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장의 코로나19 극복 성공 사례

        김태림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s the crisis and response methods of taekwondo schools at the time when COVID-19 started targeting leaders who directly manage the field, and learns the process and know-how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leaders who have succeeded in overcoming the crisis now that they have entered a relatively stable period. The purpose is to listen and analyze in detail,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 to prepare for the 2nd and 3rd Corona 19 incidents that our society will face in the futur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as Taekwondo instructors who had returned to more than 80% of the trainees compared to before the COVID-19 pandemic and had been operating for more than 5 years at the current location, and were conducted using a drift sampling method used as a qualitative study. di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individually for about 60 minutes from 1:00 to 1 or 2 times for each research participant over the weekend from March 11 to March 26, 2023, centering 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the dojang of participants who were stable and could recall crisis cases and ways to overcome them well,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fter collecting data. First, it was mentioned that the crisi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was the most serious economic crisis due to a cut in income. Specifically, due to the suspension of operation of the Taekwondo gym, trainees were dismissed, and as a result, cases of refund of education expenses and cut-off of income were investigated. Second, there is a changed class method, quarantine, and disinfection as a response plan for crisis cases caused by COVID-19. Classes were introduced to provide classes for small groups of students, outdoor classes, crisis management system care, non-face-to-face classes, and home training after video production. It was also found that continuous disinfection and quarantine were implemented. Third, efforts to reinstate trainees who have decreased can be seen in communication and publicity with parents and trainees, and attitudes towards existing trainees. , It gave trust and relief by steadily posting disinfection posts. In addition, flyers and social media promotion were used to attract new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existing trainees, it was found that weekend special lectures were creat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Taekwondo studio. In view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categoriz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is a case of crisis caused by COVID-19 (decrease in trainees, economic crisis), countermeasures for COVID-19 (change in class environment and class method, quarantine and disinfection), and efforts to reinstate (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rainees, video promotion using social media).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crisis in Taekwondo school, such as the Corona 19 situation, will occur again, and when the second and third corona occurs, it is necessary to respond appropriately and strengthen the influence to overcome the crisis. 본 연구는 현장에서 직접 경영하는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가 시작한 시기의 태권도장의 위기와 대응 방법을 알아보고, 비교적 안정기에 접어든 현재, 위기 극복에 성공한 지도자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그 과정과 노하우를 자세히 듣고 분석하고, 또 미래 우리 사회가 맞을 제2, 제3의 코로나19 사태를 대비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비교하여 수련생이 80% 이상으로 복귀하고, 현 위치에서 5년 이상 운영 중인 태권도 지도자로 선정하였으며, 질적 연구로 사용되는 유목적표집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중심으로 2023년 3월 11일부터 3월 26일까지 주말 동안 연구 참여자별 1~2회 1시부터 약 60분 정도 개별 면담하였고, 면담 장소는 참여자가 가장 편안하고, 안정적이며 위기 사례와 극복 방안을 잘 떠올릴 수 있는 참여자의 도장에서 심층 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위기 사례는 수입의 단절로 경제적 위기가 가장 심각했었다고 언급하였다. 구체적으로 태권도장 운영 중지로 인해 수련생 퇴관하였고 이에 따라 교육비 환불과 수입 단절 사례가 조사되었다. 둘째,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사례 대응 방안으로 변화한 수업방식과 방역, 소독이 있다. 소수 인원으로 진행하는 정원제 수업, 야외수업, 위기관리 시스템 돌봄, 비대면 수업, 영상 제작 후 홈트레이닝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업을 도입하고 있었다. 또한 지속적인 소독과 방역을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소한 수련생을 복관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학부모와 수련생들과의 소통과 홍보, 기존 수련생을 대하는 태도에서 볼 수 있었다, 퇴관한 수련생의 학부모에게 전화로 안부 인사와 관심을 꾸준히 주었고, SNS를 통해 방역, 소독 게시물을 꾸준히 올리면서 신뢰와 안심을 주었다. 또한 전단지, SNS 홍보를 통해 신입생 유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 수련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주말 특강을 만들어 태권도장의 만족도를 높이도록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볼 때 질적연구의 범주화는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사례(수련생 감소, 경제적 위기), 코로나19에 대한 대응 방안(수업환경과 수업 방법의 변화, 방역과 소독), 복관시키기 위한 노력(학부모와 수련생과의 소통, SNS를 활용한 영상 홍보)으로 나타났다. 이에 코로나19 상황과 같은 태권도장의 위기가 또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제2의, 제3의 코로나가 발생하였을 때 적절히 대응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영향을 강화해야 한다.

