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원예치료 관련 연구논문 추이와 제언

        오대민(Dae-Min Oh),장유진(Eu-Jean Jang),소인섭(In-Sup So),이영현(Young-Hyun Lee),허무룡(Moo-Ryong Huh),최영애(Young-Ae Choi),허북구(Buk-Gu Heo)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1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원예치료의 개발과 정착에 방향성을 설정해 주는 계기 마련을 위해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간 발표된 원예치료 관련 연구논문의 학회지별 추이를 살펴보면 한국식물ㆍ인간ㆍ환경학회와 한국원예치료연구회에 게재된 논문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원예치료 관련 기초논문과 응용연구논문은 6년간의 전체 비율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2000년 이후부터 기초연구논문이 감소하고 응용연구 논문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응용연구의 대부분이 치료공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대상자는 치매, 정신분열, 우울증 등으로 시도되어 왔으며 예방공간에서도 아동, 청소년,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 그러나 치료 및 재활공간에 편중된 경향을 나타내며, 그 중에서 정신지체와 정신분열, 치매에 중점적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예치료와 관련된 연구의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원예치료의 앞으로의 발전 방향 모색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blished papers on horticultural therapy for 6 years from 1998 to 2003 was analysed to suggest a direction in which Korean-style horticultural therapies w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Most of the articles were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and the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ssociation. The proportion of theoretical papers was similar to that of applied ones for the six year period, but the proportion of the former has decreased while that of the latter has increased since 2000. A majority of applied studies dealt with space of treatment; the participants were those who suffered from senile dementia, schizophrenia or melancholia; and the therapy was applied to children, teenagers, adults or the aged for preventive purpose. However, it tends to emphasize too much on place of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nd deal mainly with participants of mental retardation, schizophrenia or senile dementia.

      • KCI등재

        원예치료사의 직무 및 수행평가와 교육요구 분석

        김수연(Soo-Yun Kim),박신애(Sin-Ae Park),손기철(Ki-Cheol Son),이찬(Chan Lee)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6

