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

        신현석(Shin Hyun-Seok),주영효(Joo Young Hyeo),정수현(Jeong Soo-h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고찰 후 출판 연도,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도 명시 유무, 연구 영역, 연구 유형, 자료 수집 방법, 연구 참여자 수 및 표집 방법, 신뢰도 검증 방법, 자료수집 기간 등 아홉 가지 분석 준거를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교육행정학 분야 연구가 게재되고 있는 학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이 제공하고 있는 영향력 지수 1.00 이상을 기준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 대상 학회지를 한국교육행정학회의 『교육행정학연구』, 한국교육 학회의 『교육학연구』,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의 『한국교원교육 연구』 등 네 종류로 선정하였다. 이들 학회지에서 1980년 이후 발행된 질적 연구는 318편이 며, 이 가운데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식별한 분석 대상 논문은 190편이 다. 최종 분석 대상으로 분류된 논문은 분석 준거를 적용하여 1차/2차 분석 후 분석 결과에 대한 연구진 간 상호 검토를 거쳐 분석 결과를 최종적으로 양적 데이터베이스화(database)한 후 양적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대별 및 연구 유형별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주 요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① 사례 연구, 기타 질적 연구, 문화기술지 연구 순으로 연구 접근 빈도가 높고, ② 자료수집 방법에서는 면담, 참여관찰+면담+문서자료 및 면담+문서자료, 문서 자료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③ 연구 참여자 표집 방법으로는 특수 표집 방법, 편의 표 집 방법, 전형적 표집 방법 순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료수집 기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질적 연구가 분석 대상 논문의 34.2%를 차지하였고, 연구 참여자 표집 방법과 신뢰도 검증 방법에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비율은 각각 분석 대상 논 문의 15.3%, 31.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시사점 및 발전 과제를 도출 및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both current qualitative research scholars and prospective resear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followed four steps. First, the researchers scrutinized previous qualitative studies and Korean research articles which analyzed qualitative research trends. As a result, this study constructed nine analysis criteria. Second, we selected four academic journals such a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 and『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After reviewing 318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se four journals, the researchers lastly chose a total of 190 qualitative studies. Third, we conducted a primary and secondary analysis for the selected papers and the researchers performed peer review about the result. Fourth, the present study analyzed quantitative data using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1) that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r collecting data was interview (31.1%), 17.9% were participant observation+interview+documentation and interview+documentation, 2) that a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less than three months for 28.4% and 34.2% did not present specific information for the period, 3) that 31.5% of qualitative studies did not present a method to examine qualitative data, and that 4) 15.3% did not show concrete information to choose research participants.

      • KCI등재

        미국과 한국의 대학원「교육행정전공」프로그램 비교 연구

        김병찬(Kim Byeong-Chan),박소영(Park So-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한국에서 교육행정 교육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대표적인 교육행정 교육 과정인 대학원 교육행정전공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의 교육행정 교육의 발전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미국의 대학원 교육행정전공 교육과정과의 비교연구방법을 택하여 한국의 대학원 교육행정전공 교육과정의 특징을 밝혀 보았다. 미국과 한국의 교육행정전공 학과 혹은 프로그램 10개를 선정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의 대학원 교육행전공은 미국에 비해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세부 전공이 미분화되어 있으며, 학위유형이 단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내용이 현장과 괴리되어 있고 획일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and characterize the curriculum of thedepartment or progra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t the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top ranked graduate schoo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Korea and the U.S. each for comparis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Korean system set the broad and superficial goals.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ogram at the Korean graduate school system was not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students' needs. It was not found that the types of the degree were specialized at the Korean system.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was mainly focused on the theoretical aspects and hardly linked with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actice. In additio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ogram in Korea had very limited flexibility in offering and managing classes.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동향 분석

