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술경영 교육기관 개선방안 연구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과 예술전문사 과정 피교육자를 대상으로

        황도민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35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 예술전문사 과정은 국내 석사학위 수준의 예술경영 관련 교육기관 중 비교적 초기라 할 수 있는 2000학년도에 설립․운영됐다.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추구하는 ‘실기 중심’의 교과과정은 예술경영과에 와서는 ‘현장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본 학과를 경험한 다수의 피교육자의 교육적 만족도는 천차만별이었다. 연구자는 한국예술종합학교라는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교육과정을 겪으며 학교만의 특성과 장점, 그리고 한계점에 대해 인지하게 됐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 예술전문사 피교육자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개선사항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됐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과 예술전문사 피교육자의 만족도를 파악, 분석하여 예술경영 교육기관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 두 가지 연구방법을 사용했다. 우선 전수조사를 기본으로 하여 진행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학과에 관한 만족도를 살펴봤다. 심층인터뷰는 설문조사와 연결점을 갖고 있는데, 연구자가 정한 기준에 의해 선정된 대상자와 설문조사에서 파악된 내용을 바탕으로 자유로운 대담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의견과 제언이 나타났지만, 특히 입시고사, 커리큘럼, 인적 네트워크, 교․강사진, 행정체계에 관한 개선사항이 다수의 응답자에 의해 거론됐다. 입시고사에서는 현재 영어에만 집중되어 있는 고사방식을 다각화 할 필요와 논술고사 도입 등이 거론됐으며, 커리큘럼에서는 홍보 및 마케팅 관련 수업 보완과 법률수업의 강화, 커리큘럼을 통한 인적 네트워크 공고화라는 의견이 언급됐다. 동문회 활성화의 필요성과 교내 타 예술전공 학생과의 교류 활성화가 대두됐으며, 학생들의 다양한 배경을 고려한 교․강사진 보완, 연극원 전임교수 보완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과보다는 학교 자체의 개선사항으로 행정체계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언급됐다. 조사 결과 눈에 띄었던 점은 다수의 학생이 학과가 학교 내 입지 및 대외적 영향력이 과거에 비해 약해졌다고 느낀다는 점이다. 이런 점은 입시 지원자 수의 감소, 점차 낮아지는 만족도 등 연구에서 나타난 일련의 현상으로 단순히 개개인의 의견만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다. 학과의 발전과 예술경영 교육기관으로서의 방향성을 위해 언급된 요소들이 하나 둘씩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Graduate Course)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was founded in 2000, relatively early compared to other graduate school-level art management graduate institution in South Korea. The 'practice-oriented' curriculum pursued by the school is operated as 'field-oriented' in the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However, the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experienced by a majority of educatees were multifarious. The author became aware of the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fter undergoing several undergraduate curricula and felt the need to identify the variation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experienced by educates of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Graduate Course)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variation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experienced by educates of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Graduate Course)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explore improvement measures for graduate institution of arts management. To achieve this, two research methods were exploited: survey and interview. The entire sample pool of educates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f any.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survey questionnaire. They were in a free conversation form based on the answers provided in the questionnaire by each interviewer. Through them, a number of suggestions developed, but most indicated areas of improvement regarding entrance exam, curriculum, human network, instructors and teachers and administrative system. With regard to entrance exam,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the test that is too concerted on English and adding essays. With regard to the curriculum, reinforcement in PR and marketing-related classes, law courses and consolidation of human network through curriculum were mentioned. Surveyees and interviewees also commented on the need for an alumni association, exchange with students from other art schools, reinforced instructors and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assorted backgrounds of the students, and improved full-time faculty members for the School of Theater. Lastly, rather than the departments, the surveyees and interviewees provided a wide range of ideas regarding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school.

      • 몽골 전통 공연 예술 국제 교류 현황 및 발전 방안 : 기관 및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BAYARAA ENKHZUL 한국예술종합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19

