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기관 사회적 가치 창출의 영향요인 분석 :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중심으로

        윤선일,유두호 한국공공사회학회 2022 공공사회연구 Vol.12 No.2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the creation of social values, which are emphasized in public organizations, with a focus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public organizations. Public organizations performance evaluation is a system that has a great impact on public organizations. Until 2018, public organizations that were required to be socially responsible according to government-recommended policies have since greatly expanded the distribution and weight of social value realization evaluation indicators to create social value. came under institutional pressure.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influence factors of social value creation with a focus on resource dependence theory and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and conducts empirical analysis by dividing the social value realization evaluation index of public organizations performance evaluation into quantitative and non-quantitative indicato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source dependence of public organiza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value metric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non-metric indicator. On the other hand, social value creation by public organizations improves as they comply with institutional pressures in performance evaluation,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2017 government recommended policy score and performance evaluation business sector score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value cr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maintain a system that encourages social value cre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feedback system that can check whether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leads to the effective creation of social value by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본 연구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제도를 중심으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사회적 가치 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다. 공공기관 경영평가는 공공기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제도로 2018년 이전까지 정부 권장정책에 따라 사회적 책임을 요구받았던 공공기관들은 이후 사회적 가치 구현 평가지표의 배점과 가중치가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사회적 가치 창출에 있어 제도적 압력을 받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의존이론과 제도주의 조직론을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의 영향요인을 논의하고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사회적 가치 구현 평가지표를 계량과 비계량 지표로 나누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공기관의 자원의존 성향은 사회적 가치 계량 지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비계량 지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영평가 안에서 제도적 압력에 순응할수록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창출은 향상되며 2017년 정부 권장정책 점수와 경영평가 사업부문 점수는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공공기관의 효과적인 사회적 가치 창출로 이어지는지 점검할 수 있는 피드백 체계 구축과 정부와 공공기관의 소통을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을 장려하는 제도를 설계·유지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통합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송선영(Song, Sun-Young) 한국공공사회학회 2013 공공사회연구 Vol.3 No.1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다문화 구성원들이 상호 차이를 인정하고 동등한 사회적 삶을 영위함으로써 사회통합이 가능할 수 있는 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오늘날 다문화주의 연구의 핵심은 차이와 평등을 토대로 서로 다른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상호 존중을 실제에 적용시키는데 있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 사회의 특수한 맥락을 미국과 유럽 사회의 특수한 환경에 따른 전개된 다문화주의 연구 일반에 적용되기는 힘들다. 특히 비록 제도적으로 동시에 법적으로 다문화 구성원들이 ‘한국인’으로 간주된다고 하더라도, 구성들 간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의 자기-타자 확인에서 갈등은 피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구성원들이 영위했던 삶의 모습들부터 검토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다양한 다문화 구성원들이 지녔던 윤리적 삶의 가치, 그리고 이러한 윤리적 삶이 각 개인 수준부터 사회 및 국가 수준에 이르는 과정에서 한 개인이 다문화의 상황과 사회적 환경을 통해 수준별로 갖게 된 하나지만 서로 다른 정체성, 즉 다중적 정체성의 수준별 전개 양상에서 근본적인 사회통합의 가능성을 가늠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f any possible feature of social integration by acknowledging and respecting different features of lives among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n one of the main streams of the contemporary studies on multiculturalism, two values of difference and equality have been applied to our practices. Without considerations on particular situations of Korea, however, it is obvious that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lications to Korean society can have any limit in the reflections of the situations of European or American societies.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oneself or being identified by others as a Korean, in particular, there is the unavoidable conflict between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y, even though all of them have equal rights in legal systems. For preventing or overcoming any cultural conflicts or clash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features of lives in Korea, basically in the level of ethical life. This paper is, therefore, to explore ethical values that they have had or accepted in Korean lives and to have possible perspectives to social integration in the different dimensions of multiple identities that each multicultural member has in the one heart by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like heads and tails.

