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안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7 사회복지정책 Vol.29 No.-
A Study on the Working Poor in Korea: Characteristics and Determining Facto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poor', which are regarded as representing diversification tendency of poverty discussion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and to analyze which factors determine the likelihood of being working poor. In order to do this, the paper distinguished the types of poor households (dependent variable) into three groups-working poor, non-working poor, and normal-and estimate binary logits for all comparisons among the dependent categories. To analyze determining factors of being working poor, a multinominal logit analysis is applied, which allows to estimate the effect on a categorical dependent variables with more than two categories. In this paper, determining factors are defined as demographic factors (gender and age), social factors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types), human resource facto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health status) and, social capital factors (social networks).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social and human resource factors were more important than demographic ones in explaining the risk of being working poor. The educational attainment, in particular, was considered as having the strongest explanatory power for the likelihood of being working poor. This result implies that an anti-poverty policy for the working poor is needed to strengthen such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ccupational and working skills development in particular. Furthermore, social capital factors including emotional and instrumental social networks decreased the risk of being working poor. Key words: poverty, working poor, poverty policy, multinomial logit analysis 본 논문의 목적은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증가한 빈곤집단의 다양화 논의와 함께 대표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근로빈곤층(working poor)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근로빈곤의 결정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집단을 근로빈곤가구와 비근로빈곤가구 및 일반가구로 구분하고 일반가구를 비교집단으로 한 근로빈곤가구와 비근로빈곤가구의 특성을 비교분석한다. 분석기법으로는 2개 이상의 범주형 종속변수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다항로짓분석(multinomial logit analysis)을 이용한다.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성연령 등 인구학적 요인과 결혼상태, 가구유형 등 사회적 요인, 교육 및 건강상태 등의 인적 자본 요인과 사회적 관계망으로 구성된 사회적 자본 요인 등을 구분하여 각 요인들이 가지는 영향력을 근로빈곤가구와 비근로빈곤가구에 대해 일반가구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근로빈곤가구에 처할 위험을 설명하는 요인들의 경우 연령 변수 등 인구학적 요인들 보다는 결혼상태 등 사회적 요인들과 교육을 포함한 인적 자본 등이 강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은 근로빈곤을 설명하는데 가장 유용한 요인으로 교육기회가 증가할수록 근로빈곤에 처할 위험은 줄어드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근로빈곤층 지원방안에서 인적 자본의 개발 즉 직업능력 및 근로능력 강화가 필요함을 말해 준다. 이와 더불어 정서적도구적 연결망이 빈곤과 근로빈곤에 처할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의 연결망이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김안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emotions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at pre-service teachers felt while participating in teaching practice.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data from the journals of the study participants over a period of 4 four weeks.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9 pre-service teachers currently taking 'Teacher Theories' at a four-year university in K area. First, in teaching practic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joy as a result of developing relationships with the children, putting theories they had learned into practice, and joining 000 class as teachers .Secon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frustration during teaching practice as a result of feeling insufficient as teachers, and they also experienced disappointment because of children not recognizing them as their teachers. Another source of disappointment was the inappropriate models used by homeroom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also felt negative emotion due to excessive work. Third, pre-service teachers could recognize joy throughout daily life while teaching kindergarten and a growing feeling as a pre-service teacher from the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본 연구는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그들이 교육실습기간동안 경험한 희노애락의 감정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저널이 활용되었으며 총 4주간의 저널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k지역 4년제 대학의 ‘교사교육론’ 수강생인 4학년 예비교사 19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실습의 경험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는 유아들과의 긍정적인 만남과 관계, 이론이 실제가 되는 경험, 의미 있는 타인들로부터의 000반 학생선생님이라는 소속됨을 통해 기쁨을 경험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육실습에서 교사로서 부족한 자신을 통해 좌절하며, 자신을 인정하지 않는 유아들과 부적절한 모델의 담임교사로 인해 실망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다양하고 과다한 업무 등으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교육실습에서 예비유아교사는 유아, 교사의 삶, 한없이 작은 자신을 인식, 필연적인 헤어짐 등으로 인해 슬픔을 경험하였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는 교육실습의 경험에서 소소한 유치원 일상과 자신이 교육실습을 통해 배우고 예비유아교사로서 성장하는 느낌을 통해 즐거움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kadaic acid에 의한 한국산 개구리 난자의 성숙유도
김안나,최한호 한국통합생물학회 1994 동물학회지 Vol.37 No.1