      • 고전·문화콘텐츠 연구 현황과 전망

        김태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modern times, different from the past when the concept of culture contents was strange, the recognition on it is generalized among academic circles as well as the public. Culture contents have continued newly appeared and flood of contents widens the interval between academic researches and actual fields.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current states of researches which have been conducted, where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theories is expected to narrow the widened interval.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es of researches which have been conducted for cultural contents and examine a change in them.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suggesting alternatives by measuring directivity and prospects of future studies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However, the focus of it is limited to classics, given the significant width of the culture contents' category, since the category of culture is reduced to 'what reveals Korean inherent characteristics', if it is limited to classics. Here, classical culture contents indicate culture contents using classics. Classical culture contents are also placed in the flow of culture contents studies, so the stud process of culture contents studies was initially examined. The discussion of the concept of 'culture contents' had been actively implemented, when culture contents were first highlighted, but was put on hold for while. By 2010s, culture contents studies began to be considered again. The discussion of the directivity of prospective culture contents studies continued for quite some time, as the culture archetype digital contents project was closed in 2013. Consequently, a remaining question is how to organize the essential factors of culture contents.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may be 'classics'. As culture contents began to be produced, 'classics' received much attention. The 'classics' has been inherited from the ancient times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culture, so it also has been adequate as a material for culture contents. It was meaningful to restore old things in modern times, which also met the contemporary tendency. This paper arranged the current states of researches, especially those on classics with narrative styles, among classical culture contents. Researches on classical culture cont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outcomes- and archetype-based ones. The former means those that elaborately analyze classical culture contents as a kind of content. If there are not classical culture contents, those can be conducted. The latter means those that primarily analyze the archetype of classical narrative, for producing contents. From the study, thre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first, outcomes-based researches can be conducted, if outcomes of contents do not precedently exist. Therefore, it is urgent to arrange the culture archetype to be used for classical culture contents and enhance its availability. It is only the culture archetype that can precede outcomes. Second, there is a lack systematic database to which the public and producers of contents can be exposed. This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database, but inadequacy in database service can be found. A space is required for the public and producers of contents to more effectively access the information of culture archetype. Third, there are little researches on feasibility of culture contents. Culture contents cannot help being related with profitability, due to their inherent characteristics. Hence, academic circles also may have to actively study commercialization of culture contents. Thus, this study briefly suggested an alternative. Information of database has been already fully accumulat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data services, by distinguishing data for the public from those for consumers. The current 'culture contents dot.com' is manufactured by focusing on interest, rather than on efficiency.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reorganize 'culture contents dot.com' into an interest-based web-site. A space in which culture archetype can be systematically arranged for producers of contents to efficiently access data of culture archetype is also required. As a case of efficient database organization, <Simcheongjeon> was proposed. Finally, the organization of a traditional theme park in which consumers and the public can participate was suggested, through the case of Korean Folk Village in Yongin. Key words: culture contents, cultural archetype, classical culture contents 문화콘텐츠라는 개념이 생소하게 여겨졌던 때와는 달리, 현대에 들어서며 학계뿐 아니라 대중들 사이에서도 콘텐츠에 대한 인식이 일반화되었다. 문화콘텐츠는 끊임없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으며, 물밀듯 쏟아지는 콘텐츠들은 학계의 연구와 실제 현장과의 거리를 벌려 놓는다. 