      • KCI등재

        공공성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의 발전 방향

        최무현(Choi Moo-Hyun) 한국공공사회학회 2011 공공사회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공공성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이 갖는 의의를 검토하고 현재 한국에서 사회적 기업의 현황을 분석하여 앞으로 바람직한 사회적 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공성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의 의의에 관한 일반적 논의를 검토하고, 사회적 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앞으로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사회적 기업 정책이 과도한 시장화를 특징으로 하는 관(官) 주도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 정책으로, 재원의 지나친 정부 의존으로 인한 사회적 기업의 자주성이 상실되고, 지역과 연계되지 않은 문제점을 갖는 것으로 진단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대안경제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의 올바르게 포지셔닝할 필요가 있고, 재원의 지나친 정부 의존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재원조달의 다원화가 필요하며, 다양한 수요창출 및 지역과 연계된 로컬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meanings of social enterprise from perspectives of publicness, an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social enterprise in Korea.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possible options for improving social enterprise policy in Korea. First, the government should have a policy orientation in the viewpoint of Social Economy.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financial sources out of govern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through of local governance systems.

      • KCI등재후보

        베트남 진출 해외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그 영 향에 관한 현지 소비자의 인식

        서운석(Suh, Woon-Seok),정혜영(Jung, Hye-Young) 한국공공사회학회 2015 공공사회연구 Vol.5 No.2

        사회공헌활동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일컫는 말로, 기업이 지속적으로 존속하기 위한 본연의 이윤추구 활동 이외에 국내외적인 법령과 사회적 윤리를 준수하고, 소비자 등 기업과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함으로서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써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핵심요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해외에 진출하는 기업들에게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최근 해외에 진출하는 한국기업들이 특히 관심을 갖는 국가 중의 하나가 베트남이다. 베트남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소비성향이 높은 젊은 소비층의 증가로 내수시장 성장이 전망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와 관련된 상황을 보면 베트남은 젊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고급제품 구매가 확산되고 있으며, 고성장에 힘입어 중산층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어 소비시장 성장에 우호적인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베트남 청년층을 중심으로 베트남 진출 해외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그 영향에 관한 현지 소비자의 인식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베트남 청년층 소비자를 중심으로 베트남 진출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그 영향에 관한 현지 인식을 살펴본 결과 베트남 진출 해외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해당기업의 브랜드 신뢰와 상품구매 의도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베트남 시장에서의 사회공헌활동은 해당기업의 현지 경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의미이다. 이런 경향은 반대로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기업이 부적절한 사회공헌활동을 한다면 해당기업의 경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이고 다른 한국기업들의 이미지와 국가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쳐 시장개척이나 현지 생산활동에 심각한 애로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민관 협의체를 통하여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활성화와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is a form of corporate self-regulation integrated into a business model. CSR policy functions as a self-regulatory mechanism whereby a business monitors and ensures its active compliance with the spirit of the law, ethical standards and international norms. CSR aims to embrace responsibility for corporate actions and to encourage a posi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stakeholders including consumers, employees, investors, communities, and others. And most consumers believe companies doing charity will receive a positive response. Some study results also found that consumers are loyal and willing to spend more on retailers that support charity. Therefore CSR is treated with long-term and continuous activity in strategic marketing. And recently Korean firms pick Vietnam as most promising emerging market. Because in Vietnam, young people make up a big portion of the population, this means Vietnam has a lot of room to grow, as these are the people who will lead future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ietnam rising generation consumers’ cognition for the overseas companies CSR and its im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SR being taken by Korean companies operate in Vietnam related with the brand reliability and product purchasing intention. So korean companies operate in Vietnam have to promote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corporate practices. And this study suggested a joint committee be formed by the korean companies and government groups. The heightened role of the joint committee in CSR has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numerous CSR programs and policies.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시대의 불평등과 국가의 역할

