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정은 시대 고등교육 정책 연구 - 박사학위 제도를 중심으로-

        엄현숙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9 국가안보와 전략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rth Korea's higher education policy in the Kim Jong-Un era. During the Kim Il Sung era, the core of North Korea's higher education policy was fostering national officials. During the Kim Jong-il era, the focus was on reforming the secondary education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 both periods, education policies were focused only on the internal level. The higher education policy of the Kim Jong-Un era is oriented towards internationalization. The policy of emphasi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Kim Jong Un era is based on the reality of North Korea and the global level. It was in developing more and better talents required through higher education interdisciplinary work. In the era of Kim Jong-un, the educational system and degree system, which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Koreas, changed into a similar system 본 연구는 김정은 시대 북한 고등교육 정책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북한 정권의 엘리트 정책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연구는 1962년부터 2018년까지 『로동신문』, 『교육신문』에 소개된 학위자 중 소속과 실명이 공개된 고등교육부문 박사급 연구자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직급별 연구자는 전임교원, 전임교원 외 박사급 연구자, 기타로 분류되었다. 김일성 시대 북한 고등교육 정책의 핵심이 민족간부 양성에 있었다면, 김정일 시대에는 고등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중등교육체계의 개편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에 두 시대 모두 교육정책이 대내적 차원에만 초점이 두어져 있는 반면, 김정은 시대 고등교육 정책은 국제화를 지향하고 있다. 북한에서 과학기술을 강조하는 이유는 시기마다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경제발전 전략과 관련되어 있다. 김정은 시대 과학기술 중시 정책은 북한의 실정과 세계적 수준을 고려한 것으로 고등교육 학제개편을 통해 요구되는 인재들을 더 많이, 그리고 잘 키워 내는 것에 있었다. 이에 김정은 시대 들어 남북한 간 상이하였던 교육제도 및 학위 체계가 유사한 제도와 체제로 변화되었다.

      • KCI등재

        북한 사회 미신행위 특성 연구: 라캉의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를 중심으로

        엄현숙 한국평화종교학회 2022 평화와 종교 Vol.- No.1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ersp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superstition in North Korean society. Therefore, the study focused on three concept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as an analysis frame to identify superstitions in North Korean society. This study analyzed official discourse related to superstition using official literature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in North Korea. In addition, a cross-analysis of North Korean social superstitions was conducted based on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who actually experienced superstition-related activities in North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terialistic desire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of individuals seeking success in a market-oriented survival environment led to the spread act of superstitious. Accordingly, even if the state resolves economic complaints, individual imaginative fantasies will continue. This is because act of superstitious has the function of plunging into the imaginary illusion of “predictable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 사회 미신행위에 대한 관점과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북한 사회 미신행위 파악을 위한 분석틀로 라캉의 세 개념인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를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북한의 신문과 잡지 등 공식 문헌을 활용하여 미신에 대한 지배적 담론을 분석하였다. 여기에 실제로 북한에서 미신 관련 행위를 경험한 북한이탈주민과의 면담을 토대로 북한 사회 미신행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장 위주의 생존 환경에서 성공을 꾀하는 개인들의 물질주의적 욕망과 미래에 대한 불안이 미신행위의 확산을 가져왔다. 이에 국가가 경제적 불만을 해소해 줄지라도 궁극적으로 충족되지 않은 욕망이 또 다른 욕망을 좇아가게 될 것이다. 그것은 미신행위에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상상계적 환상으로 빠져들게 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북한의 ‘후계자론’과 김주애 공개에 관한 연구

