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이준,방선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education on『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analyzed the 7 textbooks of the『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courses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 widely used textbooks fit to the purpose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fter that, we surveyed 14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a lesson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rom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about teaching professionalism which are evaluating own self and effects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which are help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Overall results are students assessed their own professionalism level as higher than the ordinary level. On the other hand the score about effects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which are help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lower than their own teaching professionalism level. In the open-ended questionnaire, the pre-servic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need learning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as form of practically apply. Several suggestion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First, we need to teach by『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need to teach by practical case, real example in『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class for promote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students need to get opportunity for practice and actual implementation when they take a class. Finally, we have to consider about the actual classroom environment of K-12 schools.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직이론 과목은 교원의 전문성 함양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직이론 과목 중『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은 특히 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해 개설되는 과목이다. 따라서 사범대, 교육대학원 등 교원양성기관에서 개설되는『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목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있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을 배양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지식이 습득되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원의 수업전문성을 위한 기본 이수 과목인『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과목 개설 취지에 보다 내실 있게 부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원양성과정에서의 교직과목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재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목을 이수하고 현장학교에서 수업실습을 마친 예비교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재들은 교원양성과정에 요구되는 교수요목을 적절히 반영하고는 있었으나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방법이나 창의적인 수업방법의 개발, 국내 공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현장 적용 방안 등은 미흡하게 다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교원들은 교직과목『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수강이 수업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주는 정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예비교원 스스로 평가한 본인의 수업전문성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교원들은『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육내용이 실제 교실 수업장면에서 활용하기에는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현장 중심의 실용적이고 적용 가능한 수업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육방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장선영,고은현,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endency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by analyzing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which is there 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thodology in Korea and finally put through the advanced proposals for educational methodology. The total articles were 217 which have been published for the last over 10 years (2003-2013). We analyzed the articles based on two criteria: research domains, research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in the part of research domains, the teaching methodology accounted for 71.4% (155 articles) of the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domains were educational counseling (13.8%, 30 articles), educational evaluation (9.2%, 20), educational curriculum (2.8%, 6),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 6). In the teaching methodology domain, the study of learning guidance model accounted for 38.2% (83 articles). Its hows that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has been mostly conducted on the teaching methodology, especially learning guidance model. Second,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survey study accounted for 45.2% (98 articles) of the total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literature study 14.3%, development research type I 11.5%, quasi-experiment study 10.6%, case study/qualitative study 7.8%, experiment study 6.9%, development research type II 3.2%, cost effectiveness study 0.5%, and others 0%. It is needed to be researched in the field of more qualitative study than quantitative one and also to expand the research domain and target learners in the future.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들을 연구하는 학문이 태동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방법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이론들에 의해서 정립되었듯이 교육방법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상황을 항상 고려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원점에 서서 우리나라 교육방법의 현 모습과 발전 과제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을 다룬 전문 학술지인 ‘교육방법연구’ 2003년도에 발간된 15권 1호에서부터 2013년도의 25권 2호에 이르는 총 11권 28호, 21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질적인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의 교육방법들이 현재 어떤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 속에서 어떤 교수와 학습의 요구가 있는지 교육방법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과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방법의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주로 ‘교수방법’의 ‘학습지도 모델 연구’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 둘째, 교육방법의 연구방법에서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조사연구’의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향후 사례연구 및 문화기술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들이 보다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고등교육을 주로 대상으로 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유아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방법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의 의미고찰을 전제로 한 기업교육과 같은 다양한 성인교육에서의 교육방법이 필요하고,평생교육과 같은 범위로까지도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육방법연구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윤옥한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a total of 498 published 'Education Metho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during a period of 20 years, from 2002 (Volume 14, No. 1), to Volume 33, No. 4, published in 2021. The repor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method research.'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itation index for the past two years (2019-2020) was 2.0.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prominent in the field with 324 articles (65%), followed by 92 practical studies (18%), 44 theoretical studies (9%), and 38 qualitative studies (8 articles; %).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each study subject, the most frequently used were multi-layered subjects (193 articles; 39%), followed by 191 articles (38%)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69 articles (14%)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45 articles (9%)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topic, learning methods were addressed in the greatest number of studies (199 articles; 40%), followed by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methods (118 articles; 24%), teaching methods (109 articles; 22%), and research methods (72 articles; 14%).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can be evaluated as academic journals that clearly reveal the identity of the journal as a result of an analysis by citation index, typ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방법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방법연구’ 논문을 2002년 제14권 1호부터 2021년 제33권 4호 까지 20년 동안 발행한 총 498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교육방법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2년(2019-2020)의 피인용지수는 2.0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방법별 현황 분석 결과 양적연구가 324편(6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실천연구 92편(18%), 이론연구 44편(9%), 질적연구 38편(8%)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별 현황 분석 결과 다층 대상이 193편(39%)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이 대학생 191편(38%), 중등 학생 69편(14%), 초등학생 45편(9%)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현황 분석 결과 학습 방법이 199편(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이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법 118편(24%), 교수 방법 109편(22%), 연구 방법 72편(14%)으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론 연구 학술지는 피인용지수,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주제별로 분석해 본 결과 학술지의 정체성이 분명히 드러난 학술지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방법