        김윤태 한국공공사회학회 2022 공공사회연구 Vol.12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rapidly increasing poverty and inequality in Korean society in the face of the COVID-19 era, and presents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 seek a paradigm shift in the government's social policy. In particular, non-standard workers are excluded from the social protection system and are exposed to the risk of poverty and deprivation, and their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are very low. In this regard,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 has a dual task of responding to traditional social risks such as disease, unemployment, and old age, while actively responding to new social risks such as aging, working poverty, and work-family balanc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spond to poverty and inequality caused by new social changes in the labor market caused by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echnolog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ursue a new direction in the social policy paradigm that strengthens individual capabilities, employability, and guarantees of the minimum income along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universal social security system. 이 논문은 코로나19 시대에 직면한 한국 사회의 급증하는 빈곤과 불평등의 현황을 평가하고 정부의 사회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하는 대안적 전망을 제시한다. 불평등의 다차원적 요인과 과정을 평가하면서 코로나19 이후 시대의 한국의 사회보장 제도의 정책 방향을 검토한다.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의 복지국가는 유럽식 사회보장 제도를 도입했지만, 아직도 사회보장 지출 수준은 매우 낮고 사회보장의 사각지대가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특히 비정규직 노동자가 사회 보호 체계에서 배제되어 빈곤과 박탈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삶의 질과 행복 수준은 매우 낮다. 이런 점에서 코로나19 시대에 직면한 한국의 사회보장 제도는 질병, 실업, 노령 등 전통적인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는 한편, 고령화, 근로 빈곤, 일과 가정의 균형 등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를 안고 있다. 나아가 디지털 기술의 가속화로 인한 노동시장의 새로운 변화에 따른 빈곤과 불평등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이에 한국 정부는 보편적 사회보장 제도의 강화와 함께 개인의 역량과 고용 가능성, 최저소득 보장을 강화하는 사회정책 패러다임의 새로운 방향을 추구해야 한다.

      • KCI등재

        사회적 경제모델과 한국의 사회적 기업정책

        송백석(Song Baekseok) 한국공공사회학회 2011 공공사회연구 Vol.1 No.2

        한국의 사회적 기업정책이 사회적 경제의 모델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이 평가는 재검토가 필요하다. 한국의 사회적 기업정책은 정부 주도성의 정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그것이 사회적 경제모델에 부합한 것인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사회적 경제는 시민사회에서의 자생적인 발전과 적정수준의 자율성을 핵심적 요소로 전제한다. 그러나 한국의 사회적 기업정책은 사회적 경제로 규정하기 힘든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 글은 사회적 기업정책과 사회적 경제 연구에 관한 선구자라고 평가되는 드푸르니(Defourny)의 사회적 경제 기준을 가지고 한국의 사회적 기업정책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Social enterprise has been seen as constituting social economy model. However, the case in Korea raises dispute over whether social enterprise belongs to the category of social economy, because the social enterprise policy in Korea is led by the strong governmental design and intervention. This paper applies the well-known Defourny’s framework of investigating social enterprise. The author argues that the Korean social enterprise policy is not appropriate example in generalizing that social enterprise constitutes social economy model.

