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립과 사립유치원의 특성에 관한 공립유치원 기간제교사의 인식

        김양희,조형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특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특성적 차이에 대해 이해하고 유아교육의 발전과 질적 향상 및 정책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A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 기간제교사들을 대상으로 공립과 사립유치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약 5개월간 진행되었으며, 개별 심층면담과 저널쓰기 등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반복적으로 정독하여 범주화하고 개방코딩의 기법을 통해 연구 문제와 관련된 주제들을 도출해 냈다. 첫째, 공립과 사립유치원의 교육과정 운영 측면의 특성에 대한 공립 기간제교사의 인식에 대해 살펴 본결과, 공립유치원에 대해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충실한 교육과정 편성, 지원금으로 풍부한 교육재료를 활용한 교육과정 운영, 자율적 교육과정 운영의 제약, 활동중심 교육과정 평가로 나타났으며, 사립유치원의 특성으로는 누리과정과 원장의 운영 관점에 의한 교육과정 편성, 누리과정과 특색 프로그램이 혼합된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운영의 융통성, 교육 재료 사용의 제약, 결과물 중심 평가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환경 측면의 특성으로 공립유치원은 초등기준의 시설: 병설유치원, 시설.설비의 개선: 단설유치원 확대, 초등학교 시설 이용, 상업적 교재.교구 구입기회 충분, 교재.교구 관리의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사립유치원은 외관적인 환경에 투자, 독립된 시설, 수요자 교육비에 의존한 재정, 교사가 직접 제작하는 교재교구 의존도 높음, 교재.교구 관리 수월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 근무환경 측면의 특성으로 공립유치원은 행정업무로 인한 바쁜 하루, 결재과정의 어려움, 일한 만큼 보상을 받는 보수, 자유로운 퇴근시간, 보장된 복지, 다양한 연수 참여의 기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립유치원의 특성으로는 기관장과의 협상으로 얻어낸 보수, 결재과정의 편리, 정해지지 않은 근무시간, 기약 없는 퇴근시간, 이용가능성 낮은 복지제도, 연수 참여 여건의 한계와 같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직 문화 측면의 특성에 대한 공립 기간제교사들의 인식 연구 결과, 공립유치원에 대해 공립유치원교사 건조한 이미지, 유대감 없는 개인주의, 높은 비율의 고 경력교사, 품위 유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립유치원의 특성으로는 사립유치원교사 친절한 이미지, 교사 간 유대감, 높은 비율의 젊은 교사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경력을 가진 교사들이 자신들의 경험을 이야기함으로써 공립과 사립유치원의 특성을 분석하였지만 기관간의 차이점들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장점과 단점들을 서로 보완하고 하루 빨리 개선이 되어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교직풍토 조성을 통해 질 높은 교육을 하기 위한 바램이다. 이러한 노력은 정책적, 제도적 지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알고 유아교육이 공교육화 되어 선진국 대열에 서서 모든 유아들이 발달에 적합한 양질의 교육을 받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유치원 기관유형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

        장영숙 ( Young Sook Jang ),김현미 ( Hyeon Mi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기관유형별로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공립 유치원교사 131명과 사립 유치원 교사106명의 총 237명의 유치원 교사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유형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간의 셀프리더십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영역인 자연보상의 분별은 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교사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기관유형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 전체와 하위영역인 보수와 승진기회에서 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기관유형별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공립과 사립유치원 모두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중 일의 좋은 면에 초점 맞추기가 직무만족을 의미있게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립과 사립유치원 모두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의 좋은 면에 초점맞추기를 통해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by kindergarten typ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7 pub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overall self-leadership score.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owever,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discriminating natural compensa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self-leadership. Second,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overall score of job satisfaction and ‘salary and promotion opportunity’ which is the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Third,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focus on the positive aspects’ was a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both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efforts for improving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by ‘focus on the positive aspects’ should be preceded in order to enhance their job satisfaction in both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 KCI등재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

