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예비교사의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온라인 플랫폼 활용을 중심으로

        조형숙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2 No.1

        Improving pedagogical competence of English pre-service teachers(PSTs), a college course of ‘Understanding and Teaching of Underachieving English Language Learners(U-ELLs)' was designed. It consists of 3 stages: 1) understanding U-ELLs, 2) teaching U-ELLs, and 3) evaluation and reflection. During the stage of understanding U-ELLs, PSTs participated in a workshop about online platform Classcard, micro-teaching with Classcard, and preparing 3-week teaching plans and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second stage, the PSTs taught U-ELLs through a one-on-one English tutoring program. After completing 3-week tutoring, the PSTs and U-ELLs evaluated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e survey results were compared to those of Cho(2018). The teaching logs and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the participating PSTs, showed that utilizing online platform was useful for teaching U-ELLs but that PS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being familiar with the various functions of online platform and in effectively utilizing the platform according to learning environments and leaner factors. Also,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realizing the importance of online platform while tutoring U-ELLs, PSTs explored teaching methods and their career paths. This paper provides suggestions for teacher educators to improve PSTs’ pedagogical competences to support U-ELLs for English basic competency. COVID-19로 인하여 대면수업이 어려워짐에 따라, 기초학력 미달 학습자가 증가하였고, 영어과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기초학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교수역량 배양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영어학습부진아 이해와 지도’ 과목을 개설하고 ① 영어학습부진아 이해, ② 영어학습부진아 지도, ③ 성찰과 평가 세 단계로 구성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온라인 플랫폼 클래스카드 실습, 수업시연, 교육과정 설계, 학습 자료 제작 후, 영어 기초학력 미달 중학생을 3주간 1:1로 멘토링하였다. 중학생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평가회에서 수집된 설문조사의 결과는 조형숙(2018)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예비교사의 교수 일지와 최종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에게 온라인 플랫폼 활용이 유용하지만 플랫폼의 기능을 익히기 어려웠고 학습 환경 및 학습자 특성에 따라 활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고 보고하였다. 예비교사는 영어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온라인 플랫폼의 중요성을 깨닫고 예비교사로서 영어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수법을 고민하며 진로를 탐색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기초학력을 보장하기 위해 어떻게 예비교사의 교수역량을 배양할 것인지 제안을 덧붙였다.

      • KCI등재후보

        만 3, 4, 5세 유아의 동물에 대한 질문 탐색

        조형숙,김남연,문가영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9 No.3

        This study investigated young children's interests in animals by examining their questions about animals. In order to collect data,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36 times with a total of 241 young children. The researcher showed living animals to young children and encouraged them to ask questions by themselves. The animals used were the rhinoceros beetle, hedgehog, and snail. The number of questions on animals collected from the group interviews was 2,105 and they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9 categories and respective subcategorie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the questions and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were caused by age and gender. 본 연구는 만 3, 4, 5세 유아의 동물에 대한 질문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동물에 대한 관심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유아의 관심을 반영한 동물탐구 활동의 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9년 8월초부터 9월 말에 거쳐 이루어졌으며 유아교육기관을 방문하여 만 3, 4, 5세 유아 241명을 대상으로 36회의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2,105개의 동물에 대한 유아의 질문을 분석하여 총 9개의 범주와 각각의 하위범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범주에 따른 질문 내용의 빈도를 보여주고, 연령과 성별에 따라 질문에서 나타난 차이를 비교하고 있다.

      • KCI등재

        협동적 실내정원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태도와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형숙,김정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적 실내정원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태도와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 5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8명, 비교집단 28명으로 나누었으며, 실험집단에는 주1회씩 12회에 거쳐 실내정원가꾸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생명존중태도는 김귀순(2001)과 배용철(2003)이 사용한 질문지를 유아수준에 맞도록 수정한 것을, 친사회적행동은 Mcginnis와 Goldstein(1990)의 기술상황척도(skill situation measures)를 이원영 외(1993)가 번안, 발췌, 수정하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검사도구로 제작한 것을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협동적 실내정원가꾸기 활동은 생명존중태도와 친사회적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로 볼 때, 협동적 실내정원가꾸기 활동은 생명존중태도와 친사회적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아로 하여금 자연을 보다 가까이 접하고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생명을 존중하고,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고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cooperative indoor gardening activities on children’s respectful attitude of life and pro-social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which selected 56 children and divided them equally into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test group, performed indoor garden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cooperative indoor gardening activities affected positively respectful attitude of life and pro-social behavior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findings, cooperative indoor gardening activities influenced positively respectful attitude of life and pro-social behaviors, and made children approach nature more closely and actively, implies that the activities provide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to respect life, control their emotion, and form interpersonal re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를 위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 탐색