        본 연구는 원예치료사의 직무분석과 직무수행 평가 및 미래 교육요구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원예치료사의 직무분석에 적합한 방법인 데이컴 기법을 이용하여 원예치료사 직무를 정리하는 데이컴 차트를 개발하였으며(연구 1), 이를 근거로 원예치료사 직무수행 평가지를 제작하여 원예치료사들의 현재 직무수행수준과 미래 요구수준을 조사하였다(연구 2). 데이컴 위원회의 데이컴 분석을 통해 원예치료사의 직무는 8개의 임무와 45개의 작업으로 분석되었다(연구 1). 분석된 결과를 임무별로 살펴보면, 〈A. 원예치료 실시기관을 결정한다〉, 〈B. 원예치료 대상자를 진단 및 사정한다〉, 〈C. 원예치료를 계획한다〉, 〈D.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E. 회기별 원예치료활동의 실행을 준비한다〉, 〈F. 회기별 원예치료 활동을 실행한다〉, 〈G. 원예치료에 대한 종합평가를 실시한다〉, 〈H. 원예치료사로서의 자기계발을 한다〉이다. 이들 임무는 각 5-8개의 작업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개발된 데이컴 차트를 근거로 원예치료사 직무수행평가지를 개발하여 원예치료사들의 현재 직무수준과 미래 요구수준을 조사하였다(연구 2). 원예치료사들의 현재 직무수준과 미래 요구수준을 조사하기 위하여 개발된 평가지는 1, 2급 원예치료사 779명에게 이메일과 우편배송을 이용하여 배부되었으며, 최종으로 회수된 총 242부(31.1%)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현재 직무수행수준에 대한 1급과 2급 원예치료사들의 평가를 살펴보면, 전체 45개 작업중 32개 작업에서 1급 원예치료사들이 2급 원예치료사들보다 현재 직무수행수준을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다. 미래요구수준 역시, 45개 작업 중 20개 작업들에 대해서 1급 원예치료사들이 2급 원예치료사들 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45개의 원예치료사 작업에 대한 교육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보리치(Borich) 공식을 이용한 결과 상위 1, 2, 3순위는 〈H1. 슈퍼바이저로부터 원예치료와 관련된 피드백을 받는다〉, 〈A1. 원예치료에 대한 홍보자료를 배포한다〉, 〈H2. 복지재단 등의 외부기관에서 사업제안서를 제출한다〉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 원예치료사나 현직 원예치료사들의 직무이해와 직무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며, 원예치료사를 양성하는 기관은 실무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job analysis for, and assess the job performance of horticultural therapists, as well as examine future educational needs. To this end, a chart developed using the DACUM method was chosen as the appropriate tool for the job analysis of horticultural therapists (Study 1). Based on the chart, a survey using an evaluation form was produc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level of job performance and future required level of horticultural therapists (Study 2). A total of 8 duties and 45 tasks were classified to examine job performance, based on analysis of the DACUM Council (Study 1). These duties include A. Decide execution organization for horticultural therapy (HT) program, B. Diagnose and assess clients before starting the HT program, C. Plan HT program, D. Develop HT program, E. Prepare to implement HT program for each session, F. Implement HT program for each session, G. Implement overall assessment for HT program, and H. Develop oneself as a horticultural therapist. Their duties were broken down further into five to eight tasks per duty, totaling 45 tasks. Based on the horticultural therapist job performance sheet developed through this process, an assessment of the current job level of horticultural therapists was performed and future required level were examined (Study 2). The evaluation forms were sent to 779 horticultural therapists with level 1 or 2 certification via email or mail delivery. The analysis of 242 questionnaires (31.1%) revealed that horticultural therapists with level 1 certificates have a significantly higher job performance level for 34 of the 45 tasks. Regarding future required level, 20 out of 45 tasks were assessed as higher for level 1 horticultural therapists than level 2. In addition, a Borich formula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for the 45 horticultural therapist tasks.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top three tasks: H1. Receive feedback from the supervisor for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1. Distribute promotional materials abou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H2. Submit a grant proposal for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organizations such as welfare found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improve work conditions for current horticultural therapists or horticultural therapists-in-training. In addition, institutions that train horticultural therapists will be able to use this as basic research to develop a practical training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국내 논문에 있어 원예치료 대상자별 프로그램 분석연구

        오대민(Dae-Min Oh),장유진(Eu-Jean Jang),소인섭(In-Sup So),이영현(Young-Hyun Lee),허무룡(Moo-Ryong Huh),최영애(Young-Ae Choi),허북구(Buk-Gu Heo)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1

        국내에서 진행되는 원예치료의 치료 성과 연구를 보다 심화ㆍ발전시키며 다각적인 효과성 입증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간 원예 관련 학회지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원예활동은 대부분의 대상자별 프로그램에서 아트와 크래프트, 실외에서 식물 가꾸기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진행 횟수는 11~15회, 진행 간격은 주 1회, 대상인원은 10명 미만,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식물 옮겨심기의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원예치료가 수행된 대상자별 원예활동의 범주 및 프로그램 진행 횟수와 간격, 참여 인원, 상위빈도로 사용된 활동의 형태의 경향이 비슷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대상자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치료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의 여부를 검증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여겨진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search outcomes of horticultural therapy through the papers published of academic journals in horticulture for 6 years in Korea and demonstrate its multilateral effects. The most frequent forms of horticultural activity were in most cases art and craft (type Ⅲ) and outdoor plant growing (type Ⅱ); the number of times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done ranged from 11 to 15 (37.7%), the frequency was once a week (81%),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less than ten (47.8%), and the most frequent form of horticultural therapy was transplanting (72 times). Therefore, the kind of horticultural activity, the number of times and frequency of them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tend to be similar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re individualized and diversified programs of horticultural activity need to be designed and implemented.