        김규수(Kyu Soo Kim),박미정(Mi Jeong Park),백승선(Seung Seon Bae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행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이러한 인식은 기관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지도가 사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육능력개발평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공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목적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의 질 향상 및 교육에 대한 신뢰 제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진단 및 자기발전에 필요한 자료 제공’이라고 응답하여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에 대해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에 대해 교사의 태도 외에 공·사립 유치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 내용 중 ‘학습지도 영역’의 ‘교사의 태도’ 에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방법 중 적절한 평가자 및 평가제도의 운영방법에서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 중 평가결과 통보 방법, 우수교원에 대한 평가결과 연계방법, 맞춤형 연수에 대한 인식에서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유치원 교원능력개발 평가의 기대효과에서도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에 따른 어려움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자의 주관성 개입’,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업무 과중’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체제 개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꾸준한 지원책 마련’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앞으로 전면 시행될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and also looks at how that awareness differs by types of agency.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f 241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an wer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Howeve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it. Second, the aim of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differed by type of agency.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enhancement of confidence in educatio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diagnosis of teacher’s specialty and providing necessary data on teacher’s self-development.” Third, as for the evaluations`` contents, the teachers`` awareness of content composition and of wha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iffered significantly by type of agency. Regarding the propriety of content of the evaluation index, all the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it positively. 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ors and the operational method of evaluation system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ourth, regarding the method of linking to proper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the method of notifying of evaluation results, the method of linking to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and the perception of customized training were different by type of agency. In addition, the evaluations`` expected effect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ifth, as for the trouble of carrying out these evalua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intervention of evaluator’s subjectivit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teacher’s excessive workload.” As for how to improve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whereas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establishing a continuous support policy to increase teacher’s specialty.” The study``s findings seem to shed light on how to work ou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which after it is established, will be put into practice in the future.

      • KCI등재

        수석교사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유치원 기관유형 중심으로

        김안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석교사제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서울과 대전에 근무하고 있는 공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우대받는 교직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수석교사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수석교사제의 구체적인 내용은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의 선발기준에 대해 교육경력 10년 이상인 자가 적합하다고 보았으며, 동료 교사 평가가 선발 전형기준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수석교사의 선발인원에 대해서는 공사립유치원간에 인식의 차가 나타났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전체교원의 10%라고 보았으며 사립유치원 교사는 유치원 당 1명의 수석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보였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란 수업에 전문성을 가진 교사라고 인식하며 수업지원활동이 그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보았다. 한편, 수석교사의 적절한 주당 수업시간에 대해서는 공사립유치원 간의 인식의 차를 보였는데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주당 3-4시간 이하라고 응답한 반면 사립유치원 교사는 주당 7-8시간 이하가 적절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넷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 임기가 2년 중임이 적절하다고 보았으며, 원감 수준의 지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수석교사의 적절한 연구 활동비는 월 30만원 이상 되어야 한다고 보며, 특별연구비 지원이나 연구년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다섯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수석교사 역할의 명시가 필요하며, 평교사들의 업무 및 수업부담 가중이 생기는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한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제를 통해 교원들의 수업전문성이 신장될 것이라는 희망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수석교사제도의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밝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Master teacher system". To this end, a survey of 281 teachers working in public/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Daejeon was carried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Master teacher system as a good opportunit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qualified and specialized teachers can b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s and thought it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y had no details about the system.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master teachers should be appointed among teacher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considere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Moreover, they thought that performance and achievements in leading classes inside/outside classes ar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list of standards for selecting a master teacher.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answered that the proportion should be 10 percent out of all. Meanwhil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a master teacher should be appointed in every kindergarten. Third,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a master teacher as a teacher with professionalism and specialty for class and their pivotal role is to support class. Meanwhile, as for proper weekly class hours of a master teacher, there have been differences of awareness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it should be less than 4 hours weekly. On the other hand,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thought that it should be less than 8 hours per week. Fourth,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that a master teacher can be reappointed for 2 consecutive years at a level of vice-director of a kindergarten. Meanwhile, they thought proper payments for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more than 300,000 won per month and support for special research and study years should be provided as means of an incentive. Fifth,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that a clear role of a master teacher should be designated so that Master teacher system can b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y worried that normal teachers' burden of duties and classes would increase when the new system comes into place. Furthermore, they hoped that this new system would increas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pecialization in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s above is expected to positively influence discovering a desirable way for implementing the Master teacher system.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놀이지원역량과 유아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백영숙(Youngsuk P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선정하고 각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방법 이를 위하여 S특별시, G도, G시, S도 소재 유치원 교사 42명과 만 5세 유아 387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 관련 유치원교사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SW 24.0과 과 AMOS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변인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놀이지원역량, 유아 또래놀이상호작용 간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둘째, 독립변인인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은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직접적인 효과를,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이 증가하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도 증가하지만,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 역량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도 함께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증가 또는 감소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에 의해서도 의미 있지만,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에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더해질 때 그 영향력이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창의적인 놀이지원 워크샵과 같은 유치원교사 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teaching creativ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play support capacity of kindergarten teachers that affect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Methods For this purpose, 42 kindergarten teachers and 387 5-year-old children located in S special city, G province, G city, and S province were survey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related to the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peer pla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ASW 24.0 and AMOS 24.0, and the effects of parameters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bootstrap verification procedure.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lay support ability, and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For example, kindergarten teachers' play support ability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teaching creativity of kindergarten teachers increased,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increased, but kindergarten teachers' play support ability also increased and, accordingly,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lso increased. Conclusions The influence on the increase or decrease of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is also significant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but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increased when the kindergarten teacher's play support ability was added to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his suggests that re-educ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such as creative play support workshops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 KCI등재