        엄현숙 북한연구학회 2023 北韓硏究學會報 Vol.27 No.1

        North Korea has recently making it public Kim Jong-un’s daugh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ote and analyze the fact that North Korea’s making it public of Kim Ju-ae relies on the succession discourse in which long historical experiences are conden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m Ju-ae, the daughter of the leader, showed a different appearance from the social norms required by North Korean women in general. Second, Kim Joo-ae can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idolizing the leader by accompanying Kim Jong-un to various sites. Third, The making it public of Kim Ju-ae is a repetition of a meaningful practice as a historical product of the successor experience. However, the making it public of Kim Joo-ae does not confirm that she has perfect qualities as a successor.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김주애 공개가 오래된 역사적 경험이 응축된 후계자 담론에 의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젠더 수행성과 북한의 ‘후계자론’을 토대로 김주애의 공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것은 첫째, 김주애는 현존하는 수령의 ‘자제’로 북한 여성 일반에 요구되는 사회적 규범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공개된 김주애의 젠더 수행성은 당국에서 부여되고 설정된 규범적 기대와 달랐다. 둘째, 김주애는 김정은에 의해 여러 현장에 동행함으로써 수령 우상화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김정은 우상화의 한계는 역설적으로 북한이 후계자 문제에 더 집중해야 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 한다. 셋째, 김주애의공개는 후계 경험의 역사적 산물로 의미화 된 관행의 반복이다. 다만 김주애에 대한 공개가 후계자로의 자질을 완벽하게 갖춘 것을 확인시키는 것은 아니다. 10대 초반의 김주애는 후계자의 조건을 담지 한 ‘자제분’으로 볼 수 있으나 후계자로의 자질을 다 갖춘 것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 KCI등재

        정보화 시대 북한의 사이버 교육에 관한 연구 : 남북한 사이버 교류협력을 위한 시론

        엄현숙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20 국가안보와 전략 Vol.20 No.3

        The study is aimed at looking at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North Korea’s cyber education. Cyber education allows us to solves the imbalance in educational services. Cyber education provides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expansion and lifelong learning. In addition, it is noted that it enables job training in various fields. As a result, North Korea is actively introducing and expanding cyber education. However, North Korea seeks cyber education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data by South Korean computer networks while blocking access to the Internet by the public. This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society that require information control. Studies show that North Korea’s cyber education system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in the educational system of learning while working, rather than expanding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it is used as a means to bring up national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at an early date. Second, cyber education in the education system that specializes in academic work is a show-off operation.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future direction of cyber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Korea is the best in the world.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Kim Jong Un regime, North Korea has set an important goal for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Therefore, it will be an important study on mid- to long-term strategies for cyber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이 연구는 북한의 사이버 교육에 주목하여 그 성장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사이버 교육은 교육 서비스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사이버 교육은 고등교육 확대와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직무 훈련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이에 북한은 사이버 교육을 적극 도입⋅확대시키고 있다. 하지만북한은 대중의 인터넷 접속을 차단한 상태에서 국내 컴퓨터 망에 의한 과학기술 자료의 보급과 그를 활용한 사이버 교육을 추구한다. 이에 정보 통제를 필요로 하는 사회의 특성이 드러난다. 연구 결과 북한의 사이버 교육체계는 다음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체계에서 교육 소외 계층에 대한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보다 국가발전과 현대화를 빠른 시일 안에 끌어올릴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둘째, 학업을 전문으로 하는 교육체계에서의 보여주기식 사이버교육 운영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남북한사이버 교류 협력 방향 모색에 기여한다. 정보통신 분야에 있어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북한은 김정은 체제 출범 후 정보화에 기반을 둔 경제발전을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남북한 사이버 교류 협력을 위한 중장기적 대응 전략 모색에 실증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 종합 비타민제제중 염산치아민의 HPLC와 치오크롬법에 의한 정량의 비교·검토

        엄현숙 梨花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1983 梨花藥學硏究 Vol.- No.22

        Thiamin HCI is stable in the air and available for various deficiency disease of vitamin B_1^1) In this study, Thiamin HCI is isolated from multivitamin and qualified by means of HPLC and Thiochrom method, and then the result according to two different methods can be compared.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인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엄현숙,여현철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22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y attention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efectors, but to examine the support policy for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e concept of job mismatch and human capital.. To this end, the study shed light on the problems of settlement and adaptation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Korea and discussed policy support for adults and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or adults, it seems necessary to respond and actively support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on resolving the wage gap, expanding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vocational training due to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Second, due to passive and individual difference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ose who need to explain active policies and customized policy services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ird, in relation to economic activities, an analysis of the residential areas and limitations of housing where they live should also be conducted. Next, regarding adolescents, first, it seems necessary to promote youth start-ups and to have an insurance and protective system due to failure. Second, in order to enhance the function of th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assign a dedicated teacher or a coach dedicated to fellow students in the university.

