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새로운 경제발전 5개년 계획과 국내 정치·경제적 변화:「로동신문」에 나타난 김정은 정권의 새로운 이슈와 과제

        김정호,조윤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2 평화학연구 Vol.23 No.1

        In 2021, North Korea made its first step in a “new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is seeking change for the future by holding the 8th Labor Party conference and four plenary meetings of the party's central committee to establish and evaluate its plans. This paper analyzed key issues within North Korea, which has to push for a new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mid blocked borders due to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COVID-19, through the 「Rodong Newspaper」. In particular, 「Rodong Newspaper」 articles were divided into 19 categories in four fields to track the changes in paper allocation and reporting trends by subject. Since then, it has focused more objectively on grasping the situation inside North Korea by designing a tool to analyze the results in conjunction with events.With this analysis framework,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concept and implementation performance of North Korea's new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Through the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re currently striving to extract their own internal growth engines through localization of technology and resources and mobilization of youth efforts to overcome the unfavorable factors of border blockade. In addition, the study could find internal core issues such as stronger internal solidarity centered on party and leader, idolizing of the supreme leader, and routinization of COVID amid the COVID-19 quarantine.

      • KCI등재

        「로동신문」에 나타난 북한의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 분석

        김석향,김경미 통일연구원 2017 統一 政策 硏究 Vol.26 No.1

        Since the initial days of the regim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taken a special interest to their public education system, as it was seen as a powerful means of maintaining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system that was in place. Given its importance, the educational system remained a largely unchanging constant much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However, starting from the reign of Kim Jong Eun in 2012,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dded an extra year to their compulsory educational system.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e impact that this change in educational system has had on the daily lives of North Korean people, as well as to understand Kim Jong Eun’s motivation behind the implementation of this change. To delve into these questions, this paper has analyzed articles regarding this 12-year compulsory education system from the Rodong Newspaper. These articles were all printed between the dates of September 1, 2014 and October 31, 2016.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has concluded that there are two goals of the new compulsory education system: to create a “New Century Revolution” and to create a “Powerhouse of Talent”. Additionally, analysis shows that the system encouraged a change in teaching methodology to increase North Korea’s quality of education. While the implementation of stronger teaching methodology and longer academic periods can be beneficial to North Korean students, the sudden and mass mobilization of this change in the educational system could also be seen as an extra burden for the families of North Korea. 북한당국은 정권 초창기부터 공교육 제도 정비에 관심을 기울였다. 실제 북한당국은 공교육 제도를 통해서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체제 유지에 필요한 인력 양성의 뜻을 수시로 밝혔다. 김정은 시대를 열면서 북한당국이 의무교육 학제개편부터 결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북한당국이 의무교육 기간 1년 연장을 결정하면서 주민의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가?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을 통해 젊은 지도자 김정은이 원하는 변화가 북한사회 전역에 나타나고 있는가? 이러한 의문을 풀어나가기 위해 이 논문은 2014년 9월 1일부터 2016년 10월 31일까지「로동신문」수록 기사에서 북한의 12년제 의무교육 관련 내용을 전수조사한 뒤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북한당국의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 목표는 ‘새 세기 혁명’과 ‘인재 강국’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무교육 제도 시행을 위한 교수방법의 변화와 외형적인 교육조건과 환경 개선에 힘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당국의 독려로 물리적인 학교 환경이 조성되면서 교육제도 시행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이나 대중 동원을 통한 개선 사업 자체가 북한 주민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 KCI등재