        한류 문화의 열풍은 기존 한국의 산업이 생산해왔던 가치를 뛰어넘는 확장적 부가가치로써, 한국 전통공연예술의 대표 기관으로 국립국악원, 교육 기관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역사부터 국제교류 사업 등을 분석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몽골의 공연예술 기관인 국립대극원, 그리고 교육 기관인 몽골 국립문화예술대학교의 국제교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몽골은 전통공연예술 국제교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국제교류 사례 분석 결과 한국의 사례에 비해 체계적 정규교육과정이나 지원 사업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통공연예술 국제교류 양성을 위해 한국의 국립국악원과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운영하는 국제교류 사업을 종합, 분석하였다. 먼저 몽골국립대극원의 역사를 시작으로, 단순한 조직현황과 국내외공연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1년간의 공연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몽골 국립대국원의 예산 현황과 국제교류 진출을 위해서 어떠한 운영사항을 개발해야 할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육 기관으로서 몽골 국립문화예술대학교의 역사, 교과과정, 외국인 학생 및 교수 국제교류, 국내외 공연 등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몽골 국립대극원, 몽골 국립문화예술대학교의 국제교류를 활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몽골의 전통공연예술 국제교류활동이 활성화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하는 목적을 지난다 하겠다. 전통공연예술 국제교류의 활성화를 통하여 전 세계 문화예술시장에 자극적인 이루부터 줄 것이며, 외국인 대상 강좌를 통해 새로운 사업을 개발하여 몽골의 전통 공연예술과 문화의 이미지가 제고되는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에 몽골 전통공연예술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몽골 국립대극원에 외국인 대상 사업을 개설해야 할 것이다. 몽골은 특히 여름에 관광객 수가 급증하기 때문에 이를 겨냥하여 몽골 전통 공연예술을 직접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한다면 긍정적인 영향을 주겠다. 두 번째, 국내에서도 일반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인 강좌를 실험한다면 몽골 전통공연예술의 저변을 확대시킬 가능성이 있다. 세 번째, 몽골의 국립대극원과 국립문화예술대학교에서 가능한 연구 활동을 개발하고 국제문화사업과 문화교류 행사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전통공연예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킨다. 네 번째, 외국인 학생 대상 장학금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다섯 번째, 몽골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홍보가 구체적이고 장기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몽골 국립대극원과 몽골 국립문화예술대학교의 정보시스템을 견고하게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 전통공연예술 국제교류 발전을 위해 외국인 대상 사업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외국인과 국민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도를 제고한다. 이상해서 몽골의 전통공연예술 국제교류 발전 방안에 대한 분석과 한국의 국립국악원과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조직과 국제교류 사업 비교를 통해 다각적인 개선 방향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몽골의 전통공연예술 국제교류 활동이 조금이나마 활성화되어 한 단계 올라갈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The craze of the Korean Wave is well-known and that of value is outweighing Korean industries that have produced untl now. In this study, the authors conducted an analysis on historical tomelines and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which are representing as a cultural (e.g.,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respectively. About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instituitions of Mongolia. Grand Theatre of National Arts in Mongolia and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Culture were chosen for an analysis purposes. To begin with the history of the Mongolian Grand Theatre of National Arts, the performances of 11 years from 2007 to 2017 in Mongolian were scrutinized to examine the domestic performances and organizational changes. Next, the authors determined operating plans after reviewing the historical budget records of the Mongolian Grand Theatre of National Arts to advance into international exchanges programs. As for educational institutes, the history, curriculums, international exchange students and professors, and domestic performances of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Culture were analyzed This study suggests a strategic plan to exchange the rate of international exchange of Mongolian Grand Theater of National Arts and the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Culture to assist with Mongoli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t is necessary to obtain an opportunity to exchange Mongoli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cultural image by focusing on the world’s culture and the art market to develop new exchange programs through targeted courses and curriculums is any cultural institutions.This would be of great importance to become a cultural image worldwide. The following are ways to promote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Mongolia,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new events and cultural programs for foriegners, who are visiting in the Mongolian Grand Theater of National Arts, With this promotional act, Mongolian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for instance, expanding the tourists opportunity to learn Mongolian domestic traditional performing arts during the summer period due to the growth of the targeted tourists from abroud. Second,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programs will have a contructive and worthwhile effect on the possibilitty of expandng the traditional Mongolian oerforming arts and it’s further development. Third, several research project are encouraged to be conducted at the Mongolian Grand Theatre of National Arts and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Culture, supporting international cultural project and events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rth, scholorship programs for foreign students should be established and proceeded accordingly. Fifth, long-term promotional programs on Mongoli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hould be made and deleloped continuously. To establish the information system of the Mongolian Grand Theatre of National Arts and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Culture, ir is necessary to implement training programs for specifed and professional personnel. To develop an international exchang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uthors attempted to develop international projects for foreigners and to raise an aware of interest of tourists, global partners, and people in cultural arts. The authors, in this study, determined various methods to develop the latest models on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Mongolia by comparing Korean National Gugak Center(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followed by global exchange projects. With these measurements, the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ill be of great help to Mongolian culture and arts. This it would be a significant opportunity to be evaluated at the international level.