Phosphatase의 저해제로 알려진 okadaic acid(OA)가 한국산 개구리(북방산개구리 참개구리) 난자의 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북방산개구리 난자에 약 50 nl의 okadaic acid(0 5-500 mM)를 미세주입한 후 18시간 배양한 결과 0.5 mM의 농도에서 부터 난자의 핵붕괴를 일으키기 시작하였다 동면초기에 처리한 progesterone에 반응하지 않는 난자들도 OA에 의하여 성숙을 일으켰으며. 이 성숙은 배양액에 첨가한 cycloheximide(10 mg/ml)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OA의 처리를 받고 일정시간 배양한 난자의 세포질에는 미성숙 난자의 성숙을 유도하는 maturation promoting factor (MPF)의 활성이 생기었다 참개구리의 난자도 역시 OA에 의해 성숙이 유도되었으며, 주입 후 6시간에서부터 핵붕괴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참개구리에서도 OA의 처리가 MPF의 활성을 촉진하는 것을 세포질내에 Hl histone kinase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참개구리에서도 OA에 의한 성숙은 cycloheximide나 CAMP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개구리 난자의 MPF 활성화와 성숙과정에 phosphatase가 관여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원장이 바라본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쟁점과 과제에 관한 담론
김안나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8 No.5
본 연구는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원장을 통해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쟁점과 발전방안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발전 방향에 대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재직 중인 원장 7명이었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쟁점으로 유아교육에 대한관리자들의 전문성 부족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유아교육과 유아교사에 대한 이해와 참여를 위한 겸임원장, 겸임원감들을 위한 재교육의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부실한 행·재정체제가 쟁점이라고 보았으며, 이를위해 정부와 시도교육청의 행·재정체제가 구비되며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들이 고립된교직생활을 하고 있는 점이 쟁점이라고 토로하며,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위한 장학, 컨설팅 등의 협력 체제가 구축되어야 하며 또한 유치원이 독립된 학제로서 발전할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밝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김안나,박숙현,정현아,Kim, An-Na,Park, Suk-Hyeon,Jung, Hyeon-A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jujube hot-water extraction and antioxidant. After extraction of hot-water jujube, general composition analysis and functional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general composition analysis showed 22.33% of moisture content, 0.71% of crude lipid, 5.21% of crude protein, and 3.87% of ash. From DPPH test results, in concentrations of $1,000{\mu}g/mL$ of jujube extracts,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shown with 68.24%. The SOD ability in concentrations of $1,000{\mu}g/mL$ was 13.12%.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jujube extracts was 11.79% at $1,000{\mu}g/mL$. The yogurt with 0, 1, 2, 3 and 4% of jujube extracts was made, and the general composition analysis and the functional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general composition analysis of jujube yogurt, showed 74.71~76.56% of moisture contents, 1.31~3.38% of crude lipid, 2.13~3.40% of crude protein, and 1.18~1.28% of ash. The DPPH test results showed 46.33% for 1% added jujube extract, 53.78% for 2% added jujube extract, 90.87% for 3% added jujube extract, and 89.58% for 4% added jujube extract. The SOD ability showed 4.93% for 1% added jujube extract, 7.28% for 2% added jujube extract, 11.38% for 3% added jujube extract, and 11.50% for 4% added jujube extract.
몸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사회적 재난에 의한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 마음챙김,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
김안나,강화,류지명,윤희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5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사회적 재난이 일반인들에게 미치는 간접외상 관련 연구가 요청되고 있는 시점이다. 불교심리치료적 관점에서도 적극 논의되어야 할 분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몸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사회적 재난에 의한 간접외상, 인지적 정서조절, 마음챙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6-70세 일반인 580명을 대상으로 ITSSD, K-CERQ, K-FFMQ, K-CD-RISC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 가운데 실험 참여를 희망하는 ITSSD 점수 2점 이상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37명과 통제집단 35명으로 구성하였다.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험집단은 대면 4개, 비대면 2개의 소집단(각 5-8명)으로 진행하였으며, 8주 후 동일 설문을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은 중도 탈락 5명과 사후설문 미응답자 5명을 제외하고 실험집단 31명, 통제집단 31명의 자료로 집단간 동질성 검증, 평균과 표준편차, 혼합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적 재난에 의한 간접외상은 하위요인 중 개인의 대응반응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마음챙김, 자아탄력성에서 집단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몸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간접외상을 다룰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the indirect trauma that social disasters transmitted through the media inflict on the general public. This is an area that needs to be actively discussed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omatic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indirect trauma by social disasters, mindfuln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elf-resilienc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580 individuals aged 16-70 using ITSSD, K-CERQ, K-FFMQ, and K-CD-RISC, selecting those with an ITSSD score of 2 or higher. Among these, those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37 and a control group of 35. Considering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group was organized into 6 subgroups of 5-10 members each (four in-person, two online). After eight weeks, the same survey was conducted again. The final analysis included data from 31 participants in each group, excluding five dropouts and non-respondents to the post-survey. Homogeneity verificati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alculations, and mixed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 of assessment in the following areas: private coping responses among the sub-factors of indirect trauma,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indfulness, self-resili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omatic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deal with indirect trauma caused by social disasters.