        신현석(Shin Hyun-Seok),주영효(Joo Young Hyeo),정수현(Jeong Soo-h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 저, 국내 혼합방법연구 동향 분석 연구 및 혼합방법연구 관련 연구를 고찰 한 후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동향 분석을 위한 분석 준거를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 대상 학회지를『교육행정학연구』,『교육학연구』,『한국교육』,『한국교원교육연구』등 네 종류로 선정하고, 1980년부터 2014년 12월 31일 사이에 발행된 혼합방법연구 109편을 식별한 후, 최종 분석 대상 논문 55편을 확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분석 준거를 적용하여 1차 분석 및 분석 준거 최종 수정 작업을 하였으며, 이 준거를 토대로 2차 분석 후 분석 결과에 대한 연구진 간 상호 검토를 거쳐 분석 결과를 최종 양적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코딩 데이 터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대별 및 질적·양적연구 비중별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 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시대별로는 ① 혼합방법연구 설계 이유 및 활용 목적 명시 비율이 시대별로 전반적인 증가세를 보여 2010년대에는 60%대를 보여주고 있고, ② 순차적 연구 비율이 동시적 연구에 비하여 시대별로 높고, 설계 유형 가운데 “QUAN→qual”의 비율 이 1990년대 이후 크게 증가하여 2010년대에는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양적연구 방법 비중별로는 ① 질적연구의 신뢰도 검증 방법이 제시 되지 않은 비율이 질적·양적연구의 비중이 동일한 경우 50%를 상회하고, ② 양적연구에서는 자료 표집을 하지 않은 비율과 타당도 분석 방법이 명시되지 않은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에 대한 시사점 및 발 전 과제로 ① 연구자들의 혼합방법연구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방법론적 가치 인식, ② 면밀 한 혼합방법연구 설계 및 자료수집과 분석, ③ 혼합방법연구에 대한 훈련과 교육 강화 및 교 육행정학회 차원의 논의 활성화와 학술지 논문 심사에서의 엄격성 담보 등을 도출하고, 후속 연구로 혼합방법 활용 개별 연구물의 질적 내용 분석과 혼합방법연구 핸드북 출판 등을 제언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ixed methods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cholars,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Mixed methods research which can be briefly defined as “one type of research design in which researcher integrat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or adopted qualitative/quantitative approaches” has been called the third methodological paradigm.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followed four steps. First, the researchers scrutinized previous the mixed methods research trends and Korean and Western research articles which analyzed mixed methods research trends. As a result, this study constructed 16 analysis criteria. Second, we selected four prominent Korean academic journals that includ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 and『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After reviewing 109 research articles which were chosen as using mixed methods published in these four journals, the researchers examined a total of 55 studies. Third, we conducted a primary and secondary analysis for the selected articles. Finally, the present study analyzed quantitative coding data using PASW 18.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1) that purpose of statements was included in 60% of 55 studies that we coded as mixed methods research in the 2010s, 2) that the most common research design among nine types of mixed methods research was a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QUAN→qual), 3) that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r collecting qualitative data was interview (60.6%), 4) that a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less than three months for 36.4% and 40.0% did not include specific information, and 5) that 52.7% of quantitative strand of mixed methods research did not present the measurement validity.

      • KCI등재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운영 현황 분석 연구

        김병찬(Byeong-chan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 해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큰 20개 교육대학원의 선정하여 해당 대학들의 교육행정전공 운영 현황을 체제분석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입 측면에서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은 학생 입학 자원이 다양하지 못하 며, 교수 자원이 영세하고, 입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과정 측 면에서는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들이 교육목표가 불명확하고, 교육과정이 이론중 심적이며, 석사학위 과정에 충실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출 측면에서는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들이 지식과 안목을 길러주는 데에는 기여하고 있으나, 실무능력 향 상에는 기여하지 못하며, 배출되는 학위논문 수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류 측면에서는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에서 배출되는 학위논문의 질 평가 기제가 없으며, 환류기제가 거의 작동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환경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환경이 더 많으며, 대체로 거시적인 환경의 영향을 받고, 특히 제도적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의 발전을 위해서는 학교 및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행정 수요 발굴, 교육행정 교육체제 간의 연계, 국가 차원의 교원현직교육 방 향 정립, 실행연구중심의 교육행정전공 운영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n the condition of operation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that purpose, I analysed system on 20 institutions of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In the regard of input, there are not diverse students, there is lacking in the number of teachers, and the students are decreased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 In the regard of process, educational objectives are uncertain, curruculm is theoretical directivity, the master's course is weak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3) In the regard of output, the knowledge and insight of students are developed, but the executive ability are not developed, the number of dissertation is decreased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4) In the regard of feedback, there are not the quality control system, the feedback system is not operated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5) In the regard of environment, negative environments are more than positive environments, there are influenced by macro environments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 suggest that we need to find the site demand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 need to make the connection system among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 need national direction establishment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finally we have to focus on the action research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후보