      • 문화다양성협약 이후 전통예술정책의 방향에 대한 연구

        이기석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고에서는 본격적인 문화세계화 시대를 맞아 한국의 전통예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민했으며 특히 문화다양성협약 이후 변화하는 환경에 전통예술정책이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할지 연구하였다. 논문의 연구범위는 통시적인 관점으로는 전통예술정책이 처음 생겼다고 할 수 있는 1970년대부터 현 정부까지의 역대 정부의 정책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했다. 또한 공시적 관점에서 한국의 무형문화보호 정책과 일본과 중국의 무형문화보호 정책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전통예술이란 무엇이고 전통예술이 차지하는 위치는 어디인가? 전통예술의 현실에 대한 통렬한 자기반성이 없다면 우리는 현 위치에서 단 한 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이에 본고는 전통예술에 우호적이지 않은 현실을 인정하고 전통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다음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인력양성이다. 인력양성은 예술계 중·고등학교의 국악교육 인프라 확충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제식 전공실기 교육’에서 벗어나서 대학교의 커리큘럼을 개편해 적극적으로 융합교육을 해야 국제적인 감각을 갖춘 인재를 배출할 수 있다. 또 전통예술 교육과정에서 공연기획, 제작, 마케팅 인력들의 교육도 중요하다. 전통예술 콘텐츠를 기획하고 홍보하고 유통시키는 인력을 대학교에서 적극 양성해야 한다. 둘째, 국제교류시스템이다. 한국에서 국제교류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 몇 년이 지나지 않을 만큼 역사가 짧다. 국제교류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곳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유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한 채널로만 교류를 한다는 것은 교류가 단순화되고 고착화에 빠질 우려가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에 대한 지나친 의존을 줄이고 다른 기관이나 단체에서도 국제교류사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창작환경 개선이다. 창작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선결 과제들이 있는데 그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전통예술이 공연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는 것이다. 매년 900명이 넘는 국악 관련 전공자가 대학을 졸업하지만, 이들이 무대에서 설 수 있는 기회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창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준다면 재능 있는 젊은 예술인들이 자신들의 재능을 펼쳐 경쟁력 있는 예술작품을 만들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넷째, 전통예술의 국제홍보 및 연구이다.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매년 주최하는 서울아트마켓은 잘 알려지지 않은 우리의 예술작품을 발굴하고 새로운 관객을 개발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공연예술의 유통과 해외진출의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전통예술 해외아트마켓 지원사업을 서울아트마켓 기간 중에 진행함으로써 시너지효과를 노리는 측면이 있으며 전통예술의 국제적인 인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전통예술의 홍보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전통예술에 대한 연구이다. 전통예술을 다룬 양질의 연구 논문이 나와야 하며 또 이러한 연구논물들이 게재될 수 있는 학술지가 많아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전통 예술의 학문적인 발전과 진흥을 위한 전통예술 분야의 우수 논문 발굴 지원과 전통예술 연구를 위한 학술지 창간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전통예술의 장기 비전이다. 한국의 전통예술의 장기적인 전략은 국가주도의 마스터플랜 중심으로 이루어졌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전통예술비전 2010> 이후에 장기비전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전통예술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전통예술의 세계화와 문화다양성 시대의 전통예술에 대한 새로운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전통예술의 장기비전으로 두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국가브랜드로서의 전통예술이다. 국가브랜드 공연의 성공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기획을 통해 국가브랜드 공연 같이 관객을 개발하는 노력을 한다면 전통예술의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월드뮤직으로서의 전통예술의 활용이다. 세계 음악시장에선 각국의 전통예술을 변형한 월드뮤직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의 전통음악도 충분히 월드뮤직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세계화 시대에 전통예술이 나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 본 전통예술의 비전제시가 전통예술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인식을 명확히 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또 전통예술정책 제안이 한국에서는 물론이고 세계예술 시장에서도 한국전통예술이 통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In this age of cultural globalization, my studies have focused on directions toward which Korean traditional culture should proceed, especially the policies we need 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ing environment after Protec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Contents. Diachronically, I tried to compare the policies of each subsequent Korean government, starting with the initiation of traditional arts policy in the 1970's, ending with the present government. Synchronically, I looked through policies on intangible culture protection in Korea, Japan and China respectively. What are traditional arts in Korea and where are they? Without an earnest reflection upon reality of traditional arts, we cannot move forward. Therefore, based on admitting the reality that is not amicable to the traditional arts,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measures as policies for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arts. The first policy is culturing artists. We can begin this with expanding the infrastructure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junior and high arts schools. We also need to stop educating majors from performing with the exact same taste and revise school curricula in order to have fusion education and produce talents with international flair. Educating experts of planning, producing and marketing performances is crucial in the traditional arts education curricula. The second policy I propose is to expand the international exchange system.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exchange in Korea is only a few years long. We could say that the only agency through which the international exchange happens is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Having only one channel for exchange can cause simplification and fixation of exchange. We need to lighten overlaid dependence on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and expand international exchange business in other organizations. The third suggestion is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creation. The first priority project for this would be to arrange spaces where the traditional arts can be performed. Although each year produces over nine hundred graduates major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number of opportunities for them to perform lessens. If a proper environment is arranged, many young artists will show their talents and create competitive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The fourth policy is international promotion and studies of Korean traditional arts. Seoul Art Market was held by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and focused on excavating unknown arts pieces and developing a new group of audiences to function as a gate for the distribution and overseas expansion of performing arts. We can have a synergetic effect and raise awareness of Korean traditional arts by conducting the supporting business for the overseas marketing of Korean traditional arts. Not only promotion but also studies on Korean traditional arts are important. We ne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ses and journals where the theses can be printed. Support for excavating excellent theses and creating journals is required to develop and promote Korean traditional arts. The last proposal would be the long-term vis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The long-term strategies of Korean traditional arts had been carried out by national master plans. However they are no longer presented after <Traditional Arts Vision 2010>. For long-term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arts, we need to have a new mindset corresponding to the glob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raditional arts. According to this, two proposals can be drawn: The first proposal would be Korean traditional arts as a national brand. As we can see the success of national brand performances, if we try to develop audiences by planning, we can find a breakthrough for Korean traditional arts. The second proposal would be to utilize Korean traditional arts as a form of world music. The world music that has roots in traditional arts attracts much atten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potential to be well known enough in the world music market. In this thesis, I have searched directions that Korean traditional arts can go toward in the culture globalization age. I hope these proposals can help clarify those directions. I also hope these suggestions on Korean traditional arts policy to be a foundation for Korean traditional arts becoming competitive in Korean and overseas arts market.

