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 소유역 내 실시간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수문예측모형 연계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신현석,김미은,손태석,김재문,백종석,Shin. Hyun Suk,Kim. Mi Eun,Shon. Tae Seok,Kim. Jae Moon,Baek. Jong Seok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

        지구환경의 변화로 홍수빈도 및 강우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유역 내 홍수범람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발생되는 피해에 대하여 과학적이고 기술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기술의 개발과 홍수예경보시스템의 연계에 관한 적정 방안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통합중소하천의 예경보 시범유역을 선정하고 이를 위하여 부산시 소재 내 온천천 유역을 시범유역으로 선정하여 홍수예경보를 위한 10분 간격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구축하였다. 이는 현장에 설치된 강우계, 수위계, 유량계를 설치하여 이를 원격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구축하였다(http://pnuhydro.pusan.ac.kr). 이를 통하여 구축된 DB를 활용하여 도시 유역 내 단기 수문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수문예측모형은 온천천 유역 내 설치되어 있는 실시간 유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집된 자료 중 홍수시 강우사상별로 수문예측모형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역전파알고리즘 기반의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2006-2012년의 기간 중 10분 간격의 수위 및 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기 시 강우사상별로 자료를 정리 한 후 4가지 강우사상에 대하여 training과 testing 기간으로 나누어 10분부터 60분까지의 수위 예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0분 간격의 수위예측에서 10분 간격으로 최대 60분까지 예측한 경우 예측 기간이 길어질수록 예측 정도가 단기 예측에 비하여 RMSE와 CC(상관계수) 값 중 RMSE 커지긴 하지만 상관분석의 결과 및 RMSE 모형 분석 결과는 대체적으로 60분까지 예측 성능이 우수한 편이었다. 이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여 DB화한 수문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역전파알고리즘 기반의 수위예측모형은 도시 유역 내 돌발홍수 및 범람에 대비할 수 있는 대안책으로 추후 효율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영과 관리에 의한 DB의 축적과 이를 통한 다양한 강우사상에 대한 수문예측모형의 적용으로 그 적용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폐쇄성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지속적 양압치료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단일기관 연구

        신현석,최말례,김신일,홍세연,은헌정,Shin, Hyun Suk,Choi, Mal Rye,Kim, Shin il,Hong, Se Yeon,Eun, Hun Jeong 대한수면의학회 2020 수면·정신생리 Vol.27 No.2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OSA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CPAP 사용 전·후의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여 CPAP 사용에 따른 삶의 질의 개선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진료기록부를 통한 나이, 성별,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앱워스 주간졸림척도, 수정된 말람파티척도,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CPAP 사용에 따른 삶의 질의 개선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자에게 전화 연락을 취하여 CPAP 사용 전·후의 삶의 질에 대해 시각형 아날로그 척도(VAS)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신장(Z = -4.525, p < 0.001), 체중(Z = -2.844, p < 0.05), 수면의 질(Z = -2.671, p < 0.05)과 각성 지수(Z = -2.105, p < 0.05)에서 통계학적으로 남·녀 간에 차이(p < 0.05)가 있으며 나머지 변수에서는 차이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교차분석에서 χ2 = 7.724, p = 0.024로 p < 0.05보다 작으므로 OSA의 수준별 심각도와 성별 간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이 되었다. PreCPAP QOL, PostCPAP QOL, CPAPUse Months, CPAP4Hr/d (%)의 OSA의 수준별 심각도에 따른 크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순서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 > 0.05). CPAP 사용 전 AHI와 사용 후 AHI의 차이가 36.48 ± 21.54 (t = 11.609, p < 0.001)이었고, CPAP 사용 전 QOL과 사용 후 QOL의 차이가 -25.43 ± 22.06 (t = -7.901, p < 0.001)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p < 0.001)를 보였다. 결 론 : OSA환자 중 남녀간 임상적으로 신장(HT), 체중(BW), 수면의 질(PSQI), 각성지수(AI), OSA의 수준별 심각도에서 남녀 간의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CPAP전·후에 삶의 질은 남녀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OSA환자에서 CPAP 사용 후 삶의 질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SA patients and the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CPAP use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CPAP use. Methods: Age, sex,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Epworth Sleepiness Scale, Modified Mallampatti Scor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orean, an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were compared between men and women through medical record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resulting from use of CPAP, a personal telephone call was made to compare the VAS scores for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CPAP use. Results: In height (HT) (Z = -4.525, p < 0.001), weight (BW) (Z = -2.844, p < 0.05), sleep quality (PSQI) (Z = -2.671, p < 0.05), and arousal index (AI) (Z = -2.105, p < 0.05),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p < 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maining variables. Cross-analysis (Chi-square test) confirmed a difference between severity and sex of OSA.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order in size according to level-specific severity of OSA for PreCPAP QOL, PostCPAP QOL, CPAPUse Months, and CPAP4Hr/d (%) (p > 0.05). The difference between AHI before and after CPAP was 36.48 ± 21.54 (t = 11.609, p < 0.001) and the difference between QOL before and after CPAP was -25.43 ± 22.06 (t = -7.901, p < 0.001), both of which were significant (p < 0.001). Conclusion: Among OSA patients, there were differences in height (HT), weight (BW), sleep quality (PSQI), arousal index (AI), and severity of OSA between men and women, but the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CPAP was differen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CPAP. In addition, quality of life in OSA patients improved after using CPAP.