        북한 『로동신문』에 보도된 고려시대 관련 기사의 현황과 주요 내용

        李美智(Lee, Mi ji)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70 No.-

        본고는 북한 대중의 고려시대사 인식을 확인해 보기 위해 『로동신문』에 보도된 고려시대 기사를 분석해 보았다. 60년대에 집중적으로 기사화된 고려시대 인물들은 외세의 침입에 맞서 나라를 구해 낸 구국 영웅형 인물이었다. 강감찬, 서희 등 10세기말 11세기초 거란과의 전쟁에서 활약한 인물들이 주로 부각되었다. 문인들에 대한 기사도 예상 보다는 많았으며, 고려 왕조에서 상위 지배계층에 해당하는 이들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점도 흥미로웠다. 바람직한 여성상으로 김숙흥의 모친, 열부 최씨 등이 기사로 다루어졌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유물·유적 관련 기사를 통해서는 개성시 인근에서 출토된 순화3년명 제사용 그릇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려 초 태묘 운영의 실제를 짐작하게 하는 매우 뜻깊은 유물이라 생각된다. 개성 역사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려 성균관 건물의 활용과 관련된 김일성의 입장 변화도 엿볼 수 있었다. 『로동신문』은 고려의 문화적 발전상과 반침략투쟁에서의 승리, 그리고 통일왕조로서의 성격을 보여주는 기사를 주로 실었다. 문화적 우수성을 보여주는 기사에서는 외국인의 평가를 함께 제시하였는데, 중국 고중세 인물에서부터 현대의 실명이 확인되지 않는 외국인, 외국 학자들로의 변화는 북한의 대외교류가 확장되는 경향과 조응한다고 생각된다. 이는 최종적으로는 김일성의 교시로 대체되었다. 70년대 이후의 기사에서는 고려 왕조에 대해 통일국가로서의 의미를 가장 중점적으로 부여하고 있다. 이는 1973년 김일성의 연설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아 당국 차원의 사전 계획에 따른 것이라 생각되며, 그 시원은 해방 정국에서의 국호 논의와 연결 지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 본고의 검토 결과는 기존 학계에서 정리한 북한 학계의 고려시대사 인식 경향과 비교할 때 크게 다르지는 않다. 다만 북한 당국의 요구에 따라 『로동신문』이라는 언론 매체에서도 고려시대사를 정책적으로 활용하였을 것이라는 막연한 단정을 실제 기사의 현황과 내용을 통해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How do the people living in the DPRK percept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to inquire this question. Unlike the scholarly activities and achievements regarding the Goryeo period, the North Korean public perception on the Goryeo period and its history was quite beyond our range of access. Investigating the reports on the Goryeo of the Ro-dong Shinmun which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been utilizing as a very effective tool of communication and propaganda would be the best option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of the division of Korea. The historical figures, such as Gang Gamchan (姜邯贊) and Seo Hui (徐熙), were intensively introduced and publicized as the models of the national heros in the 1960s’ articles. They have been all very well known for the merits in the wars against the Khitan Liao in 10th ∼ 11th century. It is interesting to see that the deeds of the aristocrats or the high-rank officials from the ruling class were viewed with a rather positive attitude. Coverages on the desirable female characters, such as the mother of Kim Sukheung (金叔興) and the virtuous lady Choi (烈婦崔氏), were also found in the north Korean newspaper. Entering into the 1970s the Rodong Sinmun newspaper adjusted its approach to the Goryeo. The frequency of coverages on the individual figures and the antiquities had been dropped down almost near zero percent. Instead of highlighting the individual heroes, the newspaper focused on the Goryeo dynasty being the first unified nation of Korea. Propagating the national unification by the Goryeo was probably embarked and encourag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ince Kim Ilseong proposed ‘Goryeo’ as the new name for the federal system of Korea as in Koryo Confederal System in 1973.

