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정 비교

        김영연,장선진,김수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저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특기?적성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균형 있는 교육과정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의 내용과 범주, 프로그램의 양이 학교별, 학년별로 어떻게 다른지, 프로그램을 과학의 세부분야인 생물, 화학, 지구과학, 물리, 환경으로 나눈다면 특별히 중점을 두고 있는 분야가 어떤 것인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인터넷 검색과 이메일 면접 그리고 문헌조사를 택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과학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최근 몇 년동안 운영하는 학교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였고 미국에서는 4개 대학과 1개 초등학교였다.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와 미국의 특기?적성교육제도는 공히 학생들의 방과후 교육활동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시행기관과 수혜자가 같은 기관이었지만 미국은 대학과 지역사회의 개입으로 인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가 다양한 형태이다. 담당영역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어를 위시한 정규교육관련이었지만 미국은 폭력 예방, 레크레이션 등의 사회교육적 내용이었다. 둘째, 우리나라와 미국 모두 초등학교 4학년에 프로그램이 편중된 졍향이었다. 셋재, 내용별 분석에서 우리나라는 인체에 대한 프로그램, 색소분리, 다양한 지구과학이 많은 반면 미국은 생태학, 다양한 화학, 기상학, 천문학, 화석학, 환경 관련 프로그램이 많았다. 또한 우리나라와 미국은 공통적으로 전기와 에너지에 관련된 다양한 물리 분야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다섯째, 학년에 따라 개설 프로그램이 특징을 보였다. 생물분야에서 우리나라는 2학년, 미국은 4학년에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구과학분야는 우리나라는 3~4학년, 미국은 3학년에게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물리분야는 우리나라는 1~2학년에게 미국은 4학년에게 많은 양의 프로그램수를 제공한다. 환경분야는 양국 모두 매우 부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중점분야는 화학, 물리 순이었고 취약분야는 환경, 생물, 지구과학 순이었던 반면 미국의 중점분야는 생물이었고 취약분야는 화학, 물리, 지구과학 순이었다. The current after-school science curricula both in Korea and the USA were examined and compared in order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in science after-school curriculum in Korea. Informati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earching as well as email and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Five Korean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s in addition to four American university extension programs and one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quantity, contents and way of management of the programs as wel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 the educational institute is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object of education is also schoo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USA, however, educational institutes are elementary school, university, and community center.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of the programs, indicated that the maximum numbers of program were found in the 4th grade in both countries. However, Korean elementary schools open more subjects in after-school science program than American institutions do. Third, Korean curricula emphasize the fields of physics and chemistry more than other fields, but U. S. A focused on the biology and earth science, In conclusion, students of both countries should learn the knowledge of all kinds of science fields.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 교육과정의 역사적·철학적 기초

        이은화,이정환,이경우,이기숙,박은혜,홍용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1997 교육과학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유치원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를 역사적ㆍ철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화유치원 설립 당시부터 현재까지의 교육과정의 성립 및 변천과정과 철학적ㆍ심리적 사조를 살표보고 이들의 영향이 이화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부분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1914년 한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은 설립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며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의 측면에서는 유아들의 전인발달 특히 사회ㆍ정서적인 발달을 중요시하고 우리의 전통사상과 기독교정신, 진보주의 이론 및 구성주의가 그 철학적ㆍ심리적 기초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mainly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wha Lab Kindergarten, which was founded in 1914, is the very first kindergarten for Korean children. It has played the leader's role of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since then. Second, the curriculum of Ewha Lab Kindergarten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kindergartens' from its beginning in the sense that it was based on the firm belief of child-oriented philosophy. Third, essence of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has remained the same despite of its several changes. It has put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child, especially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child-oriented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the child's interests and experiences. Fourth,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was influened by several philosophies and psychological theories. Among those, Korean traditional thoughts, Christianity, Progressivism, and Constructivism are the most salient. Because Ewha Lab Kindergarten was founded by American missionary, Christianity was the basis for the curriculum. Examples can be that hymns, prayer, and bible stories a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Easter, Thanksgiving, and Christmas are also celebrated. Perspectives on the purpose of educati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s role were influenced by Korean traditional thoughts. The contents, teaching strategies, the teacher's role,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were heavily influenced by both Progressivism and Constructivism.