        교육행정직 인적자원관리 정책방향과 과제

        임연기 한국교육행정학회 2003 敎育行政學硏究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행정직의 충원과 교육훈련 시스템을 중심으로 인적자원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향과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교육행정직의 바람직한 인적자원관리 정책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근거와 계기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행정직의 5급, 7급, 9급 단계에서의 공개채용, 개방형 임용의 현황과 문제점, 교육훈련기관교육을 중심으로 직급별 기본교육과 전문교육 실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현행 교육행정직 충원 및 능력 개발 시스템은 특히, 교육행정직의 특수성과 관련하여 첫 째, 교육행정직의 충원에 있어서 양성과정이 소홀하고, 둘째, 교원직과 교육행정직을 이원적 구조로 고착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향후 교육활동을 전문적으로 지원·조장할 수 있는 교육행정직의 확보와 능력개발을 담보하기 위해 교육행정직 인적자원관리 정책이 ‘적합성의 증진’ 과 ‘통합성의 추구’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정책과제로서 교사자격증소지자 채용목표할당제, 학부생과 대학원생 인턴제, 교육행정사자격제도, 교육훈련마일리지제 등의 도입, 직장에서의 행정 업무단위 교육훈련 경비 확보 및 지원, 교원직과 일반직 공통교육훈련프로그램개발·운영 등을 제안하였다.<br/> <br/> The curr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policie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personnel were reviewed to address some important issues that need to be changed and to provide a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i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olicies. Included in this review were the three level - 5th, 7th, 9th - competitive test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positions and the current open system for employmen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gener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each level implemented in educational training centers.<br/>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problems of the current recruitment, gener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programs. First, the current training system does not provide trainees with various programs for their vocational capacity development. Second and more importantly, the current recruitment and training systems play key roles in maintaining and even solidifying the separation of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taffs.<b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future human resources management policy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staff should consider 'the increase of relevance' and 'the integration of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taffing structures' because they can assure both the employment of highly qualified candidates and their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Several specific tasks for the policy recommend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a recruitment quota system for the persons who have teaching certificate, an internship program for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a certificate system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personnel, a 'mileage system' for educational training, allocation of total amount for various training programs on the workplace, and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in which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taffs can be trained together.<br/> <br/>

      • KCI등재

        백현기의 『교육행정학』 내용 분석: 교육행정의 뜻과 원리를 중심으로

        황재운(Hwang, Jae-W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기 교육행정학 연구의 원형을 복원하기 위해 우리나라 최초의 교육 행정학 전문서로 알려져 있는 백현기의 『교육행정학』을 분석하였다. 여기에 제시된 교육행 정의 뜻, 교육행정의 원리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현기의 『교육행정학』에는 교육행정의 뜻을 정의하기 위한 관점으로 법규해석적 정의와 조건정비적 정의가 제시되어 있다. 백현기는 교육행정에 대한 국가 권력 작용을 전제 하되, 통제와 감독 위주의 행정으로부터 현장에 밀접한 민주적 행정으로 전환할 것을 촉구하 고 있다. 둘째, 백현기의 『교육행정학』에는 법규적인 측면에서 살펴본 교육행정의 원리로 기회균 등의 원리, 민주주의의 원리, 지방분권주의의 원리, 자주성 존중의 원리가 있고, 교육 실천ㆍ 운영적인 측면에서 살펴본 교육행정의 원리로 타당성의 원리, 능률성의 원리, 적응성의 원리, 안정성의 원리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aek Hyun-ki's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ich is known as Korea's first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ofessional book in order to restore the prototype of Korean early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 principl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esented here are as follows. First, Baek Hyun-ki's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ovides legal interpretative definition and conditional definition as a viewpoint to define the meaning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aek Hyun-ki calls for the transition of administrative and administration-oriented administration to democratic administration closely related to the field. Second, Baek Hyun-ki's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cludes the principles from a legal point of view, for example, principle of equality of opportunity, principle of democracy, principle of decentralization, principle of respect for independence. And it also includes the principles from a educational practice and management point of view, for example, principle of validity, principle of efficiency, principle of adaptability, and principle of stability.

      • KCI등재

        교육행정학 개론서의 구성 분석: 목차와 하위영역 비중을 중심으로

        황재운,이진권,안영은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rmalities of the text book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xplore the prototype of it. In addition,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book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that end, 131 volumes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ext books published after liberation were analyzed over time, and the proportion of the sub-area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ich is addressed in the text book, was compared with that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high degree of similarity in the composition of text books has been shown over time to confirm that some preceding text books have an impact on future generations. Second, both in the text books an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propor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and research' field has decreased over time, but the 'policy and institutional' field has increased. Third, some sub-areas, such as ‘school organization and management’,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educ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supervision’, showed little change in proportion to the text books, bu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papers showed a change over time. 이 연구는 교육행정학 개론서 집필에 드러나는 정형성을 드러내고, 그 원형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개론서와 교육행정학 전문 학술지인 『교육행정학연구』 사이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부터 최근까지 출판된 한국 교육행정학 개론서 131권을 대상으로 개론서 목차 구성을 시간 흐름에 따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정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후 개론서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행정학 하위영역의 내용 비중을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연구물의 것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개론서와 학술지 사이의 관계에 대해 모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 흐름에 따라 개론서 목차의 구성에 있어 높은 수준의 유사성이 나타나 선행하는 몇몇 개론서의 후대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개론서와 『교육행정학연구』 연구물에서 다루고 있는 하위영역 중 ‘교육행정 이론 및 연구’ 영역의 비중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정책 및 제도’ 영역은 지속적인 비중의 상승을 나타냈다. 셋째, ‘학교조직 및 경영’, ‘교육재정 및 경제’, ‘교육인사행정’, ‘장학’ 등의 하위영역은 개론서에서의 비중 변화는 거의 없었지만, 『교육행정학연구』 연구물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동을 보였다.