농촌출신 대학생 학자금융자 수요 집단의 세분화와 특성 분석
김안나,김정섭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1
현행 농촌출신 대학생 학자금 융자제도는 1994년부터 정부 수준에서 실시되는 장학지원 사업의 하나로서, 농촌출신 대학생에게 무이자 학자금융자의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농어촌 학부모의 가계 부담을 완화하고, 교육의 기회 균등에 이바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도는 최근 지역균형발전의 정 책 패러다임에 따라 지원 규모가 정액제 지원방식에서 등록금 전액 지원방식으로 확대되면서 융자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융자재원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제도운영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융자지원의 자격기준을 보다 정교화 할 필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이 논문은 의사결정 나무기법(Decision Tree Method)을 이용, 학자금 융자를 가 장 필요로 하는 집단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 등록금 의 가계 부담 정도’를 가장 크게 느끼는 농어촌 출신 대학생들은 국공립대학 보다는 사립대학에 재 학 중이며, 사립대학에 재학한다 하더라도 가구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추정되는 부모의 학력이 낮은(초등학교 졸업 이하) 집단일 경우, 그리고 실제 부모가 농업에 종사하는 경우에 등록 금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등록금 문제로 인한 휴학 경험’ 여부 를 살펴본 결과, ‘대학의 전공 계열’과 ‘대학의 유형(2년제 또는 4년제)’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 다. Interest-free student loan for college student from rural areas, which has existed since 1994, is one of the student aid programs provided at the government level. This loan program aims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for higher education of rural families and to expand their higher educational opportunities by lending the money for higher education without interest. Recently, the demand for rural college student loans has been increasing because based on the policy framework of balanced development of rural areas, loans were expanded to cover the whole tuition. In this policy context, there is greater necessity to make the selection criteria more elaborate in order to raise the policy effect with the budget constraints. Based on this necessity, we intend to classify the demand groups with the most need for the rural student loans through the Decision Tree Method, and to suggest its implications.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groups who bear heavier financial burden for higher education are those who are attending private universities. Among the students attending private universities, students whose parents' educational level is low less than junior high, and those whose parents are engaged in agriculture have the greatest financial burden for higher education fees. Also, the chosen major and the type of university attended (4 year university or 2 year college) turn out to be important variables on the rate of temporary withdrawal of students for tuition reasons.
김안나,서수민,김상균,이상훈,오용택,Kim Anna,Seo Sumin,Kim Sangkyun,Lee Sanghun,Oh Yongtaek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24 대한한의학 방제학회지 Vol.32 No.2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re herbs and formulas in Internal Medicine on the Liver system (IML)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eaching IML, Herbalogy, and Formula Science, as well as to increase the integration of these courses. Methods : The study employed the frequency concept, commonly utilized in previous studies, alongside network analysis. Results : This study identified frequently used herbs, herbs with high centrality, frequently combined herbs, and core formulas. The herb with the highest frequency was 'Angelicae Gigantis Radix', while the herb with the highest centrality was 'Citri Unshius Pericarpium', and the most frequent herb combination was 'Zingiberis Rhizoma - Citri Unshius Pericarpium'.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revealed a total of 5 herbal combination communities.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core herbs using traditional frequency analysis methods. Additionally, to complement traditional analysis methods, we discovered core herbal combinations, and fundamental herbal prescriptions through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foundational data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n Internal Medicine on the Liver system (IML), Herbology, and Formula Science courses, as well as to improve coherence and consistency between foundational and clinical subjects.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
김안나,윤현정,장경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1 No.11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두 변인이 유아의 숙달동기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 256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 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질의 구성 요인인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숙달동기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부정적 정서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어머니 언어통제 유형의 하위요인인 명령적 언어통제는 숙달동기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숙달동기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가장 강력한 예축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어머니의 명령적 언어통제, 유아의 부정적 정서가 부적예측 변인, 어머니의 인성적 언어통제는 정적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숙달동기의 하위변인 별로 분석한 결과, 표현적 숙달동기에서 유아의 의도적 통제, 외향성은 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정서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