        조형숙,김현주 미래유아교육학회 200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2 No.1

        이 연구는 유치원 교사를 위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를 탐색해 봄으로써, 집단 멘토링이 유치원 현장에서 豈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유치원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외부 전문가에 의한 집단 멘토링을 실시하였다. 멘토는 교사들과 매주 1회의 정기모임(총 15회)을 갖고, e-mail로 개별 질의 및 응답을 하였으며, 비정규적으로 수업참관 및 역할지원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로는 정기모임 토의 기록 및 참여관찰 내용, 심층면담자료, 연구자와 교사들의 저널 등이 있다. 이 자료들을 토대로 유치원 교사를 위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집단 멘토링은 교사의 교수능력과 관제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교수능력에 있어서는 '반성적 사고를 통해 수업계획하기, 유아들의 반응에 귀를 기울여 상호적용하기, 실제적인 수업평가하기'로 변화되었으며, 관계에 있어서는 교사들 간에 협력과 대화의 증진과 멘토와 교사 간의 수평적 관계 형성을 들 수 있다. 집단 멘토링에서 두드러진 멘토의 역할은 '편안하게 하기, 안내하기, 이어주기, 자극하기, 지원하기'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group mentor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 strategies to apply group mentor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were 5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3 to 6 years working experiences with young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centers. The group mentoring programs in the study were consisted of 15 times group meetings, individual conversation via e-mail between mentor and each mentee, and irregular classroom observations. The whole sessions took place during 4 months. The theoretical framework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in the study was Narrative Inquiry that was conceptualized by Clandinin. The types of data tha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researcher were group discussion records, classroom observation note, in-deep interview records, and journals written by research participants and researcher.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group mentoring helped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apacity in terms of lesson planning,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and evaluating lessons and children's learning. Also, teachers gradually developed a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mong them which is essential elemen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s do not feel comfortable with mentor for the first time, but later they accepted her as an emotional and professional supporter. The roles of mentor which played a part in improving rnentee's development were making them feel comfortable, guiding, connecting among mentees, stimulating, and supporting. In conclusion, group mentoring would be an effective supervision approach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Literacy Practices and Social Identities of Biracial Multicultural Children

        조형숙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5 언어와 문화 Vol.11 No.2

        With the advent of growing population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iteracy practices and identity construction of biracial multicultural children who enroll in an authorized multicultural school. I selected three biracial elementary children: an American Korean girl, a Vietnamese Korean boy, and a Jordanian Korean boy.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depended on thematic analysis throughout coding and comparative analysis. To capture the power dynamics and social relations, this qualitative study employs sociocultural perspectives and represents three participants’ literacy practices. Findings show that the American Korean student received sufficient feedback from teachers while multicultural children of minoritized languages did not have teachers’ help for biliteracy. Using the social theories of subjectivity, linguistic capital, and addressivity, I discussed how linguistic capital affects literacy learning in different positions and how literacy practices construct their identities in different time and space. Lastly, I propose the importance of the diversity model in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이해교육의 구성과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조형숙,이효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which is maintained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a practic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Moreover, it is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in composing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on variables which affects teacher's perception. For an optimal examination, 253 teachers from 33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hich a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were surveyed. Firs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was mainly operated in the area of social relationship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It was managed in a large group of 5 year old children. Moreover, it has been discussed more frequently when the topic of daily life was about family and neighborhood. The approach was an understanding-centere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The activity form was mainly a conversation activity and a discussion activity was used as an educational method. Secondly, as a result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the activity form was reading story books and doing dramatic plays. In addition. reading picture books was another way of learning the education. The scope of the education was respecting the diversity and inspiring the positive behavior. By experiencing the inclusion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amiliarity, understanding, necessity and satisfaction of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In particular, the co-relation between familiarity and understanding was somewhat meaningful.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이해교육의 구성 및 장애이해교육의 운영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33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교사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먼저 유아교육기관 장애이해교육의 운영 실태를 본 결과 관련 교육과정은 사회생활영역, 생활주제는 가족과 이웃, 만 5세 유아를 대집단으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교사들이 가장 많았으며, 접근법은 이해중심의 장애이해교육, 활동형태로는 이야기나누기 활동, 교육방법으로는 이야기나누기 및 토의하기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이해교육활동 구성에 관한 유아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활동형태로는 동화 및 동극 활동, 교육방법은 장애 관련 그림책, 교육내용 범위는 다양성 존중과 긍정적 태도 고취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통합교육 실시경험에 따라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친숙함, 이해도, 필요성, 만족감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친숙함과 이해도의 상관관계가 다소 유의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만 2세 영아의 점토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

        조형숙,이은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2-year-old toddlers' educational meaning of clay-play by observing their pla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is research took place at "A" day care center, in 2-year-old infants' class. Observation was conducted 28 times for 12 weeks from April 1 to June 31,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With the clay-play, 2-year-old toddlers' experienced sensory and formative play, pretend play and social play. And a clay is a good sensory thing, feel free from making mistakes, sense of accomplishment and develop sociality. The clay-play is important educational material for toddlers. Teachers have to know about educational meaning of clay-play and try to support clay-play for toddlers.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가 점토놀이를 통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점토놀이의 교육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2세 영아 다섯 명을 대상으로 점토와 다양한 재료들을 어떻게 탐색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점토놀이의 의미는 감각 및 조형놀이 경험, 가작화 놀이 경험, 사회적 놀이 경험으로 나타났다. 점토놀이는 영아에게 있어 감각 경험을 통한 훌륭한 놀이매체일 뿐만 아니라, 또래 영아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맺게 하는 도구인 것이다. 교사는 영아시기의 점토놀이의 교육적 의미를 인식하고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