벌어진 거리를 좁히기 위해 이론 정립을 기대하는 시점에서, 지금까지 있었던 연구 현황을 종합해 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지금까지 진행된 문화콘텐츠 관련 연구 현황을 종합하고, 연구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과 전망을 측량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다만, 문화콘텐츠의 범주가 상당히 넓은 것을 고려하여, ‘고전’에 한정하여 살펴볼 것이다. 범위를 고전으로 한정하면 문화의 범위가 ‘우리나라 고유 특질이 드러나 있는 것’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때, 고전문화콘텐츠는 고전을 활용한 문화콘텐츠를 지칭한다. 고전문화콘텐츠 또한 문화콘텐츠학 흐름 내에 위치해 있으므로, 우선 문화콘텐츠학 연구 진행을 살펴보았다. ‘문화콘텐츠’ 개념에 대한 논의는 문화콘텐츠가 처음 주목받았을 때 활발하게 진행되다 잠시 휴지기를 맞는다. 그리고 2010년대에 들어서며 문화콘텐츠학에 대한 고찰이 다시 시작된다.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사업이 2013년 막을 내리며, 앞으로의 문화콘텐츠학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한동안 계속되었다. 결국 남은 의문은 문화콘텐츠의 알맹이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할지에 대한 것이다. 그 알맹이 중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고전’이다. 문화콘텐츠가 생산되기 시작하며 ‘고전’은 큰 관심을 받았다. 예로부터 전해져 내려온 데에는 우리 민족의 문화가 기저에 자리 잡고 있어 문화콘텐츠의 소재로 적합했기 때문이다. 옛것을 현대에 되살리는 것은 의미로운 일이며, 추세에 부응하는 일이었다. 본고에서는 고전문화콘텐츠 중 서사 양식을 갖춘 고전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 현황을 정리하였다. 고전문화콘텐츠 연구는 크게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결과물 중심 연구와 원형 중심 연구이다. 결과물 중심 연구는 콘텐츠로서 생산된 고전문화콘텐츠를 상세하게 분석한 연구를 뜻한다. 이때 존재하고 있는 고전문화콘텐츠가 없다면, 본 연구는 진행될 수 없다. 원형 중심 연구는 콘텐츠 생산을 위하여 고전 서사 원형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된 것을 뜻한다. 연구 내용을 종합한 결과, 세 가지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콘텐츠 결과물이 선행되지 않으면 결과물 중심 연구는 진행될 수 없다. 이는 고전문화콘텐츠에 활용될 수 있는 문화원형을 하루빨리 정리하여 활용도를 높여야 함을 의미한다. 결과물을 앞설 수 있는 것은 소재가 되는 문화원형뿐이다. 둘째, 대중과 콘텐츠 생산자들이 접할 수 있는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하다. 데이터베이스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부분에서 부족한 부분이 보인다. 대중과 콘텐츠 생산자들이 조금 더 효율적으로 문화원형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콘텐츠의 산업성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문화콘텐츠는 특성상 이익 창출과 관련될 수밖에 없다. 이를 고려할 때, 학계에서 또한 고전문화콘텐츠의 상품화에 대한 연구도 적극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고는 대안을 간략하게 제시했다.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축적은 이미 충분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축적된 데이터를 대중을 대상으로 한 것과 생산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나누어 서비스할 필요가 있다. 현재 ‘문화콘텐츠닷컴’은 효율성보다는 흥미를 중심으로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문화콘텐츠닷컴을 ‘흥미 본위 웹사이트’로 재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문화원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콘텐츠 생산자들이 효율적으로 문화원형 데이터를 접할 수 있는 공간 또한 필요하다.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성 사례는 <심청전>을 중심으로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용인한국민속촌 사례로 소비자 및 대중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전통 테마파크 구성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문화콘텐츠, 고전·문화콘텐츠, 고전문화콘텐츠, 문화원형

      • 세계 각국의 응급의료시스템 도입시기의 인구·보건지표 비교분석 : Comparison of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at the initial stage of emergency medicine around the world

        김태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응급의료체계의 도입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신속한 응급의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고 질병부담을 감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고소득 국가와 유사하게 중·저소득 국가에서도 비감염성 질환이나 외상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질병의 천이를 보이고 있다. 2000년대 후반 까지도 응급의료체계는 도입과정에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고소득 국가에서 주로 실효성이 있는 의료 분야로 여겨져 왔으나 외상이나 응급질환에 대해 신속한 의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건학적 통계조사가 가능하고 질병의 조기발견과 같은 이차예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중·저소득 국가에서도 응급의학 전문 과목에 대한 교육과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응급의료체계는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로 구성되며 효과를 정량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아직까지 전문가 의견에 한정된 논문 외에는 세계적으로 응급의료체계와 인구·보건지표 수치의 정량적인 변화와 영향에 대해서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의학회 혹은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가 도입된 나라들을 문헌고찰 및 웹 검색을 통해 조사하여, 각 나라별 응급의학회의 설립 및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 시의 인구·보건지표를 도식화 하고, 응급의학회 설립 및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 유무 또는 도입 전후의 보건지표 변화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WHO, World bank의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214개 나라를 기준으로 Pubmed와 각 나라의 응급의학회 홈페이지 검색을 통해 응급의학회 설립연도가 명시된 58개국과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연도가 명시된 70개국을 선정하였다. 응급의학회 유무에 따른 인구·보건지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WHO, World bank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설립연도가 명시된 58개국과 명시되지 않은 156개국의 1960년부터 2014년 까지 GDP, 인구수, 1000명당 의사 수, 사망원인별 표준화사망률, 사망원인별 사망자수와 같은 인구·보건지표에 t 검정을 시행하였다. 응급의학회 설립 전후에 변화되는 보건지표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망률데이터가 있는 44개국에서 사망원인별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에 짝지은 t검정(p<0.05)을 시행하였다.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유무에 따른 인구·보건지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입연도가 명시된 70개국과 명시되지 않는 144개국의 인구·보건지표에 t 검정을 시행하였다.