      • KCI등재후보

        ‘동감’의 조건과 그 구성

        이승훈(Lee, Seung Hun) 한국공공사회학회 2015 공공사회연구 Vol.5 No.1

        이 글은 동감 능력의 향상을 위한 조건과 그 방법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에 근거하여 한국 사회와 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 ‘동감’이란 타자와 구별되는 자아의 자율성, 타자의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 그리고 타자에 대한 관심과 연대성 등으로 구성된 개념이다. 이러한 동감 능력의 형성은, 첫째 자유로운 시민 사회와 보편주의적 우정을 조건으로 한다. 하지만 한국 사회의 문화는 아직도 전근대적 특수주의의 영향력이 크다. 따라서 집단 동일성의 논리가 개인의 자율성을 억압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사로운 감정의 논리가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인식보다도 우선시된다. 이런 문화는 진정한 동감 능력의 형성을 방해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시민사회에의 참여 또한 동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낯선 타자와의 접촉 기회가 타자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향상시킨다고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 사회는 공공 활동의 참여율이 높지 않을 뿐 아니라, 참여하는 결사체 유형 또한 학연이나 혈연 등과 같은 귀속형 조직이 많다는 점에서, 동감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인문학이나 예술 활동도 동감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인문학이나 예술은 상상력을 통해 타자의 감정이나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 사회의 현실을 살펴보면, 인문학이 이러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된다. 인문학 자체가 경제나 정치 논리에 휘둘리는 측면이 강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상의 논의들이 한국 사회가 동감 능력의 형성을 위축시키고 있다는 판단을 정당화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동감 능력 향상을 위해서 우리 사회가 극복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defines cond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ment of sympathy ability , an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introspect the Korean society and its culture based on its conditions. In here, Sympathy means an attitude which includes maintaining self-autonomy distinguished from others, possessing cognitive ability which can think from others point of view, and pursuing not only self-examination, but also solidarity with others. First of all, sympathy ability makes it a condition that has universalistic friendship between the members of civil society. However, the culture of Korean society is still constrained in the influence of premodern particularism. Thus, the notion of group identification represses individual’s freedom, and besides the society puts personal feelings in priority rather than rational or reasonable awareness. This sort of culture restrains us from developing true sympathy capability. Second, participation in civil society also does its role to advance sympathy ability. Socializing with others can be regarded a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other’s viewpoint and interest.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velop sympathy ability since Korean society has low participation rate in public activities, and the association type is also restrained to ascribed belongingness such as school or blood ties. Last, studying humanities or joining artistic activities can give positive effects on advancing sympathy ability. Those activities offer chances to experience other’s feelings and situations indirectly through imagination. However, in considering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it is easy to have critical eyes on humanities whether it could really perform these roles. The main reason is that humanities itself tends to be limited to economical or political logic. Arguments that are discussed above are not trying to justify the judgement that Korean society is intimidating the development of sympathy ability. However, this research has significant meaning by the fact that it reveals possible solutions to the advancement of sympathy ability.

      • KCI등재후보

        인터넷 사회참여 현황과 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서운석(Suh, Woon-seok),소현수(So, Hyun-su) 한국공공사회학회 2018 공공사회연구 Vol.8 No.4

        사회참여는 개인의 사회적 활동의 하나로서 어떤 단체나 조직체에 단순히 개입하거나 참석하기보다도 더욱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개입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생활만족도라는 개념은 현재 살고 있는 전반적인 생활에 있어서의 개인적이고 자의적인 감정이며, 가치에 대한 관점, 심리적 바람, 놓여 있는 경제적, 사회적 주위 상태에 대한 흡족 정도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생활만족도 관련 변인 중에는 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내용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중에서도 인터넷을 통한 사회참여 활동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런 취지에서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 사회참여 현황을 알아보고 이와 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인터넷 사회참여 현황과 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에 대한 결과를 보면, 특히 온라인 참여 활동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인터넷 사회참여와 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을 통한 개인적 실천 등이 생활만족도에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Social participation by internet refers to one’s degree of participation in a community or society by internet. Social participation is related to participation in collective activities, which reinforces social capital and social norms. Key elements of social participation include activity, interaction, social exchange, and lack of compulsion. A common metric of social participation is the quantifiable volume of activity. In the internet setting a metric of social participation on a discussion board may take the form of the number of posts made. Life satisfaction is the way people evaluate their lives and how they feel about their directions and options for the future. In this study,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by internet were related, and it was also important to use the media in social participation by internet. So this study check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by internet and lif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Evaluating Efficiency of Outsourcing Public Services Using DEA