      • LID 검증 시뮬레이터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신현석,주재승,장영수,이정택,김미은,Shin. Hyun Suk,Joo. Jae Seung,Kim. Mi Eun,Jang. Young Soo,Lee. Jung Teak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

        현재 개발되어있는 저영향개발(LID) 요소 기술들은 산재되어 있으나, 실제 시공에 적용하기 위한 효율성 검증기술 개발은 세계적으로도 미비한 실정이다. LID 효율성 검증기술은 실제로 LID 기술의 실용성, 상업성 및 파급성에 막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선제적인 효율성 실험동 구축을 통한 검증 기술 획득과 시공평가 기술의 선정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영향개발(LID)기법을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된 Smart LID/NPS Simulator를 이용하여 시료에 따른 수문학적 물수지분석이 가능한지 판단여부를 평가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TEX>$2{\times}5(m)$</TEX> 크기의 Runoff Plot 중앙을 구분하였다. Runoff Plot의 한 면에 스펀지를 이용하여 불투수면과 투수면을 구분하였으며, 두 CASE의 강우(10mm/h, 30mm/h)에 각각 <TEX>$1{\times}1{\times}0.1(m)$</TEX> 규격의 스펀지 1단과 2단으로 구분하여 30분간 강우를 모사하였다. 그리고 강우 종료 후 30분간 대기하여 지표유출 및 지하수 유출이 모두 종료 할 때 까지 대기하였다. 각각의 CASE별 결과로 먼저 10mm/h 강우강도에서는 스펀지를 이용한 투수면의 지표유출량이 불투수면보다 지표유출이 59%가량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강우강도가 4.5배 증가한 45mm/h에서는 불투수면과 투수면에서의 지표 유출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스펀지 2단에서의 지하수 유출량은 1단을 사용한 Case 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펀지 내 함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우 본 검증기기를 이용하여 효율성이 높은 LID 기술요소를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그린인프라 및 저영향개발 기술의 검증 및 인증 기법 개발

        신현석,박종빈,이재혁,Shin, Hyun Suk,Park, Jong Bin,Lee, Jae Hyuk 응용생태공학회 2016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3 No.2

        본 연구는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그린인프라 및 저영향개발 (GI & LID) 기술에 대한 물순환 및 물환경 효율성 측정을 위한 실내 외 검증, 인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술의 검증 및 인증을 위한 실외시험시설은 건축형, 도로형, 주차장형, 빗물정원형, 생태공원형 등 크게 5구역으로 나누어 기술종류에 따라 시험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실내실험으로는 수리/수문분야, 토질/지반분야, 환경분야 등 다양한 시험이 가능하도록 시험장비의 개발 및 구축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GI & LID 검 인증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내 및 실외 시험시설의 개발은 GI & LID 기술의 적용을 위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제공에 대한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관련 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developed a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method of technologies of green infrastructure (GI) and low impact development (LID) that gained interest recently. The outdoor testbed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building type, a road type, a parking lot type, a rain garden type and a bioretention type. Indoor test facilities were ready for testing using hydrology efficient analysis, pavement and soil analysis and water environment analysis. The development of outdoor and indoor test facilities were used to certify the efficiency of GI & LID technologies, and this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related projects by providing reliable data for the application of GI & LID techniques.