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 전후에 변화되는 보건지표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망률데이터가 있는 27개국에서 사망원인별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에 짝지은 t검정(p<0.05)을 시행하였다. 응급의학회 설립,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과 배출시기의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도입 전후 4년에서 8년까지, 5년간의 사망자수 변화에 대한 기울기를 구하고 이를 변수로 사용했다. 응급의학회가 설립되지 않는 나라들에 비해 설립된 나라들에서 GDP (4,795±10,228 vs. 10,228±11,072, p=0.01), 인구수 (14.12x10⁶±32.89x10⁶ vs. 70.62x10⁶±191.86x10⁶ p=0.03), 1000명당 의사수 (1.29±1.43 vs. 2.18±1.44 p<0.01),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표준화사망률 (61.62±128.54 vs. 134.97±142.50 p<0.01), 외상으로 인한 표준화사망률 (13.59±27.17 vs. 34.49±34.63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응급의학회가 설립되기 전에 비하여 설립된 후 5년간의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가 감염성질환(145.61 vs. -145.26 p<0.01), 외상(-5.16 vs. -41.34 p<0.01) 및 교통사고(-2.95 vs. -24.35 p<0.01)로 인한 사망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가 도입되지 않는 나라들에 비해 도입된 나라들에서GDP (4,931±4,907 vs. 8,834±12,116 p=0.05), 인구수 (13.97x10⁶±32.58x10⁶ vs. 61.24x10⁶±176.27x10⁶ p=0.03), 1000명당 의사수 (1.31±1.48 vs. 1.81±1.42 p=0.02),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연령표준화사망률 (47.10±126.71 vs. 107.63±154.68 p=0.03), 외상으로 인한 연령표준화사망률(10.24±27.10 vs. 25.36±32.75 p=0.02)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응급의학 전문과목이 도입되기 전에 비하여 도입된 후 5년간의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가 감염성질환 (19.95 vs. -28.13 p<0.01) 및 교통사고 (18.27 vs. -27.16 p<0.01)로 인한 사망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하위군 분석에서 외상으로 인한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는 고소득 국가뿐만 아니라 중·저소득 국가에서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의학회 또는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가 도입된 나라들에서 응급의학회 또는 응급의학과 전문의 제도가 도입된 시기의 GDP, 인구수, 1,000명당 의사수, 심혈관 질환 및 외상으로 인한 사망률이 응급의학회 또는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가 도입된 나라들에서의 최근 수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응급의학과의 발생시기에는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급속한 도시개발과 도시환경정비의 미비로 인하여 외상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예방접종과 항생제의 보급으로 인해 감염성질환은 감소하는 반면 비감염성질환은 증가하는 질병의 천이를 보였다. 외상이나 심혈관질환과 같은 응급질환의 증가는 응급의료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전문가적, 대중적인 수요를 촉발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응급의학회 및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가 도입되기 전에 비하여 도입된 후 감염질환과 외상으로 인한 5년간의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감염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세계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외상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세계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특히 중 저소득 국가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나 본 연구에서는 응급의학회 및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 후 감소추세를 보였다. 한 연구에 따르면 59개 중 저소득 국가의 응급센터에서 전문적인 응급의학 교육을 받은 의사가 24시간 상주하는 곳은 4%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외상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것을 고려 하였을 때 중 저소득 국가에서도 응급 환자의 분류, 초기 처치, 소생술 등 전문적인 응급의학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은 보건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각국의 응급의료체계 도입시기의 배경을 밝혀 응급의료 도입 당시의 수요와 응급의학 도입 전 후의 보건지표를 정량화 하였다. 이는 응급의료시스템의 도입시기에 있는 중·저소득 국가들에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system is devoted to various time-sensitive diseases. It has not taken priority over primary prevention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s) because of the belief that emergency care is innately expensive and profits relatively few patients when communicable diseases have been conventionally considered the major burden of disease. From the beginning of the 2000s,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injuries appeared to be the major burden of disease even in LMICs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t is likely that 24/7 available clinical staff trained in emergency care could decrease the mortality rate of emergency medical conditions. Considering this disease transition, development in LMICs is in urgent need.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containing diverse medical, epidemiologic, and demographic information on the initial stage of implementation of emergency care in individual countries.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compare EMS systems and patient outcomes among countries due to their heterogeneities, it can be hypothesized that proper emergency care of acute illnesses and injuries might affect mortal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describe the status of emergency medicine (EM) around the world with baseline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2) to compare individual countries at the time of initiation of either an EM society or EM specialty, and (3) to quantify the effect of establishing an EM society or adopting EM as a medical specialty on total number of deaths by cause. For the literature review, PubMed, Cochrane Review, and the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ere searched. For quantitative evidence, 214 countries from the latest online estimates in the databases from the WHO and World Bank were used for assessing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Webpages of societie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active in areas relevant to EM were also screened.