      • KCI등재

        북한의 대학 혁신 연구: 교수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엄현숙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대학 변화를 혁신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최근 북한에서 대학 교육의 직접적 담당자인 교수의 전문성과 역량 강화는매우 중요하며, 이에 국가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주의 전면적 발전론과연계되어 국가 주도의 고등교육 개혁이 추진되고 있다. 둘째,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는 방법으로 대학 혁신을 꾀하고 있다. 셋째, 세계적 수준의연구중심대학을 지향하나 교수의 전문성을 높이기에 어려움이 있다. 넷째, 학사-석사-박사로 연계되는 학위체계가 도입된 후에도 정작 우수한 학생들이 대학원으로의 진학을 기피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 대학 혁신의현실적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고등교육 변화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 효과의 의도성에 관한 연구

        엄현숙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17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tentionality of the effec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analysis of effects on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depends on quantitative evaluation based on statistics, education contents, curriculum education policy, etc. This resear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ttempts to qualitatively evaluate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teacher evaluations after the education written by the student. The limitation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seen as a consequence of a lack of both demand and supply, and a curriculum issues resulting from this. Unification education is in an important issue in schools, yet unification education itself is not in conformity with reality and a lack of professional lecturers who can professionally give unification education as knowledge education are cited as the major issues faced.

      • KCI등재

        김정은 시대 직업인으로서의 역할 기대: 북한의 소학교 1학년 국어,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엄현숙 한국동북아학회 2019 한국동북아논총 Vol.24 No.2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 제시된 직업인으로서의 역할은 무엇이며 교육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김정은 시대 직업인으로서의 역할은 결사관철의 투사, 생산과 관리의 주인, 기술혁신의 담당자, 인기 상품의 개발자, 세계적인 선구자의 다섯 가지이다. 연구에서는 소학교 1학년 국어와 도덕 교과서 분석을 통해 위에서 언급된다섯 가지 역할의 반영 정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분석의 대상이 된 소학교 1학년 교과서는 학생들의 일상에서 관찰 가능한 구체적인 대상을 소재로 삼고 있다. 교과서에는 첫째로, 투사로서 군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학생들이 성장하면 자연스럽게 군인이 되도록 교양하고 있다. 둘째로, 교과서에서 ‘우리들의 아버지’는 세계가 우러러보는 강성 조선의 발전을 담당한 선구자들로 그려졌다. 셋째로, 교과서는 사회적 영향력을 지닌 인물과 선물 및 가보로 표현된 상징을 통해 학생들에게 국가와 수령에 대한 헌신과 자발적 마음을 갖도록 교양한다. 교과서에서 ‘행복한’ 또는 ‘훌륭하다’로 설명되는 사건 및 행위들은 자발적인 마음작용의 하나로써 설명되었다. 이로서 교과서에서 제시된 역할은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지배 이데올로기에 인민을 동원하고, 조직하고, 거듭나게 하는 기제로 그려졌다. The study analyzed the role of pursued in the Kim Jong Un era and how it were implemented in education. The roles in the Kim Jong Un era are largely divided into five. It is a fighter, owner, manager, developer and pioneer. North Korean society,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and moral textbooks consists mainly of family members. The social aspects of expectations in textbooks are first, it is the duty of the defense. Second, he is the father who was called. Third, it is a mind of devotion to the state. Events and acts described in textbooks as "happy" or "great" were described as one of the voluntary mind-action activities.

      • KCI등재후보

        김정은 위대성 교육의 효과 연구

        엄현숙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18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Kim Jong Eun's greatness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qualitative approach that emphasizes evaluation in actual education course.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effect of idolization education by Literature Analysis and interviewing North Korean Refugees. Attitude formation, human personality, admiration and loyalty were the most intentional parts of greatness education shown in general textbooks. Practical ability has the highest proportion of expressive ability, commentary ability, and ability to speak and write politely.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at educational consensus about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is not completed. Kim Jong-Un greatness education exposes the limitations of passiv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