      • KCI등재

        낙동강 유역 내 하수처리구역의 비점 배출 부하량 분석

        신현석,김미은,김재문,장종경,Shin, Hyun Suk,Kim, Mi Eun,Kim, Jae Moon,Jang, Jong Kyung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9

        지속적인 개발과 도시화로 인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의 비율 역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비점오염원이 수질악화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하천의 수질오염을 발생시키는 비점오염원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도시화에 따른 수문현상변동 및 자연현상과 관련된 문제라 연구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총량원단위법과 달리 유역의강우 및 도시화 특성과 처리장 운영자료를 활용하여 차별화된 비점오염원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하수처리장의 배수구역 내 관거시스템을 합류식으로 가정하여 강우 시 하수처리장의 배수구역별 비점 발생형태는 하수처리장 강우유 입량, 하수처리장 우회유량(bypass) 및 하천토구의 CSO의 3가지로 크게 구분하여 적용함으로써 오염부하량을 산정함으로써 오염총량 단위유역 및 하수처리구역의 관리를 위한 비교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inflow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due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nd causes a diversity of water pollution.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to find a solution as the problems related to variation of hydrological and natural phenomenon. A differentiated method to estimate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s has been proposed using rainfall and characteristics of urbanization and observed data from sewage treatment districts in the study. The type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on an assumption of combined sewer system have been classified as three types which are inflow of rainfall, bypass of sewage treatments, and combined sewer overflows from a river. Three types for estimation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applied more accurately to generate a amount of nonpoint pollution loads. This study is expecting a wide application for effective water resource management on TMDL (total maximum delivery load) unit watershed and sewage treatment districts.

      • KCI등재

        교육양극화의 교육행정학적 접근

        신현석(Hyun-Seok Sh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교육양극화의 교육행정학적 접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향후 교육양극화 연구에 있어서 교육행정학적 접근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경제적, 사회적 양극화와의 관계와 더불어 교육양극화의 개념을 설명하였고, 교육행정학적 접근의 특성들을 제시한 후, 2003년 이후 2006년 7월말까지 3개의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20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교육양극화에 대한 교육행정학적 접근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육행정학적 접근에 의한 연구들은 학제 간 협동연구가 부족하고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엄밀한 과학적 분석이 다소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여건과 투입비용의 차이를 분석하여 필요한 조건을 정비하거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들이 상세하게 제시되었고, 실제 현상에 대한 패러다임 수준의 연구가 부족하며 과학적 탐구결과의 외적 타당성 기반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의 교육행정학적 접근을 통한 교육 양극화 연구에서는 연구주제의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정밀한 연구방법을 통해 현상을 분석하여 정책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며, 학제 간 협동연구를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pproach to the polarization of education, and attempted to draw some directions of its approach in future research on it. Above all, it explained the concept of educational polarization, together with the concepts of economic and social polarization, and then characterized the approach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its approach to the educational polar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twenty articles published in three refereed journals. As a result, the research trends exhibited that (1) the articles by the approach were not inter-disciplinary, (2) were careless about scientific analysis on the currents and problems or educational polarization, (3) were apparent in providing some recommendations for bridging any educational gaps, (4) were short in meeting paradigmatic level of research, and (5) were needed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extending external validity in research. Future directions in studying the polariza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re suggested as the followings; (1) research will be needed to extend its themes, (2) to provide policy alternatives drawn from minute scientific analysis on the polarization, and (3) to put more efforts on collaborative studies between the disciplines.