        2023-2028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수요 전망

        박진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유치원과 어린이집 이용 대상 규모를 추계하고 최근 3년 유치원과 어린이집 이용률을 예측하여 최종적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수요 예측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2023년부터 2028년까지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이용 대상 영유아 수를 추계하고 3항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시도별, 연령별이용률을 예측하였다. 이용 대상 영유아 수와 예측한 이용률을 곱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 수를 산출하였으며 유치원학급 편성 기준과 어린이집 법정 교사 대 아동 비율,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대 영유아 비율을 2가지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유치원과어린이집 교사 수요를 예측하였다. 결과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수요는 시나리오에 따라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시나리오 1에 따른 유치원 교사는 2023년부터 2028년까지 6,462명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린이집 교사는 예측 기간 동안 6,503명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만, 예측 기간 동안 유치원 교사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에 비해 어린이집 교사는 2026년을 저점으로 이후 증가하는 결과를보였다. 시나리오 2에 따른 교사 수요 또한 예측 기간 동안에는 감소하였는데 학급 편성 기준과 법정 교사 대 아동 비율을 적용한시나리오 1에 비해서는 2022년 기준의 교사 대 아동 비율을 적용하여 교사 수요 총량은 유치원 교사는 만 명 이상, 어린이집 교사는3만 명 이상 필요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통합적인 교사 수급 정책 수립, 유보통합 추진을 위한 소요 재정 추계와 재정 배분을 위한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통합유치원 교사의 교직문화인식,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분석