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on the year of beginning were described of 58 countries with the year of EM society and 70 countries with that of EM as a specialty established or first recognized. First, a total of 214 countr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EM society status. A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between countries with and without an EM society.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p<0.05)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epidemiologic, and health transi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an EM society. The gradient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in the five-year period from four to eight year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an EM society was used as a variable. Second, a total of 214 countr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EM as a specialty status and then a t-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between countries with and without an EM as a specialty and a paired t-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epidemiologic, and health transi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EM as a specialty was followed. The gradient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in the five-year period from four to eight year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an EM as a specialty was used as a variable. Gross Domestic Product (GDP) (10,228±11,072 vs. 4,795±10,228 p=0.01), population (70.62x10⁶±191.86x10⁶ vs. 14.12x10⁶±32.89x10⁶ p=0.03), number of physicians per 1,000 capita (2.18±1.44 vs. 1.29±1.43 p<0.01), as well as age standardized death rate (ASDR)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134.97±142.50 vs. 61.62±128.54 p<0.01) and injury (34.49±34.63 vs. 13.59±27.17 p<0.01) at the time of EM society establishment in countries with EM socie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ast available in countries without EM societies. The gradients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fectious diseases (145.61 vs. -145.26 p<0.01), injuries (-5.16 vs. -41.34 p<0.01), and road traffic accidents (-2.95 vs. -24.35 p<0.01) in the five-year period from four to eight year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an EM socie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GDP (8,834±12,116 vs. 4,931±4,907 p=0.05), population (61.24x10⁶±176.27x10⁶ vs. 13.97x10⁶±32.58x10⁶ p=0.03), number of physicians per 1,000 capita (1.81±1.42 vs. 1.31±1.48 p=0.02), as well as ASDR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107.63±154.68 vs. 47.10±126.71 p=0.03) and injury (25.36±32.75 vs. 10.24±27.10 p=0.02) at the time of EM being recognized as a specialty in countries with EM as a formal special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last available in countries without EM as a formal specialty. The gradients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fectious diseases (19.95 vs. -28.13 p<0.01) and road traffic accidents (18.27 vs. -27.16 p<0.01) in the five-year period from four to eight years before and after the recognition of EM as a special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ositive gradient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in high-income countries (HICs) (58.37 vs. -53.94 p<0.01) became less steep, and the negative gradient of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in LMICs (206.22 vs. -139.28 p<0.01) became steeper after establishing EM societi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showed that GDP, population density, and number of physicians per 1,000 capita were higher in the countries that established EM societies or EM as a formal specialty than the latest values of non-established countries.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EM societies or EM as a formal specialty, the rate of ASDR due to injury and cardiovascular disease was higher than the latest values of non-established countries. In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the degree of yearly declin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establishing EM societies or EM as a formal specialty compared to the same slope for the period before the establishing year. Considering that the effect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on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has increased globally over the past 20 years, the implementation of EM in LMICs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might be an important part of the healthcare system. This study may help guide EM development as a reference point in LMICs where there is a lack of firm emergency medical care infrastructures but increased demand.