      • KCI등재

        노동신문을 통해 본 북한의 보건안보 대응태세 - COVID-19 보도를 중심으로 -

        남성욱,채수란 한국통일전략학회 2021 통일전략 Vol.21 No.1

        North Korea faces a threat of new health security as corona virus spread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sponse posture of North Korea to cope with infectious diseases through analysis of Corona related articles in the Rodong News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s of text mining and content analysis for 2,315 reports for about one year from the first report on January 22, 2020 to January 31, 2021 are as follows. First, Corona Virus articles were in so detail that they covered 6.3 cases every day. Second, the international side of the 6th page reported the cases of overseas infection in detail, and the outbreak of corona was not caused by the country, but was induced by residents to recognize it as a global phenomenon. Third, there are suspects and quarantiners, but there are no confirmed cases, and the number of infections was not disclosed in principle, based on the closure and non-disclosure of the report. Through the topic analysis(LDA), the response posture was the principle of hygiene propaganda and thorough blockade of the people who called for prevention. There ar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prohibition of aircraft operation, border blocking and shooting orders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d there are countermeasures such as prohibition of movement to other regions based on hygiene promotion at the domestic level. The only preventive measure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such as pre-blocking and control, are limited in Juche medicine based on preventive medicine. 전 세계적으로 COVID-19가 확산하면서 북한도 새로운 보건안보의 위협에 직면해있다. 본고는 북한 노동당의 공식 기관지인 노동신문에 보도된 코로나 기사의 주제와 내용 분석을 통해 북한의 전염병 확산 실태와 대응책을 파악하고자 한다. 2020년 1월 22일 첫 보도를 시작으로 2021년 1월 31일까지 1년간 2,315건의 보도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과 내용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비루스’ 관련 기사는 역대 감염병의 비공개적 보도행태와 달리 일일 6.3건을 다룰 정도로 매우 상세히 다루고 있었다. 둘째 국제면인 6면을 통해 해외 감염사례를 상세히 보도하여 코로나 발병은 자국의 탓이 아니며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주민들이 인식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셋째 ‘의진자’와 격리자는 있으나 확진자는 없다고 밝히는 등 보도의 폐쇄성과 비공개성을 원칙으로 하여 감염상황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주제 분석의 결과 북한 당국의 대응책은 예방을 당부하는 자국민 위생선전활동과 철저한 봉쇄원칙이었다. 국제적 차원에서 항공기 운항금지, 국경·해상 차단의 대응책이 있으며 국내적 차원에서는 위생홍보를 기본으로 하면서 타 지역으로의 이동금지 조치 차단 등이 핵심정책이었다. 북한 보건당국의 예방의학을 기초로 한 주체의학은 사전차단과 통제만이 유일한 전염병 대책으로 코로나 확산을 막는데 한계가 노정되었다.

      • KCI등재

        적(敵) 을 이용한 북한의 주민 결속 메커니즘 연구: '고난의 행군' 시기를 중심으로

        최종환,엄현숙,이우영 북한연구학회 2019 北韓硏究學會報 Vol.23 No.1

        The paper analyzed how North Korea tried to bring about solidarity among its people through the media during the ‘Arduous March’ period. The study analyzed the North‘s profiganda to redefine the enemy and persuade the public by paying attention to the ‘determination’ as a mind action of the mind. The study analyzed articles in pages 1 to 3 of the 『Rodong newspaper』, which deals with North Korea's enem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North's use of its enemies during the ‘Arduous March’ period was first, when it intentionally turned its attention to outside enemies to resolve internal instability, which was closely linked to promoting stability in the regime.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use of its enemies during the ‘Arduous March’ period also turned out to be a form of obsession or overstatement. In order to maintain its regime, North Korea has shown that it is trying to break through the crisis by actively promoting its own identity and ideas. During the ‘Arduous March’, the propaganda using the enemy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became a key driver to demand specific actions from the people beyond the concept of unilaterally conveying the leader's message and to enhance the cohesion of the system. 이 논문은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이 언론을 통하여 어떻게 주민의 결속을 이끌어 내려고 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마음 작용으로서의 ‘결의’에 주목하여 적(敵)을 재 정의하고 대중을 설득하기 위한 북한의 프로파간다에 주목하였다. 연구는 북한의 적을 다룬 『로동신문』 1~3면 내 기사(article)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의 적을 이용한 프로파간다는 우선, 내부의 불안정성 해소를 위해 의도적으로 관심을 외부의 적에게 돌림으로써 갈등을 조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체제 안정을 도모하려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고난의 행군’시기 북한 당국의 적을 이용한 프로파간다는 또한, 현재에 대한 집착 또는 과대평가의 형태로 나타났다. 북한은 체제 유지를 위해 자신만의 정체성과 사상을 적극 내세워 위기를 돌파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 당국의 적을 이용한 프로파간다는 다음으로, 지도자의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개념을 넘어 주민들에게 특정 행동을 요구하고, 체제 결속력을 높이는 핵심 동인이 되었다.