      •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 매뉴얼의 작성과 적용 :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 다섯 편을 중심으로

        정유경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장애인 관객을 고려한 배리어프리 연극의 제작 방법을 담은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을 소개하고, 매뉴얼을 기반으로 연극 다섯 편의 사례를 살펴보며 배리어프리 연극의 제작 가능성과 매뉴얼의 효용성을 살펴보는 고찰을 담고 있다. 장애인 인권이 신장하며 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당위성이 입증되며 사회적 합의가 이뤄졌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장애인 문화예술 향유에 관한 관심과 사회적 움직임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실태를 살펴보면 그 참여율이 미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장애인과 문화예술에 관한 연구는 주로 창작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향유 중심의 연구들은 시설 중심의 물리적 접근성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 공연예술계에서 배리어프리 공연이 주목받으며 지원과 제작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시점에서 창작자를 중심으로 한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을 위한 매뉴얼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 발간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은 프리프로덕션(Pre-production)부터 공연 후까지의 장애인 관객의 접근성을 고려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은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의 필요와 함께 배리어프리 연극에 대한 이해를 도울만한 패러다임과 정보를 공유하고, 실제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조건과 단계에 대한 안내를 제시하며,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와 유관 기관 연락처 및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 진행한 연극 다섯 편을 중심으로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을 기반으로 공연마다 나타나는 특징과 시도했던 배리어프리의 적용을 정리하고, 종합적으로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다섯 편의 연극은 매뉴얼이 제시하는 내용을 대부분 실행했으며, 공연의 특성을 살린 독창적인 시도도 엿볼 수 있었다. 배리어프리 연극 준비 과정을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목표 설정과 예산 운용을 포함하여 객석 배치, 공연 후 의견 수렴에 대한 부분을 공통으로 실행하였다. 이외에도 대상 관객 설정에 따라 음성해설과 문자통역, 수어통역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매뉴얼에서 다루는 공연 내용 접근성 설계가 실현가능한 것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각 공연은 이뿐만 아니라 매뉴얼에서 제공하고 있는 요소들을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수행했다. 위의 연극 다섯 편의 제작과정 및 결과를 통하여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매뉴얼>은 배리어프리 연극 실현에 대한 실제적인 내용을 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연과 장애 또는 배리어프리 관여 정도에 따라 배리어프리 연극 제작 관여도에 따라 공연을 분류하기도 하였다. 사례 연구의 한계와 발전을 위해서는 시설 접근성 점검을 제안하기보다는 교내 시설에 대한 접근성 상황을 공유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외부 전문가와의 소통 방법과 홍보 및 모객에 대한 상세한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 언급되었다. 또한 매뉴얼에서 한정하고 있는 대상 관객이 확대되어야 하며, 체크리스트의 효용성 문제를 대비한 재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이 언급되었다. 매뉴얼은 다섯 편의 사례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공연의 특성을 살려 창의적인 연극 제작이 가능하다는 제작 가능성과 매뉴얼의 효용성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다섯 편의 사례는 개정과 증보를 통해 매뉴얼을 발전시킬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배리어프리 공연 제작 사례를 지속해서 축적하여 추후 배리어프리를 시도하려는 창작진에게 유용한 안내서가 되어, 문화예술 공연 관람 및 감상에 있어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에게 동등한 예술 향유의 기회가 주어지기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which contains the production method of barrier-free plays for audiences with disabilities. In performing arts, performances that focus on audienc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audiences with disabilities are called barrier-free performances. Nowadays, as barrier-free performances are drawing attention in the performing arts, and as support and production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the need for a manual for producing barrier-free performances centered on creators has emerged.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published by the School of Drama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contains information on how to produce barrier-free plays,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audiences with disabilities from pre-production to post-performance. This study is centered around the five plays that have been performed at the School of Drama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based on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For each performance, the study shows how the barrier-free factors were applied using the manual.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results, and limitations of a barrier-free performance. Based on the five case studi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Barrier-Free Theater Production Manual is effective in realizing barrier-free plays and should be continuously improved by accumulating additional case studies. The manual will not only be a useful guide for creators who want to try barrier-free in the future but also be a step towards providing both audiences with disabilities and audiences without disabilities with equal opportunities to enjoy and appreciate arts.