      •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초등 수학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태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recently arrived, interest in and social demand for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s are increasing as a way to realize personalized learning that consid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addition, learners' positive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was found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career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effectiv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this tr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okTok Math Expedition’ was first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is suitable for use in regular school mathematics classes. Also, in September 2022, The contents of ‘TokTok Math Expedition’ for 3rd, 4th grade have been newly rel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their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is end, a class of 21 fourth graders at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as set as a field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For Units 1 and 2 of Mathematics in the 2nd semester of the 4th year,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sonalized math learning, and the control group applied the existing lecture class. The pre-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secured by conducting an independent t-test on the results of the pre-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sonalized math learning at the 30th session for 6 week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paired-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hanged. In addition,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 non-parametric method,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by dividing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level. In addition, sincere learners were selected for each level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AI-based personalized math learning to explore changes in depth.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effect of AI-based personalized math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AI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sonalized math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by learner level, it was foun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sonalized mathematics learning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for learners in the lower group than in the upper middle group.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sonalized math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attitude toward AI was significantly improved overall.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have fun and effective math learning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sonalized math learning, an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d changed to a friendly and helpful positive percep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n attempt to explore effective application methods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sonalized mathematics learning in actual regular mathematics classe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found that AI-based personalized math learning can positively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their attitude toward AI technology. Based on the above,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I-based personalized math learning with a sufficient number of diverse learners as research subjects. Also, It is necessary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sonalized math learning to various mathematical domain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sonalized math learning in regular classes differently. In addition, specific and systematic research on effe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methods that can improve each subdomain of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is needed. 최근 인공지능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학생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학습을 실현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교육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학습자의 인공지능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인공지능과 관련된 진로에 대한 관심과 인공지능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초등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기반으로 교육부에서 최초로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 플랫폼으로 학교 정규 수학 수업에 활용이 적합한 ‘똑똑! 수학 탐험대’에 주목하였다. 또한 2022년 9월 초등 3, 4학년을 대상으로 한 ‘똑똑! 수학 탐험대’의 콘텐츠가 새롭게 공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똑똑! 수학 탐험대’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이 학습자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H 초등학교 4학년 21명이 재학 중인 두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4학년 2학기 수학의 1단원과 2단원에 대해 실험집단은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강의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와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에 대한 사전 검사 결과에 대해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 실시하여 두 집단의 사전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6주간 30차시의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을 적용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와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확인하고자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과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학습자를 수준별로 나누어 학업성취도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고자 비모수적 방법인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성실하게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학습을 수행한 학습자를 수준별로 각각 선정하여,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실행하여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습자 수준별로 향상 정도를 살펴본 결과, 중상위 그룹보다 하위 그룹의 학습자에게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은 학습자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가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면담을 통해서도 학생들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을 통해 재미있게 효과적인 수학 학습을 할 수 있었다는 응답과, 인공지능 기술이 친근하고 도움을 준다는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했다는 응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본 연구는 실제 정규 수학 수업에서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의 효과적 적용 방법을 탐색해 본 시도였다는 점과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이 학생의 학업성취도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충분한 수의 다양한 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측정, 규칙성과 같이 다양한 수학 영역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을 적용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정규 수업 시간에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을 적용하는 방법을 다르게 하여 그 효과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의 하위 영역별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인공지능 교육 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초등학교 체육수업 시에 발생하는 안전사고 원인과 예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김태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체육수업 시에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방형 질문지와 심층면담을 활용하였고,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원간 검토, 동료 간 협의, 삼각검증법을 실시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 수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원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학생 요인, 교사 요인, 시설 및 교구 요인, 외부적 환경 요인, 기타 요인 등 다섯 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학생 요인에 관하여는 부주의함, 안전사고 예측 및 자기조절능력 부족, 교우관계, 과도한 경쟁, 욕구과잉, 두려움, 학생 건강이 원인으로 제기되었다. 교사 요인에 관하여는 번거로움, 체육교구에 대한 사전점검 소홀, 자세한 규칙 및 주의사항 안내 부족, 순간적인 방심, 학생 개인차에 대한 무지나 몰이해를 꼽을 수 있다. 시설 및 교구 요인에서는 방치된 기구, 노후화된 시설 및 교구, 교구의 문제, 고르지 못한 운동장을 들 수 있다. 외부적 환경 요인은 호흡기 질환, 혹서기와 혹한기의 증세가 그 원인이다. 기타 요인으로는 위의 4가지 범주에서 체육수업 안전사고의 가장 큰 원인이 인적 요인이라고 하는 의견을 공통적으로 보였다. 체육시간 안전사고의 예측하기 힘든 사고는 학생의 우연성과 교사의 방심이 결합한 사례이다.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 수업 중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예방에 관한 교사의 인식은 수업 계획 시, 수업 도입 시, 수업 전개 시, 수업 정리 시, 기타 예방책으로 나타났다. 수업 계획 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시설 및 용기구 확인, 수업의 세밀한 구성, 학생의 마음가짐 교육, 학생 수준 파악 및 차시 재구성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수업 도입 시에는 용기구의 정확한 사용법 및 안전사고 방지 행동 시연, 준비운동 철저, 학생 건강상태 확인 및 격리 조치, 사전활동 안내, 복장확인을 한다고 하였다. 수업 전개 시에는 지속적인 안전의식 고취, 지나친 과열 막기, 학생을 주의 깊게 관찰, 불편한 학생을 쉬도록 하는 방법 등을 들었다. 수업 정리 시에는 교구 정리 관리 및 지도, 정리운동, 갈등상황 끝내기, 휴식 및 수분 보충을 제시 하였다. 기타 예방책으로는 동학년 회의를 통한 교사 안전의식 강화, 응급처치능력 강화를 들었다. 체육시간 안전사고의 중상은 요양호 학생과의 대화 등을 통해 미리 식별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하였다. 학생이 다쳤을 때, 현행 안전공제회 보다 체계적인 안전사고 처리대책 마련의 필요성도 아울러 지적하였다. 안전사고 예방 분위기의 역기능은 사고가 날 것 같으면 체육수업을 안한다는 소극적인 태도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고 하였고, 체육수업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체육실무사 같은 보조인력의 필요성도 제기 되었다.