        Hyun Jung Kim(김현정) 한국공공사회학회 2018 공공사회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를 직영하거나 아웃소싱(outsourcing)하는 경우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효율성 분석에 많이 활용되는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이용하였고, 국내 준공공기관 57개에서 제공하는 공공서비스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DEA 분석 시에는 공공서비스의 효율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투입변수로 직원 수, 자산, 비용, 산출변수로 매출액을 선정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서비스를 아웃소싱 하는 준공공기관들의 평균 효율성은 공공서비스를 직영하는 준공공기관들 보다 16.97% (CCR모형) 또는 16.90% (BCC 모형) 만큼 더욱 높은 효율성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t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한 결과, 이러한 결과가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영과 아웃소싱의 비효율성 원인을 분석한 결과, 준공공기관들의 비효율성에 있어서 규모 효율성과 순수 기술 효율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공서비스를 아웃소싱 하는 준공공기관들의 비효율성은 순수 기술 비효율성(50.00%)이 규모 비효율성(34.09%) 보다 더욱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공공서비스를 직영하는 준공공기관들의 경우에는 순수 기술 비효율성(23.08%) 보다 규모 비효율성(61.54%)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셋째,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의사결정자들에게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준공공기관들은 직원 수, 자산, 비용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러한 투입요소들을 적정한 수준으로 관리함으로써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efficiency of quasi-governments which directly manage or outsource public services which have qualities of pure public services and quasi-public services. This study uses DEA to compare the efficiency between organizations that outsource public services and those that operate directly. Public services provided by 57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Korea were us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elected the number of employees, assets, and costs as input variables and selected sales as a output variab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quasi-governments that outsource public services was 16.97% (CCR model) or 16.90% (BCC model) higher than those that directly manage public services.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5% significance level through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es of inefficiency in direct management and outsourcing, the degree of scale inefficiency and pure technology inefficiency were found to be different. Specifically, the inefficiency in quasi-governments outsourcing public services showed that pure technology inefficiency (50.00%) was larger than scale inefficiency (34.09%). On the other hand, inefficiency in quasi-governments directly managing public services showed that scale inefficiency (61.54%) was greater than pure technology inefficiency (23.08%). Third,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inefficiency for decision makers of public agencies providing public services. Quasi-governments that provide public services can improve efficiency by prioritizing the order of numbers of employees, assets, and costs, and by managing these inputs to the appropriate levels.

      • KCI등재

        경기지역 사회신뢰 현황 변화에 대한 연구

        서운석(Suh, Woon-Seok) 한국공공사회학회 2013 공공사회연구 Vol.3 No.1

        신뢰에 대한 논의의 다양성으로 인해 다양한 개념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 논의를 종합해 보면 신뢰는 불확실성과 위험에도 불구하고 신뢰 대상이 신뢰자의 이해에 부합하도록 행동하리라는 주관적 기대와 그러한 기대를 근거로 신뢰 대상의 행동에 신뢰자 자신을 맡기려는 자발적 의지이다. 이와 연관하여 사회적 자본에 대한 개념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사회적 자본이란 물적 자본과 인적 자본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상호이익을 위한 협력이나 사회적 시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공조를 용이하게 하는 사회적 유대나 혹은 규범, 신뢰와 같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을 가진 자본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이 국가경쟁력에 핵심변수라는 인식의 확대는 신뢰 및 신뢰이론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의 증대는 다양한 형태의 연구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전반적 신뢰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지역 사회신뢰 현황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Social capital is the expected collective or economic benefits derived from the preferential treatment and cooper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Although different social sciences emphasize different aspects of social capital, they tend to share the core idea that social networks have value just as physical capital or cultural capital or human capital can increase productivity, so do social contacts affect the productivity of individuals and groups. Society needs trust because it increasingly finds itself operating at the edge between confidence in what is known from everyday experience, and contingency of new possibilities. Without trust, all contingent possibilities should be always considered, leading to a paralysis of inaction. Trust in economics is treated as an explanation for a difference between actual human behaviour and the one that can be explained by the individual desire to maximize one’s ut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social trust in Gyeonggi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