      • KCI등재
      • KCI등재

        Plan for the Evaluation of Administrative Training Programs in Education: A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U.S.A

        신현석(Hyun-Seok Shin) 한국비교교육학회 1998 比較敎育硏究 Vol.8 No.1

        교육개혁의 시대를 맞이하여 교사와 교육 행정가를 훈련시키는 프로그램이 개선되어야한다는 요구가 정책입안자들은 물론이고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주장되고 있다. 교육행정가 훈련프로그램은 궁극적으로 교육조직의 유능한 지도자를 양성하고 재교육시키기 위한 중요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교육의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와 실제 양측 면에서 모두 소홀히 취급되어 왔던 분야이다. 더구나 교육사업과 교육기관에 대한 교육의 책무성을 점검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하여 대학과 교육청 그리고 각급 학교에 대한 평가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서 교원연수기관에 대한 표준화된 평가는 아작 계획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조류에 부응하고자 본 연구는 교원연수 프로그램 중 교육행정가훈련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평가방법과 절차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교육행정가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계획의 수립은 우리 나라와 미국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교육행정가 훈련 프로그램의 평가를 통해 제기될 수 있는 본 연구의 내용은 ① 한·미 양국의 교육행정가 양성프로그램(preparation programs)에 체제 및 교육과정 분석, ② 한·미 양국의 교육행정가 연수 프로그램(in-service training programs)의 체제, ③ 한·미 양국의 교육행정가 프로그램(administrative training programs)의 비교 기준(evaluative criteria)별 분석, ④한·미 양국의 교육행정가 훈련 프로그램의 비교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 등 4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관련문헌의 고찰을 통해 교육행정가 훈련 프로그램의 이론적·실제적 배경을 밝히고, 평가의 실행계획에 따라 연구문제를 단계별로 구체화하여, 단계별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을 설정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설정 된 평가기준에 의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는 연구문제의 내용에 따라 정리 요약되어 최종적으로 보고되는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교육행정가 훈련 프로그램의 평가계획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순히 자국내의 교육행정가 훈련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에 그치지않고 한·미 양극간에 프로그램의 체제와 내용 등 전반적인 사항들을 비교·검토함으로써비교교육행정의 영역에서 실제로 추진될 수 있는 연구사례로서 후속 연구와 정책 실제를 위한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종래의 비교교육행정은 외국의 교육행정 사례를 소개하고 시사점을 밝히는 타단지석형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육행정가 훈련프로그램을 실제로 팡가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 실천하기 위한절차와 방법을 양국의 프로그램에 적용함으로써 실질적인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호 직접비교가 가능하고 그에 따라 검증된 결과를 통해 실제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얻을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육인적자원부의 책무성 : 개념구조의 설계에 따른 제고 방안의 탐색

        신현석(Hyun-Seok Sh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1

        본 연구는 중앙교육 행정기관으로서 교육부의 책무성을 반성적으로 점검하고 책무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점진적, 혁신적인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교육부는 통념적으로 하위 교육행정기관과 학교 그리고 교원들에 대한 책무성 확인 기관일 뿐 자체의 책무성 점검이 방기되고 있다는 세간의 비판과 달리 여러 정부기관 및 국민 대표기구로부터 책무성을 점검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의 교육부 책무성 점검기제들은 법적, 계약적, 정치적 책무성의 확인에 그치고 있어 교육부 책무성의 모든 면을 정당화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조화된 책무성의 개념 요소별로 기존 책무성 점검 기제들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책무성의 범위를 확장하는 한편 새로운 책무성의 점검을 위한 틀을 책무성의 개념 요소들인 대상, 영역, 방식 순으로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교육부의 책무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은 점증 주의적 관점에서의 책무성 점검기제 보완과 재설계 차원에서의 책무성 점검 시스템 설정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flectively examine the accountabilit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the MOE & HRD) as a central education agency, and to suggest some recommendations for hightening it in the incremental and the innovative perspectives. It was proven that the MOE & HRD is an object to report its accountability demanded from other governmental agencies and the National Assembly, not only confirming the accountability of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agencies, schools, and teachers. The mechanism of confirming the MOE & HRD's accountability, however, was limited in the legal, contractu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so that it was problematic in justifying the other perspectives of its accountability. Thu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ent mechanism of confirming the MOE & HRD's accountability, this study tried to expand its extent and to suggest a new frame for confirming the accountability in ways of the object, the range, and the method. To highten the accountability of the MOE & HRD, ultimately, this study suggested to complement its current mechanism in the incremental way and to redesign it in the innovativ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