      • 인문계열 학과 법제 교육 연구

        김태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ed for legal education in the humanities, especially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the cause of the actual problems experienced by humanities learners in the social field is the absence of legal education. Currentl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akes a method of spreading creations through various media. As a result, Schools that have incorporated practical studies into their major elective subjects with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ave increased. The humanities must combine protective measures for self-sustaining growth. In this study, to protect the humanities themselves and thereby be at the forefront of the industrial field, we will speak withi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order to confirm whether legal knowledge is required in the field of humanities, Chapter II reviewed laws related to the humanities. This is to check whether certain laws and regulations can affect humanities learning and utilization. The Constitu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higher law, reviewed academic freedom and freedom of speech and publication, and confirmed laws that stipulate them in detail. The scope of research was narrowed by defin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rresponding to the higher concept of copyright law and presenting sub-laws and grounds. Subsequently, whether there are cases requiring legal knowledge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sted by case. By examining cases related to freedom of expression, unfair practices in society in general, and whether AI's copyright is recognized as a future problem, the problem was recognized by dividing it into social expression consciousness and new issues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finally, to confirm the case only for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of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cases are ‘The Cloud Bread Case’ and ‘IMWONGYEONGJEJIl Judgment’, which is a case in which fairy tale writer Baek Hee-na was not recognized for secondary copyright due to unfair contracts with publishers. Not only the rights of creators but also the rights of publishers were treated as an issue, raising awareness for both sides. The ‘IMWONGYEONGJEJI Judgment’ did not recognize the copyright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that was recently commissioned and marked IMWONGYEONGJEJI, which confirmed the court's awareness of the classical data. In addition, the evidence was reinforced through actual lecture cases an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related counseling also continued to increase, emphasizing its necessity. Chapter III examined whether legal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cluding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y divid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At this time, each department was selected according to 'whether to produce creations using specific media'. It was significant that the opening of each law subject was confirmed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nd the Department of English and Literature at Columbia University abroad. Considering that the position of the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in Korea is similar, it is expected that the scope of learning will be further expanded by utilizing literature and law in Korea. In addition, the Department of Media at Kyung Hee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nd Arts Management at Hongik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Tourism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Contents were also able to confirm the opening of law-related subjects. Along with the above curriculum, we reviewed how the law school teaches copyright law and how other humanities departments educate legal systems. Based on this, Chapter IV proposed legal education as a single subject and a convergence subject. The single subject allowed them to understand copyright law in depth and access various cases, and the convergence subject allowed them to be familiar with copyright laws that can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through actual copyright registration and mock trial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horizon of humanities, including Korean and Korean literature, humanities took the lead in research based on humanities and producing contents through various media. several problem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In order for authors to be more active than before, they judged that they needed a means to accurately identify their rights to work and protect their creations. On the contrary, it was also intended to prevent unfair demands in advance because they did not know the criteria for rights. This study aims to take the first step by pointing out the problem of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such legal education is absent and insisting on the necessity. 