        김영한,서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2

        This study has a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finding a way for integrated preschool teachers to more actively and creatively engages in education activity by analyzing specialities of the teachers’ culture, their occupational efficiency and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it conducted a quantitative research of 131 integrated preschool teachers nation wide by adopting questionnaire. For this research, related preceeding researches and literatures were investigated. One-way ANOVA was tested on occupational experiences and location of the integrated preschool teachers. The study first found that in terms of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culture by integrated preschool teachers, married teachers are more positive than unmarried one, and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public preschools more positive than private teachers. More positiveness in same valuable was found among teachers whose experiences of 6 to 10years. Secondly, in terms of efficiency, married teachers showed higher efficiency than unmarried one, and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public preschools higher efficiency than private teachers. Teachers with experiences of 6 to 10years showed higher efficiency and teachers working at integrated preschools, small and middle sized cities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of metropolitan cities and town and villages. Third,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front, teachers with master degree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occupation while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public preschools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at private preschools. Fourth, higher efficiency they have, more positive their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culture ought to be and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occupation. And integration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ulture had the influence of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characteristic significantly explained the variance in teacher efficacy. 본 연구는 통합유치원 교사의 교직문화인식,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특성과 그 관계를 분석하여 그들이 보다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통합유치원 교사들에게는 그들의 공유되는 교직문화인식의 특성을 이해하도록 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며,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직무에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특수교육, 특히 통합유치원 교육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향후 통합유치원 교육의 정책 결정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나아가 통합유치원의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 설문지의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첫째, 통합유치원의 교사의 교직문화인식 수준은 미혼교사보다 기혼교사가 긍정적이며 국공립 유치원의 교사가 사립유치원교사보다 긍정적이다. 그리고 6~10년의 교육경력의 교사가 교직문화인식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통합유치원의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미혼교사보다 기혼교사가 높으며 국공립 유치원의 교사가 사립유치원교사보다 더 높다. 그리고 6~10년의 교육경력의 교사가 교수효능감은 더 높으며 중소도시의 근무하는 통합유치원 교사가 광역시 및 읍면지역의 교사에 비해 더 높다. 셋째, 통합유치원의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대학원졸업의 교사가 더 높으며 국공립 유치원의 교사가 사립유치원교사보다 더 높다. 넷째, 통합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직문화인식이 더 긍정적이며 직무만족도도 높았으며 통합유치원 교사의 교직문화인식은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준다.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Job Stres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이영희(Li Yingji),고흥(Kou H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중국과 한국 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관한 스트레스를 비교 연구하기 위해 2019년 3월 12일부터 4월 28일까지 중국 유치원 교사 205명과 한국 유치원 교사 169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과 한국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비교를 통해 한국 유치원 교사는 중국 유치원 교사에 비해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치원 교사와 한국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공통점은 직무 피드백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워크로드, 인간관계, 그리고 수업 자율성(teaching autonomy) 순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워크로드와 인간관계 면에서는 기혼 유치원 교사보다 미혼 유치원 교사가 더 많이 직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 피드백에 대한 스트레스는 사립 유치원 교사가 공립 유치원 교사 보다 더 많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를 위한 기본적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국제적으로 개선하고자 할 때, 기본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job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and South Korea. A survey was performed on 205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and 169 in South Korea from 2019. 3. 12. to 2019. 4. 28.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22.0 softwar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difference in job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both country. South Korea kindergarten teachers were experiencing higher job stress. Second, the job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both country showed similarity which the highest stress came from work feedback, followed by workloa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eaching autonomy. Single kindergarten teachers in both countries had higher job stress than married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orkloa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had higher job stress than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 work feedback. This research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job stress research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provides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early practice for improving the job stress confronted by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의 내ㆍ외재 동기, 자기효능감 및 창의성

        장영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intrinsic/ ex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t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public and private teacher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n their creativity. Subjects were 225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i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in both public kindergarten and private kindergarten.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self-efficacy and creativity in both public kindergarten and private kindergarten. Thir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was positively predicted by teachers' self-control efficacy, and preference of task-difficulty, and enjoyment. On the other h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was positively predicted by teachers' self-control efficacy, challenge, preference of task-difficulty. Teachers' self-control efficacy was the best predictor in explaining teachers' creativity in both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kindergartens.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의 내․외재 동기,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교사의 내․외재 동기와 자기효능감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중 공립유치원 교사는 99명, 사립유치원 교사는 126명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내․외재 동기, 자기효능감, 창의성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모든 변인에서 공립유치원 교사의 평균이 사립유치원 교사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내재동기 전체점수와 창의성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재동기 전체점수와 창의성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자기효능감 전체점수와 창의성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창의성은 교사의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즐김에 의해 예언되었으며, 사립유치원 교사의 창의성은 교사의 자기조절효능감, 도전, 과제난이도 선호에 의해 예언되었다.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자기조절효능감은 교사의 창의성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 KCI등재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활용 실태