      • KCI등재

        우리나라의 원예치료 석 · 박사 학위논문 경향 분석

        지승은(Seung Eun Ji),장유진(Eu Jean Jang),박천호(Chun Ho Pak)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2

        원예치료가 학문으로 자리잡은 이래, 많은 연구자들이 원예치료의 발전을 위해서 노력해왔고 그에 상응한 많은 연구물들을 내놓았다. 기존의 연구물들과 더불어 또 다시 양산되는 많은 연구물들로 인해 1차적인 자료를 정리하는 2차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원예치료관련 석·박사학위의 총람을 작성하고 분석하였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원예치료 석·박사학위 논문 총203편을 분석대상으로 분류한 결과, 연도별 연구 추세는 2004년, 2006년, 2007년, 2005년, 2003년, 2002년, 2001년, 1999년, 2000년, 1998년 순으로 나타났고, 원예치료관련 석사학위논문 190편(94%), 박사학위논문 13편(6%)이 발표되었다. 전공별로는 원예치료관련학과 논문이 107편(52.7%), 비관련학과 96편(47.3%)으로 나타났으며 원예치료 관련학과에서는 원예학, 원예치료학, 원예조경학, 원예과학 순으로 나타났고 비관련학과는 교육학, 사회복지학, 디자인학, 의학·간호학,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에서는 양적연구가 105편(51.7%)으로 가장 많았으며 통합적연구 63(31.0%), 질적연구 35편(17.2%)으로 나타났다. 측정도구별 연구동향은 평가지가 365개(78.5%)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자가설문지 58(12.5%), 생리적 측정 42개(9.0%)로 나타났다. 203편의 논문에서 사용된 통계도구는 총 343개로 논문 한편당 평균 1.6개의 통계처리가 사용되었으며 통계방법을 유형별로 분류해보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t-test,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Wilcoxon, Mann-whitney, x², 상관분석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자료분석 방법이 단순한 기술통계보다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다차원적인 분석을 하는 경향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중 공예활동 프로그램이 1676회(43.6%)로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재배활동 1542(40.1%), 학습활동 258(6.7%), 요리활동 215(5.6%), 기타활동 150회(3.9%) 순으로 나타났다. 총 시행 회기는 11-20회, 21-30 회, 10회 이하, 31-10 회, 41-50 회, 51회 이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한 주 동안 시행한 횟수는 주 1회, 주 2회, 주3회, 주 5회, 주4회, 기타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한 회기당 시행 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 30분, 1시간 이하, 1시간 30분에서 2시간, 2시간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tudy tendency of Korean master’s and doctorate degree dissertations on horticulture therapy and present basic material necessary to establish future Korean studies on horticulture therapy and improve substance quality of studies. A total of 203 Korean master’s and doctorate degree dissertations on horticulture therapy from 1998~2007 were analyzed. There were 203 studies in 1998 (2), 1999 (9), 2000 (7), 2001 (16), 2002 (18), 2003 (19), 2004 (40), 2005 (27), 2006 (33) and 2007 (32). A total of 190 master’s degree dissertations (94%) and 13 doctorate degree dissertations (6%) have been published on the topic. There were 107 dissertations from departments related to horticulture therapy (52.7%) and 96 dissertations from non-related departments (47.3%). For study method, most were quantitative studies with 105 studies (51.7%), and there were 63 studies that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methods (31.0%). There were only 35 qualitative studies (17.2%). Study tools were divided into self-made surveys, evaluation sheets and physical measurements. Evaluation sheets were used the most, in 365 studies (78.5%), 58 used self-made surveys (12.5%) and 42 used physical measurements (9.0%). The number of statistical tools used in the 203 dissertations was 342, which means an average of 1.6 tools was used per study. When the statistical methods were divided according to type, the t-test had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alysis, spread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x², correlation analysis, cross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It was used 1,676 times (43.6%). In terms of number of times of execution, 89 studies executed 11-20 times (48.9). 99 studies executed a program once a week (58.9%), the time of one period was 1 hour to 1 and a half hours for 65 studies (57.0%), The tendency of structures where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were schools (74 studies, 37.8%), which were the highest.

