통된 경우가 많지 않았다. 또한 실과교육 분야의 저자들 중 영향력이 높은 집단은 대체로 기술교육 분야의 저자들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실과(기술․가정)교육이 다양한 학문 공동체로서의 연구자들 간의 상호 교류를 통한 통합적, 융합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조재순,전미경,이윤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9,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has served as the premiere academic organization in the field, through the semiannual meetings, the journal, and other informal activities. The Association has played important roles in organizing the members and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in reacting to the many challenges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outh Korea had to encounter due to the social and curricular changes. This study reviews the past 20 years' activities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in order to illuminate its accomplishments in terms of academic and non-academic activities. An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was conducted, followed by thorough analyses of the semiannual meetings, informal activities, and the journal. The article is also discussing future tasks that the Association would need to pay attention to and thrive to accomplish in order to continue serving its role of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1989년에 창립된 이래, 한국가정과교육학회는 학술대회, 학술지 및 다양한 활동들을 통하여 이 분야의 주요 학술단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사회적 환경 및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로 인하여 가정과교육이 맞게 된 다양한 도전과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회는 회원들을 조직화하고 학술공동체를 이끄는 노력을 해 왔다.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의 한국가정과교육학회의 활동을 검토해 봄으로써 학회가 이루어 온 성과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가정과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변화에 대하여 분석한 내용과, 지금까지의 학술대회 및 특별활동, 학술지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학회가 주도적 역할을 계속 수행하기 위하여 앞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
손다미,노진아,김태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는 기술교육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기술교육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발간된 228편의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첫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매년 2회의발행을 통해 일정량의 논문을 꾸준히 게재하고 있다. 둘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경우 기술교육 논문이 공업교육이나 기타교육 관련 논문에 비해 주를 이루고 있으며,기술교과교육학 연구는 교수‧학습방법, 교육과정, 교육공학과 같은 일부 영역에 편중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술교과내용학 연구에서도 제조기술과 통신기술에 치우친 연구를 하고 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한국 기술교육의 연구는 특정 영역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술교육연구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조사연구, 문헌고찰/내용분석, 개발연구를 선호하고 있고, 사례연구는 거의 드물었다. 넷째, 연구자는 단독에 비해 공동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특히 대학교에 소속을두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228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central part in Korean Technology Education,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When it comes to the result from the conclusion, firstly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has steadily published a sort of the article twice a year. Secondly,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articles of Technology Education are published more than the other kind of the article such as vocational industrial education and the rest of education In the research of The Pedagogy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 Curriculum, Educational Technology. Also in the research of The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Manufacturing Technology,Communications Technology. As we can see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has studied around of specific area. Third, the research methods which are used for the study of Technology Education are Survey Study , Literature investigation, Contents Analysis, development research but Case Study has been used rarely. Fourth, most of th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by co-research which especially belongs to the university more than one researcher.
남궁지영 한국교육사학회 2001 한국교육사학 Vol.23 No.2
1945년 해방 당시 한국의 유치원은 39(남북한 합은 144)개원에 9,269명의 원아만이 있었다. 그 후 2001년 현재 유치원 수 8,407개원에 원아수 545,142(교육통계연보, 2001)으로 발전하였다. 이렇게 발전된 배경에는 교육의 기회균등 사상의 발전은 물론 경제적, 제도적 발전에 힘입은 바 크다. 또한 한국의 유치원 교육의 발전 배경은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한 국민수준의 향상과 함께 정부의 시책 강화가 큰 열확을 하였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여기서는 해방 후 한국의 유아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특징을 학사적 관점에서 시론적ㅇ m로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역시 합리적이고 지속적인 연구의 뒷받침은 유아교육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방 후 한국의 유아교육에 관한 학사적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해방 후 유아교육 관련 석·박사학위 논문을 조사, 연구하였. 80년대 초를 기점으로 유아교육 관련 학위논문이 급증하였는데, 그것은 5공화국이 새마을 유아원을 정책적으로 크게 지원한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때 대통령 영부인 이순자가 유아교육기관에 깊숙이 관여했었다. 그 후 지속적인 증가 현상을 가져왔다. 둘째, 유아교육학회(한국교육학회 내)의 창립 이후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유아교육 학회지 「유아교육연구」와 한국교육학회의 「교육학연구」를 통해서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셋째, 유아교육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 또는 한국행동과학연구소에서 주로 정부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되어 왔다. 역시 1980년을 기점으로 많은 연구와 보고서가 나타나고 있다. 넷째, 유아교육에 관한 실질적 연구가 1993년부터 교육부 정책 연구 주제로 수행되고 있었는데, 유아교육 장·단기 발전 방안, 교육비 산출 연구, 공립유치원 모형 개발 등의 주제가 대대적으로 연구, 보고된 바 있다. 해방후 한국 유아교육 관련 연구의 주제는 ①유아교육의 필요성에 관한연구,②유아교육과정에 관한 연구,③유아교육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④유아교육 확대와 진흥을 위한 연구,⑤유아의 특징과 발달에 관한 연구 등이 석·박사학위 논문, 학회 및 연구소를 통한 연구, 교육부의 직접 지원에 의한 연구 등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2000년 이후 현재까지 한국 유아교육계의 최대 관심사는 “유아교육법”의 연내 제정에 있다. 유아교육법이 명실상부한 교육법으로 확립되어 유아교육의 공교육화를 보다 시급히 실천하고,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시설과 교사의 자격을 상향조정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법의 제정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2000년 11월 13일자 한국교육신문은 사설을 통하여 “정부는 말로만 교육입국을 부르짖지 말고, 유아교육에도 실질적으로 투자와 육성책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정부는 당장 유아교육법을 제정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은 지금까지의 학술적 주제와 함께 제도와 정책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가 추가되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