      • KCI등재

        복잡계 이론과 교육행정학 : 함의 고찰과 적용가능성 탐색

        신현석,홍지오,윤혜원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4

        Based on the social scientific implication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implications of complex theory,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meaning of complex theory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xploring its applicability.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complex theory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dividing it into practice, research and theory dimensions. First, the application of the complex theory at the practical leve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esented an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explain complex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ality, better understanding of cooperative interactions among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ts, and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leaders appearing in the actual level of education administration. Next, the application at the research level presented a cognitive shift, methodological expansion, and changes in the scientific exploration process that looked at educational administrative phenomena and reality. Finally, the application at the theory level presented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identity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enhancement of func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enhancement of field applicabil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and securing consistenc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본 연구는 복잡계 이론의 사회과학적 함의와 교육행정학적 함의를 바탕으로 복잡계 이론이 교육행정학에 주는 의미를 고찰하고,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복잡계 이론의 교육행정학 적용가능성을 실제, 연구, 이론 차원으로 나누어 논구하였다. 먼저 교육행정학 실제 차원에서의 복잡계 이론의 적용은 복잡한 교육행정 실제에 대한 설명력 증진, 교육행정 주체 간 협력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제고, 그리고 교육행정 실제에 나타나는 리더의 인식 전환을 제시하였다. 연구 차원에서의 적용은 교육행정 현상과 실제를 바라보는 인식론적 전환, 방법론적 확대, 그리고 과학적 탐구 과정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론 차원에서의 적용은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 교육행정학 이론의 기능 강화, 그리고 교육행정학 이론의 현장 적용가능성 제고 및 이론과 실제 간 정합성 확보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과 참여 실태 분석: 교육행정·교원교육·교육재경·교육정치학회를 중심으로

        박상완(Park, Sang-wan),김민조(Kim, Min Jo),박소영(Park, So-Young),장우천(Jang, Woo-Ch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 및 학회 활동 참여에 대한 학회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학회의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행정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교육정치학회의 학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분석은 빈도분석과 평균값 등 기술통계를 주로 활용하되, 학회원의 배경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회원의 활동 참여는 회비 납부, 학술대회 단순참여, 논문투고, 학술대회 주제발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회의 역할에 대해 학회원들은 교육실제 개선보다 연구자의 학술활동 촉진 및 지원, 해당 분야 학문 발전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학회참여 실태 및 인식에서 학회원의 배경변인(박사학위취득 연도, 직업, 재학 시 학회 참여 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 구현, 학회 역할 인식 및 참여에 대한 집단별 차이, 학회 실천지향성 제고의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academic societies as academic communities and the perceptions of about participation in academic activities, and explor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academic societ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embers of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and the Korean Socie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average values, which focused on summarizing and describing the meaning and role of the society, were mainly used, but difference analysis between groups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embers’ participation activities were more frequent in the order of payment of membership fees, simple participation in academic conferences, thesis contribution, and presentation for academic conference. Second, regarding the role of the society, the members considered supporting researchers" academic activities and academic development in the field more important than improving the educational reality.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and perceptions on the socie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의 정체성: 이론 탐색의 의의와 지향성

        신현석(Shin Hyun-Se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한국 교육행정학의 이론 탐색이 갖 는 의의와 지향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 교육행정학의 실제, 연 구, 이론의 문제와 과제를 진단하고, 그것들이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의 구성 개념들에 어떻게 투영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현장성, 자족 성, 정합성의 필요조건과 토착화, 차별화의 충분조건을 모두 갖춘 통합적인 개념으로 정의된 다. 한국의 교육행정학이 이러한 조건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우리의 토양에서 발 현된 현상을 개념화하여 연구를 통해 이론화하려는 이론적 탐색 노력은 한국적 교육행정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출발 지점으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 학의 이론 탐색은 ① 중범위 이론의 지향, ② 학문 탐구의 현장성 강화와 실천, ③ 학문 공동 체의 연구풍토 개선과 건전한 학풍 조성을 지향해야함을 밝혔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significance and orientation of theoretical efforts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attain the purpose this study diagnoses problems and task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and analyzes how they are reflected in conceptual elements of disciplinary identity that are composed of necessary conditions (practicality, self-containment, and coherence) and sufficient conditions (indigenization and differenti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does not meet the conditions, theoretical efforts to theorize phenomena observed in our reality through research must be significantly a starting point in order to establish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theoretical efforts for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oriented to ① middle-range theory, ② emphasis on the discipline’s practicality and implementation, and ③ the improvement of research climate in scholar community and the creation of sound academic tra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