      • KCI등재

        교육공학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

        봉미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3 교육과학연구 Vol.34 No.3

        정보사회에 접어들고 공학이 무서운 속도로 발전하면서, 실천가적 전문 분야로 출발해 1980년대 이후 이론과 실제를 동시에 강조해 왔던 교육공학 분야의 무게 중심이 다시 이론보다는 실제 쪽으로 옮겨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활동의 부족이 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위협하고 있다는 가정 아래 (Gentry & Csete, 1995), 교육공학에서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고찰하고, 분야에서 수행되고 있는 연구의 성격을 재조명하였다. 또한 교육공학 연구의 유형을 (1) 연구 설계 및 목적, (2) 연구 주제, (3) 교수설계 패러다임 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예와 대표적인 특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공학 연구의 역사적 동향을 정리하였으며, 최근 연구의 동향에 대해 역시 연구 방법과 주제 면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공학 과거 연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제한적이나마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이론과 실제 간의 균형 유지에 관한 분야의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Educational technology, which originally started out with a strong practitioner orientation, has since evolved to a field that equally stresses both theory and practice. However, the field now seems to be heading back toward its pragmatic position, largely due to the rapid and unprecedented develop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Unfortunately, this change is taking place at the expense of systematic research and theory and begins to threaten the identity of the field as one that entails scholarly pursuits.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in the hopes that it will help the field regain momentum to restore its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Discussed first in this article pertains to what it means to do research in educational technology and what the nature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is. Second, Past and present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is typified by three different classification schemes-(l) research design and methods, (2) main research topics and questions, and (3) Paradigm shifts in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s. Third, recent trends in educational technology are discussed as well as what could be done with these changes in terms of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입문으로서의 교육"의 재음미

        홍은숙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1990년대 이래 "사회적 실제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개념이 제시되어 논의되고 ㅇㅆ다. 그러나 그 논의는 주로 "사회적 실제"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내용 선정과 교과의 성격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교육 개념이확립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구체적인 교육의 과정 및 방법을 밝힐 필요가 있으며, 이에 "입문"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실제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개념을 확립하기 이하여 "입문"의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첫째, Peters의 "입문으로서의 교육"의 개념을 설명하고, 그것의 공헌점과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사회적 실제에로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개념에서의 "입문"이 어떤 특성을 가지는지, 그것은 Peters의 교육관에서의 "입문"과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를 설명한다. 셋째, 사회적 실제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관에 나타나는 "입문으로서의 교육"을 "소개로서의 교육"과 비교하여 설명하면서, "입문"이라는 말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특히 "교화"의 개념과 관련하여, "입문"의 과정이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의 교육방법으로서 필요함을 강조한다. 끝으로 입문으로서의 교육적 앎의 특징을 살펴본다. The conception of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practices has been suggested and discussed since 1990s. Discussions on this topic have mainly focused on the concept of "practices," and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However, in order to develop a new conception of education, we need to explore the aspect of the educational method as well as that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conception of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practices, this study explores the neglected aspect of the educational process, Putting the focus on the concept of "initiation."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Peters' conception of "education as initiation," comparing different meanings of initiation in two conceptions of education. When Peters defines education as initiation, he interprets it as initiation into forms of knowledge. Peters also emphasizes the inter-subjective and impersonal characteristic of public traditions that are regarded as contents of education. Although "the initiation into practices model of education" agrees with Peters in accepting the importance of public traditions as contents of education, it rejects Peters" intellectual approach by expanding the range of educational contents to various social practices, It also emphasizes the characteristic of "personal knowing" in education. Peters' initiation model of education wa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both to the molding model and to the growth model of education. But "initiation into practices model of education" has a different target of criticism, I argue that its target is what we can call "the introduction model of education." Introduction model is supported by liberal educational theorists. They often criticize "initiation" for being irrational and uncritical, arguing that it could not be accepted as an educational method in democratic society. Against this criticism, I showed that initiation is a logical necessity in education, that is not contradictory to critical thinking. Thus,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itiation in educ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its personal and committed knowing.