      • KCI등재

        취학 전 아동의 올바른 식습관을 위한 영양교육 병행 원예 프로그램의 효과

        박성현(Seong-Hyun Park),허무룡(Moo-Ryong Huh)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3

        본 연구는 아동의 기호도가 낮은 채소와 과일류의 재배와 이용, 오감을 다양하게 자극할 수 있는 식물들을 활용한 원예활동을 영양교육과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아동으로부터 자연에 대한 친밀감, 자연과의 유대관계성을 이끌어내고, 몸의 움직임이 많은 생활방식에 친숙해지도록 하며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인지도를 높임으로써 아동의 올바른 식습관 정립을 돕고자 하였다. 5-7세 사이의 취학 전 아동 60명을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군 아동들은 4개월 간 총 29회의 영양교육 병행 원예활동에 참여하였다. 원예활동은 주치료사, 보조치료사, 담임교사가 참여한 가운데, 일주일에 두번, 한 시간 가량 유치원 내 실내실습실과 실외 텃밭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참여 아동들에게는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 수집과 더불어 음식선호도, 식사습관, 원예활동 평가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영양교육 병행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의 음식선호도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 원예활동에 참여한 아동들의 경우 대조군 아동들보다 편식하지 않고 음식을 골고루 먹으려고 노력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001), 식사습관도 눈에 띄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05). 선호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채소류의 경우 원예활동을 통해 직접 길러보거나 요리 등을 통해 활용해 본 채소가 많아 아동의 원예경험이 식습관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원예활동은 자연과의 접촉 결핍과 먹거리 편식에 처해 있는 우리 아동들을 건강한 몸과 정신을 가진 하나의 인격체로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 horticultural program with a hands-on gardening and nutrition emphasis was taught to determine the effect it had on promoting healthy eating habits of preschool children. Sixty preschool children aging 5 to 7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one-hour horticultural program that occurred twice a week for 4 months. Activity room and outside garden in the preschool were used for the horticultural program. The Food Preference Questionnaire (FPQ), the Dietary Behavior Questionnaire (DBQ), the Horticultural Program Evaluation (HPE), and demographic measures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Children in the horticultural program had significantly more positive outcom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Measurement of the FPQ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0001). Among the FPQ subcategories, fruit and vegetable preferences did significantly increase over the course of the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especially for the fruits and vegetables that children grew themselves during the program. Horticultural program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differences in the DBQ scores between groups as well (P=0.005).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improved dietary behavior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ositive outcomes were also noted in the HPE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by high preference of the program. In conclusion, the horticultural program with a gardening and nutrition emphasis was effective in preschool children to promote healthy eating habits by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long-term benefits of gardening-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healthy behaviors and preventing obesity and other negative impacts across childhood and throughout adolescence.

      • KCI등재

        수경재배 프로그램을 통한 지적 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 증진

        주병식(Byung-Sik Joo),박신애(Sin-Ae Park),손기철(Ki-Cheol Son)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5