      • 예술고등학교 현황과 개선에 대한 연구

        홍지연 한국예술종합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03

        예술고등학교는 예술에 뛰어난 소질과 적성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조기에 발견하여 교육시킴으로 전문예술인으로 성장시킨다는 취지 하에 우리나라 예술교육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대학입시를 중시하는 사회현상으로 인하여 예술고등학교 역시 대학 입시를 위한 교육으로 치중하게 되었고, 이론보다는 실기위주의 교육을 하게 되었다. 실기교육을 전문 실기강사에게 위임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기교육이 학교 내에서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점점 사교육화 되어 예술고등학교가 가진 특수 목적성이 모호해지고 그 역할이 불분명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기준 교육인적지원부에 등록되어 있는 전국의 총 24개의 예술계열 특수목적 고등학교의 현황을 파악·조사하여 살펴보고, 현재 예술고등학교 재학 중인 학생 6명, 예술고등학교 출신 대학생 7명, 예술고등학교 출신 실기 강사 선생님 5명 등 총 18명으로임의 선정한 면접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음악교육을 주도해나가는 예술고등학교에 좀 더 발전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예술고등학교는 예술이라는 특성화 교육을 통하여 조기에 전문 예술인 및 전문가를 육성한다는 교육 목표를 다시 되새기어 실기 전문예술인뿐만 아니라 비 실기 전문가의 육성에도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학교 내의 실기 전문 교실 시설을 충분히 확보하고 효율적인 활용을 통하여 모든 전문교과 교육이 학교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외부 실기 강사에게 위임하는 실기 교육의 형태를 바꿔 실기 강사의 전임화를 통하여 학교에 소속감을 줄 뿐만 아니라, 전인교육을 하는 주체로서의 사명과 책임감까지도 부여한다. 또한 현실적인 레슨비를 책정하여 실기 강사 선생님들에게 정당한 보수를 지급하면, 비공개적인 실기교육의 사교육화가 단절될 것이라 기대한다. 전인교육과 병행된 창의적인 예술인의 양성을 위하여 설립된 예술고등학교가 우리나라에 뿌리내린 지 반백 년이 지났다. 예술고등학교가 우리나라 예술교육에 공헌한 그 자취를 한번 되새겨 보고, 앞으로 더 발전된 모습으로 우리나라의 예술교육을 이끌어주기를 바란다. The arts high schools have a critical role in raising the students into the professional artists by finding out the promising students early and educating and training them into professional artists. However, due to the social tendency of putting greater importance on the entrance into the prestigious universities or colleges, the arts high schools in Korea have put emphasis on the training of students to make them enter into prestigious universities or colleges, thus putting more emphasis on the education on theory, rather than on the practical skills. As the practical skills are delegated to the special instructors for the specific fields, the practical skills have not been done in school, thus making the original objectives of the arts high schools more ambiguous and blurr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24 arts high schools totaling located across the nation, registered on 2007 Education & Human Resource Support Register and made an in-depth interviews with 18 interviewees including 6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the arts high schools, 7 colleg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arts high school and 5 instructors who also graduated from the arts high school. Though this study, I want to suggest better direction for the better education for the arts high schools. The arts high schools shall remind themselves of the initial goals of them, 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rofessional artists and specialists of students early in their age through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 It shall make efforts to raise not only the professional practical artists but also the expert in art theory. For this purpose, the schools shall get the sufficient space for lessons for practical arts skills and make student get the practical artistic skill inside the schools. In addition, the schools shall convert the current system of using the outside instructors for practical skills to the inside instructors, getting their own instructors. That would give students more affiliation to the schools but also make schools feel the pride of the education system in their taking parts in the raising of artists. In addition, if the schools reward the instructors with reasonable lesson fees, the students would not try to get the expensive private lessons from outside instructors. The arts high schools have been in Korea for almost fifty years with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the whole man and the creative artists. We need to look back our footsteps up to now. I hope that the arts education shall be directed to more improved ways in Korea in the future.