      • KCI등재

        교육의 사회적 적합성 재해석

        황규호,이희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2 교육과학연구 Vol.33 No.1

        교육 내용의 가치 정당화 논의에 있어서 교육 내용의 사회적 적합성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두 가지 상반된 견해가 대립해 왔다. 생활중심 교육과정 이론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실용주의적 교육관을 견지하는 입장에서는 교육 내용의 사회적 적합성을 교육 내용 선정의 일차적인 기준의 하나로 강조하는 반면 전통적인 자유교육의 이념을 옹호하는 입장에서는 사회적 적합성은 교육 내용 선정의 적절한 기준이 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주장들은 모두 교육 내용의 사회적 적합성의 의미를 교육의 사회적 기능, 즉 사회에 대한 수단으로서의 교육의 기능이라는 관점에서만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육과 사회의 관련성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식의 사회성에 대한 함린의 논의와 지식과 삶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허스트의 프랙티스 논의에 기초하여 교육의 사회적 적합성의 의미를 마음의 발달, 또는 이해의 성장에 작용하는 사회적 측면과 관련지어 보다 폭넓게 규정하고자 하였다. 이들 논의들은 교육 목적으로서의 마음의 발달의 참된 의미나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의 중요성은 오직 그 배경에 자리잡고 있는 사회공동체의 총체적인 삶의 형식에 비추어 볼 때에만 온전하게 파악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올바른 의미의 교육의 사회적 적합성이란 곧 '교육'과 총체로서의 '사회적 삶의 형식' 사이의 관계에 비추어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규정된 '사회적 적합성' 개념은 삶의 실용적 측면과 관조적 측면을 모두 포괄함으로써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개념적 장치가 되어 준다. In education, there have been two opposing points of views in the debate on the desirable state of educated human being and educational content which should be taught. One is pragmatistic perspective on education which emphasizes social usefulness of educational cont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everyday life, and the other is liberal education which emphasizes the theoretical knowledge as educational content and the development of mind by inquiring the truth of reality. Although they have different views on the 'social relevance of education', they both fail to rightl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ociety.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ocial relevance' is only confined to the means-ends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ociety. We argue in this paper that the meaning of the social relevance of education need to be expanded so that it can also reflect the social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mind, such as explicated in D. W. Hamlyn's arguments. He raises the question of how it is possible at all to possess knowledge and understand it, and argues that a man cannot be considered to posses knowledge before he is initiated into the shared 'form of life'. This argument suggests that knowledge is originating from and based on our human life, rather than from metaphysical Reality. This kind of argument is also dealt with by Hirst and Oakeshott. What they try to show with the concept of 'practice' and 'tradition' is the inevitabl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world of living. The arguments emphasizing the social aspects of knowledge and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human life are based on 'immanent views' of knowledge which define the ideal stage of life in relation with the world of everyday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manent views, the social relevance of education can now be interpreted as a proper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and the human form of life. This new conception emphasizes that education is a process of initiation of new members of a society into the shared form of life and form of judgements of that society. New conception of the relevance of education help us to redefine the value of knowledge as educational content in terms of its relation with the holistic nature of human life.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인식 및 단원 재구성 사례연구

        김경자,온정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2

        이 연구에서는 통합교육과정을 학습자들이 내용을 서로 관련시키면서 이해하고, 그 이해의 결과물로 창의적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간학문적 교육과정 조직의 원리로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의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예비교사들이 전통적인 방식과 이해를 목표로 하는 백워드 설계에 따라 통합교과의 단원을 재구성했을 때 어떠한 차이점들이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단원 재구성 후에 예비교사들의 초기 인식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의 초기 인식은 통합교육과정을 통합교과를 가르치는 것과 동일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단원을 재구성했을 때에 의사결정을 행사한 영역은 주로 교수․학습 활동이었던 반면, 백워드 설계에 따라서 단원을 재구성하였을 때에는 교육내용과 평가 및 교수․학습 활동 모두를 통일성 있는 하나의 틀 안에서 인식하고 재구성을 하기 시작하였다. 단원 재구성 이후 예비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을 이해를 목표로 하는 간학문적 교육과정 원리로 인식하기 시작하였으나, 교육내용을 사실, 개념, 일반화, 탐구과정으로 추출하고 일반화에 도달하도록 도와주는 핵심질문을 구성하는 것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교원양성교육과정과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We take the perspective that an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help students relate ideas from different subject areas and reveal their understanding of interdisciplinary concepts through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a group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ualized an integrated curriculum, and explored if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ir perception before and after they were involved in two different ways of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Also, we analyzed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decision making when they redesigned the same unit by using both the backwards design (i.e. Understanding by Design) and a traditional one. The study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how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can be redesigned to help pre-service as well as in-service teachers identify key ideas around which curriculum can be integrated and to view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the underlying logic for curriculum design.

      • KCI등재

        핀란드의 교원 현직교육 특성 분석

        김병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핀란드 교원 현직교육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국 교 원 현직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핀란드 교원 현직교육의 특징은 크게 다섯 가지인데 다음과 같다. 첫째, 핀란드의 교원 현직교육에서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교원의 역량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목표를 두고 있다. 둘째, 핀란드 교원 현직교육은 국가주도가 아닌 교원들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핀란드 교원 현직교육에서는 철저히 연구기반 접근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핀란드 교원 현직교육에서는 이론과 실제의 조화를 구현하고 있다. 다섯째, 핀란드 교원 현직교육에서는 현장기반 접근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교원 현직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한국 교원 현직교육 개선을 위해서는 기술공학적 접근이 아닌 신뢰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접근이 필요하며, 보다 전문화된 교원 현직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교원들의 자발적인 참여 여건을 마련해 주며, 대학과 일선학교를 포함한 관련 기관들 간의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alient aspects of the Finnish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found at least five noteworthy features. Finnish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1) the development of teachers' capacity for making a living; 2) emphasis on teachers' autonomy; 3) a research-oriented approach; 4) a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5) school site-based program implement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insight into the development of a Korea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irst, trust and professionalism must be respected and fully reflected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 Second, educators need to find out how to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program. Therefore, building a collaborative network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to systematically support Korean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is of paramount impor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