      • KCI등재

        북한 로동신문 보도 기사문의 텍스트 구성방식 연구

        백승주 이중언어학회 2023 이중언어학 Vol.92 No.-

        This study examines the textual organization of North Korean Rodong Sinmun report. To do so, we analyze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Rodong Sinmun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of Rodong Sinmun texts. First, the titles of news articles often ended with nouns, but the titles of content articles related to the North Korean leader were presented as complete sentences. This confirms the emphasis on the leader's actions in the news articles. Another peculiarity is that the North Korean leader's speech is sometimes quoted in the lead of the article. This can be analyzed as a way to show the leadership of the North Korean leader. Second, the North Korean Rodong Sinmun article wa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Text-structure markers, the absence of anaphoric expressions, and the repeated use of the same sentence endings. This difference may give a South Korean speaker the impression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organization and cohesion of the text of the Rodong Sinmun. Third, in the case of news articles, there are no devices that indicate the finalization of the tex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the North Korean Rodong Sinmun from a textual-linguistic perspective, and specifically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newspaper texts. 이 연구에서는 북한 로동신문 보도기사의 텍스트 구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로동신문 보도기사의 의사소통 기능과 거시구조 및 미시구조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로동신문 텍스트의 구성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도기사의 제목은 명사 형식으로 끝나는 제목이 많았으나, 북한 지도자와 관련된 내용 기사의 제목은 완전한 문장 형태로 제시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보도기사에서 지도자의 행적을 주요하게 부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다른 특이점은 북한 지도자의 발언이 기사문의 리드에서 인용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이는 북한 지도자의 리더십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북한 로동신문의 보도기사에서는 ‘무표적 텍스트 구성 표지’, ‘무표 대용’, ‘동일한 문장 종결 표현 사용’이라는 특징이 나타났다. 이런 차이는 남한어 화자에게 로동신문 보도기사 텍스트의 결성과 결속구조에 문제가 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셋째, 보도기사의 경우 텍스트가 마무리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장치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 연구는 북한 로동신문 보도기사를 텍스트언어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북한어 신문 기사 텍스트와 남한어 신문 기사 텍스트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규명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외 원조에 대한 북한의 인식 연구: 로동신문 기사분석을 중심으로

        김지영 국제개발협력학회 2019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develop effective policie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North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view and attitude of North Korean government concerning the foreign aid. Originality: In this study we view Nor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a general social science theory, namely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is mainly to contribute to developing effective policies for North Korea based on the regime and rule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s Rodong newspaper published in North Korea. We utilize the research method of content analysis and examine newspaper contents about ‘foreign aid’ during the period between 1949 and 2018. Result: This study highlights that various factors including changes in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affect the view of North Korean government on foreign aid. Specifically, this study traces historical changes in North Korea’s perspective on foreign aid. Conclusion and Implication: Based mainly on the content analysis of Rodong newspaper is study highlights both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in building effective partnership with North Korean government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KCI등재후보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북중 인식의 고찰