        본 연구는 실제 재배농가에서 실시되는 엽채류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지적 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을 향상시키고자 실시하였다. 직업적응훈련모델과 제 7차 특수학교 직업교과과정 농업교과의 경제작물영역에서 수경재배의 특성과 기초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엽채류(상추, Lettuce (Lactuca sativa L. ‘Asia Heuk Romaine’))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총 22회기)을 개발하였다. 인천광역시 K구에 위치한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중인 1-2학년 지적 장애학생 14명(남 10명, 여 4명)을 대상으로, 학교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인천시 K구에 위치한 채소류 전문생산농가에서 실시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2회(회기 당 평균 60분) 전공과 교육과정내 실습교육의 일부로 진행되었다.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담임교사 또는 원예치료사가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실험에 참여한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신경근육발달능력(McCarron assessment neuromuscular development), 정서적 행동능력(emotional behavioral checklist), 대인관계전략(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직업 흥미도 검사(KEPAD pictoral vocational interest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에 지적 장애학생들의 운동능력(P = 0.002), 정서적 행동능력(P = 0.00), 대인관계전략(P = 0.05)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 흥미도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수경재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지적 장애학생들의 직업적응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능력과 정서적 행동능력 및 대인관계전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경재배는 대체로 단순하고 쉬운 작업과정으로, 지적 장애인의 직업영역으로써 적합하며, 직무수행에 있어서도 비교적 어려움이 적은 직종이라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직업적응력 증진을 위해 실제 현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엽채류를 재배하는 수경재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HT) program using hydroponics on work adjustment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Based on the critical role transitional model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agriculture, especially hydroponics, HT program (total 22 sessions) using hydroponics procedure for Lettuce (Lactuca sativa L. ‘Asia Heuk Romaine’) was developed. Fourteen (10 males, 4 females) graded 1<SUP>st</SUP> to 2<SUP>nd</S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recruited from a special education class in a high school located in Inchon, Korea and then a special farm for hydroponics in Inchon, Korea was offered for the HT program.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HT program for 4-month (from September to December of 2011, twice a week, approximately 60 minutes per session). Before and after the HT program, the McCarron assessment neuromuscular development, emotional behavioral checklist,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and KEPAD picture vocational interest test were performed by the teachers and horticultural therapists. As the results, the students significantly improved motor performance (p = 0.002), emotional behavioral strategies (p = 0.00), and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p = 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HT program for vocational interest was observed. In conclusion, the HT program using hydroponics, consists of simple and easy tasks so that it would be applicable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ositively affected to work adjustment skills by improving the motor performance, emotional behavioral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Additionally, HT programs using hydroponics with various kinds of vegetables are required to develop and to apply in practical settings for improving work adjustment skills.

      • KCI등재후보

        국내 논문에 있어 대상자별 원예치료 프로그램 내의 원예활동 조사연구

        오대민(Dae-Min Oh),장유진(Eu-Jean Jang),소인섭(In-Sup So),이영현(Young-Hyun Lee),허무룡(Moo-Ryong Huh),최영애(Young-Ae Choi),허북구(Buk-Gu Heo)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1

        다양한 상황 및 대상에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원예활동을 위한 새로운 원예용품 및 작물 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원예치료와 관련한 69편의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원예활동은 대부분 실내에서 식물 기르기(Ⅰ형), 실외 정원에서 식물 기르기(Ⅱ형), 아트와 크래프트(Ⅲ형)이었으며 그 종류가 다양하게 활용되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그룹 활동(Ⅳ형), 소풍(Ⅴ형), 요리(Ⅵ형), 식물과 관련한 공부(Ⅶ형)로 분류되는 원예활동은 그 종류가 한정적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치료사의 의도에 따른 활동 선정과 원예와 관련된 활용 가능한 각종 인프라의 여건이 상당부분 작용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앞으로 활용 가능한 원예 관련 시설, 대상자 특성이 고려된 원예 활동 용구 및 식물과 원예활동을 바탕으로 통합된 커리큘럼 등의 요소를 포함하여 원예활동을 분석한다면 보다 발전된 학문과 산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ixty nine research papers related with horticultural therapy were studied to develop a therapy program which could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participants under various circumstances and provide a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new hort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apers, the most frequent form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applied to therapy programs were found out to be plant culture indoor (type Ⅰ), plant culture in outdoor garden (type Ⅱ) and art and craft (type Ⅲ). However, variations activities related with group activity (type Ⅳ), picnic (type Ⅴ), cooking (type Ⅵ) and botanical study (type Ⅶ) were limited. These findings would be explained by the choice of therapists tak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articipants available horticultural infrastructure into ac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