      • 전통공연예술 해외진출 지원사업 현황과 개선과제

        오현주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내 협소한 시장의 한계 극복과 예술 단체의 자생력을 강구하기 위해 해외시장은 반드시 진출해야 하는 곳이다. 전통예술분야 예술인들과 민간단체들은 작품의 판로를 확대하기 위해 해외진출을 시도하며 세계 여러 권역의 국가에서 시행되는 아트마켓(Art Market)에 참가한다. 그러나 대개 비즈니스의 한계에 맞닥뜨리기 일쑤이며, 세계인의 마음을 지속적으로 사로잡기에는 역부족이다. 국가 문화예술 지원기관에서는 순수예술 장르의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진출의 첫 관문을 통과한다 하더라도, 지속적인 지원이 단계적으로 뒷받침되지 못하면 연속적인 마케팅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원제도 개선을 통해 급변하는 현장의 요구가 반영되어야 하고, 일회적이거나 단발적인 해외 진출사업을 지양해야 한다. 예술인 및 예술 단체가 실질적인 자립 기반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공연 작품의 제작에서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공연예술작품에 대한 제작 지원, 해외 축제 시장에 진출을 위한 작품 선정과 지원 등에 보다 경쟁력 있고 강화된 정부 차원의 정책도 필요하다.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본문에서 먼저 해외진출 단체들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지원 기조의 변화 양상과 특징을 짚어보았다. 변화의 시기를 크게 탐색기, 진출기, 활성기 등으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지원사업이 어떻게 펼쳐졌는지, 특이점은 무엇이었는지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의 지원기관별 해외진출사업 현황 분석을 하고. 차별화된 운영 전략을 제시하였다. 과연 한국 사회에서 전통공연예술 분야 예술인 및 공연단체의 자생이 가능한가? 이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자생력을 담보할 수 있는 해외진출 및 활동에 관련한 공연예술계의 지원 제도와 방식, 그리고 지원체계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에서 주로 전통예술 분야에서 왕성한 해외 활동을 벌인 한국 창작음악 단체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논의하였다. 해외진출이 활성화된 시기에 한국 창작음악계를 주름잡던 예술인들을 만나 심층면접을 하였으며, 사례분석과 현장의 실태 파악을 병행하였다. 코로나19 이전 한류로 인해 한국 전통예술의 해외진출 중흥기를 맞으며 많은 예술인들이 시장 및 판로 확보에 대한 가능성을 엿보았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팬데믹으로 인해 세계 공연예술계의 흐름이 변화되기에 이르렀으며, 본고에서 문화환경의 변동과 그 추이를 살피고, 그에 따른 대응 방안에 대해 다루었다. 해외진출에 특화된 전문 인력양성과 현장실무 중심의 예술교육의 필요성, 경쟁력 있는 공연 콘텐츠 개발과 팬덤 확보, 공정성과 전문성을 담보한 심사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특히 예술인이 양질의 공연 작품을 생산하고, 그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판매 및 유통까지 가능한 단계로 이어져야함을 강조하였다. Prior to the COVID-19 pandemic, many artists saw a possibility of growth in securing markets and an availability in sales channels for Korean traditional arts in lieu of the Hallyu wav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domestic arts market and for arts management companies to seek self-sustainability, entering overseas arts markets was a necessity. Musicians or private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arts participated in overseas arts markets to expand the sales channels of their works and participate in art markets held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but faced limits in business and keeping the attention of overseas audiences. National culture and arts support organizations implement a system for overseas expansion for the arts field, but long-term marketing is not possible because continuous support is not sponsored after passing the first gateway into overseas expansion. One-time advances should be avoided by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to reflect changing market demands and to help prepare a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It is essential to research ways to improve the grant systems which can lay the foundation for practical self-reliance for artists and arts organizations, from the production of performances to continuous sales. Government policies are needed to strengthen support for more competitive performing arts works, from production assistance for performing arts and the continuous entry into overseas festivals and markets. Before discussing how to improve current policies, first, this paper will classify overseas organizations by period and examine the changes and differences in support policies. By dividing the history into three main periods, an examination of how the support projects for each period were carried out and what the differences were, as well as the transition process, will be presented. Second, by analyzing the status of support for each institution such as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the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the Arts Council Korea will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funding supported by these major institutions. Thir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aforementioned three arts groups during the active period of overseas expansion, as well as case analyses and real-world conditions were identified to discuss future improvement tasks. Fourth, from 2019 to the present, the flow of the world performing arts industry changed due to the pandemic and these changes in the cultural environment have been tracked, with countermeasures discussed accordingly. Fifth,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support organizations and fostering specialized talent resources when private performing arts groups enter overseas markets will be examined. Conclusively, to secure the self-reliance of artists and organizations, mid to long-term strategies can be established through improvements in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analysis of the classic cases which have been presented. The definition of overseas expansion in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field of Korean creative music, which is the most active oversea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arts, with an exception of excluding national events and projects hosted by Korean institutions abroad. Is there a possibility for artists or performing group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o thrive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find a possible solution to this question,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support system, methods and systems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related to overseas expansion and activities which can guarantee self-reliance. In addition, there should be further intentions to study more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by considering ways for artists to lead a stage where they can produce high-quality performances and in the future, sell and distribute these works.