        한관수(Han Kwan Soo) 한국공공사회학회 2015 공공사회연구 Vol.5 No.4

        북한 당 기관지인 로동신문과 인민일보에 보도된 남북 정상회담 관련 보도사항을 종합 분석하였다. 관련 기사의 보도횟수, 보도유형, 보도주제, 보도입장 등을 통해 신문보도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로동신문과 인민일보의 보도횟수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일반보도, 논평, 특집보도, 기고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보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논평을 통하여 북한측에서는 체제결속과 김정일의 영도력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인민일보는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보도주제를 분석해 보면 북한 및 중국측에서 정치분야의 기사가 압도적으로 많다. 북한과 중국은 정치적으로 한반도의 남북문제를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판단하고 있다 는 사실이다. 셋째, 보도입장을 분석해 보면 북한은 체제존립과 관련하여 한국측에 우호적으로 보도하고 있으며, 김정일의 영도력을 과시하고 있다. 중국은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관련 기사를 긍정적인 입장으로 게재하고 있다. 이는 향후 남북문제 해결에 주도적으로 관여하겠다는 사실을 나타낸 것이다. 넷째,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북한 및 중국의 인식 함의사항이다. 북한은 체제유지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한국과 교류협력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탈피하고자 하고 있다. 중국은 특집기사 등을 통하여 한반도의 화해 협력국면이 자국의 이해관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The reports on the North-South Korean Summit by Rodong Sinmun Newspaper, the North Korean party bulletin, and People"s Daily were comprehensively evaluated. Through the number of reports, report patterns, report topics, and report position of relative articles, the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report were evaluated concretely. First,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number of reports by Rodong Sinmun Newspaper and People"s Daily, it is elucidated that the articles are released through various ways such as general report, review, special report, and article. Especially through the review, North Korea is continuously accentuating the leadership of Kim, Jong-il and the solidarity of regime. People"s Daily is showing positive perspective of the North-South Korean Summit. Second, both from North Korea and China, the number of political articles take the overwhelming portion among others, revealing that North Korea and China put significant political emphasis on the issu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ird, the evaluation of report position indicates that North Korea is reporting the North Korean regime with relatively cordial manner, and it is showing off the leadership of Kim, Jong-il. China is posting relatively positive articles on the North-South Korean Summit, showing that China will be take a leading role to resolve the issu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ourth, the undertone awareness of the North-South Korean Summit by North Korea and China. North Korea is putting effort to maintain the current regime, and it is also trying to resolve economic difficulties through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China is considering that, through the special reports, th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within the Korean Peninsula will bring positive effect on the interest by China.

      • KCI등재

        『로동신문』에 나타난 대남보도 논조 분석 -2008년 이후를 중심으로

        김영주 ( Young Ju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4

        이 논문은 남북관계의 진전이나 남북의 현안에 따라 남한에 대한 북한언론의 논조가 변할 것이라는 가정아래 이명박 대통령이 후보로 선출된 직후인 2008월 1월초부터 임기 중반을 넘긴 2010년 1월말까지 5단계로 시기(①정권 인수기<2008. 1. 1~1. 30> ②이명박 대통령 취임초기<2008. 2. 25~3. 25> ③촛불집회기<2008. 7. 13~8. 11> ④북한 미사일 발사·핵실험기<2009. 4. 29~5. 28> ⑤이명박 정부 중반기<2010. 1. 1~1. 30>)를 구분하여 로동신문에 나타난 남한 관련기사(이른바 남한정세자료)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문제는 4가지 즉, ①로동신문의 남한정세자료는 누가 취재하고 어떻게 편집되는가? ②로동신문의 남한정세자료는 시기별로 어떤 내용을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가? ③로동신문의 남한정세자료에 등장하는 인물과 단체는 무엇이며 시기별로 달라지는가? ④로동신문의 남한정세 자료에 등장하는 인물과 단체를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가? 등이며, 연구방법은 내용 분석 방법과 텍스트분석 방법을 병행하였다. 로동신문은 ``예리하고 전투적이며 강력한 사상적 무기``의 핵심으로서 조선로동당의 노선·정책을 해설·논평하는 주의주장적 저널리즘을 주도하기 때문에, 김정일이 주창한 이른바 ``주체적 출판보도사상``을 북한당국이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는 한 남한에 대한 로동신문의 논조는 오랫동안 크게 바뀔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assu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North Korea influenced the tone of North press` news reports on South. According to the changes in relationship, I divided the time period of South`s Lee government (Jan. 1, 2008~Jan. 1, 2010) into 5 stages; 1) transition period of Roh government to Lee government (Jan. 1~30, 2008), 2) inaugural period (Feb. 25~March 25, 2008), 3) candlelight rally period (July 13~Aug. 11, 2008), 4) North missile·nuclear test period (April 29~May 28, 2009), 5) midterm period of Lee government (Jan. 1~30, 2010). Based on the time period, I analyzed Rodong Shinmun`s news items regarding South focusing on the changes of the tone and manner. The paper proposed four research questions, 1) who does the news cover and how edit the news materials regarding South, 2) what are the contents and how are they treated 3) which figures and organizations appear on the materials, 4) how does the newspaper describe the figures and organizations. I utilized both content and test analysis. It is held that Rodong Shinmun is the central means for North powerful propaganda and the key journalism medium through which People`s party explains and remarks its line and policy. Hence, unless Kim Jeong Il`s policy so called ``Juche`` (self-reliance) press idea basically changes, the voice of Workers` Paper will keep its tone and manner as it has been for the time being.