        송승현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for underachieving students. First, the author reviewed the conceptual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ment, meanings and history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strategies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Considering the classroom setting, in which underachieving students are educate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Differentiated Instruction (DI), and Response to Intervention (RTI) models are suggested as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methods to teach effectively underachieving students in the regular education classroom with diverse students needs. Teacher training methods are discussed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successfully.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 방법을 고찰하기 위해 먼저 학습부진아의 정의 및 특성을 기술하고, 개별화 교육 방법의 의미와 역사, 개별화 전략을 살펴보았다. 학습부진아가 속해있는 현실적 학교 교육 현장과 학습부진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화 교육방법의 요소를 실제 수업 계획과 적용의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별화 교육방법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차별화된 교육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 방법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조건으로 교사교육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재반응모델 (Response toIntervention)을 통해 학습부진아에게 적절한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여 학습에 실패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의 효과성 연구

        김희배(Kim Heebae),염상훈(Yeum Sanghoo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업현장에서 스마트태그의 활용을 통한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효과성을 검증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집단을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스마트교육 방법과 전통적 강의식 교육방법을 적용한 두 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 간 간 학업성취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두 집단 간 교육적 효과성(교육방법, 교수·학습과정, 자기주도적 학습력, 교과에 대한 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결과,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학습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교육방법을 적용한 학습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 및 교육적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 서책형 교과서중심 교과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스마트 교육환경에서 새로운 교육방법으로서 등장한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을 확산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즉, 학습내용과 관련해서 극히 제한된 정보만을 제공하는 서책형교과서 중심의 수업에서 벗어나서 학습내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 부가적인 학습자원을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스마트태그를 활용한 교과수업을 설계, 시행하는 학교교육 현장에서의 교사의 새로운 역할과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교과수업에서 스마트태그를 적절한 방법으로 설계, 활용하면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은 물론 학업성취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스마트교육의 효과적인 교육성과는 스마트 교육환경 속에서 새로운 방법의 교육적 변화를 시도하고자 하는 학교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This study has set a direction of how to design lessons and create and apply educational contents with smart education methods in order to effectively practice it in schoo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lated literature. With the direction the instructional design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implemente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and the products were attached on existing textbooks as a form of the smart tag, which is a new teaching method to students.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scores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ones in the traditional instructor-led method(i.e. control group) were not. Also in order to analyz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s, the students were regrouped into a high academic performance group and a low one. After the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high level students and the low level ones in the experiment, and the high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score differences whereas the low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With aspect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saliently increased effectiveness was shown in ‘teaching and learning area’ and ‘attitudes toward the subject area’, except ‘teaching method area’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rea’. When divided with the academic performance criterion, high level students among the two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effectiveness perspective. Low level students, however, they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reas of ‘teaching method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attitudes toward the subject area’, with the excep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rea’. Such results prove the smart education method utilizing smart tags gives the positive influence to the students who have low academic performa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가치교육 내용 및 방법 인식에 대한 성별, 급간별 차이 연구: IPA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이은배,김찬미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1