        금민선,홍용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3 교육과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교육부에 의해 개발되어 전국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는 교사용 지도서인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전국 유치원 교사들의 활용수준과 장애요인 및 장애수준을 조사하여,「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자료」를 적극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 수준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의 활용수준은 어떠한가? 1-2. 교사의 개인배경에 따라「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의 활용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를 활용하는데 있어 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요인 및 장애수준은 어떠한가? 2-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를 활용하는데 있어 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요인 및 장애수준은 어떠한가? 2-2.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를 활용하는데 있어 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요인 및 장애수준은 교사의 개인배경별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중인 유치원 교사들 399명이다. 연구 도구는 Moore와 그의 동료들(1984)이 만든 교육과정의 '활용수준 측정 질문지'를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수정하여 사용한 부성숙(1999)의 논문에서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자료의 활용도에 관한 내용과 이윤경·이영애·조인경(2000)의 '제 5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활용 실태 조사 질문지'의 내용을 토대로 선행연구와 문헌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활용수준과 장애요인 및 장애수준 각 항목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교사의 개인배경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변량 분석 (ANOVA)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를 보통수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주제별 활동 지도 자료'를 '총론' 보다 더욱 활발히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 주제별 활동 자료'는 각 권별(2권-12권)로 대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비슷한 활용수준을 보였다. 각 구성 내용 별 활용에서 교사들은 개정된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활동에 적용하는 방안, 직접적인 교육활동 및 교육 내용 그리고 수준별 교육활동에 대해 높은 활용 수준을 보이며 가정 및 지역사회의 협력, 환경구성 부분에서 낮은 활용수준을 보이고 있다. 둘째, 교사의 교육경력, 학력, 담당학급 유아의 연령, 근무 유치원의 유형에 따라 교사의 개인배경별로「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활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근무하는 소재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의 활용 수준은 교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공립유치원의 교사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학급 유아의 연령에 따라서는 4세 유아의 교사가 낮은 활용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활용에서 보통수준의 장애를 느끼고 있었고,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있었다. 활용을 돕기 위해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소개된 자료를 제작하는데 참고할 멀티미디어 자료(CD-ROM TITLE 등)를 필요로 하였고, 그 내용 면에서 새롭고, 다양하고, 구체적이며, 많은 수의 교육활동을 제시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구성면에서 사용의 용이성을 높이고 편제를 매력적으로 변화되는 방향의 고려도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의 교육경력, 학력, 담당하고 있는 유아의 연령, 근무 유치원의 소재지, 근무 유치원의 유형에 따라 몇몇의 요인별로 활용의 장애를 느끼는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은 자신의 개인적 성향이나 능력 뿐 아니라 근무하고 있는 유치원의 상황과 영향, 지도자료의 내용에 따라서 활용 및 장애 수준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draw the positive plan of the practical use for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which the kindergarten curriculum on the national level could be achieved effectively on the scene of the young child education.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teachers were generally shown to put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to the practical use at the normal level while they put 'Guide of the Living Activities Classified by the Subject' to the practical use lively more than 'General Remarks'. 'Guide of the Living Activities Classified by the Subject' consisted by a series of the books (each volume was consisted of 2 to 12 books), which were generally shown the similar level of the practical use above the average. The teachers were shown high in the practical use level for the direct educational activities,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leveling educational activities as well as not only they had a right understanding of the revised curriculum but also had a good plan to apply it to the educational activities by the contents particularly. The second, the practical use level was exposed the difference by teacher's individual background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 career, the academic background, the young child's age of charging class, and the type of the working kindergarten. The third, the teachers had the feeling of common level hindrances to put the practical use of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but they understood easily the contents. To help the practical use, teachers required the multimedia data (cd-rom title etc.) and they desired to be presented by the various education activities which were new, various, and specific in the contents. They required to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easiness of use in the organization and also to be considered to change the formation attractively. The fourth, the level feeling the hindrance of the practical use was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y some factors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al career, the individual academic background, the young child's age who was taking charge, the location of working kindergarten, and the type of working kindergarten. Teachers were shown the differences of the practical use and the hindrance level according to the working kindergarten's circumstance and influence and the contents of teaching data as well as their personal inclinations or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