「인문계열 학과 법제 교육 연구」는 인문학 학습자들이 사회 현장에서 겪는 실제적인 문제의 원인을 법제 교육의 부재로 보고 인문학 계열, 특히, 국어국문학에서의 법제 교육 필요성을 역설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과거 국어국문학과에서 순수 문학과 어학을 중심으로 공부했다면, 지금은 보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창작물을 확산시키는 방식도 함께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어국문학과 내에 실용 학문을 전공 선택 과목으로 편입시키는 학교가 늘었다. 문화콘텐츠학과 디지털 인문학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인문학은 자생을 위해 보호수단을 겸비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인문학 스스로를 보호하고, 그로써 산업 현장의 선두에까지 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첫걸음을 국어국문학의 범위에서 말하고자 한다. 인문학 분야에서 법령 지식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인문학과 관련된 법령을 검토했다. 특정 법령이 인문학 학습 및 활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상위법에 해당하는 헌법에서 학문의 자유 및 언론·출판의 자유를 검토하고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정하고 있는 법률을 확인했다. 법률 중에서 인문학이 직접적으로 언급되는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의 내용과 저작권법을 살핌으로써 인문학 분야의 학습자들과 관계를 맺는 것은 저작권법임을 상세하게 서술했다. 그리고 저작권법의 상위 개념에 해당하는 지식재산권을 정의하고 하위 법률 및 근거 조항을 제시하여 연구 범위를 좁혔다. 이어서 해당 연구 범위 내 법령 지식 필요 사례가 있는지 사회적 분위기에 비추어 판례별로 열거했다. 크게 나누어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사례와 사회 일반의 불공정 관행, 미래 문제로 AI의 저작권 인정 여부를 살핌으로써 사회적인 표현 의식, 사회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쟁점과 함께 개인의 저작권 의식의 관점으로 나누어 문제를 인식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연구 대상인 국어국문학에 한정하여 사례를 확인하고자 했다. 가장 핵심적인 케이스로 ‘구름빵 사건’과 ‘임원경제지 판결’이 있다, ‘구름빵 사건’은 동화 작가 백희나가 출판사와의 부당한 계약으로 2차 저작권을 인정받지 못한 사건이다. 창작자의 권리뿐 아니라 출판사 쪽의 권리에 대해서도 쟁점으로 다루어져, 양쪽 모두에게 경각심을 일깨웠다. ‘임원경제지 판결’은 최근 『임원경제지』를 교감·표점한 고전 번역본의 저작권을 인정해 주지 않은 것으로, 법원의 고전 자료에 대한 저작 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더불어 실제 강의 사례와 교수자의 인터뷰를 통해 근거를 보강했다. 저작권 관련 상담 현황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그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Ⅲ장에서는 국어국문학과를 비롯하여 인문·사회 계열에서 법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국내 사례와 국외 사례를 나누어 검토했다. 이때 각 학과는 ‘특정 매체를 이용하여 창작물을 생산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선택했다. 국내의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국외 컬럼비아 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각 법 과목 개설이 확인되어 유의미했다. 미국에서의 영어영문학과와 국내의 국어국문학과의 입지가 유사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국내에서 또한 문학과 법을 활용하여 학문의 범주를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가능하다. 그밖에도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부, 상명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에서도 법과 유관한 과목 개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 교육이 불필요한 것이 아님을 현장 사례와 국내외 대학의 과목 개설을 통해 확인하고, 인문학의 수요 증가로 연구자의 현장 참여가 증가하며 그 보호 수단으로 법제를 익힐 필요성이 있음을 본고에서 보이고자 한다. 기계적으로 법제를 교육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캡스톤 디자인의 형태로 장기 프로젝트에 학생 및 연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상적일 것이다. 저작물이나 연구 성과물을 본인이 스스로 창작하고, 그에 대해 권리를 가진다는 것을 명확하게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현장에 나아가서도 정당하게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주장함과 동시에 타인의 창작물을 존중하도록 하는 태도를 길러 줄 것이다. 위의 교육 과정과 함께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실제로 어떻게 저작권법을 교육하고 있는지, 그리고 다른 인문 계열 학부에서 어떻게 법제를 교육하고 있는지를 위와 같이 검토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단독 교과로서의 법제 교육과 융합 교과로써의 법제 교육 방법을 나누어 제안했다. 단독 교과는 보다 깊이 있게 저작권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게 하였으며, 융합 교과는 실제 저작권 등록과 모의재판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저작권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했다. 국어국문학을 포함한 인문학 계열의 학문들이 그 학문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과정에서, 인문학자들이 주도적으로 인문학적인 사유를 기반으로 한 연구와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생산할 때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문제의식을 가지고 보았다. 이전보다 활발하게 저작자들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창작물을 보호하는 수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반대로는, 권리의 기준을 알지 못하여 부당한 요구를 하게 되는 일도 사전에 방지하고자 했다. 본고는 이러한 법제 교육이 부재하는 현재 상황의 문제를 지적하고 필요성을 주장함으로써 그 첫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