        The movement to increase the awareness toward the public interest and community development by educa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social values is recently observ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how students perceive social value education before including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electing social values prioritized by gender and school level by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value educ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and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on social value ordinances perceived by students on a Likert scale. According to IPA classification, “keep up the good work,” “concentrate here,” “low priority,” and “possible overkill” of social value education contents were identified per gender and school level. In addition, preference on a method appropriate for value education was compared by gender and grade level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Value education methods included were the traditional approach such as lecture; the cognitive approach including debate, problem-based learning, and reflection on social problems; and the emotional-behavioral approach including simulation, role play, and project-based learning. Overall, female students perceived more highly of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value education than male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veral items of social value educatio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tection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human rights,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the top-priority contents. For male high school students, job creation and safe work environment emerged as priorities. Regarding the value education method, male students most preferred the cognitive approach, specifically debate, and female students preferred an emotional-behavioral approach, namely simulation. By select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value education based on empirical evidence, it is hoped to cultivate students' bearings of social value and responsibility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making sustainable communal well-being. 최근 중고등학생들에게 사회적 가치를 교육하여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 사회적 가치 교육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는 등 사회적 가치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가치 교육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기에 앞서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실증적 연구가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성별, 학교급별로 비교 분석하여 성별 및 학교급에 적합한 사회적 가치를 교육과정에 편성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서울특별시 소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개별 사회적 가치 조례의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얼마나 교육이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수행도를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실시하여 우선순위와 현상유지, 과잉노력지양, 후순위 가치를 분류하였다. 더불어 가치 교육에 적합한 방법으로 전통적 접근 방식인 강의식, 인지적 접근 방식인 찬반 토론, 문제기반학습, 사회문제 성찰과 정서행동적 접근 방식인 가상체험 시뮬레이션, 역할극, 프로젝트 기반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를 성별, 급간별로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사회적가치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여중생에게는 사회적 약자와 인권 보호, 지역경제 공헌, 민주적 의사결정과 참여 등에 관한 내용이 우선적으로 교육되어야 할 내용으로 나타났고, 남고생에게는 노동권과 안전한 근로 생활, 보건복지,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에 관한 가치 교육이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더불어, 사회적 가치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남학생의 경우 인지적인 방법인 찬반 토론을, 여학생의 경우 정서행동적 접근 방식인 가상체험 시뮬레이션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사회적 가치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학생들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책임감을 높이고 사회문제의 협력적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Know-Do-Be 모형을 중심으로 한 간학문적 통합단원 개발 사례 -4학년 ‘함께하는 삶: 조화’를 중심으로-

        박한숙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unit based on Know/Do/Be Model by Drake. Know/Do/Be Model is consisted of three questions as follows: ① What is most important for students to know? ② What is most important for students to be able to do? ③ What kind of person do we want students to be? These questions make powerful Know-Do-Be bridge. KNOW includes facts, topics, concepts, and generalizations or enduring understandings. The DO includes cross-curricular, broad-based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and other higher-order skills such as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The BE includes the attitudes, beliefs, and actions that we expect students to demonstrate. BE is the smallest category and the most controversial. This study analyze the 2007 national curriculums of all subjects of the 4th grade in pupil school by applying the Drake's Know/Do/Be Model and develop the integrated curriculum unit which theme is ‘life with together: harmony’. The procedures of design on thematic unit are follows; scanning and cluster standards horizontally to select one or two broad-based, choose an age-appropriate and relevant topic or theme, create a web to identify potential cluster of standards, construct the KNOW/DO/BE bridge, design a integrated unit, and create lesson plan. In conclusion, in analyzing national curriculum it was founded that BE is nearly absent and KNOW, DO is consisted of lower-level contents. The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unit which is taken complementary was effective to balance between them and to facilitate holistic growth.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지나친 지식 중심의 교육,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한 인성, 기능교육의 부재라고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Drake 및 Burns(2004)와 Drake(1993; 2000; 2007)가 제시한 Know-Do-Be 통합단원 개발 모형을 기반으로 초등학교 4학년 전체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기능’과 ‘인성’ 부분이 보완된 간학문적 통합단원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Know-Do-Be 모형은 학교 교육에서 가장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할 기본 요소를 ‘지식’과 ‘기능’ 그리고 ‘인성’에 두고 있다. 이러한 요소를 교육의 충분조건이기 보다는 수업의 필요조건이라고 전제하고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표준 요소와 교과서 분석 작업을 통하여 ‘함께하는 삶: 조화’라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도덕, 국어, 사회, 음악, 미술 5개 교과의 교육과정의 표준 내용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을 ‘지식’과 ‘기능’, ‘인성’의 기준으로 분석하여 간학문적 통합 단원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대부분 내용은 가장 낮은 수준의 ‘지식’과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인성’적 측면의 목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개념, 지속적 이해와 같은 높은 수준의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 정보탐색 능력 등과 같은 높은 수준의 기능 그리고 ‘협동심’, ‘예절과 배려’와 같은 인성적인 요소를 추가하여 통합단원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과서 지식 중심으로 편향되기 쉬운 학교 현장 수업을 ‘지식’과 ‘기능’, ‘인성’의 요소가 균형을 이룬 지식적, 인격적 통합 수업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의 TPACK 수준 비교