      • KCI등재

        노동신문 텍스트 분석을 통한 북한의 ‘중국특색사회주의’ 수용 태도 분석

        정승호,이현태 한국비교경제학회 2022 비교경제연구 Vol.29 No.2

        This study investigates North Korea’s attitude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rough automated text analysis over Rodong newspaper articles.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by applying the main analysis technique of text mining a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shows that words such as celebration of national events, emphasis on dictatorship, criticism of the United States, and evaluat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were searched with high frequency. Second, using LDA topic modeling, four topics were selected, including ‘policy performance’, ‘North Kore-China friendship’, ‘emphasis on ideology’, and ‘relationship with the U.S.’ Looking at the topic trend, ‘policy performance’ has appeared frequently since 2019, and recently, content related to bridging th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has been emphasized. It was found that “North Korea-China Friendship”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before and after national events such as the North Korea-China summit an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Emphasis on ideology” has been reported very often over the entire period,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closer ideological commonality between two countries. Finally, “U.S. relations” usually appear after the failure of the North Korea-U.S. submit in Hanoi, showing disappointment with the U.S. and close ties with China. In sum, North Korea seems to highly evaluate the achievements of the Xi Jinping’s “Chinese socialism with characteristic for a New Era” and to regard it as homogeneous in terms of ideology. 본 연구는 노동신문 기사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최근 북한의 ‘중국특색사회주의’의 수용 태도를 분석하였다. 2017년 10월∼2021년 12월까지 노동신문 기사 중에서 ‘중국특색사회주의’와 ‘공동부유’ 키워드가 본문 또는 제목에 포함된 81건의 기사를 텍스트 마이닝의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 결과 국가행사에 대한 축하, 1인 독재 강조, 미국 비난, 중국특색사회주의 평가 등과 연관된 단어가 높은 빈도로 검색되었다. 둘째, 토픽모델을 이용하여 4개의 주요 토픽을 선정하고 각각 추이를 살펴본 결과, 우선 ‘정책성과’는 2019년 이후 자주 등장하였고 중국의 도농 간의 격차 해소와 관련된 내용이 강조되고 있다. 다음으로 ‘조중친선’은 북중 정상회담, 중국공산당 100주년 기념일과 같은 국가행사를 전후하여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리고 ‘사상강조’는 전 기간에 걸쳐 매우 높은 빈도로 보도되고 있는데, 이는 북중간 사상적으로 더욱 긴밀해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미관계’는 하노이 북미회담 실패 이후 주로 등장하는데, 이는 미국에 대한 실망감과 중국과의 밀착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북한은 불평등 해소를 강조하는 시진핑 시기의 ‘중국특색사회주의’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사상적 측면에서도 동질성이 높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미중 전략 경쟁과 북미 대화단절이라는 대외환경 속에서 외교적으로 중국과의 관계를 더욱 중시하려는 모습이 나타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