      • 현대예술가 양성을 위한 전통예술교육 현황연구 :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중심으로

        조근하 한국예술종합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전통(傳統)은 일반적인 의미로는 습속(習俗)이 전대(前代)로부터 후대(後代)로 전해지는 것으로서, 동시에 시간적·공간적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 전통이라는 개념은 국가나 민족의 정신적인 것과 문화적인 것을 한 세대가 다음 세대로 전해지는 것을 말하며, 전해지는 내용도 가리킨다.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문화의 교류가 활발해져 문화의 국경이 사라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예술계에 백남준, 윤이상과 같은 예술가 양성으로 예술적 성과를 얻기 위해서 기초적인 전통예술이 필요하다는 점을 상기하고자 한다. 앞서 언급한대로 전통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과거의 문화라고 단정 지을 수 없지만, 본 연구에서는 전통예술을 전근대시대에 만들어진 예술과 근대 이후에 만들어졌더라도 전근대시대의 창작방식과 예술어법으로 만들어진 예술을 의미하도록 하겠다. 선행 연구는 교육법이나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치중하고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대학교육 기관에서 행하고 있는 전통예술교육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전문예술가를 양성하는 대표 교육기관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중심으로 대학교육에서 나타나는 전통예술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부족하나마 전통예술의 보편화의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한국에서의 배우조합 운영 방안 연구