        고유정,신원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online learning and AR (Augmented Reality)/VR (Virtual Reality)-based learning, thereb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support teachers for AR/VR-based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86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framework with teacher individual-level factors (i.e.,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professional development (ICT PD), level of technology use, constructivist beliefs) and school-level factors (i.e., school infrastructure, support, and atmospher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eachers' TPACK level for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technology knowledge,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an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online lear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AR/VR-based learning. Among individual-level factors, ICT PD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influencer both in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but constructivist beliefs influenced online learning only. Among school-level factors, school atmosphere for technology integration wa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When all variables considered, ICT PD was found to have the most importance for technology-enhanced teaching and learning.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쓰이기 시작하고 있는 가상⋅증강현실이 기존의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가상⋅증강현실의 교육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들에게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로부터 온라인 설문형태로 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모형을 기반으로 온라인매체 활용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 개인수준의 변인(내용교수지식, ICT 연수, 테크놀로지 활용수준, 구성주의 교육신념)과 학교수준의 변인(테크놀로지 시설, 활용지원, 활용분위기)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PACK 모형에서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TK, TCK, TPK, TPCK)은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비해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개인적 배경 중 교사들의 ICT 연수는 두 형태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모두에서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주의 교육신념은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의 TPACK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변인 중 학교의 분위기는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을 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모든 변인들을 고려하였을 때,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ICT 연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연수의 중요성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의 TPACK 수준 비교

        고유정(Ko, Yujung),신원석(Shin, Won Sug)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쓰이기 시작하고 있는 가상⋅증강현실이 기존의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가상⋅증강현실의 교육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들에게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로부터 온라인 설문형태로 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모형을 기반으로 온라인매체 활용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 개인수준의 변인(내용교수지식, ICT 연수, 테크놀로지 활용수준, 구성주의 교육신념)과 학교수준의 변인(테크놀로지 시설, 활용지원, 활용분위기)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PACK 모형에서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TK, TCK, TPK, TPCK)은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비해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개인적 배경 중 교사들의 ICT 연수는 두 형태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모두에서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주의 교육신념은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의 TPACK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변인 중 학교의 분위기는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을 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모든 변인들을 고려하였을 때,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ICT 연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연수의 중요성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online learning and AR (Augmented Reality)/VR (Virtual Reality)-based learning, thereb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support teachers for AR/VR-based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86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framework with teacher individual-level factors (i.e.,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professional development (ICT PD), level of technology use, constructivist beliefs) and school-level factors (i.e., school infrastructure, support, and atmospher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eachers TPACK level for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technology knowledge,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an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online lear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AR/VR-based learning. Among individual-level factors, ICT PD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influencer both in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but constructivist beliefs influenced online learning only. Among school-level factors, school atmosphere for technology integration wa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When all variables considered, ICT PD was found to have the most importance for technology-enhanced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가추법 교육활동이 예비교사의 창의적 연구가설 설정에 미치는 영향

        허영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experience of abduction's educational program changed pre-teachers' creative hypotheses ma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8 pre-teachers who selected randomly out of 3 different universities. These pre-teachers were assigned to any one of the two groups which includ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provide to an account of abduction's concept, process, features and 'form of abduction' in generating hypothesis through abduction for experimental group. The data collected after experiment carried out ANCOVA with pretest score as covariate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scor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It means that experience of abduction's educational program has positive effect for the creative hypotheses making. Also, experimental group' scor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regardless of sex, academic year, grade level. Only, score of pre-teachers who study nature science and engineering are less increase than score of pre-teachers who study social and human scienc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In conclustion, I proposed that provide to abduction's education program for pre-teachers and teachers in methodological approaches education. Also, it proposed for abduction's education program that varied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methods give aid to abduction's process, practical use methods of abduction's form, investigation of sensitive factor with abduction process certainly be studied. 이 연구는 가추법을 설명하고 가추법 양식을 제공하는 가추법 교육활동이 예비교사들의 창의적 가설설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를 알아보며, 창의적 가설설정 능력의 향상 정도가 예비교사들의 성별ㆍ전공계열ㆍ학년ㆍ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교직과정 이수 학생 488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분류한 후, 실험집단에게 가추법 교육활동을 제공하였다. 연구가설의 창의성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일원 공분산분석(One-Way ANCOVA)을 실시한 결과, 가추법 교육활동이 제공된 실험집단이 가추법 교육활동이 제공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연구가설의 창의성이 유의적으로 더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의 성별ㆍ전공계열ㆍ학년ㆍ성적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연구방법론 교육내용으로 가추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가추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추법의 각 과정을 도울 수 있는 전략들에 대한 연구, 가추법 교육활동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의사소통 방법의 구안, 가추법 양식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가추법 과정에 수반되는 감성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등이 후속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