        김영미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공연예술분야의 배우들이 산업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노동조건에서 일하는 등 배우의 노동자로서의 권리가 보장되지 못하고 있으나, 스스로 권리를 주장하고,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가 없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연극과 뮤지컬 배우로 범위를 한정하고, 배우조합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파악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배우조합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배우조합의 중심이 되는 개념인 배우와 노동조합의 정의와 특성을 알아보았다. 배우의 정의를 알아보고 노동자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노동조합의 역사와 설립 요건, 형태를 알아보았다. 배우의 근로자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법률의 정의와 해석, 그리고 국내외 배우를 포함한 예술인의 근로자성에 대한 흐름을 살펴보았다. 국내 배우조합과 유사한 단체는 어떻게 활동하고 있는지 현황을 알아보았다. 공연 관련 협회인 한국연극배우협회와 한국뮤지컬협회, 예술분야 복지 관련 단체인 한국연극인복지재단과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예술분야 노동조합인 예술의전당 노동조합,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문화예술협의회,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을 조사하였으며, 각 단체의 역사와 설립 목표, 조직과 운영, 회원, 활동 사업을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하였다. 미국의 배우조합(Actors' Equity Association)과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은 역사, 조직, 운영, 조합원, 역할과 활동을 중심으로, 향후 배우조합의 설립과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세부적인 사항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한국의 공연예술분야 배우들과 유사한 배경을 가진 두 단체의 사례 분석을 통해, 설립 배경, 노동자 내부에서의 움직임, 단체협약에 관련한 사항을 비롯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했다. 배우조합에 대한 배우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18명의 배우들과의 개별 인터뷰에서 현장 경험에 근거한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배우들의 현황과 현재 배우를 하면서 겪는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배우조합의 필요성을 파악하였고, 배우의 노동자성, 노동조합에 대한 배우들의 생각을 들으며 배우조합의 가능성을 판단해 보았다. 또한 조합원, 역할과 활동 등 향후 배우조합의 운영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배우와 노동조합에 대한 이론 검토, 국내 현황 파악, 국내외 사례연구, 그리고 심층인터뷰를 종합하여, 한국에서의 배우조합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배우조합은 노동조합의 형태로 구성되어 법내조합으로서의 지위를 가져야 하며, 운영에 있어서는, 기존의 한국연극배우협회를 발전시키는 형태로, 집행위원회와 사무국을 분리해서 운영하고, 지역별 지부를 두는 것을 제안하였다. 조합은 조합비를 바탕으로 한 재정이 중요하나, 초기에는 재원 조성의 다각화가 필요함을 짚었다. 조합원은 연극배우와 뮤지컬배우를 대상으로 하고,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예술활동증명을 받은 자와 기존 관련 단체 회원을 조합원으로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준조합원 제도의 운영과 별도의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할 것을 제안하였다. 배우조합의 주요 활동은 단체협약을 통한 권리 주장, 생계유지를 중심으로 한 권익 보호, 정책 제안 및 제도 개선, 에이전트 기능을 중심으로 한 배우 매니지먼트, 교육을 포함한 조합원 혜택 등 다섯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향후 배우조합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해결 과제가 있다. 현재 명확하지 않은 사용자 단체의 지정에 노력해야하고, 정책과 제도적인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노동조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함께, 공연예술계의 오랜 관행 개선, 시장의 활성화가 동반된다면 배우조합의 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며, 가장 중요한 것은 배우들의 자발적인 노력일 것이다. 배우를 포함한 예술인의 지위와 권리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협동조합 등의 형태로 배우의 자발적인 움직임이 생겨나는 시점에서, 배우 노동조합에 대한 연구는 시기적으로도 필요한, 중요한 연구이다. 심층 인터뷰를 포함한 다양한 조사와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배우조합의 현실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길 바란다.

      • 문화예술교육 실무행정매뉴얼 : 한국예술종합학교 최고경영자 문화.예술과정을 중심으로

        김은지 한국예술종합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03

        우리는 지금 문화라는 단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문화는 21세기의 세계적 과제로서, 한 국가가 이루어야 할 목표로서, 그리고 평소 대화에서의 화두(諸頭)로서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전에도 문화의 중요성이 논의되어 왔으나 예술분야 뿐 아니라 사회, 경제, 생활 모든 분야에서 문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사회를 이해하는 주요 키워드로 이미지, 이야기, 감성 등이 중시되면서 기술과 지식이 우위를 점하는 정보화 시대에 뒤이어 문화와 예술의 전성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문화와 예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사회 흐름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부상되고 있는 최근,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사회지도자를 위한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과정이 개설되었다.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대상 중에서 사회자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예술과정이 개설된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특히 사회지도자들의 영향력을 감안할 때 사회지도자에게 예술교육을 함으로써 얻는 파급효과가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을 교육함으로써 얻는 효과와는 다르기 때문에 새롭게 나타난 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회지도자들이 문화예술교육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먼저 심오한 예술경험을 체험하고 이로 인해 삶이 더욱 풍성해 지기를 바라는 개인적 바람과, 21세기를 맞이하여 강조되고 있는 감성 마인드를 지닌 리더십 요구에 순응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러한 내·외부의 요구에 의해 사회지도자들은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고자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CAP 과정을 개설하여 사회지도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장을 열게 되었다. 사회지도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과정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커리큘럼이 사회지도자가 목표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인적네트워크가 중요해진 현 시대 흐름에 맞춰, 과정을 통한 수강자들의 커뮤니티 형성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 었다. 커리큘럼과 커뮤니티라는 중요한 요소 이외에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실무자의 자세도 문화예술교육과정이 성공하기 위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수강자를 직접 대하게 되는 실무자는 성실하고 융통성 있는 태도를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과정이 목표로 하는 21세기 감성 리더십에 어울리는 감성 마인드를 본인 스스로가 가지고 있어야 한다. 사회지도자라는 새로운 교육 대상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은 앞으로 나라의 문화 정책과 예술계 및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들에 대하여 인성을 풍부하게 하고 잠재적 후원자 기반을 양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에 본고에서는 남들보다 앞서 사회지도자들에 대한 독창적인 예술교육을 시작한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최고경영자 문화·예술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기획과 실무행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실무절차 및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고 향후 사회지도자들에 대한 예술교육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긍정적인 검토를 해 보고자 한다. CAP 과정의 사례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과정 운영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과 예술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기획, 운영 등의 실무행정 방안을 숙고해 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